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57322A -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322A
KR20130057322A KR1020110123165A KR20110123165A KR20130057322A KR 20130057322 A KR20130057322 A KR 20130057322A KR 1020110123165 A KR1020110123165 A KR 1020110123165A KR 20110123165 A KR20110123165 A KR 20110123165A KR 20130057322 A KR20130057322 A KR 20130057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tainer
liquefied gas
heat exchanger
fu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4920B1 (en
Inventor
안만희
유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920B1/en
Publication of KR2013005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92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6Apparatus for de-liquefying, e.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6Other apparatus for heating fuel
    • F02M31/18Other apparatus for heating fuel to vaporise fuel
    • F02M31/183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연료 가스 생성 장치 그리고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및 컨테이너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료 가스 생성 장치는, 액화가스를 주변의 대기와 열교환시켜 재기화 가스를 생성하는 재기화수단; 재기화 가스로부터 액상가스를 분리하여 연료가스를 생성하는 기액분리기; 및 기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액상가스를 재기화수단으로 복귀시키는 재순환수단을 포함한다.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and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a container ship having the same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gas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regasification means for generating liquefied gas by exchanging liquefied gas with ambient air; A gas-liquid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liquid gas from the regasification gas to generate a fuel gas; And recirculation means for returning the liquid gas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to the regasification means.

Description

연료 가스 생성 장치 그리고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및 컨테이너선{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 가스 생성 장치 그리고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및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and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a container ship having the same.

연료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가스(natural gas) 및 석유가스(petroleum gas) 등은 효율적인 운반을 위하여 액화 과정을 거쳐 부피가 감소된 액화가스(liquefied gas) 상태로 운반된다.Natural gas and petroleum gas, which are widely used as fuels, are transported in a liquefied gas state in which the volume is reduced through liquefaction for efficient transport.

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가 되도록 하면, 그 부피가 약 600분의 1로 감소되어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양이 증가된다. 그리고, 목적지로 운반된 액화천연가스는 재기화(regasification) 되어 연료로서 사용된다.For example, liquefying natural gas to liquefied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Gas, LNG) reduces its volume to about one-sixth, increasing the amount it can carry at one time. The liquefied natural gas carried to the destination is then regasified and used as fuel.

액화가스를 원거리 수송하는 데에는 극저온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cargo tank)이 설치된 액화가스 운반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물창의 제조에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고, 액화가스 운반선의 건조에는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In order to transport liquefied gas over long distances, liquefied gas carriers equipped with cargo tanks for storing cryogenic liquids are used. The manufacture of such cargo holds requires a high level of skill, and the construction of liquefied gas carriers is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또한,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 문제해결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감축방안에 대하여 논의한 바 있으며, 2008년 10월 채택된 개정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협약)의 발효로 인해 선박의 황산화물,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통제 될 수 있는 배출통제지역으로 지정되는 해역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as part of efforts to resolve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issue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discussed way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ships, and the revised International Marine Pollution Prevention Convention (MARPOL Convention, adopted in October 2008). The ferment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ea areas designated as emission control areas where ships' sulfur oxides, fine dust and nitrogen oxide emissions can be controlled.

따라서, 현재까지 선박의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벙커씨유와 같은 선박유 대신 이산화탄소 및 황산화물 등의 배출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천연가스가 선박의 대체 연료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Therefore, natural gas, which can greatly reduce emissions of carbon dioxide and sulfur oxides, has been spotlighted as an alternative fuel for ships instead of ship oils such as bunker seed oil, which are widely used as fuel for ship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 컨테이너선으로도 액화가스를 수송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컨테이너 수송수단의 연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able to transport liquefied gas even in a general container ship.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use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s the fuel of the container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주변의 대기와 열교환시켜 재기화 가스를 생성하는 재기화수단과, 상기 재기화 가스로부터 액상가스를 분리하여 연료가스를 생성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액상가스를 상기 재기화수단으로 복귀시키는 재순환수단을 포함하는 연료 가스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asification means for generating a regasification gas by heat-exchanging the liquefied gas with the surrounding atmosphere,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a liquid gas from the regasification gas to produce a fuel gas, the gas-liquid separator There is provided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including recirculation means for returning the liquid gas separated by the regasification means.

상기 재기화수단은, 일면 및 타면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는, 일면의 중심부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출공이 형성된 것 및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의 중심부에 유출공이 형성된 것이 번갈아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유출공 및 인접한 상기 유입공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The regasification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urface,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 the inle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and the outlet hole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and When the inlet hole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one side and the outlet hole is formed alternately in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adjacent arrangement, the outlet and adjace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formed by the inlet can be adjusted.

이 때,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에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ment lever for rota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상기 디스크형 열교환기는, 일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유출공이 형성된 디스크형 하우징과, 상기 디스크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상기 액화가스가 상기 유출공으로 유동되는 경로를 연장시키는 유동경로 연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 heat exchanger includes a disc housing having the inlet hol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outlet ho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a flow which extends a path through which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flows into the outlet hole. Path extension means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는 직경이 긴 것으로부터 직경이 짧은 것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s may be arranged in sequence from the long diameter to the short diameter.

상기 유동경로 연장수단은, 금속 스트랩이 일방향 나선형 또는 타방향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extending means may be formed by winding a metal strap in one direction spiral or in another direction spiral.

상기 재순환수단은, 상기 액상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 또는 압송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ircula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or or a pump for compressing the liquid ga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용기에 구비된 배출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전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연료가스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el gas is supplied to a container-type housing, a pressure vessel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storing liquefied gas, and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from a discharge valv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provided in the pressure vessel.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including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상기 하우징은 ISO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의 표준규격을 따를 수 있다.The housing may follow the standard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이 때, 상기 컨테이너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블록 및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압력용기의 중간영역은 상기 지지 블록에 안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ainer housing includes a support block and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pressure vessel, the intermediate region of the pressure vessel is seated on the support block, both ends of the pressure vessel is the support bracket It can be formed to be supported by.

이 때, 상기 압력용기의 본체 내에 액화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may include an injection valve for injecting liquefied gas into the body of the pressure vessel.

