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556A -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3556A KR20130063556A KR1020110129956A KR20110129956A KR20130063556A KR 20130063556 A KR20130063556 A KR 20130063556A KR 1020110129956 A KR1020110129956 A KR 1020110129956A KR 20110129956 A KR20110129956 A KR 20110129956A KR 20130063556 A KR20130063556 A KR 201300635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hinge
- folder
- display module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 모듈을 구비하는 폴더부와, 표시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표시 모듈을 접지시키는 메인 모듈을 구비하는 메인부와, 폴더부에 장착되고 메인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인부에 대응하여 폴더부를 개폐시키며, 표시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메인 모듈에 의해 접지되는 힌지 모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접지 성능이 확보되어,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 타입(bar type), 플립 타입(fii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때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메인부, 폴더부 및 메인부와 폴더부를 연결하는 힌지 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힌지 장치는 메인부와 폴더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메인부로부터 폴더부를 개폐시킨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 때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성능은 안테나의 방사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최적화하는 데 있어서, 안테나의 접지(ground) 성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즉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의 접지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됨에 따라,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의 접지 성능을 개선하여,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최적화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표시 모듈을 구비하는 폴더부와, 상기 표시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접지시키는 메인 모듈을 구비하는 메인부와, 상기 폴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부에 대응하여 상기 폴더부를 개폐시키며, 상기 표시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메인 모듈에 의해 접지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모듈을 구비하는 폴더부와 상기 표시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접지시키는 메인 모듈을 구비하는 메인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폴더부와 상기 메인부를 연결하는 힌지 장치는, 상기 폴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부에 대응하여 상기 폴더부를 개폐시키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이 상기 메인 모듈에 의해 접지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는, 힌지 장치의 힌지 모듈과 메인 모듈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힌지 모듈과 메인 모듈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힌지 모듈이 메인 모듈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즉 메인 모듈의 접지부에서 공통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접지 성능이 확보되어,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힌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힌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때 도 1의 (a)는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open state)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b)는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closed state)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00)는 폴더 타입으로 구현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메인부(main part; 110), 폴더부(folder part; 120) 및 힌지 장치(hinge apparatus; 130)로 이루어진다.
메인부(110)는 메인 하우징(main housing; 111)과 메인 모듈(main module; 도 2 및 도 3의 113)을 구비한다. 메인 하우징(111)은 내부 공간에 메인 모듈(113)을 수용하여, 메인 모듈(113)을 보호한다. 메인 모듈(113)은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메인 모듈(113)은 접지부(ground part)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base board) 상에 다수개의 소자(device)들이 실장된 메인 기판(main board)일 수 있다. 여기서, 소자들은 집적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 메모리(memory), 안테나(antenna)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폴더부(120)는 폴더 하우징(folder housing; 121)과 표시 모듈(display module; 도 2 및 도 3의 123)을 구비한다. 폴더 하우징(121)은 내부 공간에 표시 모듈(123)을 수용하여, 표시 모듈(123)을 보호한다. 표시 모듈(12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표시 모듈(123)은 메인 모듈(113)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서, 표시 모듈(123)은 액정 표시 모듈(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힌지 장치(130)는 메인부(110)와 폴더부(1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부(110)와 폴더부(120)를 연결한다. 이러한 힌지 장치(130)는 힌지 케이스(hinge case; 131)와 힌지 모듈(hinge module; 도 2 및 도 3의 133)을 구비한다. 힌지 케이스(131)는 폴더부(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힌지 케이스(131)는 힌지 모듈(133)의 표면에 부착되어, 힌지 모듈(133)을 보호한다. 힌지 모듈(133)은 메인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힌지 모듈(133)은 메인부(110)에 대응하여 폴더부(120)를 개폐시킨다. 이 때 힌지 모듈(133)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 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100)에서 메인 모듈(113)과 표시 모듈(1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메인 모듈(113)이 표시 모듈(123)을 제어하여, 표시 모듈(123)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아울러, 표시 모듈(123)이 메인 모듈(113)에 의해 접지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100)에서 메인 모듈(113)과 힌지 모듈(13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힌지 모듈(133)이 메인 모듈(113)에 의해 접지된다. 즉 메인 모듈(113)의 접지부에서 안테나와 같은 소자들, 표시 모듈(123) 뿐만 아니라, 힌지 모듈(133)을 위한 공통 접지가 이루어진다.
