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54109A - Grip of umbrella and set of umbrella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rip of umbrella and set of umbrella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109A
KR20130054109A KR1020120025551A KR20120025551A KR20130054109A KR 20130054109 A KR20130054109 A KR 20130054109A KR 1020120025551 A KR1020120025551 A KR 1020120025551A KR 20120025551 A KR20120025551 A KR 20120025551A KR 20130054109 A KR20130054109 A KR 20130054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mbrella handle
umbrella
fix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보현
Original Assignee
황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현 filed Critical 황보현
Publication of KR2013005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1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PURPOSE: An umbrella handle and an umbrella set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simultaneously carry two or more umbrellas. CONSTITUTION: An umbrella handle comprises: a rod coupling part(110) which is coupled with an umbrella stick; and a fixing part(120) which is extended to the rod coupling part. The fixing part is extended to one side from a central shaft of the rod coupling part and has a coupling side.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plural with same distance.

Description

우산 손잡이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세트{Grip of umbrella and Set of Umbrella including the same}Grip of umbrella and Set of Umbrella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사용하는 우산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우산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of an umbrella that a user can hold on an umbrella used in rainy weather.

우산은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한 유용한 생활소품 중의 하나이다. 동시에 우산은 소지에 상당히 불편함을 주는 물품이기도 하다. 우천 시, 실내에 들어가는 경우 바구니통에 여러 우산을 쑤셔넣어, 분실의 우려가 크기도 하며, 대중 교통 이용시 바닥에 놓고 잊어버리기도 매우 쉽다. 또한, 연인이 모두 우산을 가져 왔으나, 비가 그친 경우, 보통 남성이 2개의 우산을 들어주는 경우가 많은 데, 종래의 우산은 한 명이 2 이상의 우산을 들고 다니기도 불편하다. Umbrellas are one of the most useful daily necessities. At the same time, an umbrella is a very uncomfortable item. If you're going indoors, it's easy to lose a lot of umbrellas in the basket when you go indoors. In addition, all the lovers brought an umbrella, but when the rain has stopped, a man usually lifts two umbrellas, the conventional umbrella is inconvenient to carry one or more umbrella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거치가 용이하며, 식별이 쉬울 뿐만 아니라, 2 이상의 우산을 함께 운반하기도 편하도록 하는 우산손잡이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umbrella handle and an umbrella set comprising the same, easy to mount, easy to identify, and also easy to carry two or more umbrellas together. do.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우산대가 결합되는 봉 결합부; 및 상기 봉 결합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다른 손잡이부와 결합할 수 있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를 제공한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o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umbrella;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d coupling portion. Includes, the handle portion, provides an umbrella handle comprising a; fixed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other handle portion.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봉 결합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결합면이 형성된다.The fix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rod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is formed.

상기 고정결합부는 복수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돌출된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plura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fixed coupling portion is the same distance protruding from the central axis.

상기 결합면에 영구자석이 매설된 것이 효과적이다.It is effective that the permanent magnet is embedded in the bonding surface.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도록 상기 결합면에 고정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lid fixed to the coupling surface to surround the permanent magnet.

상기 결합면에 흡착판이 부착될 수도 있다.Adsorbent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coupling surfac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우산 손잡이는 개별적으로 사용시에는 벽면 등에 거치할 수 있어, 거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Umbrella hand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wall when used separat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ount.

또한, 2개가 하나의 세트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들에게 동질감을 줄 뿐만 아니라, 휴대시, 둘을 결합하여, 하나로 쉽게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two are used in one set, not only gives a sense of homogeneity to the user, bu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combining the two, when carry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우산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다른 모양의 손잡이부의 사시도
도 4는 또 다른 모양의 손잡이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우산을 단독으로 벽면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고정결합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set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art of a different shap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of another shap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mbrella of Figure 1 mounted on a wall alon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mbrella hand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handle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V of FIG.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xed engaging por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mbrella handl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mbrella handle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mbrella handle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우산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se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of Figure 1;

도 1에 도시된 우산세트는 2개의 우산으로 구성된다. The umbrella set shown in FIG. 1 is composed of two umbrellas.

2개의 우산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가 착탈될 수 있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2개의 우산 손잡이(100)를 포함한다. It is coupled to each of the two umbrellas, and includes two umbrella handles 100 each formed a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detached from each other.

2개의 우산손잡이(100)는, 우산대(11)가 결합되는 봉 결합부(110)와, 상기 봉 결합부(110)에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120)를 포함한다.The two umbrella handles 100 include a rod coupling portion 110 to which the umbrella stand 11 is coupled, and a fixing portion 120 extending to the rod coupling portion 110.

