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586A -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1586A KR20130061586A KR1020110127975A KR20110127975A KR20130061586A KR 20130061586 A KR20130061586 A KR 20130061586A KR 1020110127975 A KR1020110127975 A KR 1020110127975A KR 20110127975 A KR20110127975 A KR 20110127975A KR 20130061586 A KR20130061586 A KR 20130061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reference signal
- csi
- point
- up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3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108010076504 Protein Sorting Signal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group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50065984 Comp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50039363 SI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은 협력 다중 송수신점(Cooperative Multi Point: CoMP)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폐로(closed loop) MIMO(Multi Input Multi Output)을 사용하는 협력 다중점(Cooperative Multi Point: CoMP, 이하 ‘CoMP’라 함) 작동(operation)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통신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다중 셀(또는 송수신점) 협력이 소개되고 있다. 다중 셀(또는 송수신점) 협력은 CoMP(cooperative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라고도 한다.
CoMP에는 인접하는 셀(또는 송수신점)들이 협력하여 셀(또는 송수신점) 경계의 사용자에게 간섭을 완화하는 빔 회피 기법과 인접하는 셀들이 협력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조인트 전송(joint transmission) 기법 등이 있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이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Advanced와 같은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셀 경계에 위치하여 인접 셀로부터 심한 간섭을 받는 사용자들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주요 요구 사항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CoMP가 고려될 수가 있다. 이러한 CoMP에 관하여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한편, 기지국은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참조 신호를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은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참조 신호의 전송 상태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에 관한 측정을 수행하며,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기지국은 피드백된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하량링크 채널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CoMP 환경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하향링크로 참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CoMP 협력 집합을 구성하는 각 전송점 사이에서 참조 신호의 자원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관한 해결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CoMP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CoMP 시스템에서 다중 전송점으로부터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CoMP 시스템에서 다중 전송점으로부터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CoMP 시스템에서 다중 전송점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협력 다중 송수신점(Cooperative Multi Point: Co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할 수 있다.
(2) (1)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와 상기 참조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의 비율을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할 수 있다.
(3) (1)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의 안테나 포트를 그룹핑한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지시될 수 있다.
(4) (3)에 있어서, 동일한 전송점에 속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들에는 동일한 자원 요소당 에너지가 지시될 수 있다.
(5) (3)에 있어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서로 다른 셀 아이디를 가지는 전송점별로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하는 시퀀스를 지시할 수 있다.
(6) (1)에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7) (6)에서, 상기 비트맵 정보의 각 비트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안테나 포트에 대응하고, 상기 각 비트는 전송점이 변하는 경우에 특정한 비트값을 가질 수 있다.
(8) (6)에서, 상기 비트맵 정보의 각 비트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안테나 포트에 대응하고, 상기 각 비트의 비트값은 전송점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9)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협력 다중 송수신점(Cooperative Multi Point: Co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으로서,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향링크 물리 채널상으로 수신한 참조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경로 감쇄(pathloss)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별로 지시하고, 상기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각 전송점이 전송한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과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에서 전송점별로 지시된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각 전송점에 대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할 수 있다.
(10) (9)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각 전송점에 대하여 추정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기반으로 각 전송점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11) (9)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와 상기 참조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의 비율을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할 수 있다.
(12) (9)에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의 안테나 포트를 그룹핑한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지시할 수 있다.
(13) (12)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동일한 전송점에 속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들에 동일한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지시할 수 있다.
(1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참조 신호 전송 장치로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RF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할 수 있다.
(1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향링크 전송 장치로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RF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물리 채널상으로 수신한 각 전송점별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과 전송점별로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각 전송점에 대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하고, 상기 전송점별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은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한 설정 정보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oMP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oMP 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중 전송점으로부터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각 다중 전송점에 대한 경로 감쇄를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oMP 시스템에서 다중 전송점으로부터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참조 신호의 설정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정규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 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확장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 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전송점 비트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전송점 비트맵의 다른 예를 개략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CoMP 협력 집합의 전송점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이 속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정규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 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확장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 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전송점 비트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전송점 비트맵의 다른 예를 개략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CoMP 협력 집합의 전송점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이 속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네트워크에 링크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이트(site)라고 불릴 수 있다. 사이트(site)는 섹터라 부를 수 있는 다수의 영역들(15a, 15b, 15c)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섹터는 각기 서로 다른 셀 아이디를 가질 수가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 (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접속점(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eNodeB), 가내 기지국(Home eNodeB: HeNodeB), 릴레이(relay),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15a, 15b, 15c)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10)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변조 기법들은 통신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하여 통신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CoMP(Coordinated Multi Point) 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CoMP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또는 CoMP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말한다. CoMP는 다중 송수신점들(multi transmission/reception(Tx/Rx) points)에 의해 전송 또는 수신되는 신호들을 조정 또는 조합하는 기술이다. CoMP는 데이터 전송률(throughput)을 증가시키고 높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점은 요소 반송파, 또는 셀, 또는 기지국(매크로 셀, 피코 기지국(Pico eNodeB), 펨토 기지국(Femto eNodeB)등), 또는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중 어느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점은 안테나 포트(antenna port)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점은 안테나 포트들의 집합에 관한 정보를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signaling)으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셀 내에 다수의 전송점(Transmission Point: TP)들을 안테나 포트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포트들의 집합 간의 교집합은 언제나 공집합이다.
각 기지국 또는 셀들은 다중 송수신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송수신점들은 동종 네트워크(homogeneous)를 형성하는 매크로(Macro) 셀들일 수 있다. 또한, 다중 송수신점은 매크로 셀과 높은 전송파워를 갖는 RRH들일 수도 있다. 또한, 다중 송수신점은 매크로 셀과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RRH들일 수도 있다.
CoMP 시스템은 CoMP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oMP 시스템이 CoMP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CoMP 모드라 하고, 그렇지 않은 모드를 일반 모드(normal mode) 또는 비 CoMP 모드(non-CoMP mode)라 한다.
단말(12)은 CoMP 단말일 수 있다. CoMP 단말은 CoMP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CoMP 협력 집합(CoMP Cooperating Set)과 통신을 수행한다. CoMP 단말도 CoMP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CoMP 모드로 동작하거나,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CoMP 협력 집합은 CoMP 단말에 대하여 어떤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데이터 전송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송수신점들의 집합이다.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에 직접 참여한다는 것은 송수신점들이 해당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CoMP 단말로 전송하거나 CoMP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에 간접 참여한다는 것은 송수신점들이 해당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CoMP 단말로 전송하거나 CoMP 단말로부터 수신하지 않지만, 사용자 스케줄링/빔포밍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에 공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oMP 단말은 CoMP 협력 집합으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거나, CoMP 협력 집합으로 동시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oMP 시스템은 CoMP 협력 집합을 구성하는 각 셀의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CoMP 협력 집합 간에 간섭 영향을 최소화한다.
CoMP 시스템의 운용 시,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제1 CoMP 시나리오는 하나의 기지국 내에 다수의 셀들 간에 동종 네트워크(homogeneous)로 구성되는 CoMP로, 인트라-사이트(intra-site) CoMP라 불릴 수도 있다. 제2 CoMP 시나리오는 하나의 매크로 셀 및 하나 이상의 고-전력(High-Power) RRH에 대한 동종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CoMP이다. 제3 CoMP 시나리오 및 제4 CoMP 시나리오는 하나의 매크로 셀 및 매크로 셀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저-전력(low-power) RRH에 대한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로 구성되는 CoMP이다. 이 때, RRH들의 물리적 셀 ID가 매크로 셀의 물리적 셀 ID와 동일하지 않는 경우는 제3 CoMP 시나리오에 해당하며, 동일한 경우는 제4 CoMP 시나리오에 해당한다.
CoMP의 범위(category)에는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 JP, 이하 'JP'라 함)과 협력 스케줄링/빔포밍(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CS/CB, 이하 'CS/CB'라 함)이 있으며 JP와 CS/CB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JP의 경우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는 어떤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CoMP 협력 집합의 적어도 한 송수신점에서 이용 가능(available)하다. JP는 조인트 트랜스미션(Joint Transmission: JT, 이하 'JT' 라 함)과 동적 송수신점 선택(Dynamic Point Selection: DPS, 이하 'DPS'라 함)을 포함한다.
