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026A -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6026A KR20130056026A KR1020110121748A KR20110121748A KR20130056026A KR 20130056026 A KR20130056026 A KR 20130056026A KR 1020110121748 A KR1020110121748 A KR 1020110121748A KR 20110121748 A KR20110121748 A KR 20110121748A KR 20130056026 A KR20130056026 A KR 201300560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mur
- tibia
- walking
- pressure sensor
- measu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10000002303 tibia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272165 Charadri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1872 metatarsal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1137 tarsal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20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082 fibul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99 low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7 slaught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59—Free spatial automatic movement of interface within a working area, e.g. Rob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토크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토크의 제어방법에 따라서 배치되는 압력센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발바닥의 뼈 구조이다.
도 4는 입각기의 보행패턴에 따라서 대퇴골 및 경골에 제공되는 제공되는 생체 토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입각기 및 유각기의 보행패턴에 따라서 압력센서에 측정되는 압력 및 각각의 보행패턴에서 제공될 수 있는 보조토크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30:우측 압력센서 140:뒤꿈치 압력센서
Claims (34)
- 보행자의 보행 보조를 위한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에 있어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발바닥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발바닥 압력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보행주기(gait cycle)가 발바닥이 지면에 닿아 있는 입각기(stance phase)인지 발바닥이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유각기(swing phas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행주기가 상기 입각기에 해당하는 경우, 측정된 상기 발바닥 압력을 근거로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의 회전을 위한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보행주기는 상기 입각기에 해당하며,
측정된 상기 발바닥 압력을 근거로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초기접촉단계(initial contact), 부하반응단계(loading response), 중간입각기(mid stance), 최종입각기(terminal stance), 및 유각전기(pre swing)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접촉단계에서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반응단계에서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에 대해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경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입각기에서는,
상기 대퇴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입각기에서는,
상기 대퇴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각전기에서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에 대해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경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지골(phalange)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토우 압력센서, 중족골(metatarsal bone)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압력센서 및 우측 압력센서, 및 족근골(tarsal bone)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뒤꿈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초기접촉단계에 대응하며,
상기 뒤꿈치 압력센서 및 우측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부하반응단계에 대응하며,
상기 뒤꿈치 압력센서, 상기 우측 압력센서, 및 상기 좌측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중간입각기에 대응하며,
상기 우측 압력센서, 상기 좌측 압력센서, 및 상기 토우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최종입각기에 대응하며,
상기 토우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유각전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각기인지 유각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행주기가 상기 유각기에 해당하는 경우,
대퇴골(femur) 및 경골(tibia)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 사이의 각도를 근거로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의 회전을 위한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보행주기는 상기 유각기에 해당하며,
상기 각도측정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 사이의 각도를 근거로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초기유각기(initial swing), 중간유각기(mid swing), 및 최종유각기(terminal swing)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유각기에서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에 대해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경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유각기에서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유각기에서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측정센서는 대퇴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대퇴골 관성센서 및 상기 경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경골 관성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 관성센서 및 상기 경골 관성센서에서 측정되는 대퇴골 및 경골 사이의 각도가 140 내지 120°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초기유각기에 대응하며,
120 내지 150°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중간유각기에 대응하며,
150 내지 180°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최종유각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 고관절에서 회전하는 대퇴골의 회전을 돕는 대퇴골 회전풀리장치 및 슬관절에서 회전하는 경골의 회전을 돕는 경골 회전풀리장치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에 있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제공되는 상기 압력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주기가 발바닥이 지면에 닿아 있는 입각기인지 발바닥이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유각기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보행주기가 상기 입각기에 해당하는 경우, 측정된 상기 발바닥 압력을 근거로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의 회전을 위한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대퇴골 회전풀리장치 및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보행주기는 상기 입각기에 해당하며,
측정된 상기 발바닥 압력을 근거로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초기접촉단계, 부하반응단계, 중간입각기, 최종입각기, 및 유각전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접촉단계에서,
상기 대퇴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반응단계에서,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에 대해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경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입각기에서,