봉 결합부(110)는 우산대(1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다만, 모양에 따라서, 고정부가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봉 결합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Rod coupling portion 110 is formed so that the umbrella stand 11 is fitted and coupled, and serves as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 However, depending on the shape, the fixing part may serve as a handle. Si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od coupling portion 110 is already known a lo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고정부(120)는 전체적인 모양을 형성하는 고정부본체(121)와, 다른 우산의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는 고정결합부(122)를 포함한다. 고정부본체(121)는 도 2와 같이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도 3과 같이 사각형 혹은 도4와 같이 문자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트로 판매되는 우산의 손잡이는 함께 결합되었을 때, 특정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함께 결합되었을 때, 하트모양이 되거나, 도 3과 같이 사각형 모양이 되거나, 도 4와 같이 문자로 되어 이니셜을 의미하는 등의 모양이 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120 includes a fixing part body 121 that forms an overall shape, and a fixing coupling part 122 that can be combined with a fixing part of another umbrella. The fixed part body 121 may be formed in a curve as shown in FIG. 2, o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letter as shown in FIG. 3 or a rectangle as shown in FIG. 4. At this time, the handles of the umbrellas sold as a set, when combined together, preferably form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when combined together as shown in FIG. 1, it may be shaped like a heart, a rectangle as shown in FIG. 3, or as a letter as shown in FIG. 4 to mean initials.

고정결합부(122)는 다른 우산의 고정결합부와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봉 결합부(110)의 중심축(111)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결합면(123)이 형성된다.The fixed coupling portion 122 is for coupling with the fixed coupling portion of the other umbrella,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based on the central axis 111 of the rod coupling portion 1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Coupling surface 123 is formed.

즉, 결합면(123)은 우산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고정결합부(122) 및 고정 결합면(123)은 1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도 2와 같이, 손잡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결합력의 증대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면(123)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고정결합부(122)의 봉 결합부(110)의 중심축(111)에서 돌출되는 거리(D)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결합부(122)의 돌출되는 거리가 동일함으로써, 도 6과 같이, 금속성으로 형성된 거치판(1: 사물함이나, 버스의 벽면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surface 123 is formed to look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mbrella. Only one fixed coupling portion 122 and one fixed coupling surface 123 may be formed, but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y form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handle length direction.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oupling surfaces 123 are formed, the distances D protruding from the central axis 111 of the rod coupling portion 110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122 are preferably equal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truding distances of the fixed coupling part 122 are the same, as shown in FIG. 6, the fixed coupling part 122 may be stably fixed to the mounting plate (eg, a locker or a wall of a bus, etc.) formed of metal.

결합면(123)에는 영구자석(124)이 매설된다. 세트로 판매되는 우산 혹은 손잡이의 경우, 상기 2개의 우산 손잡이의 마주보는 상기 결합면(123)에 매설되는 상기 영구자석(124)은 극성이 서로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세트로 판매되는 우산의 손잡이가 서로 마주보고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Permanent magnet 124 is embedded in the engaging surface 123. In the case of umbrellas or handles sold in sets, the permanent magnets 124 embedded in the mating surfaces 123 facing the two umbrella handles are preferably opposite in polarity. As a result, the handles of the umbrellas sold as a set can be combined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면(123)에 영구자석(124)이 매설된 것을 예시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흡착판이나, 요철등으로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흡착판의 경우 평편한 면에서 모두 흡착할 수 있으므로, 거치할 수 있는 장소의 제한이 많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manent magnet 124 is embedded in the coupling surface 123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n adsorption plate or an uneven surfa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adsorption plate, since all of the adsorption is possible on a flat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triction of the place to be mounted is much reduc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우산 손잡이는 개별적으로 사용시에는 벽면 등에 거치할 수 있어, 거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2개가 하나의 세트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들에게 동질감을 줄 뿐만 아니라, 휴대시, 둘을 결합하여, 하나로 쉽게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mbrella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wall or the like when used individu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unting is easy. In addition, when the two are used in one set, not only gives a sense of homogeneity to the user, bu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combining the two, when carrying.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분리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mbrella hand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는 고정결합부(122)의 결합면(123)에 설치되는 영구자석(124)을 감싸도록 결합면(123)에 고정되는 뚜껑(12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결합면(123)에는 영구자석(124)을 수용할 수 있는 결합면측 수용홈(126)이 형성되며, 뚜껑(129)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28)이 형성된다. 또한, 뚜껑(129)의 결합면측 수용홈(126)을 바라보는 면에 뚜껑측 수용홈(127)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고정홈(128)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2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잦은 사용으로인해 영구자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Umbrella handl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d 129 is fixed to the coupling surface 123 to surround the permanent magnet 124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surface 123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122 . That is, the coupling surface 123 is formed with a coupling surface side receiving groove 126 that can accommodate the permanent magnet 124, the fixing groove 128 for fixing the lid 129 is formed. In addition, the lid side receiving groove 127 is formed in the surface facing the coupling surface side receiving groove 126 of the lid 129, the fixing piece 125 for inserting and fixing in the fixing groove 128 protrudes It is formed. By forming in this w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rmanent magne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due to frequent use.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부분의 확대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handle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FIG.