JT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한 단말 또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CoMP 협력 집합에 속하는 다중 송수신점들(multi-points)로부터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JT의 경우에 한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셀(다중 송수신점)들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한다.
DPS의 경우에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CoMP 협력 집합의 한 송수신점들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송수신점은 간섭을 고려하여 서브프레임마다 바뀔 수 있다. 전송되는 데이터는 복수의 송수신점들에서 동시에 이용 가능하다. DPS는 동적 셀 선택(Dynamic Cell Selection: DCS)를 포함한다.
CS의 경우에, 데이터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하여 CoMP 협력 집합 내의 한 송수신점들로부터 전송되는데, 사용자 스케줄링은 해당 CoMP 협력 집합의 송수신점들 사이에서 협력(coordination)에 의해 결정된다.
CB의 경우 역시, 해당 CoMP 협력 집합의 송수신점들 사이에서 협력에 의해 결정된다. CB(Coordinated Beamforming)에 의해 이웃 셀의 단말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상기 CS/CB는 송수신점을 반정적(semi-static)으로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는 SSPS(Semi-Static Point Sel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JP와 CS/CB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CoMP 협력 집합 내의 몇몇 송수신점들은 JP에 따라서 타겟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CoMP 협력 집합 내의 다른 송수신점들은 CS/CB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송수신점은 기지국, 셀 또는 RRH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또는 RRH가 송수신점이 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이 다중 송수신점들이 될 수도 있고, 복수의 RRH들이 다중 송수신점들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모든 기지국 또는 RRH의 동작은 다른 형태의 송수신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다중 안테나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이하 ‘MIMO’라 함) 시스템은 다중 송신 안테나와 다중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수신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 시킨다.
MIMO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는, 기지국이 N명의 사용자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한 번에 전송될 K개의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각 단말에 대한, 혹은 각 단말로부터 전송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가용 무선 자원으로 전송할 단말과 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피드백 된 정보로부터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코드율(code rate),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등을 선택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피드백 되는 정보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CCM(Channel Covariance Matrix), PW(Precoding Weight), CR(Channel Rank) 등의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CSI는 송수신기 사이의 채널 행렬(channel matrix), 채널의 상관 행렬(channel correlation matrix), 양자화된(quantized) 채널 행렬 또는 양자화된 채널 상관 행렬, PM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QI는 송수신기 사이에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신호 대 간섭/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또는 신호 대 간섭 비(Signal to Interference Ratio)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채널을 추정하여 채널 성능을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고 선택한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를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피드백된 PMI가 지시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코드북에서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에 따라 프리코딩 가중치를 사용하는 MIMO 방식을 CL(Closed-Loop) MIMO 방식이라 하고, 채널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한 규칙에 따라 프리코딩 가중치를 사용하는 MIMO 방식을 OL(Open-Loop) MIMO 방식이라 한다. CL MIMO 방식에서, 송신 측 예컨대 기지국은, 수신 측 예컨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활용하여 채널 상황에 대응한다. CSI는 PMI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 시스템 동기 획득, 채널 정보 피드백 등을 위하여 상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의 채널을 추정할 필요가 있는데, 급격한 환경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여 전송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을 채널 추정이라고 한다. 또한 단말이 속한 셀 혹은 다른 셀에 대한 채널 상태(channel state) 역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추정 또는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해서 송수신기가 상호 간에 알고 있는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게 된다.
수신기는 참조 신호의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신호의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 값을 보상해서 송신단에서 보낸 데이터를 정확히 얻어낼 수 있다. 송신기에서 보내는 참조 신호를 p, 참조 신호가 전송 중에 겪게 되는 채널 정보를 h,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열 잡음을 n,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y라 하면 y = h·p + n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참조 신호 p는 수신기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LS(Least Square) 방식을 이용할 경우 수학식 1과 같이 채널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참조 신호 p를 이용하여 추정한 채널 추정값 는 값에 의존하게 되므로, 정확한 h값의 추정을 위해서는 이 0에 수렴시킬 필요가 있다. 많은 개수의 참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일반적으로 시퀀스로 전송된다. 참조 신호 시퀀스는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의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 신호 시퀀스는 PSK(Phase Shift Keying) 기반의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시퀀스(PSK-based computer generated sequence)를 사용할 수 있다. PSK의 예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이 있다. 또는, 참조 신호 시퀀스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CAZAC 시퀀스의 예로는 ZC(Zadoff-Chu) 기반 시퀀스(ZC-based sequence), 순환 확장(cyclic extension)된 ZC 시퀀스(ZC sequence with cyclic extension), 절단(truncation) ZC 시퀀스(ZC sequence with truncation) 등이 있다. 또는, 참조 신호 시퀀스는 PN(pseudo-random)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PN 시퀀스의 예로는 m-시퀀스,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시퀀스, 골드(Gold) 시퀀스, 카사미(Kasami) 시퀀스 등이 있다. 또, 참조 신호 시퀀스는 순환 쉬프트된 시퀀스(cyclically shifted sequence)를 이용할 수 있다.
하향링크 참조 신호로는 셀 특정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S), MBSFN 참조 신호, 단말 특정 참조 신호(UE-specific RS),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S) 및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참조 신호(CSI-RS) 등이 있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한 안테나의 참조 신호에 사용된 자원 요소는 다른 안테나의 참조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다. 안테나 간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한 안테나당 한 참조 신호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하향링크 참조 신호 중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의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SI-RS는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에서 배치되며, CSI-RS를 이용한 채널 상태의 추정을 통해 필요한 경우에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 등이 채널 상태 정보로서 단말로부터 보고될 수 있다.
표 1은 CSI-RS의 설정 정보(CSI-RS-Config)를 정의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CSI-RS에 관한 설정 정보는 CSI-RS 설정을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요소로서, CSI-RS를 사용하는 각 단말에게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표 1>
표 1을 참조하면, CSI-RS 는 antennaPortsCount, subframeConfig, resourceConfig, p-c 등의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된다.
CSI-RS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될 수 있다. 표 1에서, antennaPortsCount는 CSI-RS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를 나타내며, an1은 안테나 포트 1개, an2는 안테나 포트 2개, an4는 안테나 포트 4개, an8은 안테나 포트 8개를 사용하는 것을 지시한다.
p-C는 단말이 CSI 피드백을 유도할 때 PDSCH 자원 요소당 에너지(EPRE) 대 CSI-RS 자원 요소당 에너지(EPRE)의 비율(ratio)을 지시한다. p-C는 [-8, 15] dB의 범위의 값을 가지며, 1 dB 크기 간격으로 증감한다. p-C-기지국은 송수신점이 기지국인 경우로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CSI-RS에 관한 p-C이다. p-C-RRH는 송수신점이 RRH인 경우로서, RRH에 의해 전송된 CSI-RS에 관한 p-C이다.
subframeConfig는 CSI-RS가 전송되는 타이밍을 지시한다. 예컨대, subframeConfig는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resourceConfig는 CSI-RS의 패턴을 지시한다. CSI-RS는 안테나 포트에 따라서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정규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 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CSI-RS의 매핑은 정규 CP에 대한 CSI 설정 0에 관한 예로서, Rp는 안테나 포트 P에서 CSI-RS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확장 CP의 경우에 CSI-RS가 자원 요소에 매핑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CSI-RS의 매핑은 확장 CP에 대한 CSI 설정 0에 관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I-RS는 전송되는 안테나 포트에 따라서 일정한 패턴으로 자원 요소에 매핑될 수 있다.
