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618A - 피부 굴곡에 따른 도포력이 우수한 마스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굴곡에 따른 도포력이 우수한 마스크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0618A KR20130060618A KR1020110126767A KR20110126767A KR20130060618A KR 20130060618 A KR20130060618 A KR 20130060618A KR 1020110126767 A KR1020110126767 A KR 1020110126767A KR 20110126767 A KR20110126767 A KR 20110126767A KR 20130060618 A KR20130060618 A KR 201300606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mask composition
- composition
- oil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5—Involves in-situ formation or cross-linking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부와 유상부로 이루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마스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 조성물은 피부 도포시 얇은 필름 상을 형성하여 피부의 굴곡에 따라 도포되며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향상되며, 수분 손실 없이 마스크 조성물 내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마스크 조성물은 피부 도포시 얇은 필름 상을 형성하여 피부의 굴곡에 따라 도포되며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향상되며, 수분 손실 없이 마스크 조성물 내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도포시 얇은 필름 상을 형성하여 피부의 굴곡에 따라 도포되며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향상되며, 수분 손실 없이 마스크 조성물 내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는데,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준다.
그 중에서도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함으로써,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J. Invest , Dermatol. 80(Suppl.), 44-49. 1983).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J. Invest . Dermato. 54, 24-31, 1970).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력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 보습에 관한 문제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라 함은 피부 또는 모발을 청결 또는 미화하거나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도찰, 살포,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사용되는 것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다는 점에 의해 약품과 구분되는 것을 말한다.
인체의 피부는 여러 가지 요인들 즉, 개인별, 부위별, 계절별, 나이별 등에 따라 그 상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화장료 역시 그 사용 목적에 맞는 제품들 즉, 세정제, 화장수, 유화액, 크림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화장료 제품들 중 메이크업을 위한 것이 아닌, 영양공급, 미백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화장료 군 역시 스킨로션, 유화로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팩, 마스크 등으로 다양하게 세분된다.
이중, 집중적 보습효과와 활성 성분의 피부 미용 및 영양공급 효과 등 무수히 많은 효과를 한꺼번에 가지고 있는 화장료로서 마스크 제품을 들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높아진 경제적 여유와 이에 따른 미용에의 관심 증가로 인해, 증가된 효과의 제품의 제품에 대한 화장료 조성물 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마스크 제품들은 크게 페이스트(paste) 타입과 시트(sheet) 타입으로 나뉘어져 있다.
페이스트 타입은, 팩제를 피부 위에 도포하고 이것이 건조되면서 피부 위에 필름막을 형성하면 떼어내는 타입으로, 이때 필름 형성제로 폴리비닐알코올을 주기제로 사용한다. 페이스트 타입의 경우 피부에 형성된 필름이 유연하고 쉽게 끊어지지 않아 제거가 용이하나 필름이 한번에 제거가 안 되고 부서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트 타입은 부직포와 같은 지지체 상에 유효 성분이 있는 미용액을 침지시키는 타입으로, 미용액의 양이 많으면 미용액이 얼굴 밑으로 흘러내리고 미용액의 양이 적으면 피부 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시트 타입의 경우 피부 굴곡 부위에 효과적으로 밀착이 어려워 유효 성분의 침투가 골고루 이뤄지지 않는다.
이에 특허공개 제2007-0014485호는 견 피브로인 수용액에 셀룰로오스, 한천 및 알긴산을 혼합하여 성형시켜 하이드로겔 형태의 마스크 팩을 제시하여, 상기 마스크 팩에 의해 보습능, 유연성, 피부 밀착성을 향상되었다고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페이스트형과 시트형 마스크 팩의 장점을 모두 갖는 새로운 조성의 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한 결과로서, 과립 형태를 갖는 고분자 입자를 수상부에 첨가하여 보존시에는 유화 형태로 존재하고, 필름 형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 도포시 얇은 필름 상을 형성하여 피부의 굴곡에 따라 도포되며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는 마스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여 물로 쉽게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부와 유상부로 이루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성물은 보존시에는 유화 형태로 존재하고, 피부 도포시 얇은 필름 상을 형성하여 피부의 굴곡에 따라 도포되며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어, 수분 손실 없이 마스크 조성물 내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한다.
