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57638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638A
KR20130057638A KR1020110123483A KR20110123483A KR20130057638A KR 20130057638 A KR20130057638 A KR 20130057638A KR 1020110123483 A KR1020110123483 A KR 1020110123483A KR 20110123483 A KR20110123483 A KR 20110123483A KR 20130057638 A KR20130057638 A KR 20130057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obile terminal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638A/en
Publication of KR2013005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6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망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 각각의 통신 상태에 따라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송신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FC) device,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device, wherein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receives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Description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network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NFC)를 통해 최상의 통신 상태를 갖는 무선 통신 모듈과의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best communication state through a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NFC).

무선통신 기술이 보급되고,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보급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인터넷 접속, 실시간 멀티미디어 감상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타블렛 PC 등의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무선통신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더욱 넓어지고 있으며, 심지어 지하철과 버스 등과 같은 교통 수단에서도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With the spread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various mobile devices that can utiliz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pportunities for providing services such as Internet access and real-time multimedia view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increasing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 In particular, recently,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increases, accessibility to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becomes wider, and even wireless transportation services such as subways and buses are being provided.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인터넷 등의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타블렛 PC, 노트북 등과 같은 기기에 통신 접속을 위한 정보를 별도로 입력해야 한다. 이때, 통신 접속을 위한 정보는 사용자 개개인, 또는 통신사에 따라 다르게 부여되는 식별 정보(ID),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통신 환경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와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 한다.In order to access a service such as the Interne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must be separately input to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notebook, etc.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password, etc., which are differently assigned according to individual users or communication companies, and the user must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corresponding to each communication environment.

따라서, 이동 도중에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한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함에 있어서, 이와 같은 통신 접속 정보 입력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망이 구축된 일정한 공간 내에,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ACCESS POINT, AP)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특정 모듈로 집중됨으로써 해당 무선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환경이 열화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i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frequently used during the movement, such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inpu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CCESS POINTs, APs) exist in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established,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deteriorated by the concentration of users to a specific module. .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 상태 및 접속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신하고, 그로부터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에의 접속을 허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빠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통신 사업자는 무선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utomatically transmits communication status and connec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to a user's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llows connec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best communication status. Accordingly,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fast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and the service provider can efficiently maintain and manag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망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 각각의 통신 상태에 따라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According to a first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device,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And a network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receives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uggest a system.

또한,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propos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that periodically detects communic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또한,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propos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that detects communication states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receiv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검출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에서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that transmit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highest communication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detected communication state. Suggest.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pos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adjacent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통신망 접속 정보는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propos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and a password.

한편,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etec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based on the detected communication state, and transmitting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ggest a method.

한편,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hird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eriodically, the mobile close to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Recognizing a terminal,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based on the detected communication state, and transmitting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e propose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또한, 상기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비밀번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step propos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assword for accessing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각각에 연결된 단말기의 숫자,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각각의 통신 속도, 및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상태로 검출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The detec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a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 communication spee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a signal strength as the communication state. .

또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In addition, the selecting step propos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for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가운데 그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가 별도의 식별 정보 및 비밀번호 등의 입력 절차 없이도 무선통신 모듈과의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한된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번거로운 설정 과정 없이 편리하게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y transmit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sepa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ssword, etc. Control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be set automatically without the input procedure o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maintain and manage limited communication resources,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ac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any troublesome sett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110), 무선통신 모듈(120), 통신망 관리 장치(130), 및 통신망(14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40)은 유선 통신망(141) 이외에 IEEE 802.11 b/g/n 등의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망(143, 145)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망 관리 장치(130)에 의해 관리,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140. The communication network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143 and 145 according to a standard such as IEEE 802.11 b / g / n in addition to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141, and may be managed and controll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Can be.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는 통신망 관리 장치(13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이 제어되며, 근거리 무선통신(NFC) 모듈이 내장된 스마트폰, 타블렛 PC, 노트북 등의 모바일 단말기(150)와 근거리 무선통신(NFC) 방식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NFC) 모듈이 내장된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150)가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이를 인식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and its operation is controlled, and the mobile terminal 150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notebook, etc. hav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embedded therein And can communicate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hen a mobile terminal 150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in which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is embedded approaches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t may recognize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무선통신 모듈(120)은 유선 통신망(1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무선 통신망(143, 145)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123, 125) 각각은 모바일 단말기(150)가 무선 통신망(143, 145)에 연결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 동작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141 and generate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143 and 145.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may operate as an access point (AP)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5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143 and 145.