제 3 실시예에서 서로 결합되는 2개의 우산 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고정 결합부(1122a)의 결합면에는 결합용 돌기(1124a)가 돌출되며, 나머지 상기 우산손잡이의 고정결합부(1122b)에는 결합용 돌기(1124a)와 맞물릴 수 있도록 결합용 홈(1124b)이 형성된다. 한편, 하나의 우산손잡이(1100a)의 복수개 고정결합부(1122a, 1122c) 중 어느 하나의 고정결합부(1122a)의 결합면에는 결합용 돌기(1124a)가 형성되며, 나머지 고정결합부(1122c)의 결합면에는 결합용 홈(1124c)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용 돌기만 형성되거나, 결합용 홈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a coupling protrusion 1124a protrudes from the coupling surface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1122a of any one of the two umbrella handles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coupling portion 1122b of the other umbrella handle is used for coupling. Coupling grooves 1124b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1124a. Meanwhile, a coupling protrusion 1124a is formed on a coupling surfac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ed coupling portions 1122a and 1122c of the umbrella handle 1100a, and the remaining fixed coupling portion 1122c is provide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1124c is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a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r only a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결합용 돌기(1124a)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결합용 홈(1124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있는 임시고정용 탄성부(1125)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용 돌기(1124a)의 일 측면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돌출된 임시 고정용 탄성부(1125)와, 상기 결합용 홈(1124b)의 일 측면에 돌출된 상기 임시 고정용 탄성부(1125)가 수용되는 임시 고정용 홈(1126)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임시 고정용 탄성부(1125)를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재료 자체가 탄성변형 가능한 범위의 크기로 임시 고정용 탄성부(1125)를 돌출 형성하거나, 내부에 별도의 스프링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1124a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s a temporary fixing elastic part 1125 capable of applying pressure to the coupling groove 1124b. That is, the temporary fixing elastic part 1125 protruding elastically deformable to on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24a and the temporary fixing elastic part 1125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1124b. The temporary fixing groove 1126 is accommodated is formed by the recess. Configuring the temporary fixing elastic part 1125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may protrude the temporary fixing elastic part 1125 to a size in a range in which the material itself is elastically deformable, or may use a separate spring structure therein. .

이와 같이, 고정용 탄성부(1125)를 구비함으로써, 자석보다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으며, 제 1 실시예와 같이, 자석이 분리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fixing elastic portion 1125,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more than the magnet, and there is no fear of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separation of the magnet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고정결합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coupling por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 실시예의 2개의 손잡이에 형성된 고정결합부(2122a, 2122b)는, 2개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 고정결합부(2122a)에 돌출된 결합용 돌기(2124)의 측방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부(2125)와, 상기 이탈 방지 돌부(2125)와 맞물리도록 나머지 손잡이 고정결합부(2122b)에 요입된 결합용 홈(2126)에 에 돌출되어 형성된 이탈방지 턱(2127)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로 결합시에는 이탈방지돌부(2125)를 이탈 방지턱(2127)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부(2128)로 삽입한 후, 회전을 시켜, 이탈방지턱(2127)가 맞물리도로 하여 고정한다.The fixed engaging portions 2122a and 2122b formed on the two handles of the fourth embodiment are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2124 protruding from one of the two fixed handles 2122a. 2125 and a separation prevention jaw 2127 formed to protrude into the coupling groove 2126 recessed in the remaining handle fixing coupling part 2122b to engage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2125. Accordingly,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s 2125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28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s 2127 are not formed, the rotation prevention portions 2125 are fixed by engag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s 2127.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mbrella handl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 세트는 2개의 상기 우산 손잡이(100a, 100b) 중 어느 하나의 우산 손잡이(3100a) 고정결합부(3122a)의 외주면에 수나사부(3124)가 형성되며, 나머지 상기 우산 손잡이(3100b)의 고정결합부(3122b)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3124)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3126)가 형성된 결합용 링(3125)를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우산 손잡이(100a, 100b)의 고정결합부(3122a, 3122b)를 맞닿게 한 후, 결합용 링(3125)을 회전시켜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umbrella handle set of the fifth embodiment, a male screw portion 3124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of the umbrella handles 3100a of the two umbrella handles 100a and 100b, and the remaining umbrella handle 3 The fixed coupling portion 3122b of 3100b is rotatably coupled and includes a coupling ring 3125 having a female thread portion 3126 formed therein, which may be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3124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refore, after the fixed engaging portions 3122a and 3122b of the two umbrella handles 100a and 100b abut, the coupling rings 3125 may be rotated to fix each other.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mbrella handle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 세트는, 고정결합부(4122a)에 결합용 돌기(4124)가 돌출된 우산 손잡이(4100a)와, 고정결합부(4122b)에 결합용 홈(4125)이 형성된 우산 손잡이(4100b)를 포함한다.The umbrella handle se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n umbrella handle 4100a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4124 protruding from the fixed coupling portion 4122a, and an umbrella handle having a coupling groove 4125 formed at the fixed coupling portion 4122b. 4100b).