다만,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에서 힌지 모듈(133)이 폴더부(120)에 장착되어 메인부(110)에 체결되기 때문에, 힌지 모듈(133)과 메인 모듈(113)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메인부(110)에 대응하여 힌지 장치(130)가 회전함에 따라, 힌지 모듈(133)과 메인 모듈(1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힌지 모듈(133)과 메인 모듈(113)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힌지 모듈(133)이 메인 모듈(113)에 의해 접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접지 성능이 저하되어, 휴대 단말기(100)에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열화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메인 모듈(113)과 표시 모듈(1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메인 모듈(113)이 표시 모듈(123)을 제어하여, 표시 모듈(123)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아울러, 표시 모듈(123)이 메인 모듈(113)에 의해 접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표시 모듈(123)과 힌지 모듈(13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힌지 모듈(133)이 표시 모듈(123)을 통해 메인 모듈(1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를 통해, 힌지 모듈(133)이 메인 모듈(113)에 의해 접지된다. 즉 메인 모듈(113)의 접지부에서 안테나(115)와 같은 소자들, 표시 모듈(123) 뿐만 아니라, 힌지 모듈(133)을 위한 공통 접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힌지 모듈(133)이 폴더부(120)에 장착되어 메인부(110)에 체결되기 때문에, 힌지 모듈(133)과 메인 모듈(11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메인부(110)에 대응하여 힌지 장치(130)가 회전하더라도, 힌지 모듈(133)과 표시 모듈(123)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고, 표시 모듈(123)과 메인 모듈(113)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힌지 모듈(133)과 메인 모듈(113)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힌지 모듈(133)이 메인 모듈(113)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즉 메인 모듈(113)의 접지부에서 안테나(115)와 같은 소자들, 표시 모듈(123) 뿐만 아니라, 힌지 모듈(133)을 위한 공통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접지 성능이 확보되어, 휴대 단말기(100)에서 안테나(115)의 방사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힌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때 도 5에서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절단 위치에 따라 구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30)는 메인부(110)와 폴더부(120)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부(110)와 폴더부(120)를 연결한다. 이러한 힌지 장치(130)는 힌지 케이스(131), 힌지 모듈(133), 금속 연결부(metal connector; 135), 접촉 리브(contact rib; 137), 밀착 부재(contact member; 139), 고정 리브(fix rib; 141) 및 접속 개스킷(connection gasket; 143)을 포함한다.
힌지 케이스(131)는 폴더부(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힌지 케이스(131)는 힌지 모듈(133)의 표면에 부착되어, 힌지 모듈(133)을 보호한다. 이 때 힌지 케이스(131)는 폴더 하우징(121)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 모듈(133)은 폴더부(120)에 장착되고, 메인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힌지 모듈(133)은 메인부(110)에 대응하여 폴더부(120)를 개폐시킨다. 이 때 힌지 모듈(133)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힌지 모듈(133)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힌지 하우징(hinge housing), 힌지 캠(hinge cam), 힌지 샤프트(hinge shaft) 및 힌지 스프링(hinge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 하우징은 휴대 단말기(10)의 폴더부(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힌지 하우징은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스프링을 수용한다. 힌지 캠은 힌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메인부(11)에 연결된다. 이 때 힌지 캠은 메인부(11)에 고정된다. 힌지 샤프트는 힌지 하우징에 수용되어, 힌지 캠에 체결된다. 이 때 힌지 샤프트는 힌지 하우징 내에서 힌지 캠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힌지 스프링은 힌지 하우징 내에서 힌지 샤프트와 힌지 하우징을 연결한다. 이 때 힌지 스프링은 힌지 캠에 힌지 샤프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메인부(110)에 대응하여 폴더부(120) 회전 시, 힌지 하우징이 폴더부(120)와 더불어 회전한다. 이를 통해, 힌지 하우징 내에서 힌지 샤프트가 힌지 캠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이 때 힌지 하우징 내에서 힌지 샤프트가 힌지 스프링에 의해 힌지 캠에 체결된다. 여기서, 힌지 캠에 대응하여 힌지 샤프트가 회전하더라도, 힌지 샤프트가 힌지 스프링에 의해 힌지 캠에 체결된다.
