[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65973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973A
KR20130065973A KR1020110132600A KR20110132600A KR20130065973A KR 20130065973 A KR20130065973 A KR 20130065973A KR 1020110132600 A KR1020110132600 A KR 1020110132600A KR 20110132600 A KR20110132600 A KR 20110132600A KR 20130065973 A KR20130065973 A KR 2013006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제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973A/ko
Publication of KR2013006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97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 내 승객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 또는 서비스호출이 발생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가 방범운전이나 긴급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은, 해당 엘리베이터 카 탑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이 발생됨에 동시에 해당 호출이 카 내에 구비된 안테나에서 검출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과 연결된 이동통신중계기 측으로 전송되는 긴급호출 검출단계와;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긴급호출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 여부를 판단하여 승객의 탑승유무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단계와;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보수 센터 및 관리자의 호출을 행함과 아울러, 카 내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객과 관리실이 연결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관리자 호출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현재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주행여부 판단단계와;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이 가능한 경우, 모튼 콜을 취소한 후 해당 카가 정해진 층으로 복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복귀운전 실시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해진 해당 층에 도착되면, 일정 시간동안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도어개방 및 대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ELEVATOR CONTROL METHOD USING BY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내 승객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이나 서비스호출 등이 발생되면, 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에서 감지하여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이나 긴급운전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에 이동통신 단말기용 중계기의 설치가 제한되어, 카 내에서 정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법 규정이 개정되면서, 카 내에 이동통신 단말기용 중계기의 설치가 허용되었으며, 이에 카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보다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내 승객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 또는 서비스호출이 발생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가 방범운전이나 긴급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은, 해당 엘리베이터 카 탑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이 발생됨에 동시에 해당 호출이 카 내에 구비된 안테나에서 검출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과 연결된 이동통신중계기 측으로 전송되는 긴급호출 검출단계와;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긴급호출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 여부를 판단하여 승객의 탑승유무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단계와;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보수 센터 및 관리자의 호출을 행함과 아울러, 카 내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객과 관리실이 연결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관리자 호출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현재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주행여부 판단단계와;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이 가능한 경우, 모튼 콜을 취소한 후 해당 카가 정해진 층으로 복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복귀운전 실시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해진 해당 층에 도착되면, 일정 시간동안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도어개방 및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귀운전 실시단계에서의 엘리베이터 복귀운전 시에는 카 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매개로 방범운전이나 긴급운전이 실시되고 있음은 탑승객에서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이상상태 발생이나 탑승객의 신변에 위험이 발생되어, 탑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 또는 서비스호출 등이 발생된 경우, 이동통신 중계기와 연계된 엘리베이터 제어반 측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관리자를 호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방범운전이나 긴급운전으로 전환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10) 내 승객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긴급호출 또는 서비스호출 등이 발생된 경우, 엘리베이터 기계실(30) 등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중계기(32)를 매개로 엘리베이터 제어반(34) 측에서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방범운전이나 긴급운전을 행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짐에 의해 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해당 건물에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각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탑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의 발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2)가 설치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기계실(30) 측에는 상기 카 내 안테나(1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긴급호출 또는 서비스호출 등의 상태를 엘리베이터 제어반(34) 측에 전달하기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3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10) 내에는 목적층 입력버튼과 도어 개폐버튼, 엘리베이터 카의 이상 발생 시 관리자의 호출을 위한 비상호출버튼 등이 구비됨과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등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객이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플릿 PC, PDA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참조부호 40은 관리자가 상주하는 해당 건물의 관리실이나 방재실 등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 내에 설치되는 안테나(12) 및 이동통신 중계기(32)를 매개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의 발신신호 검출 및 신호 송수신 등의 구성은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은, 긴급호출 검출단계(단계 100)와, 부하 검출단계(단계 200)와, 관리자 호출단계(단계 300 및 310)와, 주행여부 판단단계(단계 400)와, 복귀운전 실시단계(단계 500 및 510) 및, 도어개방 및 대기단계(단계 600 및 610)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긴급호출 검출단계(단계 100)에서는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탑승객이 휴대하고 있는 소정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119 등의 긴급호출이나 112 등의 위험호출 등에 대응하는 발신신호가 카 내에 구비된 안테나(12)로부에서 검출된 후, 해당 신호가 안테나(12)와 연결된 엘리베이터 기계실(30)의 이동통신 중계기(32) 측으로 전송됨과 동시에 해당 신호는 그와 연결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34) 측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 상기 부하 검출단계(단계 200)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반(34)이 긴급호출이 검출된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부하를 검출하게 되고, 이를 기초로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승객 탑승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그 결과,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에 부하가 검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자 호출단계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34)은 해당 엘리베이터의 보수센터 또는 해당 보수센터 담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유.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행하는 한편(단계 300),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비상통화장치를 제어하여 탑승객과 관리실(40) 상호간에 통화로가 설정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단계 310).
그 후, 상기 주행여부 판단단계(단계 400)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34)이 해당 엘리베이터 카(10)가 현재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그 판단결과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모든 콜을 취소하고 복귀운전 모드로 전환하여, 정해진 층(로비층 등)으로 카가 복귀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단계510).
이때,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복귀운전 시에는 카 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등을 매개로 현재 방범운전 또는 긴급운전이 실시되고 있음은 안내하여 탑승객 등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단계 510).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에 대한 복귀운전이 실시되면, 단계 600에서는 해당 엘리베이터 카(10)가 복귀운전 시 정해진 해당 층(로비층 등)에 도착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되며, 그 결과 해당 엘리베이터 카(10)가 정해진 해당 층에 도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34)은 해당 엘리베이터 카(10) 일정 시간동안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단계 61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을 통해서는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탑승객이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긴급호출 또는 서비스호출 등이 발생된 경우, 이를 엘리베이터 제어반(34) 측에서 인지하여, 즉시 관리자를 호출하고 엘리베이터의 복귀운전을 실시하므로서,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엘리베이터 카, 12: 안테나,
20: 이동통신 단말기, 30: 엘리베이터 기계실,
32: 이동통신 중계기, 34: 엘리베이터 제어반.