이 때, 상기 압력용기의 본체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may further include a relief valve for preventing the pressure in the body of the pressure vessel is excessively increa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가 구비된 컨테이너선으로서, 액체연료 및 가스연료를 공급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이중연료엔진과, 상기 적재부 및 상기 이중연료엔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가스 공급관과,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ship having at least one loading unit on which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loaded, a double fuel engine configured to receive a liquid fuel and a gas fuel to generate a propulsion force, and the loading unit and the double fuel. And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including at least one fuel gas supply pipe connecting the engine, and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loaded on the loading unit and removably connected to the fuel gas supply pipe and having the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One container ship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테이너선에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탱크에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수한 화물창을 구비하지 않은 컨테이너선으로도 액화가스를 수송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liquefied gas in a container tank that can be loaded in the container ship, it is possible to transport the liquefied gas even in a container ship without a special cargo hol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에 액화가스를 기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함으로써,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컨테이너선이나 컨테이너 트레일러와 같은 컨테이너 수송수단의 연료로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means for vaporizing the liquefied gas to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to use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s a fuel for container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container ships or container trailers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의 압력용기 및 연료가스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의 연료가스 생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디스크형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B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에 A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ssure vessel and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of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of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 heat exchanger.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B in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A in FIG. 3.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ship having a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의 압력용기 및 연료가스 생성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illustrates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essure vessel and a fuel gas generating apparatus of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에는 압력용기(100),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 및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e vessel 100,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200, and a container type housing 30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도1의 1)의 압력용기(100)에는 압력용기 본체(101), 주입 밸브(110), 배출밸브(120) 및 릴리프 밸브(130)가 구비될 수 있다.2, the pressure vessel 100 of th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the injection valve 110, the discharge valve 120 And a relief valve 130 may be provided.

압력용기 본체(101)는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부분으로, 두꺼운 강철로 만들어진 원통형의 내압(耐壓)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압력용기(100)의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금속으로 제조된 내압용기가 압력용기 본체(101)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pressure vessel body 101 is a portion in which the liquefied gas is stored, and a cylindrical pressure vessel made of thick steel may be used. Alternatively, a pressure resistant vessel made of a light meta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y be used as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to reduce the pressure vessel 100.

주입밸브(110)는 압력용기 본체(101) 내에 액화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 본체(101)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압력용기 본체(101)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injection valve 110 is for injecting liquefied gas into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arranged in another location.

릴리프밸브(101)는 압력용기 본체(101)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용기 본체(101)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기화될 수 있는데, 이 기화된 가스에 의해 압력용기 본체(101)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면 압력용기 본체(101)가 손상되거나 폭발할 수 있다.The relief valve 101 is for preventing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from being excessively raised.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may be vaporized by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If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is excessively increased by the vaporized gas,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may be damaged or May explode.

따라서, 압력용기 본체(101)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안전범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릴리프밸브(101)가 개방되도록 하여 기화된 액화가스의 일부분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용기 본체(101) 내의 압력이 안전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rises above the preset safety range, the relief valve 101 is opened to discharge a portion of the vaporized liquefied gas so that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is within the safety range. Can be maintained.

배출밸브(120)는 압력용기 본체(101)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밸브(1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가 연결된다.Discharge valve 120 is for discharging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the discharge valve 120 is connected to the fuel gas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는 배출밸브(12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 변화시킨다.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fuel gas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valve 120 into fuel gas. The fuel gas generato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nd 8 below.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의 압력용기(100) 및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는 컨테이너형 하우징(300) 내에 설치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pressure vessel 100 and the fuel gas generator 200 of th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the container type housing 300.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에는 사이드 빔(310), 크로스 빔(320), 버티컬 빔(330), 지지 블록(360) 및 지지 브라켓(340, 350, 370)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tainer housing 300 may include a side beam 310, a cross beam 320, a vertical beam 330, a support block 360, and a support bracket 340, 350, and 370.

사이드 빔(310)은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로스 빔(320)은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버티컬 빔(330)은 높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빔(310)의 길이는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의 길이(L)가 되고, 크로스 빔(320)의 길이는 폭(W)이 되며, 버티컬 빔(330)의 길이는 높이(H)가 될 수 있다.The side beam 310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housing 300, the cross beam 320 may be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beam 330 may be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Therefore, the length of the side beam 310 is the length (L) of the container-shaped housing 300, the length of the cross beam 320 is the width (W), the length of the vertical beam 330 is the height (H) Can be

여기서,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의 길이(L), 폭(W) 및 높이(H)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의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도시되지 않음)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은 필요에 따라 특정국가의 규격에 따르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Here, the length (L), width (W) and height (H) of the container-type housing 300 is the length, width and width of the contain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and It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height. Alternatively, the container housing 300 may be manufactured to comply with the specifications of a particular country as needed.

즉,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이 ISO의 규격 또는 특정국가의 규격을 만족하도록 제조함으로써 일반 컨테이너선(도시되지 않음)에 별도의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를 다른 화물과 함께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컨테이너선(도시되지 않음)으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를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운반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manufacturing a separate device to a general container ship (not shown) by manufacturing the container-type housing 300 to meet the standard of ISO or the standard of a specific country The tank 1 can be loaded with other cargo. Therefore, even in a general container ship (not shown), it is possible to transport the liquefied gas using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블록(360) 및 지지브라켓(340, 350)은 컨테이너형 하우징(300) 내에 설치된 압력용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100)의 중간영역은 지지블록(360)에 안착되고, 압력용기(100)의 양단부는 지지브라켓(340, 3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형 하우징(300) 내에 설치된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는 지지브라켓(3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360 and the support brackets 340 and 350 are for supporting the pressure vessel 100 installed in the container-type housing 300, and as shown, the intermediate region of the pressure vessel 100 is the support block 360. ), And both ends of the pressure vessel 10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s 340 and 350. In addition, the fuel gas generator 200 installed in the container-type housing 30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370.

따라서 컨테이너형 하우징(300)은, 컨테이너형 액화가스(1)가 컨테이너선(도시되지 않음)에 적재되어 운반되는 중에 파도 등의 영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압력용기(100) 및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ainer-type housing 300, even if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1) is loaded on the container ship (not shown) and shaken under the influence of waves or the like, the pressure vessel 100 and the fuel gas generating device 200 ) Can be supported stably.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의 연료가스 생성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fuel gas generating apparatus of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의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에는 액화가스 유입관(201), 재기화수단(202), 재기화가스 유동관(203), 연료가스 공급관(205), 재순환수단(207) 및 기액분리기(208)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fuel gas generating device 200 of th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efied gas inlet pipe 201, regasification means 202, regasification gas flow pipe 203, fuel gas supply pipe 205, recirculation means 207 and gas-liquid separator 208 may be included.

액화가스 유입관(201)의 일단부는 압력용기 본체(도 2의 101)에 구비된 배출밸브(도 2의 12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재기화수단(202)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력용기 본체(도 2의 101) 내부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액화가스 유입관(201)을 통하여 재기화수단(202)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One end of the liquefied gas inlet pipe 20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valve (120 of FIG. 2) provided in the pressure vessel body (101 of FIG. 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pressure vessel The liquefied gas stored inside the main body 101 of FIG. 2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through the liquefied gas inlet pipe 201.