금속 연결부(135)는 힌지 모듈(133)과 표시 모듈(12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금속 연결부(135)는 폴더부(120)의 폴더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힌지 모듈(133)과 표시 모듈(123)에 각각 접촉한다. 그리고 금속 연결부(135)는 힌지 모듈(133)에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표시 모듈(123)로 전달한다. 여기서, 금속 연결부(135)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때 금속 연결부(135)는 일정 형상으로 벤딩(bending)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연결부(135)는 접촉 리브(137) 및 힌지 모듈(133)에 각각 접촉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접촉 리브(137)는 금속 연결부(135)를 힌지 모듈(133)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접촉 리브(137)는 폴더 하우징(121)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금속 연결부(135)에 접촉한다. 이 때 접촉 리브(137)가 금속 연결부(135)를 힌지 모듈(133)에 밀착시켜, 접촉 리브(137)와 힌지 모듈(133) 사이에서 금속 연결부(135)를 고정시킨다. 즉 접촉 리브(137)가 힌지 모듈(133)과 금속 연결부(135)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접촉 리브(137)는 폴더 하우징(121)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더 하우징(121)과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접촉 리브(137)는 폴더 하우징(121)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더 하우징(121)이 사출된 다음, 폴더 하우징(121)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밀착 부재(139)는 금속 연결부(135)를 힌지 모듈(133)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밀착 부재(139)는 금속 연결부(135)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다. 즉 금속 연결부(135)가 접촉 리브(137)와 힌지 모듈(133)을 각각 연결하도록 벤딩됨에 따라 공간이 형성되며, 밀착 부재(139)가 해당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말착 부재(139)는 금속 연결부(135)를 힌지 모듈(133)에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밀착 부재(139)가 금속 연결부(135)를 힌지 모듈(133)에 밀착시켜, 접촉 리브(137)과 힌지 모듈(133) 사이에서 금속 연결부(135)를 고정시킨다. 즉 밀착 부재(139)가 힌지 모듈(133)과 금속 연결부(135)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밀착 부재(139)는 고무(rub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리브(141)는 표시 모듈(123)을 금속 연결부(135)를 밀착시킨다. 이러한 고정 리브(141)는 폴더 하우징(121)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표시 모듈(123)에 접촉한다. 이 때 고정 리브(141)가 표시 모듈(123)을 금속 연결부(135)에 밀착시켜, 고정 리브(141)와 금속 연결부(135) 사이에서 표시 모듈(123)을 고정시킨다. 즉 고정 리브(141)가 표시 모듈(123)과 금속 연결부(135)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고정 리브(141)는 폴더 하우징(121)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더 하우징(121)과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 리브(141)는 폴더 하우징(121)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더 하우징(121)이 사출된 다음, 폴더 하우징(121)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접속 개스킷(143)는 표시 모듈(123)을 금속 연결부(135)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접속 개스킷(143)은 표시 모듈(123)과 금속 연결부(135)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 모듈(123)과 금속 연결부(135)를 상호 접착시킨다. 이 때 접속 개스킷(143)은 고정 리브(141)에 대응하여 압축 및 복원될 수 있으며, 예컨대 탄성 스폰지(elasticity spong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접속 개스킷(143)은 표시 모듈(123)과 금속 연결부(135)의 전기적 접속을 지원한다. 이 때 접속 개스킷(143)은 도전성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 때 도 6에서 (a)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방사 특성을 나타내며,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사 특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에서 제 1 채널, 제 2 채널 및 제 3 채널은 각기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a)와 비교하여 (b)에서 보다 고르게 색이 분포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힌지 모듈(133)이 표시 모듈(123)을 통해 메인 모듈(113)에 접지되도록 구현됨에 따라, 방사 특성이 보다 개선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하기 <표 1>과 같이 TRP(Total Radiated Power) 및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가 대략 1.9 내지 2.74 dB 정도 개선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안테나(115)의 방사 특성이 보다 최적화된다.
구분 |
제 1 채널 | 제 2 채널 | 제 3 채널 | |
일반 |
TRP(dBm) | 23.52 | 25.66 | 25.09 |
TIS(dBm) | -100.07 | -100.80 | -101.32 | |
본 발명 |
TRP(dBm) | 25.42 | 27.40 | 27.26 |
TIS(dBm) | -102.52 | -103.54 | -104.05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힌지 모듈(133)이 폴더부(120)에 장착되어 메인부(110)에 체결되기 때문에, 힌지 모듈(133)과 메인 모듈(11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메인부(110)에 대응하여 힌지 장치(130)가 회전하더라도, 힌지 모듈(133)과 표시 모듈(123)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고, 표시 모듈(123)과 메인 모듈(113)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힌지 모듈(133)과 메인 모듈(113)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힌지 모듈(133)이 메인 모듈(113)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즉 메인 모듈(113)의 접지부에서 안테나(115)와 같은 소자들, 표시 모듈(123) 뿐만 아니라, 힌지 모듈(133)을 위한 공통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접지 성능이 확보되어, 휴대 단말기(100)에서 안테나(115)의 방사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 모듈을 구비하는 폴더부와,
상기 표시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접지시키는 메인 모듈을 구비하는 메인부와,
상기 폴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부에 대응하여 상기 폴더부를 개폐시키며, 상기 표시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메인 모듈에 의해 접지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내부 공간에 상기 표시 모듈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폴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을 연결하는 금속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폴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금속 연결부에 접촉하며, 상기 금속 연결부를 상기 힌지 모듈에 밀착시키는 접촉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금속 연결부가 벤딩되어 상기 접촉 리브와 상기 힌지 모듈에 각각 접촉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금속 연결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금속 연결부를 상기 힌지 모듈에 밀착시키는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폴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표시 모듈에 접촉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금속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금속 