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566A - Mounting structure of step linkage for macpherson strut - Google Patents
Mounting structure of step linkage for macpherson stru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3566A KR20130053566A KR1020110118705A KR20110118705A KR20130053566A KR 20130053566 A KR20130053566 A KR 20130053566A KR 1020110118705 A KR1020110118705 A KR 1020110118705A KR 20110118705 A KR20110118705 A KR 20110118705A KR 20130053566 A KR20130053566 A KR 201300535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ut
- link
- step link
- mcpherson
- installation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θ2)이 줄어들도록 스텝링크(3)가 설치됨에 따라 차량이 선회 주행을 할 때에 스테빌라이저바(4)가 안티 롤 기능 수행하더라도 상기 킹핀축(L1)에 발생하는 모멘트력(F21)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and as the step link (3) is installed so that the moment angle (θ2) formed between the axis (L21) and the king pin shaft (L1) of the step link (3) is reduced, Even when the stabilizer bar 4 performs the anti-roll function during the turning operation, the moment force F21 generated in the kingpin shaft L1 can be minimiz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tur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It is.
Description
본 발명은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킹핀축과 스텝링크 사이의 모멘트 각이 줄어들 수 있도록 스텝링크를 설치해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step of the McPherson strut which can improve the tur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by installing the step link so that the moment angle between the kingpin shaft and the step link is reduced. This is a description of the link installa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현가장치는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suspension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is a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vehicle body or cargo and improves the riding comfort by not transmitting vibration or shock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when driving.
상기 현가장치에는 차량 선회시 차체에 발생되는 롤링(rolling)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선회 안정성을 도모하는 스테빌라이저바가 함께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suspension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abilizer bar for reducing the rolling phenomenon generated in the vehicle body when turning the vehic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turning.
도 1에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Macpherson sturt type suspension)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바, 스트럿(1)의 상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하단은 너클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트럿(1)에는 스트럿브라켓(2)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스트럿브라켓(2)에는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텝링크(3)의 하단은 스테빌라이저바(4)의 끝단과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Figure 1 shows a part of the Macperson sturt type suspension (Macpherson sturt type suspension), the upper end of the strut (1)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knuckle, the strut (1) is mounted on the strut bracket (2) is fixedly coupled,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3) is coupled to the strut bracket (2), the lower end of the step link (3) has a structure coupled to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4). .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킹핀축(L1)과 스텝링크(3)의 축선(L2)사이에 큰 모멘트 각(θ1)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텝링크(3)가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 선회시 선회 안정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즉, 노면이 구배진 조건에서 차량이 선회 주행을 하면 차체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롤링(rolling)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좌우측 차륜에는 상대 변위나 발생하게 되는 바, 이때 스테빌라이저바(4)가 동작해서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vehicle turns in a condition where the road surface is gradient, a rolling phenomenon occu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inclined, and relative displacement or occurrence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wheels, in which case the
상기와 같이 스테빌라이저바(4)가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하면 범프측 휠을 기준으로 스텝링크(3)를 잡아당기는 힘(F1)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힘(F1)에 의해 스트럿(1)에는 킹핀축(L1)과 평행한 방향으로 모멘트력(F2)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모멘트력(F2)에 의해 차륜의 토우 각이 변화하게 됨으로써, 선회 주행중인 차량은 선회 안정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킹핀축과 스텝링크의 축선이 이루는 모멘트 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스텝링크를 설치해서 스테빌라이저바의 안티 롤 기능 수행시 상기 킹핀축에 발생하는 모멘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by installing a step link to minimize the moment angle formed between the axis of the king pin shaft and the step link to the king pin shaft when performing the anti-roll function of the stabilizer b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McPherson struts, which can minimize the generated moment force and improve the tur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는, 스트럿의 바깥 둘레에 링크마운팅브라켓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스텝링크의 축선과 킹핀축이 이루는 모멘트 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에 스텝링크의 상단이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ink mounting bracket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t;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is coupled to the link mounting bracket so that the moment angle between the axis of the step link and the king pin shaft is minimized.