이러한 마스크 조성물은 물로 씻어 간단히 제거될 수 있는 워시-오프 타입으로 종래 시트 타입의 마스크와 비교하여 별도의 사용이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성물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시트 타입의 팩과, 본 발명의 마스크 조성물의 피부 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시트 타입의 팩과, 본 발명의 마스크 조성물의 피부 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케어를 위해 기존의 피부의 굴곡 부분에도 도포가 가능한 페이스트 타입과 유효 성분의 손실이 적은 시트 타입 모두의 장점을 갖는 마스크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마스크 조성물은 보관시에는 페이스트 타입과 같이 유화 조성물 형태를 가지며, 피부에 도포 시 얇은 막을 형성하여 시트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마스크 조성물은 수상부와 유상부로 이루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서, 특히 상기 수상부에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를 포함하여 상기한 효과를 확보한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점성을 높이기 위한 점증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점도 증가 이상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않으며, 유화 조성물의 수상부 내에서 물에 완전히 용해된 상태로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일정 수준 이상의 가교도를 갖도록 가교화시킨 것을 사용하며, 물에 용해시킨 상태가 아닌 입자(또는 과립, granule) 형태로 수상부에 팽윤(swelling)된 상태가 되도록 도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성물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시트 타입의 팩과, 본 발명의 마스크 조성물의 피부 도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 조성물은 수상부와 유상부로 이루어진 유화 조성물과,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는 수상부 내에서 물에 웨팅(wetting)되어 부풀어오른 스웰링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스웰링 상태의 가교화된 소듐 아크릴레이트 입자는 페이스트 제형으로 존재하며, 피부에 도포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굴곡에 따라 균일하게 도포되어 마스크 조성물 내 유효 성분, 일례로 수분 등의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집중적으로 활성 성분의 피부 침투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처럼,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팽윤된 입자끼리의 배열에 의해 피부 전면에 걸쳐 얇은 필름을 형성하며, 이는 필름 형성제에 의한 필름 형태와는 다르다. 부연하면, 필름 형성제에 의한 막의 형성은 마스크 조성물의 제거시 필름을 떼어내는 번거로운 작업이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성물은 조성끼리 서로 경화 또는 결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하게 물로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수상부에 용해되지 않고 팽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리결합밀도(Cross linking density)가 조절된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 상기 다리결합밀도(Cross linking density)는 5∼50% 범위를 갖는다. 이때 가교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모든 가교방법, 일례로, 열을 가하거나,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입자 형태를 가지며, 이때 입자는 수상부의 물에 의해 팽윤 시 50∼100 배의 크기로 크기가 증가한다. 이에 유화 조성물 내 안정한 분산 상을 이루고 전술한 바의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는 직경이 150∼400㎛의 크기를 갖도록 한다. 만약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팽윤하더라도 입자 간 간격이 넓어 피부 도포시 균일한 막 형성이 어렵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피부 도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입자는 통상의 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0.5∼2.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피부에 도포하더라도 막 형성이 용이하지 못해 마스크 조성물 내 유효 성분 또는 수분 손실이 발생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점도가 증가하여 안정한 분산 상이 어려우며,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마스크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하기 a) 및 b)의 조성을 포함한다:
a) 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5∼2.0 중량%,
ⅱ) 보습제 1.0∼20.0 중량%, 및
ⅲ)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
b) ⅰ) 유화제 0.1∼5.0 중량%, 및
ⅱ) 오일 1.0∼20.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사용가능한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인 다가 알콜류; 아미노산, 유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의 성분, 크실로글루칸, 모과씨,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갈락탄, 델만탄황산, 글리코켄, 케라탄황산, 콘드로이친,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콘드로이친,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님산(Calonym acid), 히알론산, 헤파란황산, 히알론산나트륨, 콜라겐, 뮤코다당류, 콘드로이친황산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시록산인 실리콘류; 유산균ㆍ비피더스균인 배양상청;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유화제로는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밀랍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밀랍 유도체, PEG 100 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 200 디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노닐 페놀, PEG200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PEG 400 디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라놀린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12) 라우릴 에테르, PEG 1500 디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레이트 등이 가능하다.