재기화수단(202)은 액화가스 유입관(201)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화가스가 주변의 대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기화되도록 함으로써 재기화가스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may cause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through the liquefied gas inlet pipe 201 to be vaporized by heat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 atmosphere so that the regasified gas is generated.

재기화수단(202)에는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및 복수의 조절 레버(229, 249, 259)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및 조절 레버(229, 249, 259)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regasification means 2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 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260 and a plurality of control levers 229, 249, 259. Here, the disc heat exchanger (210, 220, 230, 240, 250, 260) and the control lever (229, 249, 25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4 and 5 below.

재기화수단(202)의 타단에는 재기화가스 유동관(203)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고, 재기화가스 유동관(203)의 타단부는 기액분리기(208)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액화가스가 재기화수단(202)을 거쳐 생성된 재기화가스는 재기화가스 유동관(203)에 의해 기액분리기(208)로 유동될 수 있다.One end of the regasification gas flow tube 20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and the other end of the regasification gas flow tube 20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208. Accordingly, the regasification gas generated by the liquefied gas via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may be flow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208 by the regasification gas flow pipe 203.

기액분리기(208)는 재기화가스에 포함된 액상가스를 분리하여 기체상태의 연료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기액분리기(208)의 상단부에는 연료가스 공급관(205)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연료가스가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액분리기(208)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gas-liquid separator 208 may generate a gaseous fuel gas by separating the liquid gas contained in the regasification gas. One end of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gas-liquid separator 208 to allow the fuel gas to flow in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Here, the gas-liquid separator 20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below.

재순환수단(207)은 기액분리기(208)에 의해 분리된 액상가스를 재기화수단(202)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재순환수단(207)에는 리턴파이프(271, 271) 및 압축기(273)가 포함될 수 있다.The recirculation means 207 may return the liquid gas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208 to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The recirculation means 207 may include return pipes 271 and 271 and a compressor 273.

리턴파이프(271)의 일단부는 기액분리기(208)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는 압축기(273)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273)의 출구에는 리턴파이프(272)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고, 리턴파이프(272)의 타단부는 재기화수단(202)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return pipe 27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as-liquid separator 208,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compressor 273. One end of the return pipe 272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compressor 273, and the other end of the return pipe 272 may be connected to the disc heat exchanger 210 of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따라서, 기액분리기(208)에 의해 분리된 액상가스는 리턴파이프(271)를 통하여 압축기(273)로 유동되어 압축된 후, 리턴파이프(272)를 통하여 재기화수단(202)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로 복귀될 수 있다. 디스크형 열교환기(210)로 복귀된 액상가스는 다시 재기화수단(202)을 거치며 주변 대기와 열교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Therefore, the liquid gas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208 flows to the compressor 273 through the return pipe 271 and is compressed, and then the disk heat exchanger of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through the return pipe 272. May be returned to 210. The liquid gas returned to the disk heat exchanger 210 passes through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and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 atmosphere.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압축기(273)는 액상가스를 압송(壓送)하는 펌프로 대체될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compressor 273 may be replaced by a pump that pumps the liquid ga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가스 생성 장치(200)는, 액화가스 유입관(201)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화가스를 재기화시켜 연료가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연료가스는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유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재기화되지 않은 액상가스는 다시 재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uel gas genera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fuel gas by regasifying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through the liquefied gas inlet pipe 201, and the generated fuel gas is a fuel. The gas supply pipe 205 may be flowed, and liquid gas not regasified in this process may be regasified again.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유동되는 연료가스는 엔진(도시되지 않음)이나 보일러(도시되지 않음) 등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The fuel gas flowing in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may be used as fuel such as an engine (not shown) or a boiler (not shown).

도 4에는 재기화수단에 포함된 디스크형 열교환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B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디스크형 열교환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isc heat exchanger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means,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B in FIG. 4. The structure of a disc type heat exchanger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재기화수단(도 3의 202)에는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도 3의 240, 250, 260)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of FIG.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 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and 240, 250, and 260 of FIG. 3.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도 3의 240, 250, 260) 중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에는 열교환기 본체(211) 및 커버(216)가 결합된 제1 디스크형 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고, 상술한 제1 디스크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disk type heat exchanger 210 of the plurality of disk 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and 240, 250, 260 of FIG. 3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body 211 and a cover 216. The housing may be included, and the flow path extending means 215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disk housing may be further included.

열교환기 본체(211)는 일면은 막히고 타면이 개방된 디스크형 용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버(216)는 상술한 열교환기 본체(211)의 개방된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 본체(211) 및 커버(216)가 결합되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디스크형 하우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body 211 may have a shape of a disc-shaped container in which one surface is blocked and the other surface is open, and the cover 216 may be coupled to the other open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body 211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heat exchanger body 211 and the cover 216 are combined, a first disc-shaped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may be formed.

열교환기 본체(211)의 일면 중심부에는 유입공(212)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216)의 중심부에는 핀홀(2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216)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유출공(21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의 제1 디스크형 하우징의 일면에는 유입공(212)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유출공(219)이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hole 21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body 211, a pinhole 217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216, and an outlet hole 219 at an edge of the cover 216. ) May be formed. That is, an inlet hole 21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disc housing of the first disc heat exchanger 210, and an outlet hole 219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의 유입공(212)에는 액화가스 유입관(201)이 연결되어, 액화가스가 유입공(212)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공(212)으로 유입된 액화가스는 상술한 제1 디스크형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거쳐서 유출공(219)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A liquefied gas inlet pipe 201 is connected to the inlet hole 212 of the first disk-type heat exchanger 210, so that liquefied gas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212, and the liquefaction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212. The gas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hole 219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isc-shaped housing.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의 제1 디스크형 하우징 내에는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이 설치될 수 있다.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은 유입공(212)으로 유입된 액화가스가 유출공(219)으로 유동되기 전까지 유동되는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disc housing of the first disc heat exchanger 210.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is for extending the flow path until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212 flows to the outlet hole 219.