상기 스텝링크의 상단과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의 결합부는 상기 스트럿보다 차량 전방쪽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and the link mounting bracket is preferably installed to protrude further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an the strut.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스트럿의 바깥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결합되는 2개의 스트럿겹합부; 및 상기 스트럿겹합부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스텝링크의 상단이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ink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wo strut overlap portion coupled; And a connection part which is formed to connect the front end of the strut coupling par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또한,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은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nk mounting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bracket disposed to connect the two strut joints while being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ng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two strut joints.
상기 스트럿겹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트럿과의 면접촉 결합을 위해 상기 스트럿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스트럿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surface of the strut joi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t insertion groove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strut is integrally formed for the surface contact coupling with the strut.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스트럿의 바깥 둘레에 구비된 스트럿브라켓과 결합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bracket is preferably installed in combination with the strut bracket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스트럿의 바깥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결합되는 2개의 스트럿겹합부; 상기 스트럿겹합부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돌출된 선단에 상기 스텝링크의 상단이 결합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ink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wo strut overlap portion couple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connect the front end of the strut coupling portion; And a ball joint fixedly coupl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connection part, and having an upper end of the step link coupled to the protruded tip.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텝링크의 축선과 킹핀축이 이루는 모멘트 각이 줄어들도록 스텝링크가 설치됨에 따라 차량이 선회 주행을 할 때에 스테빌라이저바가 안티 롤 기능 수행하더라도 상기 킹핀축에 발생하는 모멘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ment link between the axis of the step link and the king pin shaft is reduced so that the moment force generated in the king pin shaft is minimized even when the stabilizer bar performs the anti-roll function when the vehicle is turning. It can be made, through whic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s turning.
도 1은 종래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마운팅브라켓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마운팅브라켓의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cPherson strut,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McPherson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the link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of a link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s at the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McPherson strut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1)의 상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하단은 너클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는 링크마운팅브라켓(10)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10)에는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텝링크(3)의 하단은 스테빌라이저바(4)의 끝단과 결합된 구조이다.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end of the strut (1)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knuckle, and install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ut (1) The
본 발명과 같이 스텝링크(3)의 상단이 링크마운팅브라켓(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면 상기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θ2)은 최소화가 되며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 구조의 모멘트 각(θ1)보다 크게 줄어든 상태가 된다.When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3) is coupled to the link mounting bracket (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ment angle (θ2) between the axis line (L21) and the king pin shaft (L1) of the step link (3) is minimized. And the moment angle θ1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킹핀축(L1)은 스트럿(1)의 상단과 로워암의 볼조인트를 연결한 직선이다.The king pin shaft (L1)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trut (1) and the ball joint of the lower arm.
상기 스텝링크(3)의 상단과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10)의 결합부(M1)는 상기 스트럿(1)보다 차량 전방쪽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통해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θ2)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upling part M1 of the upper end of the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결합되는 2개의 스트럿겹합부(11)와, 상기 스트럿겹합부(11)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는 연결부(12)와,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1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2)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11)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강브라켓(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보강브라켓(13)은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 용접 결합된 스트럿브라켓(2)과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21)를 매개로 서로 결합된 구조인 바, 상기 스트럿브라켓(2)과 보강브라켓(13)의 결합구조에 의해 링크마운팅브라켓(10)의 결합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스트럿겹합부(11)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트럿(1)과의 면접촉 결합을 위해 상기 스트럿(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스트럿삽입홈(14)이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스트럿겹합부(11)의 일측면이 단순한 일직선의 면으로 형성되면 스트럿(1)의 바깥 둘레면과 스트럿겹합부(11)의 측면은 선접촉에 의한 결합을 이루게 되고, 이럴 경우 스트럿겹합부(11)와 스트럿(1)의 결합강도는 나빠지게 된다.When one side surface of the