오일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오일은 왁스를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도록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시클로 메치콘,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 동물성 오일; 망고 버터, 쉐어버터, 코포아수씨드버터, 마카미아씨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노이드 지질; 바틸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C10∼C40 지방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수용성/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 연화제, 방부제, pH 조절제, 지방산, 유화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염료, 향료,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및 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모들 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미백 효과가 있는 생리 활성 성분으로는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α-비사보롤 등을 포함하는 유용성 성분이 가능하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 성분으로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등과 같은 유용성 성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용성 및 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기로 0.001∼10.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마스크 조성물은
S1) 물에 가교화된 소듐 아크릴레이트 입자, 보습제를 첨가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S2) 오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첨가 후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상기 S1), S2), S3)의 혼합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 내에서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교반 및 열을 가하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일례로, 수상부는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수행하고, 유상부는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오일에 다른 성분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수행한다.
상기 교반은 진공 유화조 내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마스크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을 갖는 화장료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로션, 젤, 밀크 등의 제형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크림 제형으로 사용된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및
비교예
) 유화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아래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 및 유상을 70℃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 한 후 70℃에서 수상에 유상을 첨가 후 3000rpm, 5분 동안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한 다음 상온으로 냉각하여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
수상부 | 물 | 잔부 | 잔부 | 잔부 | 잔부 | 잔부 | 잔부 | 잔부 |
글리세린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 0.05 | 1.0 | 2.0 | 0.01 | 3.0 | - | - |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 0 | 0 | 0 | 1 | - | 1.0 | - | |
유상부 | PEG-100 스테아레이트 | 2 | 2 | 2 | 2 | 2 | 2 | 2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1 | 1 | 1 | 1 | 1 | 1 | 1 | |
스쿠알란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주)
*: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HS-3500, Songwon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Carbopol-940, Lubrizol
(
실험예
1) 유화 조성물 상태 및
발림성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피부(손등)에 도포하여 발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유화 조성물은 바르자 마자 팩과 같이 피부 전체에 걸쳐 팩과 같이 막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유화 조성물은 둥근 알갱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를 가졌으며, 피부에 도포시에도 부드러운 느낌으로 도포가 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적은 비교예 1의 유화 조성물은 둥근 알갱이가 피부에 잘 도포되지 않았으며, 함량이 과도한 비교예 2의 유화 조성물은 점도가 너무 높아서 이 또한 알갱이가 잘 도포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미가교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둥근 알갱이가 형성되지 않고 팩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교/미가교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로션처럼 피부에서 흘러내려 팩을 형성하지 않았다.
(
실험예
2)
보습력
시험
피부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3과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피부 도포 후 보습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질환이 없는 30∼40대 성인 여성 15명에게 각 유화 조성물을 왼쪽 팔 하박 내측에 도포하도록 한 후, 스키콘(Skincon)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시험부위를 세정한 후 위치를 표시하고 스키콘을 피부에 대고 일정하게 눌러 수치를 측정한다(초기값). 이때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항온(20±2℃), 항습 (50±2%) 상태를 유지하고 수치는 각 3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사용한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고, 10분간 팩을 한 뒤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값은 시험결과의 평균값으로 표현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는 실시예 1∼3과 비교예 1∼4의 피부 수분 보유량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
초기값 | 32 | 53 | 49 | 48 | 46 | 42 | 41 |
10분 후 | 346 | 411 | 406 | 196 | 243 | 173 | 98 |
수분보유량 변화 | 314 | 358 | 357 | 148 | 197 | 131 | 57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 모두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비교예 1, 3, 4의 마스크 조성물의 경우 피부 도포 후 막 형성이 일어나지 않았고 주르륵 흘렀으며, 수분이 증발하는 느낌이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마스크 조성물의 경우 막 형성이 있었으나 균일하지 못해, 도포 부위 전체에 걸쳐 고른 보습이 이뤄지지 않았다.