상기 결합용 홈(4125)은 상기 우산 손잡이(4100b)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결합용 돌기(4124)가 상기 결합용 홈(4125)의 두께 방향(A)으로 결합되며, 두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B)으로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 6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는, 퍼즐과 같이, A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coupling groove 4125 penetr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umbrella handle 4100b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4124 is coupl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of the coupling groove 4125 and crosses the thickness direction. It is formed so that the bond is not released in the squeezing direction (B). That is, the umbrella handle of the sixth embodiment may be fixed to each other in the A direction, like a puzzle.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mbrella handle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 세트는, 고정결합부(5122a)에 결합용 돌기(5124)가 돌출된 우산 손잡이(5100a)와, 고정결합부(5122b)에 결합용 홈(5125)이 형성된 우산 손잡이(5100b)를 포함한다.The umbrella handle se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n umbrella handle 5100a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5124 protruding from the fixed coupling portion 5122a, and an umbrella handle having a coupling groove 5125 formed at the fixed coupling portion 5122b. 5100b).

제 6 실시예의 우산 손잡이 세트는, 상기 결합용 돌기(5124)와 상기 결합용 홈(5125)은, 억지끼움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결합용 돌기(5124)와 결합용 홈(5125) 사이에 일정정도 결합력이 발휘되도록 하여 2개의 우산 손잡이 세트를 고정할 수 있다.In the umbrella handle set of the sixth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5124 and the coupling groove 5125 are formed to have a size that is tightly fitted. Therefore, the two sets of umbrella handles can be fixed by exerting a certain degree of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5124 and the coupling groove 5125.

도 12에서는 결합용 돌기(5124)와 결합용 홈(5125)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13과 같이, 길게 하나의 결합용 돌기(5124)와 결합용 홈(5125)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FIG. 12,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5124 and coupling grooves 5125 are formed, but as shown in FIG. 13, one coupling protrusion 5124 and coupling grooves 5125 may be formed.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 우산대 110: 봉 결합부
120: 고정부 122: 고정결합부
111: 중심축 123: 결합면
124: 영구자석 129: 뚜껑
1124a, 2124, 4124, 5124: 결합용 돌기
1124b, 2126, 4125, 5125: 결합용 홈
1125: 임시고정용 탄성부 1126: 임시고정용 홈
2125: 이탈 방지 돌부 2127: 이탈방지 턱
3124: 수나사부 3126: 암나사부
3125: 결합용 링
11: umbrella stand 110: rod joint
120: fixed portion 122: fixed coupling portion
111: central axis 123: mating surface
124: permanent magnet 129: lid
1124a, 2124, 4124, 5124: Coupling protrusion
1124b, 2126, 4125, 5125: joining groove
1125: temporary fixing elastic portion 1126: temporary fixing groove
2125: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127: departure prevention jaw
3124: male thread portion 3126: female thread portion
3125: engagement ring

Claims (20)