상기 대퇴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대퇴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입각기에서,
상기 대퇴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대퇴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각전기에서,
상기 대퇴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에 대해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경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지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토우 압력센서, 중족골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압력센서 및 우측 압력센서, 및 족근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뒤꿈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초기접촉단계에 대응하며,
상기 뒤꿈치 압력센서 및 우측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부하반응단계에 대응하며,
상기 뒤꿈치 압력센서, 상기 우측 압력센서, 및 상기 좌측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중간입각기에 대응하며,
상기 우측 압력센서, 상기 좌측 압력센서, 및 상기 토우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최종입각기에 대응하며,
상기 토우 압력센서에서만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면, 상기 입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유각전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 압력센서, 상기 좌측 압력센서, 상기 우측 압력센서, 및 뒤꿈치 압력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압에 의해서 압축 및 팽창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한 내압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똬리 형상으로 제공되는 튜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대퇴골 및 경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에서 압력이 측정되지 않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보행주기를 상기 유각기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대퇴골 및 경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 사이의 각도를 근거로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의 회전을 위한 보조토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상기 발바닥 압력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보행주기는 상기 유각기에 해당하며,
상기 각도측정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상기 대퇴골 및 상기 경골 사이의 각도를 근거로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초기유각기, 중간유각기, 및 최종유각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유각기에서,
상기 대퇴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에 대해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경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유각기에서,
상기 대퇴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대퇴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유각기에서,
상기 경골 회전풀리장치는 상기 경골이 상기 대퇴골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경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측정센서는 대퇴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대퇴골 관성센서 및 상기 경골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경골 관성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 관성센서 및 상기 경골 관성센서에서 측정되는 대퇴골 및 경골 사이의 각도가 140 내지 120°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초기유각기에 대응하며,
120 내지 150°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중간유각기에 대응하며,
150 내지 180°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유각기의 보행패턴은 상기 최종유각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748A KR101317354B1 (ko) | 2011-11-21 | 2011-11-21 |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748A KR101317354B1 (ko) | 2011-11-21 | 2011-11-21 |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6026A true KR20130056026A (ko) | 2013-05-29 |
KR101317354B1 KR101317354B1 (ko) | 2013-10-11 |
Family
ID=4866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1748A Active KR101317354B1 (ko) | 2011-11-21 | 2011-11-21 |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7354B1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4779B1 (ko) * | 2014-06-12 | 2015-02-23 | 국방과학연구소 |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자의 보행단계구분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53065A (ko) * | 2013-11-07 | 2015-05-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로봇 및 보행 보조 로봇의 제어 방법 |
KR20160014284A (ko) * | 2014-07-29 | 2016-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KR20160016356A (ko) * | 2014-08-05 | 2016-02-1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플렉서블 소재가 적용된 관절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160090088A (ko) * | 2015-01-21 | 2016-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방법 및 장치 |
WO2016125979A1 (ko) * | 2015-02-04 | 2016-08-1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보행 재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EP3097947A4 (en) * | 2014-01-24 | 2017-01-11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Electrostimulator |
KR20170013060A (ko) * | 2015-07-27 | 2017-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
US10005179B2 (en) | 2014-01-09 | 2018-06-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lking assistan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lking assistant device |
KR20200078107A (ko) * | 2018-12-21 | 2020-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보행 보조 장치 |
CN112296983A (zh) * | 2019-08-02 | 2021-02-02 | 深圳市肯綮科技有限公司 | 外骨骼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
WO2021201604A1 (ko) * | 2020-03-31 | 2021-10-07 | 서울대학교병원 |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 |
WO2021201605A1 (ko) * | 2020-03-31 | 2021-10-07 | 서울대학교병원 |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자율 주행 캐리어 |
KR102791792B1 (ko) * | 2023-10-27 | 2025-04-09 |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 착용형 로봇의 발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용형 로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7058B1 (ko) * | 2013-11-19 | 2015-05-04 | 현대로템 주식회사 | 고관절용 근력보조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342072B1 (ko) | 2014-10-14 | 2021-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KR101696909B1 (ko) * | 2015-01-20 | 2017-01-1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보행 단계 인식 시스템 |
KR102133939B1 (ko) | 2015-08-28 | 2020-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조력 계산 방법 및 장치 |