통신망 관리 장치(130)는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123, 125)이 연결되는 통신망(140, 143, 145)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123, 125)이 연결되는 유선 통신망(140)을 통해 통신망 관리 장치(130)는 유선 통신망(140)은 물론 무선 통신망(143, 145)까지 관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is a device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communication networks 140, 143, and 145 to which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are connected.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140 to which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are connected,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may manage not only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140 but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143 and 145.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에 특정 모바일 단말기(150)가 접근하면,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는 모바일 단말기(15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판독한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가 판독하는 사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5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사업자 정보, 모바일 단말기(150)에 부여된 고유의 인식 번호 -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번호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는 모바일 단말기(150)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유선 통신망(140)을 통해 통신망 관리 장치(130)로 송신한다.When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150 approaches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reads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50. At this time, the user information read b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is a carrier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150,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150-for example Mobile communication numbers-and the like.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transmits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mobile terminal 150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140.

통신망 관리 장치(130)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150)가 통신망 관리 장치(130)에 연결된 무선 통신망(143, 145)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사업자 A가 운용하는 무선 통신망(143, 145)에, 다른 통신 사업자 B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단말기(150)가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신 사업자 A의 통신망 관리 장치(130)에서 그 연결을 제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3, 145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by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150 based on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present.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50, which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service by another carrier B, wishes to connect to the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143 and 145 operated by the carrier A,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of the carrier A ( 130 may restrict the connection.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가 송신한 사용자 정보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50)가 무선 통신망(143, 145)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라고 판단하면, 통신망 관리 장치(130)는 무선 통신망(143, 145)을 생성한 무선통신 모듈(123, 125)의 통신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망 관리 장치(130)가 무선통신 모듈(123, 125)로부터 검출하는 통신 상태 정보는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23, 125)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150)의 개수, 각 무선통신 모듈(123, 125)의 상,하향 데이터 전송 속도, 대역폭 등을 포함할 수 있다.From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150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3, 145),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3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generating the 145 may be detected. The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includes the number of mobile terminals 150 connected to the respectiv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and the respectiv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 May include up, down data transmission speed, bandwidth, and the like.