표 2는 PDSCH 설정 정보의 일 예이다. 표 2는 공용 또는 단말 특정한 PDSCH 설정을 각각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RRC 메시지, 예를 들어 SIB(system information block)2에 포함되는 정보를 PDSCH 설정 정보의 요소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표 2>
표 2의 경우에, PDSCH 설정 정보 요소는 PDSCH-ConfigCommon 필드와 PDSCH-ConfigDedicated 필드를 포함한다. p-a는 단말 특정한 파라미터이고, p-b는 셀 특정한 파라미터이다. referenceSignalPower는 하향링크 참조신호 전송 전력을 지시하고 dBm단위로 제공되며, 이로부터 하향링크 참조 신호의 자원요소당 에너지(Energy Per Resource Element: EPRE)가 유도될(derived)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참조신호 전송 전력은 동작 시스템 대역폭(operating system bandwidth)내의 CRS 또는 CSI-RS를 운반하는 모든 자원요소들의 전력 기여들(power contributions)에 대한 선형 평균(linear average)으로 정의된다. CoMP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모든 송수신점에 관한 EPRE들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된다.
표 3은 PDSCH 설정 정보의 다른 예이다. 표 3은 CoMP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과 RRH에 관한 EPRE들이 서로 달리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표 3>
표 3을 참조하면, PDSCH-ConfigCommon 필드에서 기지국(eNB)과 RRH가 서로 다른 자원요소당 에너지(EPRE) 값이 설정된다. 여기서 기지국(eNB)과 RRH 간의 EPRE값은 서로 다르나, RRH들 간에는 EPRE값이 모두 동일하다.
표 4는 PDSCH 설정 정보의 또 다른 예이다. 표 4는 각 송수신점에 대한 EPRE들이 서로 달리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표 4>
표 4를 참조하면, PDSCH-ConfigCommon 필드에서 기지국(eNB)과 RRH1, RRH2가 서로 다른 자원 요소당 에너지(EPRE) 값이 설정된다.
CoMP 시스템에서도 다수의 셀 또는 송수신점들이 참조 신호, 예컨대, CSI-RS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CoMP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는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특정 송수신점(예를 들어, 매크로 셀)과 함께 협력 집합을 이루고 있는 송수신점(예를 들어, RRH들)의 셀 ID가 서로 같은 경우의 CoMP 환경인, 제4 시나리오에서는 하나의 매크로 셀 내에서는 동일한 참조 신호 시퀀스가 참조 신호의 생성에 사용된다. 이는 매크로 셀과 동일한 협력 집합에 속하는 송수신점(예를 들어 RRH)들도 모두 동일한 참조 신호 시퀀스를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전송함을 의미한다.
도 4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PDSCH-ConfigCommon 필드에서 referenceSignalPower로부터 하향링크 참조 신호, 즉 CSI-RS의 자원 요소당 에너지(EPRE)를 유도하거나, 또는 p-C 값으로부터 CSI-RS의 자원 요소당 에너지(EPRE)를 유도하며,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계산한다(S410).
RSRP는 고려되는 측정 주파수 대역폭(considered measurement frequency bandwidth)내의 CSI-RS를 운반하는 모든 자원 요소들의 전력 기여들에 대한 선형 평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CSI-RS 대신 CRS를 이용하여 RSRP가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CRS는 안테나 포트 0 내지 3에 대해 정의되며, CSI-RS는 안테나 포트 15 내지 22에 대해 정의된다. 따라서 R15는 안테나 포트 15에 존재하는 CSI-RS를 의미한다(도 2 및 도 3 참조).
RSRP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단말은 물리 계층 수준에서의 필터링(filtering)에 의해 측정 샘플(measurement sample)들을 획득하고, 측정 샘플들을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상위 계층 레벨에서 필터링한다.
<수학식 2>
수학식 2에서, Mn은 가장 최근의 측정 샘플이고, Fn은 측정 보고에 의해 보고될 측정값이며, Fn-1은 이전의 측정보고에 의해 보고된 측정값이고, a는 1/2(k/4)로서 k는 필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 상수(filter coefficient)이다.
측정 샘플은 서브프레임 단위의 측정값으로서, RSRP 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변수이다. 또는, 측정 샘플은 단말이 수신한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값들 중 무선 시스템에서 정의한 측정 규칙에 의해 선택된 서브프레임 대한 측정값을 의미한다. 측정 샘플은 단말의 물리 계층에서 획득될 수 있고, 필터링은 단말의 상위계층,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측정 샘플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연속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단말의 용량이나 시스템에서 정의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에서 불연속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측정 샘플이 획득된 후 일정 시간의 이격 구간 이후에 또 다른 측정 샘플이 획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부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측정 샘플이 획득되지 않는다. 상기 이격 구간은 주기적(periodic)일 수도 있고, 비주기적(aperiodic)일 수도 있다.
한편, RSRQ는 수학식 3과 같이 RSRP와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간의 비율로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3>
여기서, N은 무선 접속망의 반송파 RSSI 측정 대역폭의 자원 요소들의 개수이다. 수학식 3에서 분자와 분모에 대한 측정은 동일한 자원 블록의 집합에 대해 수행된다. RSSI는 전체 수신 전력의 선형 평균치를 포함한다. 전체 수신 전력은 측정 대역폭내의 기준 심볼들을 포함하는 OFDM 심볼 내에서만 관측되며, N개의 자원 블록에 걸쳐서 얻어지는 값이다. 만일 단말이 상위 계층에서 RSRQ 측정을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RSRQ 측정이 지시된 서브프레임에서 RSSI 측정은 해당 서브프레임 내 모든 OFDM 심볼에 대하여 진행된다.
단말은 CSI-RS의 EPRE값과 RSRP로부터 송수신점과 단말 간의 경로 감쇄(pathloss: PL) 예상치를 계산한다(S415). 경로 감쇄 예상치는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4>
수학식 4를 참조하면, PLC는 단말이 계산하는 서빙셀 C에 대한 하향링크 경로 감쇄 예상치로서 dB 단위이다. referenceSignalPower는 상위 계층에서 제공되는 하향링크 참조 신호의 EPRE 값으로 dBm 단위이다. 참조 서빙 셀로 선택된 서빙 셀 C 그리고 PLC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referenceSignalPower와 RSRP 간의 링크(link) 결정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인 경로 감쇄 참조 링크 정보(pathlossReferenceLinking)에 의해 구성된다. 경로 감쇄 참조 링크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참조 서빙 셀은 주서빙 셀(Primary Serving cell: PCell) 또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uplink component carrier: UL CC)와 SIB2 연결 설정되어 있는(corresponding) 부서빙 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의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ownlink SCC)가 될 수 있다.
상기 제4 시나리오와 같이, CoMP 협력 집합에서 다수의 송수신점이 동일한 물리적 셀 ID를 이용하여 CRS를 전송하는 경우, RSRP 측정의 기준이 되는 CRS가 다수의 송수신점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단말은 CRS에 기반하여서는 각 송수신점별로 경로 감쇄 예상치를 구분할 수 없다. 그런데, 경로 감쇄 예상치의 정의상 각 송수신점마다 RSRP가 구분되어 측정되어야 한다. 특히 CoMP 모드에서는 DPS가 지원되기 때문에, 단말은 송수신점별로 경로 감쇄 예상치를 알아야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CoMP 시스템에서 송수신점1에서 경로 감쇄 예상치가 PL1이고, 송수신점2에서 경로 감쇄 예상치가 PL2이라 하자. CoMP 단말은 DPS에 기반하여 송수신점1과 송수신점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또는 둘 다에 대해 동적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L1과 PL2가 구분되지 않으면, 단말은 송수신점2에 대한 경로 감쇄 예상치를 PL1로 잘못 인식하고,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반면, 단계 S410 및 S415과 같이 CSI-RS를 RSRP 측정의 기준으로 삼으면, 각 송수신점별로 경로 감쇄 예상치가 구별되므로, 단말은 송수신점별로 정확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각 송수신점마다 서로 구분된 경로 감쇄 예상치를 도출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떤 경로 감쇄 예상치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도출할 지가 결정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단말은 DPS 동작에 따라 다중 송수신점들 중 하나의 송수신점을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타겟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상기 선택된 송수신점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계산한 경로 감쇄 예상치를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도출에 적용한다. 즉, 단말은 송수신점,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단말 스스로의 판단으로 상향링크 무선링크를 선택한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 감쇄 예상치를 계산하고 이를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도출에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최초 서빙셀로 설정한 송수신점에 대한 경로 감쇄 예상치를 DPS 동작에 따라 선택된 송수신점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도출하는데 사용한다. 이는 단말이 CoMP 모드에서 DPS 동작에 따라 하나의 송수신점을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타겟으로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PS 동작에 의해 선택한 송수신점의 경로 감쇄 예상치를 TPC 시그널링을 통해 조정한다. 상기 TPC 시그널링은 DCI 포멧 3/3A 신호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경로 감쇄 예상치로부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계산한다(S420). 상향링크 물리 채널에는 물리 상향링크 공용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과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있다.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전송하는 상향링크 물리 채널에 따라 달리 제어될 수 있다.