즉,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에 의해 액화가스가 유동되는 경로가 연장되면 액화가스가 열교환기 본체(211)와 커버(216) 사이의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을 지나는 동안 대기의 열에 노출되는 시간 및 면적이 증가되므로, 액화가스 및 대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path through which the liquefied gas flows is extended by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the liquefied gas is exposed to the heat of the atmosphere while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between the heat exchanger body 211 and the cover 216. Since the time and area to be increase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liquefied gas and the atmosphere can be increased.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도 3의 240, 250, 260) 중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에는 열교환기 본체(221) 및 커버(226)가 결합된 제2 디스크형 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고, 상술한 제2 디스크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유동경로 연장수단(225)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disk heat exchanger 220 of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s 210, 220, 230, and 240, 250, and 260 of FIG. 3 includes a second disk having a heat exchanger body 221 and a cover 226 coupled thereto. The housing may be included, and the flow path extending means 225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disc housing may be further included.

열교환기 본체(221)는 일면은 막히고 타면은 개방된 디스크형 용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버(226)는 상술한 열교환기 본체(221)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 본체(221) 및 커버(226)가 결합되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 디스크형 하우징을 이룰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body 221 may have the shape of a disc-shaped container whose one side is blocked and the other side is open, and the cover 226 may be coupl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body 221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heat exchanger body 221 and the cover 226 are combined, a second disc-shaped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may be formed.

열교환기 본체(221)의 일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유입공(223)이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는 핀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226)의 중심부에는 유출공(229)이 형성된 중공관형의 연결관부(2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연결관부(227)의 단부에는 플랜지(228)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제2 디스크형 하우징의 일면에는 유입공(223)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유출공(229)이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hole 223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body 221, and a pinhole 222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hollow tubular connector 227 having an outlet hole 229 formed therein may be protru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226, and a flange 228 may protrude radially at an end of the connector 227. . That is, an inflow hole 22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disc housing of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and an outlet hole 229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여기서, 상술한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의 커버(216)에 형성된 핀홀(217) 및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열교환기 본체(221)에 형성된 핀홀(222)에는 핀(224)이 관통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및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는 핀(224)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fin hole 217 formed in the cover 216 of the first disk heat exchanger 210 and the pin hole 222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221 of the second disk heat exchanger 220 may include a fin ( 224 may be installed through. Thus, the first disk heat exchanger 210 and the second disk heat exchanger 220 may be relatively rotatably coupled by the fin 224.

이때,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의 타면에 형성된 유출공(219) 및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일면에 형성된 유입공(223)은 핀(224)으로부터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유출공(219)으로 유출되는 액화가스가 유입공(223)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let hole 219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isk heat exchanger 210 and the inlet hole 22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disk heat exchanger 220 are respectively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from the fin 224. Is formed, the liquefied gas flowing into the outlet hole 219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223.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및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가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유출공(219) 및 유입공(223)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거나 다시 넓어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disk heat exchanger 210 and the second disk heat exchanger 220 ar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isk heat exchanger 210 is a second disk heat exchanger ( When rotated relative to the 22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formed by the outlet hole 219 and the inlet hole 223 may be narrowed or widened again.

즉,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및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상술한 통로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 통로를 통과하는 액화가스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described abov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disc heat exchanger 210 and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the amount of liquefied gas passing through the passage may be adjusted. have.

한편,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제2 디스크형 하우징 내에도 유동경로 연장수단(225)이 설치될 수 있다.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공(223)으로 유입된 액화가스가 유출공(229)으로 유동되기 전까지 유동되는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25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second disc housing of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is for extending the flow path until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223 flows to the outlet hole 229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은 일방향 나선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유동경로 연장수단(225)는 타방향 나선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20)를 거친 액화가스의 회전방향이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에서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재기화된 액화가스 및 액상의 액화가스가 혼합된 상태의 액화가스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난류의 발생이 억제되어 소음의 발생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Here,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of the first disk type heat exchanger 220 may be formed to have a one-way spiral, and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25 of the second disk type heat exchanger 230 may be the other direction spiral. It may be formed to have. This is to mainta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iquefied gas passed through the first disk type heat exchanger 220 in the second disk type heat exchanger 230. The liquefied gas is mixed with the regasified liquefied gas and the liquid liquefied gas.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s suppressed in the course of the flow of ga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noise.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타면에는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의 커버(226) 및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일면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disk heat exchanger 2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disk heat exchanger 230. That is, the cover 226 of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and one surface of the third disc heat exchanger 230 may be rotatably coupl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에는 열교환기 본체(231) 및 커버(236)가 결합된 제3 디스크형 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고, 제3 디스크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유동경로 연장수단(235)이 더 포함될 수 있다.4 and 5 together, the third disc-type heat exchanger 230 may include a third disc-shaped housing in which the heat exchanger body 231 and the cover 236 are combined, and within the third disc-shaped housing. Flow path extension means 235 is installed may be further included.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열교환기 본체(231)는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4의 211)의 열교환기 본체(211)와 같이, 일면은 막히고 타면은 개방된 디스크형 용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버(236)는 열교환기 본체(231)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 본체(231) 및 커버(236)가 결합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3 디스크형 하우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body 231 of the third disc heat exchanger 230 is the same as the heat exchanger body 211 of the first disc heat exchanger (211 of FIG. 4). It may have a shape, and the cover 236 may be coupl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body 231. Therefore, when the heat exchanger body 231 and the cover 236 are combined, a third disc-shaped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may be formed as shown.

열교환기 본체(231)의 일면 중심부에는 유입공(23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공(234)에는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4의 220)의 커버(226)에 형성된 연결관부(도 4의 227)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연결관부(도 4의 227)는 유입공(2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관부(도 4의 227)의 단부에 플랜지(228)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유입공(234)의 측부에는 연결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hole 234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body 231. Here, the inlet hole 234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pe portion (227 of FIG. 4) formed in the cover 226 of the second disk type heat exchanger (220 of FIG. 4).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pe portion (227 of Figure 4) is formed so that the flange 228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227 of Figure 4)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234). At this time, the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ide of the inlet hole 234 so that the flange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is inserted and rotated.

따라서,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4의 220)의 커버(226)는 연결관부(도 4의 227)에 의해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열교환기 본체(2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4의 220)를 거쳐 유출공(229)으로 배출되는 액화가스가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유입공(234)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ver 226 of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in FIG. 4) is rotatable with the heat exchanger body 231 of the third disc heat exchanger 230 by the connecting pipe part 227.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to the outlet hole 229 through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of FIG. 4)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234 of the third disc heat exchanger 230.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커버(236)의 중심부에는 핀홀(23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236)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유출공(23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제3 디스크형 하우징의 일면에는 유입공(234)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유출공(23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공(234)으로 유입된 액화가스는 제3 디스크형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거쳐서 유출공(239)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A pinhole 237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236 of the third disc type heat exchanger 230, and an outlet hole 239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cover 236. That is, an inlet hole 234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disc housing of the third disc heat exchanger 230, and an outlet hole 239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Therefore,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234 may flow out through the outlet hole 239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disc-shaped housing.