(
실험예
3) 고온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유화 조성물을 실온, 45℃ 및 40℃, 순환(Cycling) 항온조에서 한달 동안 보관하면서 경도하강, 오일 부유, 분리 등의 발생 여부에 따른 안정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
실온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경도 하강 | 양호 | 양호 |
45℃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분리 | 양호 | 양호 |
순환 | 양호 | 양호 | 양호 | 분리 | 분리 | 분리 | 분리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 2의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마스크 조성물 내 물의 과도한 흡수로 인해 유화 안정성이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관능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마사지 조성물의 패널 테스트를 통해서 만족감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평가는 하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30∼40대 15명 여자)
매우 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매우 나쁘다..1점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
결과 | 4.2 | 4.3 | 4.5 | 2.5 | 2.1 | 2.6 | 2.0 |
상기 표 4를 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마스크 조성물은 각종 화장품, 특히 팩으로 바람직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7)
- 수상부와 유상부로 이루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마스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다리결합밀도(Cross linking density)가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입자는 크기가 150∼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0.05∼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하기 a) 및 b)의 조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
a) ⅰ) 가교화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5∼2.0 중량%,
ⅱ) 보습제 1.0∼20.0 중량%, 및
ⅲ)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
b) ⅰ) 유화제 0.1∼5.0 중량%, 및
ⅱ) 오일 1.0∼20.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후 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조성물은 크림, 로션, 젤 또는 밀크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오프 타입의 마스크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6767A KR20130060618A (ko) | 2011-11-30 | 2011-11-30 | 피부 굴곡에 따른 도포력이 우수한 마스크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6767A KR20130060618A (ko) | 2011-11-30 | 2011-11-30 | 피부 굴곡에 따른 도포력이 우수한 마스크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0618A true KR20130060618A (ko) | 2013-06-10 |
Family
ID=4885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6767A Withdrawn KR20130060618A (ko) | 2011-11-30 | 2011-11-30 | 피부 굴곡에 따른 도포력이 우수한 마스크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6061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57944A1 (ko) * | 2015-09-30 | 2017-04-06 | (주)아모레퍼시픽 |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
WO2017074125A1 (ko) * | 2015-10-30 | 2017-05-04 | (주)아모레퍼시픽 |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
KR20190127491A (ko) * | 2018-05-04 | 2019-11-13 | 주식회사이디엘 | 카타플라즈마 제형의 화장용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과 조성물. |
-
2011
- 2011-11-30 KR KR1020110126767A patent/KR2013006061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57944A1 (ko) * | 2015-09-30 | 2017-04-06 | (주)아모레퍼시픽 |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
WO2017074125A1 (ko) * | 2015-10-30 | 2017-05-04 | (주)아모레퍼시픽 |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
CN108430446A (zh) * | 2015-10-30 | 2018-08-21 |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 包含负电荷物质的微尘防尘用组合物 |
KR20190127491A (ko) * | 2018-05-04 | 2019-11-13 | 주식회사이디엘 | 카타플라즈마 제형의 화장용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과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7558B1 (ko) |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 |
KR102216005B1 (ko) |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811849B1 (ko) |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21109319A1 (zh) | 一种具有高保湿功效的浴用润肤膏及其制备方法 | |
KR101867847B1 (ko) |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056116B1 (ko) |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8498382A (zh) | 一种保湿共输送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1838642B1 (ko) |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
CN109481337A (zh) | 一种含神经酰胺的润肤保湿乳及其制备方法 | |
KR20130092172A (ko) |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WO2017009206A1 (en) |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 |
KR101189991B1 (ko) |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155807B1 (ko) |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100787784B1 (ko) |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803271B1 (ko) |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096277B1 (ko) |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36141B1 (ko) |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60618A (ko) | 피부 굴곡에 따른 도포력이 우수한 마스크 조성물 | |
KR101460777B1 (ko)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30007680A (ko) | 봉독 추출물 및 식물성 플라센타를 포함하는 보습 영양 크림 화장료 조성물 | |
CN115778867B (zh) | 一种复配保湿剂、带有该复配保湿剂的超分子脂质体保湿乳液及其制备方法 | |
KR20130042918A (ko) |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75467B1 (ko) |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29034B1 (ko) | 팩용 조성물 | |
KR20210046392A (ko) |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