따라서, 스트럿겹합부(11)와 스트럿(1)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럿겹합부(11)와 스트럿(1)이 면접촉에 의한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스트럿겹합부(11)의 일측면에는 스트럿(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럿(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스트럿삽입홈(1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상기 스트럿(1)과 스트럿삽입홈(14)은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The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마운팅브라켓(30)이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30)은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결합되는 2개의 스트럿겹합부(31)와, 상기 스트럿겹합부(31)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돌출된 선단에 상기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는 볼조인트(33)와,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3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32)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31)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강브라켓(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
상기 스트럿겹합부(31)의 일측면도 스트럿삽입홈(35)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One side of the
도 2 및 도 3의 링크마운팅브라켓(10)은 스텝링크(3)의 상단이 연결부(12)에 결합된 구조이고, 도 4의 링크마운팅브라켓(30)은 스텝링크(3)의 상단이 볼조인트(33)에 결합된 구조로, 이 부분만 서로 상이하고 나머지 다른 부위의 형상 및 결합구조는 서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텝링크 설치구조는 스텝링크(3)의 상단이 스트럿(1)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서 링크마운팅브라켓(10)에 결합된 구조인 바, 이에 따라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θ2)은 종래 구조의 모멘트 각(θ1)보다 크게 줄어들어서 최소화가 된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coupled to the
상기와 같이 모멘트 각(θ2)이 줄어들어서 최소화가 되면, 선회 주행중인 차량의 선회 안정성은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ment angle θ2 is reduced and minimized, the turning stability of the turning vehicle is grea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즉, 차량이 선회 주행을 할 때에 스테빌라이저바(4)가 동작해서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하면, 스텝링크(3)에는 잡아당기는 힘(F11)이 발생하고, 상기 힘(F11)에 의해 스트럿(1)에는 킹핀축(L1)과 평행한 방향으로 모멘트력(F21)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하지만, 본 발명의 구조는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θ2)이 종래 구조의 모멘트 각(θ1)보다 크게 줄어든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모멘트력(F21)은 종래에 비해 크게 줄어든 힘이 되며, 상기 모멘트력(F21)에 의해 발생하는 차륜의 토우 각 변화도 크게 줄어들게 되는 바, 이 결과 선회 주행중인 차량의 선회 안정성은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ment angle θ2 formed between the axis line L21 and the kingpin shaft L1 of the
그리고, 도 4의 링크마운팅브라켓(30)은 볼조인트(33)가 전방으로 더 돌출된 구조로, 상기 볼조인트(33)에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면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은 거의 평행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은 거의 제로(zero)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은 거의 제로 상태가 되면, 차량이 선회 주행을 할 때에 스테빌라이저바(4)가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고, 이때에 스텝링크(3)를 잡아당기는 외력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스트럿(1)에는 모멘트력이 발생하게 않게 되므로, 선회 주행중인 차량의 선회 안정성은 더욱 더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ment angle formed between the axis line L21 and the kingpin shaft L1 of th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 스트럿 3 - 스텝링크
10,30 - 링크마운팅브라켓 11,31 - 스트럿겹합부
12,32 - 연결부 13,34 - 보강브라켓
14,35 - 스트럿삽입홈 33 - 볼조인트1-Strut 3-Step Link
10,30-
12,32-
14,35-Strut Insert Groove 33-Ball Joint
Claims (10)
스텝링크(3)의 축선(L21)과 킹핀축(L1)이 이루는 모멘트 각(θ2)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10,30)에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link mounting brackets 10 and 30 ar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ut 1;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3) is coupled to the link mounting bracket (10,30) so that the moment angle (θ2) formed between the axis line (L21) and the king pin shaft (L1) of the step link (3) is minimized. Stepper mounting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s.
상기 스텝링크(3)의 상단과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10,30)의 결합부(M1)는 상기 스트럿(1)보다 차량 전방쪽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3) and the coupling portion (M1) of the link mounting bracket (10,30) stepper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more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an the strut (1).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10)은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결합되는 2개의 스트럿겹합부(11); 및
상기 스트럿겹합부(11)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는 연결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mounting bracket 10 includes two strut joints 11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t 1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cPherson strut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12 is formed to connect the front end of the strut coupling portion 1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p link (3).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10)은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1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2)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11)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강브라켓(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link mounting bracket 1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2 so as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two strut joints 11 and is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strut joints 11. Stepper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13).