열교환기 본체(231) 및 커버(236)로 이루어진 제3 디스크형 하우징의 상술한 내부 공간에는 유동경로 연장수단(235)이 설치될 수 있다. 유동경로 연장수단(215)은 유입공(234)을 통하여 유입된 액화가스가 유출공(239)까지 유동되는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동경로 연장수단(235)은 상술한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의 유동경로 연장수단(215)과 같이 일방향 나선형을 가질 수 있다.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35 may be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inner space of the third disc-shaped housing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body 231 and the cover 236.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is for extend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234 flows to the outlet hole 239.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35 may have a one-way spiral like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of the first disc type heat exchanger 210 described above.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의 커버(236)에 형성된 핀홀(237)에는 도시되지 않은 핀이 결합되며, 이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ins (not shown) are coupled to the pinholes 237 formed in the cover 236 of the third disc heat exchanger 230, and the fourth disc heat exchanger (240 in FIG. 3) is formed by the fins (not shown). Can be rotatably coupl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40) 내에도 유동경로 연장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이는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20)의 유동경로 연장수단(225)와 같이 타방향 나선형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flow path extension means may be installed in the fourth disc heat exchanger (240 of FIG. 3), which means that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25 of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of FIG. 3) may be provided. It may have a spiral in the other direction as shown.

제5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50)는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6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60)는 제5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fth disk type heat exchanger 250 of FIG. 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disk type heat exchanger 240 of FIG. 3, and the sixth disk type heat exchanger 260 of FIG. 3 is the fifth disk type heat exchanger. 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evice 260 of FIG. 3.

이때,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40)는 일면의 가장자리에 유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타면의 중심부에 유출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40)의 유입공(도시되지 않음)은 유출공(239)에 상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disk-type heat exchanger 240 (in FIG. 3) may have an inlet hole (not shown) formed at an edge of one surface thereof, and an outlet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thereof. An inlet hole (not shown) of the fourth disc type heat exchanger 240 of FIG. 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hole 239.

제5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50)의 일면 중심부에는 유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타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유출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6 디스크형 열교환기(도 3의 260)의 일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유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타면 중심부에는 유출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유출공(도시되지 않음)에는 재기화가스 유동관(도 3의 203)이 연결될 수 있다.An inlet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fth disc type heat exchanger 250 of FIG. 3, and an outlet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an edge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fth disc type heat exchanger 250. An inlet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one surface of 260 of FIG. 3, and an outlet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This outflow hol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regasification gas flow pipe (203 of FIG. 3).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재기화수단(202)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는 각각의 일면 및 타면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may rotate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Can be connected.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중 제1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제3 디스크형 열교환기(230) 및 제5 디스크형 열교환기(250)는 일면의 중심부에 유입공(도 4의 212, 도 5의 234, 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고, 타면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유출공(도 4의 219, 239, 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first disk heat exchanger 210 and the third disk heat exchanger among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In the 230 and the fifth disk type heat exchanger 250, inlet holes (212 in Fig. 4, 234 in Fig. 5, not shown) are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respectively, and outlet holes (Fig. 4, 219, 239 (not shown) may be formed respectively.

또한,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240) 및 제6 디스크형 열교환기(260)는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도 4의 223,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타면의 중심부에 유출공(도 4의 229,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the fourth disc heat exchanger 240, and the sixth disc heat exchanger 260 are inlet holes (223 of FIG. 4, the rest are not shown) ) Is formed, and outflow holes (229 of FIG. 4, the rest of which ar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즉, 재기화수단(202)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는 일면의 중심부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출공이 형성된 것(210, 230, 250) 및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의 중심부에 유출공이 형성된 것(220, 240, 260)이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260)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is formed in the inlet hole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and the outlet hole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210 , 230, 250 and the inlet hole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one surface and the outlet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220, 240, 26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중 인접하게 배치된 것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액화가스가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disposed adjacently rotate relatively, a cross-sectional area of a passage through which liquefied gas passes may change.

한편,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긴 것으로부터 직경이 짧은 것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액화가스 및 대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의 표면이 대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 (210, 220, 230, 240, 250, 260) as shown in the long diameter from the shorter one may be arranged sequentially. This is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liquefied gas and the atmosphere, an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260) in contact with the atmosphere.

참고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의 표면이 대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중 인접한 것들끼리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area in which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are in contact with the atmosphere,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s 210, 220, Adjacent ones 230, 240, 250, and 260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from each other.

그리고,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교환기 본체(도 4의 211, 221, 231, 그 외는 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는 복수의 방열핀(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거나 요철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여 대기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body (211, 221, 231 and others of FIG. 4) is not shown in order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There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heat radiation fins (not shown) or to form an uneven portion (not shown)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atmosphere.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의 디스크형 하우징들 및 유동경로 연장수단(도 4의 215, 225, 도 5의 235,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은 액화가스 및 대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disk housings of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260 and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225 of FIG. 4, 235 of FIG. 5, others not shown) are liquefied.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gas and the atmosphere can be made of a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

다만, 디스크형 하우징들 및 유동경로 연장수단(도 4의 215, 225, 도 5의 235,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은 극저온의 액화가스와 직접 접촉될 수 있으므로,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disk housings and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225 of Figure 4, 235 of Figure 5, the rest are not shown)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ryogenic liquefied gas, so select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cryogenic temperatures Can be used.

특히, 유동경로 연장수단(도 4의 215, 225, 도 5의 235,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은 가급적 성형성이 좋고 액화가스의 유동에 의해 변형 등이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하므로, 알루미늄합금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스트랩이 일방향 나선형 또는 타방향 나선형으로 감겨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225 of FIG. 4, 235 of FIG. 5, the rest is not shown) is preferably moldability and should be a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and the like caused by the flow of liquefied gas, aluminum Metal straps, such as alloys or stainless steels, may be used that are formed by winding in one direction spiral or the other direction spiral.

그리고,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는 대기에 포함된 수분이 결빙될 수 있다. 수분이 결빙될 경우에는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중 인접한 것들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액화가스의 유동량을 조절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의 표면에는 응결된 수분이 부착되지 않도록 발수성 재료로 코팅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moisture included in the atmosphere may be frozen between adjacent ones of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When moisture freezes, adjacent ones of the plurality of disc 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may not rotate relatively, and thus,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liquefied gas. Therefore,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may be coated with a water repellent material so that condensed water does not adhere.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 중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240) 및 제5 디스크형 열교환기(250)에는 조절레버(229, 249, 259)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the second disk heat exchanger 220, the fourth disk heat exchanger 240, and the fifth disk heat exchanger 250 are included. The control levers 229, 249 and 259 may be installed respectively.