KR101836636B1 (ko) * | 2016-05-19 | 2018-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착용식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878038B1 (ko) * | 2016-06-15 | 2018-07-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부목형 보행 보조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95439B1 (ko) * | 2018-02-22 | 2020-04-24 |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 지면반력 센서모듈, 지면반력 센서모듈을 구비한 신발, 지면반력 측정시스템 및 지면반력 측정방법 |
KR102162485B1 (ko) * | 2018-06-18 | 2020-10-07 |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 하지 보조로봇의 제어방법 |
CA3120434C (en) * | 2018-11-22 | 2023-11-28 | Nec Corporation | Load reduction device, load redu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therein |
EP4454626A4 (en) * | 2022-02-11 | 2025-03-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a control parameter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031B1 (ko) * | 2004-11-04 | 2006-08-11 |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 근력증강을 위한 보행보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0939284B1 (ko) * | 2008-03-31 | 2010-01-28 |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 족관절 보행보조장치 |
JP5565037B2 (ja) * | 2010-03-30 | 2014-08-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歩行支援装置 |
-
2011
- 2011-11-21 KR KR1020110121748A patent/KR101317354B1/ko active Active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3065A (ko) * | 2013-11-07 | 2015-05-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로봇 및 보행 보조 로봇의 제어 방법 |
US11801192B2 (en) | 2013-11-07 | 2023-10-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lking assistanc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
US10005179B2 (en) | 2014-01-09 | 2018-06-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lking assistan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lking assistant device |
EP3097947A4 (en) * | 2014-01-24 | 2017-01-11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Electrostimulator |
KR101494779B1 (ko) * | 2014-06-12 | 2015-02-23 | 국방과학연구소 |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자의 보행단계구분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039694A (ko) * | 2014-07-29 | 2022-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KR20160014284A (ko) * | 2014-07-29 | 2016-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KR20230124532A (ko) * | 2014-07-29 | 2023-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KR20160016356A (ko) * | 2014-08-05 | 2016-02-1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플렉서블 소재가 적용된 관절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160090088A (ko) * | 2015-01-21 | 2016-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방법 및 장치 |
WO2016125979A1 (ko) * | 2015-02-04 | 2016-08-1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보행 재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US20180104542A1 (en) * | 2015-02-04 | 2018-04-19 | Curexo, Inc. | Gait rehabilit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
US10881911B2 (en) | 2015-02-04 | 2021-01-05 | Curexo, Inc. | Gait rehabilit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
KR20170013060A (ko) * | 2015-07-27 | 2017-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
KR20200078107A (ko) * | 2018-12-21 | 2020-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행 보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보행 보조 장치 |
CN112296983B (zh) * | 2019-08-02 | 2022-02-15 | 深圳市肯綮科技有限公司 | 外骨骼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
CN112296983A (zh) * | 2019-08-02 | 2021-02-02 | 深圳市肯綮科技有限公司 | 外骨骼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
KR20210122416A (ko) * | 2020-03-31 | 2021-10-12 | 서울대학교병원 |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자율 주행 캐리어 |
KR20210122415A (ko) * | 2020-03-31 | 2021-10-12 | 서울대학교병원 |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 |
WO2021201605A1 (ko) * | 2020-03-31 | 2021-10-07 | 서울대학교병원 |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자율 주행 캐리어 |
WO2021201604A1 (ko) * | 2020-03-31 | 2021-10-07 | 서울대학교병원 |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 |
EP4129264A4 (en) * | 2020-03-31 | 2024-05-01 |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LOWER EXTREMITY ROBOT ORTHOSIS FOR TRAINING GAIT REHABILITATION |
KR102791792B1 (ko) * | 2023-10-27 | 2025-04-09 |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 착용형 로봇의 발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용형 로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7354B1 (ko) | 2013-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7354B1 (ko) |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 |
JP7177318B2 (ja) | 障害のある足首の運動期中の経済的な、携帯用の欠損調整型の適応的な補助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CN109195565B (zh) | 步行动作辅助装置 | |
JP5386253B2 (ja) | 歩行診断支援システム、歩行パターン生成装置、歩行パターン生成プログラム、及び歩行パターン生成方法 | |
CN101548925B (zh) | 一种带踝关节角度自矫正功能的步态相位检测装置 | |
JP5119440B2 (ja) | 股関節及び膝関節自動股義足 | |
Thordarson | Running biomechanics | |
TW201639533A (zh) | 互動式外骨骼膝關節機器系統 | |
JP2005000500A (ja) | 足関節電動装具 | |
KR20150039386A (ko) | 보행 보조 장치 및 보행 보조 장치의 제어방법 | |
CN108577854A (zh) | 步态识别方法和步态辅助设备 | |
JP2014073199A (ja) | 歩行支援装置、及び歩行支援プログラム | |
KR101302364B1 (ko) | 하지보조기용 보행감각 인지장치 | |
KR102550854B1 (ko) | 보행 보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보행 보조 장치 | |
Chen et al. | Kinematic features of rear-foot motion using anterior and posterior ankle-foot orthose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c gait | |
KR100939284B1 (ko) | 족관절 보행보조장치 | |
KR20200078107A (ko) | 보행 보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보행 보조 장치 | |
Tanaka et al. | Development of a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gait training and promotion of exercise | |
KR20190142709A (ko) | 하지 보조로봇의 제어방법 | |
JP2008523947A (ja) | 後方バランスウォーキングシューズ | |
KR102071611B1 (ko) | 발목 근력 보조기 | |
KR101846381B1 (ko) | 발 뒤꿈치의 스웨이 모션을 제공하는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 | |
KR20220090288A (ko) | 전동식 슬관절 보조기 | |
WO2023173752A1 (zh) | 一种康复用外骨骼 | |
KR101846379B1 (ko) | 중족관절의 자유도를 제공하는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