상기 스트럿겹합부(11)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트럿(1)과의 면접촉 결합을 위해 상기 스트럿(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스트럿삽입홈(1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ne side of the strut coupling portion 11 of the McPherson stru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t insertion groove 14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strut 1 is integrally formed for the surface contact coupling with the strut 1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상기 보강브라켓(13)은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 구비된 스트럿브라켓(2)과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4,
The reinforcement bracket 13 is a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trut bracket (2)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t (1).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30)은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결합되는 2개의 스트럿겹합부(31);
상기 스트럿겹합부(31)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부(32); 및
상기 연결부(32)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돌출된 선단에 상기 스텝링크(3)의 상단이 결합되는 볼조인트(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mounting bracket 30 includes two strut coupling portions 31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t 1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ion part 32 formed to connect a front end of the strut coupling part 31; And
The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 joint (33) is fixedly coupled to protrude forward to the connecting portion 32 and the top of the step link (3)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end.
상기 링크마운팅브라켓(30)은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3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32)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2개의 스트럿겹합부(31)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보강브라켓(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of claim 7,
The link mounting bracket 3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2 so as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two strut coupling portions 31 and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strut coupling portions 31 ( Stepper installation structure of McPherson stru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34).
상기 스트럿겹합부(31)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트럿(1)과의 면접촉 결합을 위해 상기 스트럿(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스트럿삽입홈(35)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of claim 7,
One side of the strut coupling portion 31 of the McPherson stru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t insertion groove 35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strut 1 is integrally formed for the surface contact coupling with the strut 1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상기 보강브라켓(34)은 상기 스트럿(1)의 바깥 둘레에 구비된 스트럿브라켓(2)과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의 스텝링크 설치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einforcement bracket 34 is a step link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cPherson stru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trut bracket (2)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t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705A KR20130053566A (en) | 2011-11-15 | 2011-11-15 | Mounting structure of step linkage for macpherson stru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705A KR20130053566A (en) | 2011-11-15 | 2011-11-15 | Mounting structure of step linkage for macpherson stru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3566A true KR20130053566A (en) | 2013-05-24 |
Family
ID=4866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8705A Ceased KR20130053566A (en) | 2011-11-15 | 2011-11-15 | Mounting structure of step linkage for macpherson stru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53566A (en) |
-
2011
- 2011-11-15 KR KR1020110118705A patent/KR20130053566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5900B1 (en) | Vehicle suspension assembly | |
JP5408366B2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US8052160B2 (en) | Vehicular suspension device | |
CN105849435B (en) | Damper | |
JP2011116342A (en) | Suspension arm | |
JP2013534484A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CN110475681B (en) | Automobile rear suspension structure | |
KR101461902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 |
CN111319412B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JP6272234B2 (en) | Front leaf spring | |
KR101461916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 |
WO2014129046A1 (en) | Suspension arm structure and suspension apparatus | |
CN208962805U (en) | A suspension angle assembly of an in-wheel motor driven electric vehicle | |
JP5217963B2 (en) | Front suspension device | |
KR20130053566A (en) | Mounting structure of step linkage for macpherson strut | |
KR102319822B1 (en) | Trailing-arm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Rear Suspension | |
JP2008149789A (en) | Connecting means | |
CN205686116U (en) | The semi-independent suspension of torsion girder-like | |
KR20100001309A (en) | Assist arm of rear suspension in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206579424U (en) | A kind of double cross arm independent suspension and automobile | |
KR102755942B1 (en) | Lateral arm device for vehicle | |
JP2002002247A (en) | Rear suspension device of automobile | |
US12350994B2 (en) | Suspension and off-road vehicle | |
CN204687774U (en) | A kind of monomer-type forward mounting lower control arm | |
KR102406141B1 (en) |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