조절레버(229, 249, 259)는 제2 디스크형 열교환기(220), 제4 디스크형 열교환기(240) 및 제5 디스크형 열교환기(250)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액화가스 유입관(201)을 통하여 유입된 액화가스가 재기화수단(202)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재기화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trol levers 229, 249, and 259 are for rotating the second disc heat exchanger 220, the fourth disc heat exchanger 240, and the fifth disc heat exchanger 250, respectively.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through the 201 is to adjust the amount of regasification gas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즉, 재기화수단(202)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의 상대적인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연료가스 공급관(205)을 통하여 엔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engine (not shown) through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by adjust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260)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fuel gas supplied to the back.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210, 220, 230, 240, 250, 260)의 표면온도는 극저온일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229, 249, 259)는 작업자의 손 등이 극저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그 단부를 감쌀 수 있다.Surface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may be cryogenic. Accordingly, the handles 229, 249, and 259 may be manufactured using synthetic resins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or the ends thereof, so that the operator's hand and the like are not exposed to cryogenic temperatures.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엔진(도시되지 않음) 등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가스의 양에 따라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 (210, 220, 230, 240, 250, 26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s 210, 220, 230, 240, 250, and 260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uel gas required by an engine (not shown).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연료가스 공급관(205)에 연료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도시되지 않음) 및 유량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에 따라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 (210, 220, 230, 240, 250, 260) 중 일부를 회전시키는 열교환기 회전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고, 유량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측정되는 연료가스의 양이 설정된 범위 내에 들도록 열교환기 회전수단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210, 220, 230, according to signals of a flow sensor (not shown) and a flow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uel gas 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Heat exchanger rotating means (not shown) for rotating a part of 240, 250 and 260 is installed, and the heat exchanger rotating means is operated so that the amount of fuel gas measured by the flow sensor (not shown) falls within a set range. You can do that.

도 6에는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6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and FIG. 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도 6을 참조하면, 열교환기 본체(211a) 내에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예(215a)가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본체(211a)에는 유입공(212a)이 형성되어, 액화가스가 유입공(212a)을 통하여 열교환기 본체(211a) 내로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other example 215a of flow path extension means is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r body 211a. An inlet hole 212a is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body 211a, and liquefied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body 211a through the inlet hole 212a.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예(215a)는 유입공(212a)으로 유입된 액화가스가 유동하는 경로를 연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액화가스가 열교환기 본체(211a) 내부 공간의 전 영역을 유동하도록 하고 특히 가장자리 부분까지 유동하도록 하여 열교환기 본체(211a) 주변의 대기와 액화가스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a extends a path through which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212a flows, in which the liquefied gas flow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space inside the heat exchanger body 211a.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atmosphere and the liquefied gas around the heat exchanger body (211a) by flowing to the edge portion.

도 7을 참조하면, 열교환기 본체(211b) 내에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또 다른 예(215b)가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본체(211b)에는 유입공(212b)이 형성되어, 액화가스가 유입공(212b)을 통하여 열교환기 본체(211b) 내로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nother example 215b of flow path extension means is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r body 211b. An inlet hole 212b is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body 211b so that the liquefied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body 211b through the inlet hole 212b.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또 다른 예(215b)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예(215a)와 같이, 유입공(212b)으로 유입된 액화가스가 유동하는 경로를 연장한다.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또 다른 예(215b) 또한 액화가스가 열교환기 본체(211b) 내부 공간의 전 영역을 유동하도록 하고, 특히 가장자리 부분까지 유동하도록 하여 열교환기 본체(211b) 주변의 대기와 액화가스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b also extends the path through which the liquefied gas flowing into the inlet hole 212b flows, as in the other example 215a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b also allows the liquefied gas to flow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t exchanger body 211b, in particular to the edge, so that the atmosphere and the liquefied gas around the heat exchanger body 211b are allowed to flow. Can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예(215a) 및 유동경로 연장수단의 또 다른 예(215b)는 앞서 설명한 유동경로 연장수단(도 4의 215, 225, 도 5의 235, 그 외는 도시되지 않음)을 대체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215a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another example 215b of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a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low path extension means (215, 225 of FIG. 4, 235 of FIG. 5). , Others not shown) can be substituted.

도 8에는 도 3에 A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8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portion marked A in FIG. 3.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도 1의 1)의 연료가스 생성 장치(도 1의 200)에 포함된 기액분리기(208)에는 기액분리기 본체(281) 및 팬(285)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gas-liquid separator 208 included in the fuel gas generator (200 of FIG. 1) of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1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s-liquid separator body 281. ) And fan 285 may be included.

기액분리기 본체(281)의 저면에는 유동관(203)이 연결되는데, 유동관(203)의 단부는 기액분리기 본체(281)의 저면보다 소정의 높이(h)만큼 높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액분리기 본체(281)의 가장자리부분 하측에는 액상가스 배출공(282)이 형성될 수 있고, 액상가스 배출공(282)에는 리턴 파이프(271)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gas-liquid separator body 281 is connected to the flow tube 203, the end of the flow tube 203 may be installed by a predetermined height (h)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liquid separator body 281. In addition, a liquid gas discharge hole 282 may be formed below the edge port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body 281, and one end of the return pipe 271 may be connected to the liquid gas discharge hole 282.

기액분리기 본체(281)의 상측에는 팬(285)이 설치될 수 있으며, 팬(285)에는 연료가스 공급관(205)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A fan 285 may be install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body 281, and one end of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may be connected to the fan 285.

따라서, 액화가스가 재기화수단(도 3의 202)을 거치며 생성된 재기화가스가 유동관(203)을 통하여 기액분리기 본체(281) 내로 유입되면, 기체상태의 재기화가스는 기액분리기 본체(281)를 거쳐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유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iquefied gas passes through the regasification means (202 in FIG. 3) and the generated regasified gas flows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main body 281 through the flow pipe 203, the gaseous regasification gas is the gas-liquid separator main body 281 And flows 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그리고, 재기화가스에 포함된 액상가스는 기액분리기 본체(281)의 저면에 고이게 되고, 액상가스 배출공(282)를 통하여 리턴 파이프(271)로 유입된다. 이때, 연료가스 공급관(205)은 기액분리기 본체(281)의 저면보다 높게 설치되므로, 액상가스가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liquid gas included in the regasification gas is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gas-liquid separator main body 281 and is introduced into the return pipe 271 through the liquid gas discharge hole 282. At this time, since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gas-liquid separator body 281, the liquid ga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팬(285)은 재기화가스가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팬(285)의 가동에 의해 재기화가스 중 기체상태의 것이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더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The fan 285 is for smoothly flowing the regasification gas in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and the gaseous state of the regasification gas is more easily moved 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by the operation of the fan 285. Can be.