연결부를 상호 접착시키며,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금속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표시 모듈을 구비하는 폴더부와 상기 표시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접지시키는 메인 모듈을 구비하는 메인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폴더부와 상기 메인부를 연결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부에 대응하여 상기 폴더부를 개폐시키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이 상기 메인 모듈에 의해 접지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내부 공간에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금속 연결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폴더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금속 연결부에 접촉하며, 상기 금속 연결부를 상기 힌지 모듈에 밀착시키는 접촉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연결부가 벤딩되어 상기 접촉 리브와 상기 힌지 모듈에 각각 접촉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금속 연결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금속 연결부를 상기 힌지 모듈에 밀착시키는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표시 모듈에 접촉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고정시키는 고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금속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금속 연결부를 상호 접착시키며,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금속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956A KR20130063556A (ko) | 2011-12-07 | 2011-12-07 |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EP12193648.8A EP2602974B1 (en) | 2011-12-07 | 2012-11-21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hinge apparatus installed thereto |
US13/692,331 US20130157724A1 (en) | 2011-12-07 | 2012-12-03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hinge apparatus installed thereto |
CN201210525909XA CN103188357A (zh) | 2011-12-07 | 2012-12-07 | 折叠型移动终端以及安装于其中的铰链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956A KR20130063556A (ko) | 2011-12-07 | 2011-12-07 |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556A true KR20130063556A (ko) | 2013-06-17 |
Family
ID=4735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9956A Withdrawn KR20130063556A (ko) | 2011-12-07 | 2011-12-07 |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57724A1 (ko) |
EP (1) | EP2602974B1 (ko) |
KR (1) | KR20130063556A (ko) |
CN (1) | CN10318835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32868B (zh) * | 2019-05-31 | 2022-01-2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壳体、壳体组件和电子设备 |
US11375629B2 (en) * | 2019-09-26 | 2022-06-28 | Apple Inc. | Rotating frame lock for front crystal retention and sealing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0407B1 (ko) * | 2002-07-19 | 2004-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힌지 장치를 이용한 그라운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휴대용 무선 단말기 |
KR100539935B1 (ko) * | 2003-08-08 | 2005-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 연결장치 |
KR100678064B1 (ko) * | 2006-01-11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조이스틱 장치 |
WO2008050408A1 (fr) * | 2006-10-24 | 2008-05-02 | Panasonic Corporation | Dispositif électronique et téléphone mobile munis d'un dispositif d'affichage |
US7612725B2 (en) * | 2007-06-21 | 2009-11-03 | Apple Inc. |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conductive bezels |
TWI504224B (zh) * | 2010-04-29 | 2015-10-11 | Chiun Mai Comm Systems Inc | 無線通訊裝置 |
-
2011
- 2011-12-07 KR KR1020110129956A patent/KR20130063556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11-21 EP EP12193648.8A patent/EP260297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12-03 US US13/692,331 patent/US2013015772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2-07 CN CN201210525909XA patent/CN103188357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02974A1 (en) | 2013-06-12 |
EP2602974B1 (en) | 2014-05-14 |
US20130157724A1 (en) | 2013-06-20 |
CN103188357A (zh) | 2013-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728437B (zh) |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 |
KR100790685B1 (ko) |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 | |
US8750919B2 (en) | Mobile terminal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
US7082322B2 (en) | Portable radio terminal unit | |
US8330655B2 (en) | Connectors with embedded antennas | |
US20100279694A1 (en) |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 |
JP2002064601A (ja) | 移動電話装置及びその内蔵アンテナ | |
KR20020059913A (ko)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접지장치 | |
JP2021508964A (ja) | 通信デバイスおよび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方法 | |
EP2680376B1 (en) | Rotary usb interface device | |
KR101400853B1 (ko)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심카드 커넥터 장치 | |
KR100758633B1 (ko) |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CN102474538A (zh) | 便携式无线电装置 | |
KR20130063556A (ko) |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
KR20080100207A (ko) | 휴대 무선기 | |
JP2006093998A (ja) | 携帯通信機 | |
EP1349109A1 (en) | Card device for radio communication with antenna module | |
EP1646108B1 (en) | Antenna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8373993B2 (en) | Hinge assembly and porta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9136602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913658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100001042A (ko) | 폴더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접지 구조 | |
KR20060113814A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60109643A (ko) | 보조 안테나장치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 |
JP2007324955A (ja) |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