PUSCH의 경우, 상향링크 전송 전력 PPUSCH,C(i)는 적어도 하나의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안테나의 개수와 전송 방식에 따라 구성된 안테나의 개수로 조정(scale)된다. C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서빙 셀이고, i는 전력 PPUSCH,C(i)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의 번호이다. 그리고, 조정된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적어도 하나의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안테나에 대하여 동등하게 나누어져 할당된다.
PUSCH 전송 전력은 다시 임의의 서빙셀 C에 대하여 i) PUSCH와 PUC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경우와 ii) PUSCH와 PUCCH를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로 나뉜다.
i)의 경우,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수학식 5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PPUSCH,C(i)을 계산한다.
<수학식 5>
ii)의 경우,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PPUSCH,C(i)을 계산한다.
<수학식 6>
수학식 5와 수학식 6을 참조하면, PCMAX,C(i)는 서빙셀 C에 대하여 구성된 최대 단말 송출 전력으로서, 은 dB값을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다. 한편, 는 PPUCCH(i)를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다. MPUSCH,C(i)는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PUSCH가 할당된 자원의 대역폭을 자원 블록의 개수로 표현한 값이다.
P0_PUSCH,C(i)는 서빙셀 C에 대한 P0_NOMINAL_PUSCH,C(j)와 P0_UE_PUSCH,C(j)의 합이다. 예를 들어, 반지속적(semi-persistent) 그랜트 PUSCH (재)전송인 경우 j=0값을 갖는다. 반면에, 동적 스케줄링되는(dynamic scheduled) 그랜트 PUSCH (재)전송인 경우 j=1값을 갖는다. j=0 또는 1인 경우 상위 계층에 의해 시그널링된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 PUSCH (재)전송인 경우 j=2값을 갖는다. 또한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 PUSCH (재)전송인 경우 P0_UE_PUSCH,C(2)=0이고 P0_NOMINAL_PUSCH,C(2)=P0_PRE+ΔPREAMBLE_Msg3가 된다. 여기서 파라미터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P0_PRE)와 ΔPREAMBLE_Msg3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된다.
만일 j=0 또는 1인 경우, 상위 계층에서 제공되는 3 비트 파라미터에 의해 αC∈{0, 0.4, 0.5, 0.6, 0.7, 0.8, 0.9, 1} 값들 중에서 하나가 PPUCCH,C(i)를 결정하기 위한 αC로서 선택될 수 있다. j=2인 경우 항상 αC(j)=1이다.
ΔTF,C(i)는 ΔTF,C(i)=10log10((2BPRE·Ks-1)·βPUSCH offset)으로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여기서, KS는 각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 계층에서 deltaMCS-Enabled으로 제공되는 파라미터이다.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한 모드인 전송 모드 2인 경우 언제나 KS=0이다. UL-SCH 데이터 없이 PUSCH를 통해 제어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BPRE=OCQI/NRE이며, 상기 이외의 모든 경우에는 BPRE=이다. 여기서, C는 코드 블록의 개수이며, Kr은 코드 블록의 크기이다.
또한, OCQI는 CRC 비트 수를 포함한 CQI/PMI 비트 개수이며, NRE는 결정된 자원 요소들의 개수이다. 즉, NRE=Msc PUSCH-initial·Nsymb PUSCH-initial이다.
만일 PUSCH를 통해 UL-SCH 데이터 없이 제어 정보만 전송되는 경우 βPUSCH offset=βCQI offset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항상 1로 설정한다.
δPUSCH,C는 수정 값이다. 또한 서빙셀 C에 대한 DCI 포멧 0 또는 4 내에 존재하는 전송 전력 제어 명령(TPC command) 또는 다른 단말들과 공동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DCI 포맷 3/3A 내의 TPC 명령을 참조하여 결정된다. DCI 포맷 3/3A는 순환 반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패리티(parity) 비트들이 TPC-PUSCH-RNTI 로 스크램블링 되어 있어 상기 RNTI 값이 할당된 단말들만이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값은 임의의 단말이 다수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경우, 상기 각 서빙셀을 구분하기 위해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PC-PUSCH-RNTI값이 할당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점들을 구분하기 위해 각 송수신점마다 서로 다른 TPC-PUSCH-RNTI값이 할당될 수도 있다.
fc(i)는 현재 서빙셀 C에 대한 PUSCH 전력제어 조정 상태를 나타내며,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7>
수학식 7은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 계층에 의해 누적(accumulation)이 활성화된 경우 또는 TPC 명령이 임시(temporary) C(Cell)-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이 PDCCH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여기서, 는 서브프레임 #i-KPUSCH에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었었던 PDCCH 내의 DCI 포맷 0/4 또는 3/3A 내에 있는 TPC 명령이고, fc(0)는 누적 리셋 후 첫 번째 값이다. KPUSCH 값과 관련하여, FDD인 경우 KPUSCH는 4이고, TDD 설정이 1 내지 6인 경우 KPUSCH 값은 다음 표와 같다.
<표 5>
표 5를 참조하면, ‘-’표시된 부분은 DL 서브프레임이고, 숫자로 표시된 부분은 UL 서브프레임이다.
TDD 설정 #0인 경우, 만일 서브프레임 #2 또는 서브프레임 #7에서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PDCCH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DCCH 내의 DCI 포맷 0/4 내에 2비트 UL 인덱스의 LSB(Least Significant Bit)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는 7이다. 그 이외의 모든 경우의 KPUSCH 값은 상기 표 5와 같다. 상기 2 비트 UL 인덱스는 상기 표 5로 스케줄링할 수 없는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스케줄링해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단말은 DRX(discontinous reception) 동작 중인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이는, 단말의 C-RNTI에 대한 DCI 포맷 0/4 또는 SPS C-RNTI에 대한 DCI 포맷 0 및 단말의 TPC-PUSCH-RNTI에 대한 DCI 포맷 3/3A의 PDCCH를 포함한다.
만일 서빙셀 C에 대한 DCI 포맷 0/4 와 DCI 포맷 3/3A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수신된 경우, 단말은 DCI 포맷 0/4의 δPUSCH,C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δPUSCH,C는 0dB인 경우는 서빙셀 C에 대한 TPC 명령이 없거나 DRX 동작 중이거나 해당 서브프레임이 TDD의 UL 서브프레임인 경우이다. DCI 포맷 0/3/4 내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2,3 일 때, 누적된 δPUSCH,C dB 값은 각각 -1,0,1,3이다. 만약, DCI 포맷 0의 PDCCH가 SPS 활성화(activation) 또는 릴리즈(release) PDCCH로 승인되면, δPUSCH,C는 0 dB이다. DCI 포맷 3A 내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일 때, 누적된 δPUSCH,C dB 값은 각각 -1, 1이다.
만약, 단말이 서빙셀 C에 대하여 PCMAX,C에 다다르면, 긍정적인(positive)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단말이 최소 전력에 다다르면, 부정적인(negative)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서빙셀 C에 대하여 P0_UE_PUSCH,C 값이 상위 계층에 의해서 변경되거나, 주서빙셀에 대하여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누적을 리셋(reset)할 것이다.
수학식 7에 있어서,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 계층에 의해 누적(accumulation)이 비활성화된 경우 fc(i)는 수학식 8과 같다.
<수학식 8>
여기서, 는 서브프레임 #i-KPUSCH에서 서빙셀 C에 대한 PDCCH 내의 DCI 포맷 0/4을 통해 전송된다. KPUSCH 값은 FDD의 경우 4이고, TDD UL/DL 설정 #1 내지 #6에서 상기 표 2와 같이 주어진다.