통신망 관리 장치(130)는 각 무선통신 모듈(123, 125)에서 검출한 통신 상태 정보로부터,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123, 125)를 선택하고,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123, 125)에 대응하는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에 송신한다. 일례로, 통신망 관리 장치(130)는 현재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150) 개수가 가장 적은 무선통신 모듈(123)을 그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는 선택된 무선통신 모듈(123)에 접속되기 위한 정보로 사용자 식별 정보(ID), 및 통신 연결에 필요한 비밀번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130 selec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having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from the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and selects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3 and 125.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is transmitt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may sel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3 having the smallest number of currently connected mobile terminals 150 as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 password required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the like as information for being connected to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3.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110)가 수신한 통신망 접속 정보는 근거리 무선통신(NFC)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50)로 전송된다. 모바일 단말기(150)는 수신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별다른 ID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없이 특정 무선 통신망(143)과의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1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0 by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he mobile terminal 150 may automatically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3 without the user having to input another ID or password using the received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 222)와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을 포함하는 복수의 공간(210, 220) 내에서의 통신 환경을 유지, 관리한다. 각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에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251, 253, 255, 257)이 연결될 수 있으며, 각 공간(210, 220)의 통신 환경은 인터넷망(230)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에 의해 관리된다.2,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22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216, 224, 226.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the plurality of spaces 210 and 220 is maintained and managed.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251, 253, 255, and 257 may be connected to eac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216, 224, 226, and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each space 210, 22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230. And managed by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은 일반적인 유,무선 공유기(Access Point, AP)일 수 있으며, 유,무선 공유기의 특성상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이 생성하는 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거리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제2 무선통신 모듈(214, 216)에 의한 무선 통신 환경이 구축된 지역을 제1 공간(210), 제3, 제4 무선통신 모듈(224, 226)에 의한 무선통신 환경이 구축된 지역을 제2 공간(220)으로 정의한다. 제1, 제2 공간(210, 220)은 밀폐된 빌딩과 같은 특정 건물이거나, 또는 밀폐되지 않은 개방된 공간일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216, 224, 226 may be a general wireless access point (AP), and eac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216, 224, 226) is gener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router. The distan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bound to be limi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area where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established by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and 216 is stored in the first space 210, the third and four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24 and 226. The area w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established is defined as the second space 220. The first and second spaces 210 and 220 may be a specific building such as an enclosed building or an open space that is not enclosed.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는 인터넷망(23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 각각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검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 222) 각각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 각각의 통신 상태에 대해서,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는 각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51, 253, 255, 257)의 개수와 그에 따른 무선통신 모듈(214, 216, 224, 226)의 상, 하향 데이터 전송 속도, 대역폭 등을 통신 상태로 검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periodically monitors and detects a communication state of each of the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216, 224, and 226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230, and detect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222) Store and manage each piece of information. For the communication status of 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216, 224, and 226,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connects the mobile terminals 251, 253, 255, connected to the respectiv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216, 224, and 226. The number of 257 and the corresponding uplink and downlink data transmission rates and bandwidth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216, 224, and 226 may be detected as a communication state.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에 모바일 단말기(259)가 근접하면,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는 모바일 단말기(259)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통신(NFC) 모듈을 인식하여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259)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읽어들인다. 일례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는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259)에 부여된 식별 번호, 모바일 단말기(259)가 가입된 통신 사업자 정보, 및 해당 모바일 단말기(259)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표준 등을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259 is close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recognizes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259 and approaches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59 is read. For example,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a mobile terminal 259 in close proximity, carrie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259 is subscribed, and a radio available in the mobile terminal 259. Recognize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는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가 읽어들인 모바일 단말기(259)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무선통신 모듈(214, 216)과의 접속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모듈(214, 216)을 관리하는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와 다른 서비스 관리자가 운영하는 통신망에 해당 모바일 단말기(259)가 등록된 경우,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는 무선통신 모듈(214, 216)의 통신 상태와 무관하게 무선통신 모듈(214, 216)에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and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is read b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User information of the entered mobile terminal 259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o permit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and 216.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259 is register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and the other service managers manag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and 216,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216 can be restricted regardless of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modules 214, 216.

해당 모바일 단말기(259)가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로부터 정당하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가 포함된 제1 공간(210) 내의 무선통신 모듈(214, 216)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59)와 연결될 무선통신 모듈(214, 216)을 선택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무선통신 모듈(216)에만 3개의 모바일 단말기(251, 253, 255)가 연결되고, 제1 무선통신 모듈(214)에는 모바일 단말기가 전혀 연결되지 않은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는 통신 상태가 우수한 제1 무선통신 모듈(214)을 모바일 단말기(259)와 연결될 무선통신 모듈로 선택하고, 제1 무선통신 모듈(214)에 연결되는 데에 필요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로 송신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259 is a terminal that can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service legitimately from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is configured to includ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and 216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59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214 and 216 in the one space 210. 2, three mobile terminals 251, 253, and 255 are connected only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6, and the mobile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at all. Assume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select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having excellent communication status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be connected with the mobile terminal 259 and is requi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통신망 접속 정보는 제1 무선통신 모듈(214)에 연결하는 데에 필요한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212)는 통신 서비스 관리자(240)로부터 수신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59)로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통해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259)는 상기 통신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무선통신 모듈(214)과의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password required for connecting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212 transmit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240 to the mobile terminal 259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mobile terminal 259 connects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information,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be automatically establish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관리 방법은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망 관리 장치에서 무선통신 모듈에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의 개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속도, 대역폭, 안테나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 등을 통신 상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검출되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egins by detec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30).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may detect the number of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bandwidth,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and the like as the communication stat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etected at regular intervals and updated in real time.

