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190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3190A KR20130063190A KR1020110129580A KR20110129580A KR20130063190A KR 20130063190 A KR20130063190 A KR 20130063190A KR 1020110129580 A KR1020110129580 A KR 1020110129580A KR 20110129580 A KR20110129580 A KR 20110129580A KR 20130063190 A KR20130063190 A KR 20130063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job management
- execution history
- application
- i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시,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와 실행 히스토리를 동시에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관리 화면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작업 전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의 이동 및 전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터치스크린부
131 : 터치센서부
132 : 표시부
140 : 키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61 :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
Claims (12)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는 작업 관리 맵 구성 단계; 및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 후,
이동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한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이동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화면 표시 단계 후,
선택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상기 작업 관리 화면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선택한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과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로 작업 전환하여 전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히스토리를 표시하는 전환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이 모두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실행 화면, 썸네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후,
이동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한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이동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화면 표시 후,
선택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상기 작업 관리 화면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선택한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과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로 작업 전환하여 전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히스토리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시,
상기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이 모두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실행 화면, 썸네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580A KR20130063190A (ko) | 2011-12-06 | 2011-12-06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US13/705,785 US20130145301A1 (en) | 2011-12-06 | 2012-12-05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
CN2012105186883A CN103197826A (zh) | 2011-12-06 | 2012-12-06 | 显示具有触摸屏的移动装置的任务管理屏幕的方法和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580A KR20130063190A (ko) | 2011-12-06 | 2011-12-06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190A true KR20130063190A (ko) | 2013-06-14 |
Family
ID=4852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9580A Ceased KR20130063190A (ko) | 2011-12-06 | 2011-12-06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45301A1 (ko) |
KR (1) | KR20130063190A (ko) |
CN (1) | CN103197826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7630A (ko) * | 2014-01-22 | 2015-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24101642A1 (ko) * | 2022-11-09 | 2024-05-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딥링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5048115A1 (ko) * | 2023-08-29 | 2025-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저장 및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46743B2 (en) * | 2012-12-06 | 2015-06-02 | Kadir Koymen | Slider support member |
TWI616803B (zh) * | 2013-12-27 | 2018-03-01 | 宏碁股份有限公司 | 螢幕畫面的縮放及操作方法、裝置與電腦程式產品 |
US10073603B2 (en) * | 2014-03-07 | 2018-09-11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a communication event via a chronologically-ordered task history |
CN114116098B (zh) * | 2021-11-23 | 2024-03-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应用图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41628A1 (fr) * | 2006-09-29 | 2008-04-10 | Nec Corporation | Terminal mobile ayant une fonction multitâches et procédé d'affichage d'icônes de tâche |
KR100869950B1 (ko) * | 2006-12-01 | 2008-1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확장형 대기화면 배치 구조 및 표시 방법 |
KR101523979B1 (ko) * | 2008-10-02 | 2015-05-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
CN102844983B (zh) * | 2010-03-02 | 2015-07-15 |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 双载波放大器电路和方法 |
KR20110113844A (ko) * | 2010-04-12 | 2011-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N102184255A (zh) * | 2011-05-30 | 2011-09-14 | 昆山富泰科电脑有限公司 | 在便携式多功能设备上进行多网页浏览切换的方法与用户图形界面 |
US20130139113A1 (en) * | 2011-11-30 | 2013-05-30 | Microsoft Corporation | Quick action for performing frequent tasks on a mobile device |
-
2011
- 2011-12-06 KR KR1020110129580A patent/KR20130063190A/ko not_active Ceased
-
2012
- 2012-12-05 US US13/705,785 patent/US201301453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2-06 CN CN2012105186883A patent/CN103197826A/zh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7630A (ko) * | 2014-01-22 | 2015-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24101642A1 (ko) * | 2022-11-09 | 2024-05-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딥링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5048115A1 (ko) * | 2023-08-29 | 2025-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저장 및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197826A (zh) | 2013-07-10 |
US20130145301A1 (en) | 2013-06-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2927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 |
EP253057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tasking interface | |
KR102133410B1 (ko) |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JP5976632B2 (ja) |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 |
KR101663474B1 (ko) |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 |
KR102003742B1 (ko) | 휴대단말기의 스크린 관리 방법 및 장치 | |
US20130326421A1 (en) |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30063190A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20110041915A (ko) |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 |
KR20100134948A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 |
JP6002688B2 (ja) |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 |
JP2012505567A (ja) | 開いているウインドウのライブプレビュー | |
KR20130054073A (ko) |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052743A (ko) | 항목 선택 방법 | |
KR20080050077A (ko) | 휴대 단말기의 확장형 대기화면 배치 구조 및 표시 방법 | |
KR20140011072A (ko) | 다양한 제스처를 이용하여 키패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40035038A (ko) | 휴대단말기에서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20064756A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20140019530A (ko) |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20140106801A (ko) |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 |
US9092198B2 (en) |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 |
US20120218207A1 (en) |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 |
US957558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 |
KR20080010734A (ko) |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제어방법 | |
WO2014132882A1 (ja) | 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