TDD UL/DL 설정 #0에서, 서브프레임 #2 또는 서브프레임 #7의 PUSCH 전송이 스케줄링 되고, PDCCH 내의 DCI 포맷 0/4의 2비트 UL 인덱스의 LSB는 '1'로 설정된다면, KPUSCH는 7이다. 그 이외의 경우 KPUSCH는 상기 표 2와 같이 주어진다.
서빙셀 C에 대한 PDCCH 내의 DCI 포맷 0/4가 디코딩되지 않거나, DRX가 발생하거나, TDD에서 서브프레임 #i가 UL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fc(i)는 fc(i-1)과 같다.
P0_UE_PUSCH,C 값은 상위 계층에 의해서 변경되고 서빙셀 C가 주서빙셀인 경우, 또는 P0_UE_PUSCH,C 값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수신되고 서빙셀 C가 부서빙셀인 경우, fc(0)은 0이다. 그 밖의 경우, 서빙셀 C가 주서빙셀이라면 fc(0)=ΔPrampup+δmsg2 이고, 여기서, δmsg2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의해서 지시된 TPC 명령이다. 상기 TPC 명령은 RAR MAC CE를 포함한 PDSCH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PDCCH 내 DCI에 3 비트로 존재한다. 또한, ΔPrampup은 상위 계층에 의해서 제공되며, 최초의 프리앰블부터 마지막 프리앰블까지 총 전력 램프-업(ramp-up)에 대한 것이다.
단말은 계산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으로 PUSCH를 수신점으로 전송한다(S425).
단말은, 또한, CSI-RS 를 이용하여, 단순히 경로 감쇄를 보상하고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산출하는데 이용할 뿐만 아니라, CSI-RS를 기반으로 측정된 정보들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기지국으로 피드백 되는 정보(CSI 피드백)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CCM(Channel Covariance Matrix), PW(Precoding Weight), CR(Channel Rank) 등의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CSI는 송수신기 사이의 채널 행렬(channel matrix), 채널의 상관 행렬(channel correlation matrix), 양자화된(quantized) 채널 행렬 또는 양자화된 채널 상관 행렬, PM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QI는 송수신기 사이에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신호 대 간섭/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또는 신호 대 간섭 비(Signal to Interference Ratio)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채널을 추정하여 채널 성능을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고 선택한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를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피드백된 PMI가 지시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코드북에서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채널 상태에 따라 프리코딩 가중치를 사용하는 MIMO 방식을 CL(Closed-Loop) MIMO 방식이라 하고, 채널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한 규칙에 따라 프리코딩 가중치를 사용하는 MIMO 방식을 OL(Open-Loop) MIMO 방식이라 한다. CL MIMO 방식에서, 송신 측 예컨대 기지국은, 수신 측 예컨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활용하여 채널 상황에 대응한다. CSI는 PMI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CoMP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CSI 피드백을 위해서라도 다수의(multiple) 논-제로 전력(non-zero-power) CSI-RS 자원들이 RRC 메시지와 같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 표 1과 같은 설정을 그대로 이용하면, 각 송수신점으로부터의 전송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로 감쇄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정확하게 반영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서로 다른 송수신점에 대해서 동일한 CSI-RS 자원과 동일한 CSI-RS 설정이 사용됨으로써, 각 송수신점에 대하여 PDSCH EPRE와 CSI-RS EPRE의 비율이 상이한 상황이 반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CQI 피드백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CoMP 협력 집합 내의 각 송수신점에 대하여 CSI-RS EPRE값을 지시하는 필드 또는 p-C값을 지시하는 필드를 CSI-RS 설정에 추가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각 송수신점별로 서로 다른 CSI-RS EPRE를 지시함으로써, 각 송수신점에 대하여 실제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경로 감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어진 PDSCH EPRE에 대하여, 각 송수신점별로 서로 다른 CSI-RS EPRE가 지시됨으로써, 각 송수신점별로 서로 다른 p-c 값이 설정되게 된다.
또한, 각 송수신점별로 서로 다른 p-c를 지시할 수도 있다. 각 송수신점별로 p-c 값이 지시됨으로써, 실제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경로 감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주어진 PDSCH EPRE에 대하여, 각 송수신점별로 서로 다른 p-c가 지시됨으로써, 각 송수신점별로 서로 다른 CSI-RS EPRE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CoMP 협력 집합 내의 각 송수신점에 대하여 CSI-RS EPRE 값을 지시하는 필드와 p-c 값을 지시하는 필드를 CSI-RS 설정에 함께 추가할 수도 있다. 각 송수신점에 대한 CSI-RS EPRE와 p-c에 의해, 각 송수신점별로 서로 다른 경로 감쇄를 산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CSI-RS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전송점이 동일한 CSI-RS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전송점별로 CSI-RS EPRE를 지시하거나, p-c를 지시하거나, CSI-RS EPRE와 p-c를 함께 지시할 수 있다.
표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다수의(multiple) 전송점들이 하나의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6>
표 6과 같이, 하나의 CSI-RS 자원, 즉 하나의 CSI-RS 패턴을 다수의 전송점이 이용하는 경우에도, 각 전송점별 CSI-RS EPRE를 지시하는 필드를 CSI 설정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전송점별 p-c를 지시하는 필드를 CSI 설정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각 전송점별 CSI-RS EPRE를 지시하는 필드와 p-c를 지시하는 필드를 함께 CSI 설정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CSI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표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CSI-RS EPRE 필드와 p-c 필드를 포함하는 CSI 설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7>
표 7에서, 안테나 포트 개수를 지시하는 antennaPortCount, CSI-RS 자원을 지시하는 resourceConfig, CSI-RS 전송 타이밍을 지시하는 subframeConfig에 관해서는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표 7의 CSI 설정에 추가된 referenceSignalPower는 CSI-RS의 EPRE를 지시하는 필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CSI-RS EPRE를 지시한다. 또한, p-C 역시 CSI-RS EPRE에 대한 PDSCH EPRE의 비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포트에 대한 p-C를 지시한다.
CSI-RS EPRE에 대한 PDSCH EPRE가 각 RRH별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는 환경에서, 표 6과 같이 동일한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다수의 RRH를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p-c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전송점의 안테나 포크별로 서로 다른 p-c가 할당될 수 있다.
표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하나의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각 안테나 포트마다 p-c/EPRE를 지시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8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와 p-c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8>
표 8의 예는 안테나 포트 단위의 CSI-RS 설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안테나 포트별로 EPRE 값과 p-c 값이 CSI-RS 설정에 포함된다.
표 8의 예를 CSI-RS 설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면, 표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9는 표 8의 예를 다른 CSI-RS 파라미터와 함께 나타낸 CSI-RS 설정의 일 예이다.
<표 9>
표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하나의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 포트들의 각 그룹마다 p-c/EPRE를 지시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0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와 p-c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10>
표 10의 예는 2개의 안테나 포트 단위의 CSI-RS 설정을 설명하고 있다. 즉, 전체 안테나 포트들이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은 2개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EPRE와 p-c 값을 가진다. 예컨대, 안테나 포트 15와 16의 그룹에 대하여, EPRE1 및 p-c1이 설정되고, 안테나 포트 17과 18의 그룹에 대하여, EPRE2 및 p-c2가 설정되고, 안테나 포트 19와 20의 그룹에 대하여, EPRE3 및 p-c3이 설정되고, 안테나 포트 21과 22의 그룹에 대하여, EPRE4 및 p-c4가 설정된다. 서로 다른 두 그룹이 동일한 전송점에 속하는 경우에도, 두 그룹은 서로 다른 EPRE 및 p-c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4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지는 RRH에 대하여, 안테나 포트들을 두 개씩 두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에, 두 그룹은 서로 다른 EPRE와 p-c를 가질 수 있다.
표 8과 비교할 때, 표 10의 경우에는 4개의 EPRE 및 p-c 파라미터가 전송되므로, 전송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표 10의 예를 CSI-RS 설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면, 표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1은 표 10의 예를 다른 CSI-RS 파라미터와 함께 나타낸 CSI-RS 설정의 일 예이다.