통신 상태가 검출되면,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가 근접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한다(S31).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는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 단말기 식별을 위한 일련 번호,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 표준 등을 검출하고, 이를 통신망 관리 장치로 송신한다.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detected,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recognizes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S31).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detects carrier information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from a nearby mobile terminal, a serial number for identifying a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executable in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통신망 관리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로부터 특정 모바일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상태를 검출하여 저장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S32). 물론, 모바일 단말기에 가장 우수한 통신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한된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가운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수가 가장 적고,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무선통신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mobile terminal from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which detect and store a communication state (S32). Of course,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the mobile terminal and to efficiently manage limited communication resources, it is possible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smallest number of connected mobile terminals and the fastest communication speed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무선통신 모듈이 선택되면, 통신망 관리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에 선택된 무선통신 모듈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송신한다(S33). 상기 접속 정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무선통신 모듈에 연결하기 위한 ID,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통신망 관리 장치가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접속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NFC)로부터 수신하여 무선통신 모듈과의 연결을 자동으로 설장할 수 있다(S34).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일일이 무선통신 모듈을 검색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편리하게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selected,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transmits connec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S33). As described above, the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 a password, and the like for connecting to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connection information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elect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from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NFC) and automatically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34). Through this proc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veniently set up without the user having to bother to search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nput a password.

한편,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S30 단계와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에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하는 S31 단계는 그 순서를 서로 바꾸어 실행될 수도 있다. 즉, 주기적으로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에 모바일 단말기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기가 근접한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와 동일한 통신 환경에 포함된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ep S30 of detec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tep S31 of recognizing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may be executed in a reversed order.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lose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without detecting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eriodically, the mobil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same communication environment as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detected.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but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re provided to assist in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10, 212, 222 :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
120, 123, 125, 214, 216, 224, 226 : 무선통신 모듈
130 : 통신망 관리 장치
240 : 통신 서비스 관리자
150, 251, 253, 255, 257, 259 : 모바일 단말기
110, 212, 222: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120, 123, 125, 214, 216, 224, 226: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0: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240: communication service manager
150, 251, 253, 255, 257, 259: mobile terminal

Claims (12)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장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망 관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 각각의 통신 상태에 따라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Lt; / RTI >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close proximity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us of 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periodically detec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And receiv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cting communication states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상기 검출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에서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highest communication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based on the detected communication state,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접한 모바일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transmitting the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adjacent mobile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접속 정보는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assword for acces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and a password.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
Recognizing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at least on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etec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onnect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based on the detected communication state; And
Transmitting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주기적으로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에 근접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
Periodically detecting communic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Recognizing a mobile terminal in proximity to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based on the detected communication state; And
Transmitting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ransmitting the network access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선택한 무선통신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비밀번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And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assword for accessing the selec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각각에 연결된 단말기의 숫자,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각각의 통신 속도, 및 신호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상태로 검출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detecting step,
And detecting at least one of a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 communication spee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a signal strength as the communication stat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우수한 무선통신 모듈을 선택하는 통신망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selection step,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KR1020110123483A 2011-11-24 2011-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KR201300576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483A KR20130057638A (en) 2011-11-24 2011-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483A KR20130057638A (en) 2011-11-24 2011-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638A true KR20130057638A (en) 2013-06-03

Family

ID=4885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483A KR20130057638A (en) 2011-11-24 2011-11-24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63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4303A (en) * 2013-06-24 2014-1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onsult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method of terminal capability and terminals
WO2020222597A1 (en)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ul transmission through multi-link in wireless la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4303A (en) * 2013-06-24 2014-1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onsult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method of terminal capability and terminals
WO2020222597A1 (en)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ul transmission through multi-link in wireless lan system
US12177915B2 (en) 2019-04-30 2024-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ul transmission through multi-link in wireless la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1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file of terminal in mobile network
EP2437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service zone
US201703597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064198A1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US2012030930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KR20120078664A (en) Terminal
CN103281752A (en) WIFI (wireless fidelity) 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3281759A (en) WIFI (wireless fidelity) 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901044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asy Configuration and Authentication of Network Devices
KR1014655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IoT Service with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US20130340046A1 (en) Wireless network client-authent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ethod thereof
KR102189653B1 (en) Method for transceiving message, data transceiving appratus, and non-transitory recordable medium
KR20120078654A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lecting access point with reliablility
CN107484165B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130057638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network
US1000934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72984A (en) Server and method for recognizing representation device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of user and performing servic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representation device, and devices
US10349387B2 (en) Enhanced and/or adaptive communication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t least one secondary communication device via or using a primary communication device
US2013008902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communication
US10110618B1 (en) System and methods to detect mobile credential leaks during dynamic analysis
JP5964804B2 (en) Mobile wireless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5250168A (e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size of transmission block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618588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30044545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electing access point
KR20120095519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electing access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