그리고,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팬(285) 및 연료가스 공급관(205)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도 1의 1)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 연료가스 공급관(205)을 팬(285)로부터 분리한 후 다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에 연결하여 연료가스 공급관(205)으로 연료가스가 계속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fan 285 and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may be detachably coupled. That is, when all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1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is separated from the fan 285 and then another container-type liquefaction The fuel gas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by connecting to the gas tank.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9 shows a container ship having a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10)에는 선체(11), 복수의 격벽(12, 12a), 엔진룸(14), 연료가스 공급관 연결수단(15) 및 운반수단(16)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11)에는 복수의 격벽(12, 12a)으로 구획되는 적재부(13, 13a)가 형성될 수 있다.9, a container ship 10 having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11, a plurality of partitions 12 and 12a, an engine room 14, and fuel gas. Supply pipe connection means 15 and conveying means 16 may be included. The hull 11 may include loading portions 13 and 13a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12 and 12a.

선체(11)에는 복수의 컨테이너(1, 3)가 적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통상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재부(13, 13a)가 형성될 수 있다.The hull 11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loading portion into which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 and 3 may be stacked. As shown in the drawings, a plurality of loading portions 13 and 13a may be formed.

엔진룸(14)에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데, 이 엔진(도시되지 않음)으로는 벙커씨유나 디젤유와 같은 액체연료 및 천연가스나 석유가스와 같은 기체연료를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엔진(dual fuel diesel engine)이 사용될 수 있다.The engine room 14 is provided with an engine (not shown) for generating propulsion force, which includes liquid fuel such as bunker seed oil or diesel oil and gaseous fuel such as natural gas or petroleum gas. Dual fuel diesel engines, all of which can be used as fuel,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10)에 구비된 복수의 적재부(13, 13a) 중 일부분(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가 적재될 수 있고, 나머지(13a)에는 일반 화물용 컨테이너(3)가 적재될 수 있다.Container-type liquef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ortion 13 of the plurality of loading portions 13 and 13a provided in the container ship 10 having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tank 1 may be loaded, and the remainder 13a may be loaded with a general cargo container 3.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가 적재되는 적재부(13) 및 엔진룸(14) 사이에는 연결가스 공급관(도 3의 205)을 엔진룸(14)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관 연결수단(15)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gas supply pipe (205 of FIG. 3) between the loading unit 13 and the engine room 14 in which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1 is loa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ngine room 14. Fuel gas supply pipe connecting means 15 for connecting may be installed.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료가스 공급관 연결수단(15)은 연결가스 공급관(도 3의 205)이 통과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가 연료가스 공급관(도 3의 205)을 통해 엔진룸(14)에 설치된 엔진(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fuel gas supply pipe connection means 15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gas supply pipe (205 of FIG. 3) can pass therethrough, and is supplied from th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gas can be supplied to an engine (not shown)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14 through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of FIG. 3.

적재부(13)에는 복수의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가 적재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모두 소모된 후에는 다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에 연료가스 공급관(도 3의 205)을 이동시켜 연결함으로써 엔진(도시되지 않음)에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s 1 may be loaded in the loading part 13, after the liquefied gas stored in on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is exhausted, the fuel is stored in another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By moving and connecting the gas supply pipe 205 of FIG. 3,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fuel to the engine (not shown).

이때, 연료가스 공급관(도 3의 205)을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를 교체하는 동안 엔진에 연료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동시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only one fuel gas supply pipe 205 of FIG. 3 is used, fuel supply to the engine may be stopped while replacing th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as described above, and thus, several container type liquefied gases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The tank 1 can be connected and used.

즉, 연료가스 공급관(도 3의 205) 및 연료가스 공급관 연결수단(15)을 각각 복수로 구비하고, 복수의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를 각각 연결하여 저장된 액화가스가 모두 소모된 것을 순차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엔진에 연료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fuel gas supply pipes (205 of FIG. 3) and fuel gas supply pipe connecting means 15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quentially consume the stored liquefied gas. It is possible to keep the fuel gas supplied to the engine by replacing it with.

이때, 액화가스가 모두 소모된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는 운반수단(16)을 이용하여 적재부(13)의 다른 위치 또는 다른 적재부(13a)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 중 저장된 액화가스를 엔진(도시되지 않음)의 연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를 엔진룸(14)에 인접한 적재부(13)로 이동시켜 연료가스 공급관(도 3의 205)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1 is exhausted all the liquefied gas can be moved to another position of the loading portion 13 or another loading portion 13a by using the conveying means 16, a plurality of container type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1, which intends to use the stored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d gas tank 1 as fuel for an engine (not shown), is moved to the loading part 13 adjacent to the engine room 14 to supply the fuel gas supply pipe. (205 of FIG. 3) can be easily connected.

일반 화물 컨테이너(3)가 적재되는 적재부(13a)에도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1)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으로 대량의 액화가스를 수송할 수 있다.Since th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 can also be loaded in the loading portion 13a on which the general cargo container 3 is loaded, a large amount of container ships having a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transport liquefied gas.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가스 생성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컨테이너형 액화 가스 탱크에 설치되어 연료 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컨테이너형 액화 가스 탱크 이외에 독립적인 형태로 연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uel gas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s in this embodiment, but configured to generate fuel gas, independent of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Of course, it can also be used a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fuel gas in the form.