<표 11>
전송 오버헤드를 더 줄이기 위해, CSI-RS 설정에서 EPRE 및 p-c 에 대한 기준값을 정하고, 기준값과의 차이값들을 전송해서 각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 및 p-c가 지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CSI-RS 설정에서 소정의 EPRE 및 p-c에 대한 기준값을 별도로 정하고, 이 기준값에 대한 차이값을 각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CSI-RS 설정에서 한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을 기준 안테나 포트 혹은 기준 안테나 포트 그룹으로 설정하고, 기준 안테나 포트 혹은 기준 안테나 포트 그룹의 EPRE 및 p-c와의 차이값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기준 안테나 포트 또는 기준 안테나 포트 그룹의 EPRE 및 p-c는 본래의 값이 그대로 전송될 수 있다. 혹은 기준 안테나 포트 또는 기준 안테나 포트 그룹의 EPRE 및 p-c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기준 안테나 포트 또는 기준 안테나 포트 그룹의 EPRE 및 p-c와 기준값의 차로서 0의 값을 지시할 수도 있다.
표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하나의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 포트들의 각 그룹마다 p-c/EPRE를 지시하는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2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와 p-c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12>
표 12에서는, CoMP 협력 그룹의 전송점들을 2개씩 그룹으로 나눈 경우를 예로서 들고 있다. 표 12를 참조하면, 안테나 포트 15 및 16을 포함하는 첫 번째 그룹을 기준 그룹으로 하고, 첫 번째 그룹에 대한 EPRE와 p-c는 원래의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한다.
이때, 다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는 첫 번째 그룹에 대한 EPRE와의 차이값(ΔEPRE)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를 EPRE 1이라고 하고, 두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를 EPRE 2라고 하면, 두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하여 지시되는 EPRE의 차이값 ΔEPRE12는 EPRE2 - EPRE1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p-c는 첫 번째 그룹에 대한 p-c와의 차이값(Δp-c)을 전송한다. 예컨대, 첫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p-c를 p-c1이라고 하고, 두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p-c를 p-c2라고 하면, 두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하여 지시되는 p-c의 차이값 Δp-c12는 p-c2 - p-c1이 될 수 있다.
표 12의 예에서는, 안테나 포트 그룹이 2개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각 안테나 포트에 대하여 EPRE 및 p-c를 설정하는 경우와 안테나 포트 그룹이 3개 이상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기준값에 대한 차이값을 전송하는 방법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 12의 예에서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을 기준으로 하여 차이값을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두 번째 이후의 안테나 포트 그룹 혹은 안테나 포트를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다. 또한,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 및 p-c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별도의 기준 EPRE 및 p-c를 설정하여, 모든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하여 기준 EPRE 및 p-c에 대한 차이값이 지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기지국은 CoMP 협력 집합의 얼마나 많은 전송점이 동일한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나타내는 비트맵(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송점 비트맵’이라 함)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점 비트맵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점 비트맵은 CSI-RS 설정이 전송되는 RRC 메시지에 추가되어 전송될 수 있다.
표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하나의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 포트별로 p-c/EPRE를 지시하는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3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와 p-c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13>
표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하나의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 포트들의 각 그룹별로 p-c/EPRE를 지시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4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와 p-c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14>
표 13과 표 14의 예에서, 안테나 포트 15 내지 18은 RRH1에 속하며, 안테나 포트 19와 20은 RRH2에 속하고, 안테나 포트 21과 22는 RRH3에 속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CSI-RS 자원을 이용하는 전송점(RRH)와 안테나 포트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지국은 전송점 비트맵을 이용하여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점 비트맵은 CSI-RS 설정이 전송되는 RRC 메시지에 추가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전송점 비트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예에서는, 표 13 또는 표 14의 설정을 반영한 전송점 비트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예에서 전송점 비트맵(510)의 각 비트는 안테나 포트에 대응한다. 전송점 비트맵(510)에서 0의 값을 가지는 비트는 전송점의 변경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며, 1의 값을 가지는 비트는 전송점의 변경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 및 표 13/표 14를 참조할 때, 전송점 비트맵(510)은 첫 비트(안테나 포트 15)에서 1의 값을 가짐으로써, 전송점이 RRH1으로 시작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후 안테나 포트 18까지 전송점의 변경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전송점 비트맵(510)은 안테나 포트 19와 안테나 포트 21에서 전송점이 각각 RRH2와 RRH3으로 변경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전송점 비트맵의 다른 예를 개략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예에서도, 표 13 또는 표 14의 설정을 반영한 전송점 비트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예에서도 전송점 비트맵(610)의 각 비트는 안테나 포트에 대응한다. 도 5의전송점 비트맵과 달리 도 6의 전송점 비트맵(610)에서는 전송점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이전의 비트를 유지하고, 전송점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이전의 비트와 다른 비트값을 가진다. 즉, 비트값이 0에서 1로 변하는 경우 혹은 비트값이 1에서 0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전송점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 및 표 13/표 14를 참조할 때, 전송점 비트맵(610)은 처음 4 개의 안테나 포트(안테나 포트 15 ~ 18)이 동일한 전송점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후 연속된 2개씩의 안테나 포트가 동일한 전송점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트맵을 통하여, 기지국은 전송이 수행되는 상황(situation)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CoMP 시나리오 중 제4 CoMP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CoMP 협력 집합 내의 전송점(예컨대, RRH)들의 물리적 셀 ID가 서로 동일하다. 반면에, 제 1 내지 제3 CoMP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CoMP 협력 집합 내의 전송점들의 물리적 셀 ID가 상이하다. 물리적 셀 ID가 상이한 전송점들은 서로 다른 패턴의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수학식 9>
여기서, nS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내의 슬롯 개수이며, l은 슬롯 내의 OFDM 심볼 개수이다. 또한, 는 하향링크 자원 블록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9에서 c(i)는 스크램블링 코드로서, 길이 31(length-31) 골드 시퀀스에 의해 정의되는 가상(pseudo) 랜덤 시퀀스이며, 각 OFDM 심볼의 시작(start)에서 수학식 10과 같이 초기화 된다.
<수학식 10>
수학식 10에서, NCP는 노멀(normal) CP(Cyclic Prefix)의 경우에 1의 값을 가지며, 확장 CP의 경우에는 0의 값을 갖는다. 또한, Ncell ID는 물리 계층에서의 셀 ID(physical layer cell ID)를 나타낸다.
수학식 9와 수학식 10을 참조하면, 상이한 셀 ID를 갖는 전송점들은 상이한 cinit를 가진다. 따라서, 상이한 셀 ID를 갖는 전송점들이 전송하는 CSI-RS의 참조 신호 시퀀스가 상이하게 됨으로써, CSI-RS의 패턴이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상이한 셀 ID를 가지는 전송점들이 서로 다른 CSI-RS 자원을 이용하여 CSI-RS 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1 내지 제3 CoMP 시나리오가 적용되는 경우에, 각 전송점의 cinit 값을 단말에 알려줄 수도 있다. 이때, cinit 값은 CSI-RS 설정 내에서 하나의 필드값으로 추가되어, 각 안테나 포트 혹은 전송점(예컨대, RRH)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표 1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셀 ID를 가지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 포트별로 p-c/EPRE와 cinit를 지시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5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 p-c에 대한 필드 및 cinit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15>
표 15의 예를 CSI-RS 설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면, 표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6은 표 15의 예를 다른 CSI-RS 파라미터와 함께 나타낸 CSI-RS 설정의 일 예이다.
<표 16>
표 1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셀 ID를 가지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 포트들의 각 그룹별로 p-c/EPRE와 cinit를 지시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7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 p-c에 대한 필드 및 cinit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17>
표 17의 예에서는, CoMP 협력 그룹의 전송점들을 2개씩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EPRE, p-c, cinit가 지시되고 있다.
표 1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oMP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셀 ID를 가지는 다수의 전송점을 서포트하기 위해, CSI-RS를 전송하는 안테나 포트들의 각 그룹별로 p-c/EPRE와 cinit를 지시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18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RS 설정에 추가된 두 필드, EPRE에 대한 필드, p-c에 대한 필드 및 cinit에 대한 필드만을 고려한다.