Claims (2)

  1. 해당 엘리베이터 카 탑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긴급호출이 발생됨에 동시에 해당 호출이 카 내에 구비된 안테나에서 검출된 후 엘리베이터 제어반과 연결된 이동통신중계기 측으로 전송되는 긴급호출 검출단계와;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긴급호출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 여부를 판단하여 승객의 탑승유무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단계와;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보수 센터 및 관리자의 호출을 행함과 아울러, 카 내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객과 관리실이 연결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관리자 호출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현재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주행여부 판단단계와;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이 가능한 경우, 모튼 콜을 취소한 후 해당 카가 정해진 층으로 복귀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복귀운전 실시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해진 해당 층에 도착되면, 일정 시간동안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도어개방 및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운전 실시단계에서의 엘리베이터 복귀운전 시에는 카 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매개로 방범운전이나 긴급운전이 실시되고 있음은 탑승객에서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KR1020110132600A 2011-12-12 2011-12-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Ceased KR20130065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00A KR20130065973A (ko) 2011-12-12 2011-12-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00A KR20130065973A (ko) 2011-12-12 2011-12-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973A true KR20130065973A (ko) 2013-06-20

Family

ID=4886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00A Ceased KR20130065973A (ko) 2011-12-12 2011-12-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9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28A (ko) 2017-12-12 2019-06-20 최광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WO2022059097A1 (ja) * 2020-09-16 2022-03-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US12172865B2 (en) 2018-09-14 2024-12-24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elevator service based on passenger prior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28A (ko) 2017-12-12 2019-06-20 최광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US12172865B2 (en) 2018-09-14 2024-12-24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elevator service based on passenger priority
WO2022059097A1 (ja) * 2020-09-16 2022-03-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WO2022059097A1 (ko) * 2020-09-16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495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
CN113213281B (zh) 电梯系统
JP5545539B2 (ja) 自律走行体移動システム
KR20210137153A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
JP5730361B2 (ja) エレベータ用保守点検装置
JP5014623B2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方法
KR102551809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JP2012018645A (ja) 自律走行体移動システム
JP2014218330A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2016055981A (ja) エレベータ用非常事態対応情報提供システム
EP3538467B1 (en) Security system for buildings with elevator installations
KR2013006597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JP2012126512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697320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19171493A1 (ja) エレベーター
JP754085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運転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20581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2030916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救出運転装置
JP201717858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7262923A (zh) 电梯系统
JP202400161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33774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行先階登録制御方法
KR200417932Y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JP2016172630A (ja) エレベーターの通話管理システム
JP2012035954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