그리고,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가스 생성 장치 그리고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및 컨테이너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while the fuel gas generating device and the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the container ship hav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the addition, modification, deletion, addition, etc. of the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

1: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3: 화물 컨테이너
10: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11: 선체 12, 12a: 격벽
13, 13a: 적재부 14: 엔진룸
15: 연료가스 공급관 연결수단 16: 운반수단
100: 압력용기 101: 압력용기 본체
200: 연료가스 생성 장치 201: 액화가스 유입관
202: 재기화수단 203: 재기화가스 유동관
205: 연료가스 공급관 207: 재순환수단
208: 기액분리기 300: 컨테이너형 하우징
1: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3: cargo container
10: container ship with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11: hull 12, 12a: bulkhead
13, 13a: loading section 14: engine room
15: fuel gas supply pipe connecting means 16: transport means
100: pressure vessel 101: pressure vessel body
200: fuel gas generator 201: liquefied gas inlet pipe
202: regasification means 203: regasification gas flow tube
205: fuel gas supply pipe 207: recirculation means
208: gas-liquid separator 300: container type housing

Claims (13)

액화가스를 주변의 대기와 열교환시켜 재기화 가스를 생성하는 재기화수단;
상기 재기화 가스로부터 액상가스를 분리하여 연료가스를 생성하는 기액분리기; 및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상기 액상가스를 상기 재기화수단으로 복귀시키는 재순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생성 장치.
Regasification means for exchanging liquefied gas with the surrounding atmosphere to produce regasified gas;
A gas-liquid separator that separates liquid gas from the regasification gas to generate fuel gas; And
And recirculating means for returning the liquid gas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to the regasific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수단은,
일면 및 타면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는, 일면의 중심부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출공이 형성된 것 및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의 중심부에 유출공이 형성된 것이 번갈아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유출공 및 인접한 상기 유입공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gasification mean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isk-type heat exchanger is alternately arranged that the inle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and the outlet hole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and the inlet hole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one surface and the outle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k-type heat exchanger is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ose disposed adjacent, the fuel gas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formed by the outlet hole and the adjacent inlet hole is changed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에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레버가 설치되는, 연료 가스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regulating lever for rota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disc heat exchang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열교환기는,
일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유출공이 형성된 디스크형 하우징; 및
상기 디스크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상기 액화가스가 상기 유출공으로 유동되는 경로를 연장시키는 유동경로 연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k heat exchanger,
A disk-shaped housing in which the inflow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utflow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nd
And a flow path extension means installed in the disc housing and exten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liquefied gas introduced into the inflow hole flows to the outflow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크형 열교환기는.
직경이 긴 것으로부터 직경이 짧은 것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생성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disk heat exchanger.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s having the shortest diameter are arranged sequentially from the one having the longest diame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경로 연장수단은,
금속 스트랩이 일방향 나선형 또는 타방향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생성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low path extending means,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strap is wound in one direction spiral or the other direction spir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수단은,
상기 액상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 또는 압송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irculation means,
Fuel gas genera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mpressor or a pump for compressing the liquid gas.
컨테이너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압력용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용기에 구비된 배출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 변화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가스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Container-type housings;
A pressure vessel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storing liquefied gas; And
A fuel gas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verts the liquefied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valve provided in the pressure vessel into fuel gas.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ISO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의 표준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ousing is a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ndard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블록 및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압력용기의 중간영역은 상기 지지 블록에 안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9. The method of claim 8,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housing includes a support block and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pressure vessel,
The intermediate region of the pressure vessel is seated in the support block,
Both ends of the pressure vessel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의 본체 내에 액화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밸브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9. The method of claim 8,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including an injection valve for injecting liquefied gas into the body of the pressure vesse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의 본체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further comprises a relief valve for preventing excessive pressure in the body of the pressure vessel.
복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부가 구비된 컨테이너선으로서,
액체연료 및 가스연료를 공급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이중연료엔진;
상기 적재부 및 상기 이중연료엔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가스 공급관; 및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고, 상기 연료가스 공급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8항에 따른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액화가스 탱크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A container ship having at least one stacking unit on which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stacked,
A dual fuel engine for receiving propulsion by receiving liquid fuel and gas fuel;
At least one fuel gas supply pipe connecting the loading unit and the dual fuel engine; And
A container ship having a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which is loaded on the loading unit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uel gas supply pipe, and includes a container-type liquefied gas tank according to claim 8.
KR1020110123165A 2011-11-23 2011-11-23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3049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65A KR101304920B1 (en) 2011-11-23 2011-11-23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65A KR101304920B1 (en) 2011-11-23 2011-11-23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22A true KR20130057322A (en) 2013-05-31
KR101304920B1 KR101304920B1 (en) 2013-09-05

Family

ID=4866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4920B1 (en) 2011-11-23 2011-11-23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9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909A (en) 2017-03-16 2018-10-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iso tank container
WO2019105529A1 (en) 2017-11-28 2019-06-06 TECHNOLOG GmbH Handel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für Technologie Mobile container-tank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022A (en) 1998-03-18 2000-07-18 Mobil Oil Corporation Regasific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aboard a transport vessel
KR20100123302A (en) * 2009-05-15 2010-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fuel gas supply system and a lng carrier with the same
KR20110041940A (en) * 2009-10-16 2011-04-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s with Heterogeneous Fuel Propulsion Systems
KR20110087728A (en) * 2010-01-27 2011-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Carriers with Regasif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909A (en) 2017-03-16 2018-10-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iso tank container
WO2019105529A1 (en) 2017-11-28 2019-06-06 TECHNOLOG GmbH Handel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für Technologie Mobile container-tank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920B1 (en)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06B1 (en) Fuel tank arrangement of marine vessel
JP5134621B2 (en) Ship
ES2928646T3 (en) Vessel for the transport of liquefied gas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vessel
JP7022144B2 (en) Vessel / floating storage unit with dual cryogenic loading tanks for LNG and liquid nitrogen
CN109154421B (en) Apparatus for supplying combustible gas to components consuming gas and for liquefying said combustible gas
KR101934324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supporter
JP2014525366A (en) Marine platform with outer vessel
KR102222221B1 (en) Arrangement of fuel tanks on a ship
KR20100137758A (en) Evaporating Gas Discharge Device for Ship Carbon Dioxide Transfer Tank
KR101304920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gas and container type liquefied gas tank and container ship including the same
KR20180128970A (en) Birobes or multi-lobe tanks
KR20230083963A (en) Mounting structure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 vessel having the same
KR200492110Y1 (en) Regasification apparatus of Gas and Ship having same
KR20100131698A (en) Liquefied Gas Storage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with Copper Dam
CN113401284A (en) Leakage liquid storage device of independent liquid tank
KR102028802B1 (en) Tank for storing liquefied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100101871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liquefied gas storage tanks and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the apparatus
KR101125105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liquefied gas storage tanks and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the apparatus
KR102132151B1 (en) Ship propelled by liquefied petroleum gas
KR20220063069A (en) Tank for vessel
KR20230031407A (en) Cryogenic fluid storage tanks for transportation
KR102742828B1 (en) Tank for storing liquefied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RU2779340C2 (en) Device for supply of fluid to and/or release of fluid from tank for liquefied gas storage
KR102623372B1 (en) Gas as Fuelled Pure Car Truck Carrier
KR102061930B1 (en) Gas Fuelled Container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