<표 18>
표 18의 예에서는 안테나 포트 15 및 16을 포함하는 첫 번째 그룹을 기준 그룹으로 하여, 첫 번째 그룹에 대해서는 EPRE와 p-c의 값을 그대로 지시하며, 다른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 및 p-c는 첫 번째 그룹에 대한 EPRE 및 p-c와의 차이값(ΔEPRE, Δp-c)을 전송한다.
EPRE와 p-c의 전송하기 위해, 차이값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cinit의 값은 표 18의 예와 같이, 각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하여 원래의 값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표 18의 예와 달리, 다른 파라미터(EPRE, p-c)와 같이 cinit 역시 기준 그룹(표 15의 예에서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 그룹) 이외의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cinit 값은 기준 그룹의 cinit에 대한 차이값이 지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CoMP 협력 집합의 전송점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CoMP가 적용되는 환경에서 CSI-RS를 설정하고, 이를 단말에 전송한다(S710). 기지국은 CSI-RS 설정을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CSI-RS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antennaPortsCount, subframeConfig, resourceConfig 외에도 각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p-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SI-RS 설정은 제1 CoMP 시나리오 내지 제3 CoMP 시나리오가 적용되는 경우에, 각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cinit을 지시할 수도 있다. CSI-RS 설정은 해당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EPRE/p-c를 기준값에 대한 차이값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아울러, 기지국은 CSI-RS 전송 상황(예컨대, 전송에 참여한 RRH들)을 비트맵을 통하여 단말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SI-RS 설정 및 CSI-RS 설정의 전송 방법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기지국은 안테나 포트 그룹을 선택한다(S720). 기지국은 CoMP 협력 집합의 전송점들에 속하는 안테나 포트들 중에서 CSI-RS 전송에 참여할 안테나 포트 그룹을 선택한다. 안테나 포트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안테나 포트 그룹이 몇 개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지 또는 안테나 포트 그룹이 어떤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지는 CSI-RS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 그룹이 동일한 RRH에 속할 수도 있다. 예컨대, RRH1이 안테나 포트 15 내지 18을 포함하는 경우에, 안테나 포트 그룹 1은 안테나 포트 15 및 16을 포함하고, 안테나 포트 그룹 2는 안테나 포트 17 및 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각 전송점은 자신의 안테나 포트들이 어떤 안테나 포트 그룹에 속하는지를 확인한다(S730). RRH들 사이에서 스케줄링은, 상술한 바와 같이 CoMP 협력 집합의 송수신점(RRH)들 사이에서 협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설정된 CSI-RS 설정의 내용은 기지국과 RRH 사이의 유무선 연결을 통해 RRH에 전달될 수 있다.
각 전송점은 각 안테나 포트가 속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CSI-RS 설정에 따라서 CSI-RS를 전송한다(S740).
도 8은 본 발명이 속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CSI-RS 설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810). CSI-RS 설정은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PDSCH 설정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CSI-RS 설정은 하향링크 전송에 참여하는 안테나 포트들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EPRE와 p-c의 값을 지시하고 있다.
CSI-RS 설정 정보와 PDSCH 설정 정보에 관한 내용은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다.
단말은 이어서, CoMP 협력 집합의 각 전송점으로부터 하향링크 물리 채널을 통한 정보를 수신한다(S820). 하향링크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CSI-RS를 포함한다.
단말은 수신한 CSI-RS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하고 PMI와 같이 CSI를 구성하는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830). 단말은 수신한 CSI-RS와 CSI-RS 설정의 설정값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할 수 있다. 단말이 경로 감쇄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CSI 피드백에 포함시킬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 역시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단말은 산출한 경로 감쇄를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S840). 경로 감쇄를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수학식 5와 수학식 6의 예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앞서 제어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S850). 이때, 단말은 CSI-RS를 기반으로 산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CSI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있다. CSI는 각 전송점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PM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하나의 과정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제1 동작이라고 하고 CSI 피드백 정보를 구성하는 동작을 제2 동작이라고 할 때,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조합한 단말 동작의 각 단계를 상정하고 이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동작의 각 단계와 제2 동작의 각 단계는 도 8과는 상이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에 있어서, CSI-RS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하는 동작과 CSI 피드백 정보의 구성하는 동작을 나누어 생각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단말의 동작을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와 CSI 정보 구성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SI-RS 설정을 수신한다(S910).
단말은 이어서 각 전송점으로부터 물리 채널상으로 수신한 CSI-RS를 기반으로 RSRP를 측정할 수 있다(S920). RSRP는 고려되는 측정 주파수 대역폭(considered measurement frequency bandwidth)내의 CSI-RS를 운반하는 모든 자원 요소들의 전력 기여들에 대한 선형 평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산출한 RSRP를 기반으로 수학식 3과 같이 RSRQ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은 RSRQ를 기반으로 경로 감쇄를 추정할 수 있다(S930). 경로 감쇄를 구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수학식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단말은 산출한 경로 감쇄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S940).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단말은 각 전송점으로부터 물리 채널상으로 수신한 CSI-RS를 기반으로 CSI를 생성한다(S950). CSI는 송수신기 사이의 채널 행렬(channel matrix), 채널의 상관 행렬(channel correlation matrix), 양자화된(quantized) 채널 행렬 또는 양자화된 채널 상관 행렬, PM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QI는 송수신기 사이에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신호 대 간섭/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또는 신호 대 간섭 비(Signal to Interference Ratio)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채널을 추정하여 채널 성능을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고 선택한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PMI를 보고할 수 있다. 이때, 프리코딩 행렬은 CSI-RS 전송에 참여한 CoMP 협력 집합 내 각 전송점으로부터의 채널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단말은 CSI-RS를 기반으로 산출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S960). 상향링크 전송은 CSI-RS를 기반으로 구성된 CSI 피드백 정보의 전송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1000)은 RF부(1010), 메모리(1020) 및 프로세서(1030)을 포함한다.
기지국(1000)은 RF부(1010)을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RF부(1010)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MIMO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1000)은 RF부(1010)를 통해서 CoMP 협력 집합을 구성하는 송수신점(예컨대, RRH)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0)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CoMP 협력 집합을 구성하는 송수신점과 연결될 수도 있다.
메모리(1020)는 기지국(1000)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혹은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020)는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가령, CSI-RS 설정과 같은 참조 신호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PDSCH 설정과 같이 물리 채널 전송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20)는 MIMO 시스템 운용을 위한 코드북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기능, 처리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예컨대, 프로세서(1030)는 기지국(10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CoMP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030)는 RF부(1010) 및 메모리(1020)과 연결되어 RF부(1010) 및 메모리(10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설정부(1040), 스케줄링부(1050), 제어부(106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1040)는 네트워크 운용과 상향/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부(1040)는 CSI-RS와 같은 참조 신호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040)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의 전송을 위한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설정부(1040)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들은 셀 특정하게 혹은 단말 특정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부(1040)에 의해 설정된 CSI-RS 설정은 셀 특정하게 적용되며, 셀 내의 각 RRH들은 CSI-RS 설정에 따라서 CSI-RS를 전송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정부(1040)에서 수행하는 CSI-RS 설정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스케줄링부(1050)는 상향/하향링크의 스케줄링 및/또는 CoMP 시스템의 CS(협력 스케줄링)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60)는 연계된 다른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100)은 RF부(1110), 메모리(1120) 및 프로세서(1130)을 포함한다.