우산대가 결합되는 봉 결합부; 및
상기 봉 결합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다른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는 고정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Rod coupling portion is combined umbrella stand; And
A fixed part extending from the rod coupling part;
Lt; / RTI >
The fixing part, the fixed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other fixing portion;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봉 결합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결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rod coupling portion,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urfac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돌출된 거리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3.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fix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ixed coupling portion is the same distance protruding from the central axis.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에 영구자석이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manent magnet is embedded in the coupling surf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도록 상기 결합면에 고정되는 뚜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lid fixed to the coupling surface to surround the permanent magnet;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에 흡착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ption plate is attached to the coupling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에 결합용 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3. The method of claim 2,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es on the engaging surface.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용 돌기가 형성되며, 나머지에는 상기 결합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y one of a plurality of the coupling surface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the remaining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에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결합용 돌기와 맞물리는 결합용 홈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임시고정용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A temporary fixing elastic part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can apply pressure to the coupling groove that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Umbrella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2개의 우산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가 착탈될 수 있는 고정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2개의 우산 손잡이를 포함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Each combined in two umbrellas,
Umbrella handle set including two umbrella handles each formed with a fixed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removab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에는 영구자석이 매설되며,
상기 2개의 우산 손잡이의 마주보는 상기 고정결합부에 매설되는 상기 영구자석은 극성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Permanent magnets are embedded in the fixed coupling portion,
Umbrella handle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manent magnets embedded in the fixed coupling portion facing the two umbrella handles of opposite polarit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결합부에 고정되는 뚜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The method of claim 11,
A lid fixed to the fixed coupling part to surround the permanent magnet;
Umbrella handle set further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우산 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결합부에는, 결합용 돌기가 돌출되며,
나머지 상기 우산 손잡이의 상기 고정결합부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와 맞물릴 수 있도록 결합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fixed coupling portion of any one of the two umbrella handle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s,
Umbrella handle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xed coupling portion of the remaining umbrella handle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j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의 일 측면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돌출된 임시 고정용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The method of claim 13,
A temporary fixing elastic part protruding to elastically deform to on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Umbrella handle set further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홈의 일 측면에 돌출된 상기 임시 고정용 탄성부가 수용되는 임시 고정용 홈이 요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15. The method of claim 14,
Umbrella handle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orary fixing groove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fixing elastic portion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is concav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의 측방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 돌부; 및
2개의 상기 우산 손잡이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이탈 방지 돌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결합용 홈에 돌출되어 형성된 이탈방지 턱;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The method of claim 13,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When the two umbrella handles are coupled,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protruding in the coupling groove to engage with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Umbrella handle set further comprising 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와 상기 결합용 홈은, 억지끼움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umbrella handle s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ize to be fitt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홈은 상기 우산 손잡이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결합용 돌기가 상기 결합용 홈의 두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upling groove is penetr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umbrella handle, the umbrella handle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jection is coupl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제 10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우산 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고정결합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나머지 상기 우산 손잡이의 고정결합부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용 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손잡이 세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A 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two fixed handles of the umbrella,
A coupling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remaining coupling portion of the umbrella handle and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Umbrella handle set further comprising a.
제 10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의 우산 손잡이 세트와 결합된 2개의 우산 세트.
Two umbrella sets combined with the umbrella handle set of any one of claims 10-19.
KR1020120025551A 2011-11-15 2012-03-13 Grip of umbrella and set of umbrella including the same KR2013005410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51 2011-11-15
KR20110118851 2011-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109A true KR20130054109A (en) 2013-05-24

Family

ID=4866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551A KR20130054109A (en) 2011-11-15 2012-03-13 Grip of umbrella and set of umbrella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410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5408A1 (en) * 2020-03-19 2021-09-23 KINIK, Kadir Umbrella suppor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5408A1 (en) * 2020-03-19 2021-09-23 KINIK, Kadir Umbrella suppor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890B2 (en) Tool storage device
US8556527B1 (en) Lipstick case
CA2810062C (en) Lock shell assembly
ATE471495T1 (en) FIREARM HANDLE AND KIT WITH INTERCHANGEABLE PARTS THEREOF
US9162354B1 (en) Handle cover structure
USD907470S1 (en) Cable clip
USD655790S1 (en) Faucet handle
USD651287S1 (en) Faucet handle
US8814066B2 (en) Grip structure of water sprayer
CN108041792B (en) Lipstick tube
WO2008115013A1 (en) Detaching and attaching structure for accessory of phone hand strap
KR20130054109A (en) Grip of umbrella and set of umbrella including the same
US20170172840A1 (en) Apparatus for partially enclosing a rotatable spherical object
USD651286S1 (en) Faucet handle
CN201503738U (en) Magnetic lock catch
KR101179771B1 (en) Hair bands are equipped with removable ornament
KR101509350B1 (en) badge
JP2009226204A (en) T-shaped stick with magnet
KR20080004605U (en) Key ring
KR102015729B1 (en) Wristband separated by one directional sliding
CN219353438U (en) Locking structure and neck pillow
KR20160130561A (en) Nail art design apparatus
TWM326440U (en) Gelling gun
KR200310759Y1 (en) vacuum adsorpitioner
KR101316172B1 (en) Multi purpose outdoormat mount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