단말(1100)은 RF부(1110)을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RF부(1110)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MIMO 동작과 CoMP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1100)은 RF부(1110)를 통해서 CoMP 협력 집합을 구성하는 송수신점(예컨대, RRH)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송수신점들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단말(1000)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020)는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가령, CSI-RS 설정과 같은 참조 신호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PDSCH 설정과 같이 물리 채널 전송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설정에 관한 정보들은 RRC 메시지 등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11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기능, 처리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예컨대, 프로세서(1130)은 RF부(1110) 및 메모리(1120)과 연결되어, RF부(1110) 및 메모리(1120)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30)은 경로 감쇄 산출부(1140), 상향링크 전력 제어부(1150), CSI 구성부(1160), 제어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감쇄 산출부(1140)는 수신한 CSI-RS를 이용하여 산출한 RSRP와 EPRE를 통해 경로 감쇄를 추정한다. 상향링크 전력 제어부(1150)는 경로 감쇄 산출부(1140)가 산출한 경로 감쇄를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CSI 구성부(1160)는 수신한 CSI-RS를 기반으로 기지국에 피드백 신호로 전송할 CSI 정보를 구성한다. CSI 정보는 PMI와 같은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연계된 다른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은 CoMP 협력 집합에서 CSI-RS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들의 안테나 포트를 안테나 포트 그룹으로 나누고, 각 안테나 포트별로 EPRE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은, 각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설정된 EPRE를 이용하여 각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한 경로 감쇄를 추정할 수 있다. EPRE는 각 안테나 포트별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안테나 포트 그룹이 하나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단말은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추정된 경로 감쇄를 이용하여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일한 송수신점에 속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에 대해서는 동일한 전송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표 8 내지 표 18의 예에서는 CSI-RS 설정으로서 안테나 포트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별 EPRE와 함께 p-c가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를 위해 p-c가 EPRE와 함께 설정될 필요는 없다. 표 6의 설명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CSI-RS에서 각 안테나 포트별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는 EPRE들만 설정될 수도 있고, EPRE들과 p-c들이 함께 설정될 수도 있다.
CSI-RS 설정이 각 안테나 포트별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별 p-c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단말은 설정된 안테나 포트별 혹은 안테나 포트 그룹별 EPRE와 p-c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물리 채널(예컨대, PDSCH)의 전송 전력(EPRE)를 산출할 수 있다. 단말은 산출한 하향링크 물리 채널(예컨대, PDSCH)의 전송 전력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물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전력의 제어는 소정의 전력 범위에서 소정의 정해지 스텝 사이즈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산출한 PDSCH의 전송 전력을 PDSCH의 수신 전력과 함께 고려하여, [-8, 15] dB의 범위에서 1dB의 스텝 단위로 상향링크 물리 채널의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 순서도의 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 협력 다중 송수신점(Cooperative Multi Point: CoMP)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와 상기 참조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의 비율을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의 안테나 포트를 그룹핑한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동일한 전송점에 속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들에는 동일한 자원 요소당 에너지가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서로 다른 셀 아이디를 가지는 전송점별로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하는 시퀀스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정보의 각 비트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안테나 포트에 대응하고, 상기 각 비트는 전송점이 변하는 경우에 특정한 비트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정보의 각 비트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안테나 포트에 대응하고, 상기 각 비트의 비트값은 전송점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방법.
- 협력 다중 송수신점(Cooperative Multi Point: CoMP)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향링크 물리 채널상으로 수신한 참조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경로 감쇄(pathloss)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반영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별로 지시하며,
상기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각 전송점이 전송한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과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에서 전송점별로 지시된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각 전송점에 대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각 전송점에 대하여 추정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기반으로 각 전송점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와 상기 참조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의 비율을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전송점의 안테나 포트를 그룹핑한 안테나 포트 그룹별로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동일한 전송점에 속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들에 동일한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방법.
- 정보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RF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 요소당 에너지를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에 참여하는 각 전송점별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 전송 장치. - 정보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RF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물리 채널상으로 수신한 각 전송점별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과 전송점별로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각 전송점에 대한 상향링크 경로 감쇄를 추정하고,
상기 전송점별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은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한 설정 정보를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975A KR20130061586A (ko) | 2011-12-01 | 2011-12-01 |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
PCT/KR2012/010158 WO2013081368A1 (en) | 2011-12-01 | 2012-11-28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and uplink transmi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975A KR20130061586A (ko) | 2011-12-01 | 2011-12-01 |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1586A true KR20130061586A (ko) | 2013-06-11 |
Family
ID=4853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7975A Withdrawn KR20130061586A (ko) | 2011-12-01 | 2011-12-01 |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61586A (ko) |
WO (1) | WO2013081368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6913A (ko) * | 2013-08-05 | 2015-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그룹핑을 통한 레퍼런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20150099117A (ko) * | 2014-02-21 | 2015-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채널 관련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US20180014254A1 (en) * | 2016-07-05 | 2018-01-1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up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48230B (zh) | 2011-01-07 | 2016-09-01 | 內數位專利控股公司 | 傳遞多傳輸點頻道狀態資訊(csi)的方法及裝置 |
KR20210053355A (ko) | 2011-08-12 | 2021-05-11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간섭 측정 |
KR101647007B1 (ko) * | 2012-06-04 | 2016-08-10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다중 전송 포인트의 통신 채널 상태 정보(csi) |
TW201509144A (zh) | 2013-05-08 | 2015-03-01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 在長期進化(lte)系統中網路輔助干擾取消及/或抑制(naics)方法、系統及裝置 |
CN104704872B (zh) | 2013-06-19 | 2019-06-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通信质量测量的方法和装置 |
JP6456287B2 (ja) * | 2013-07-12 | 2019-01-23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
KR102258289B1 (ko) | 2014-05-22 | 2021-05-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차원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피드백의 생성 및 전송 방법 및 장치 |
CN106576343B (zh) | 2014-07-28 | 2020-02-28 | Lg 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无线信号的方法及其设备 |
US11445493B2 (en) | 2014-07-31 | 2022-09-1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0945214B2 (en) * | 2017-08-18 | 2021-03-09 | Qualcomm Incorporated | Uplink power control |
KR102381602B1 (ko) | 2018-01-12 | 2022-04-01 |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파워 제어를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US12047987B2 (en) * | 2020-02-14 | 2024-07-23 | Qualcomm Incorporated | Energy per resource element ratio for non-zero powe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563B1 (ko) * | 2008-09-24 | 2015-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셀 협력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
US8379583B2 (en) * | 2009-01-30 | 2013-02-19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legacy long term evolution user equipment with advanced long term evolution user equipment |
US8472539B2 (en) * | 2009-04-07 | 2013-06-2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20051319A1 (en) * | 2009-05-19 | 2012-03-01 | Yeong Hyeon Kwo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
-
2011
- 2011-12-01 KR KR1020110127975A patent/KR20130061586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11-28 WO PCT/KR2012/010158 patent/WO201308136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6913A (ko) * | 2013-08-05 | 2015-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그룹핑을 통한 레퍼런스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20150099117A (ko) * | 2014-02-21 | 2015-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채널 관련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US20180014254A1 (en) * | 2016-07-05 | 2018-01-1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up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US10499342B2 (en) * | 2016-07-05 | 2019-12-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up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81368A1 (en) | 2013-06-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2477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 |
KR20130061586A (ko) |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 |
US10313984B2 (en) |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US10477487B2 (en) |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apparatus which can set appropriate uplink transmission power | |
CN109151969B (zh) | 发送功率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 | |
JP6073073B2 (ja) |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 |
AU2012327574B2 (en) | Method, user equipment, and access point for uplink power control | |
WO2013168793A1 (ja) | 端末、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
KR20130018051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CN103312484B (zh) | 探测参考信号发射功率的控制方法、用户设备和基站 | |
US9344972B2 (en) | Uplink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 |
TWI463896B (zh) |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for power control of uplink control channel | |
WO2014022773A1 (en) | Uplink signaling for cooperative multipoint communication | |
EP2709409B1 (en) |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nd user equipment | |
KR20130040459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전송 방법 및 장치 | |
EP2789198A1 (en) |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uplink transmissions with coordinated reception | |
JP2013236288A (ja) | 端末、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
KR20120121299A (ko) |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 |
JP2013197783A (ja) | 基地局、端末、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
KR20130050267A (ko) | 협력형 다중 포인트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송수신 포인트의 상향링크 통신방법, 그 송수신 포인트, 그 단말 | |
KR2013003638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JP2013187818A (ja) | 基地局、端末、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
CN103024884B (zh) | 上行信号功率控制方法及装置 | |
KR20150052512A (ko) | 스몰 셀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리포팅 방법 및 장치 | |
CN103024884A (zh) | 上行信号功率控制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