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52359A -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359A
KR20130052359A KR1020110117762A KR20110117762A KR20130052359A KR 20130052359 A KR20130052359 A KR 20130052359A KR 1020110117762 A KR1020110117762 A KR 1020110117762A KR 20110117762 A KR20110117762 A KR 20110117762A KR 20130052359 A KR20130052359 A KR 2013005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control
power supply
automatic recov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환
공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359A/ko
Priority to US13/672,452 priority patent/US20130119956A1/en
Priority to JP2012246057A priority patent/JP2013106350A/ja
Publication of KR2013005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35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5/00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detecting deviations in the electric input to the system and thereby controlling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obtain a regulated 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characterised by reference voltage circuitry, e.g. soft start, remote shutdow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상태 검출부; 이상상태의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하고, 보호모드 상태에서 자동회복 신호를 받아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프로텍션부; 정상상태에서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보조권선에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보호모드 상태에서,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전력공급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공급차단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며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반복하는 IC 전원부; 및 보호모드 개시에 따라 IC 전원부의 전력공급신호 및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프로텍션부로 자동회복신호를 제공하는 자동 재시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가 제안된다. 또한,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CONTROL IC HAVING AUTO RECOVERY CIRCUIT, AUTO RECOVERY CIRCUIT OF CONTROL IC, POWER CONVERTER SYSTEM AND METHOD FOR AUTO-RECOVERY IN CONTROL IC}
본 발명은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비전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동회복할 수 있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SMPS 등에 적용되는 제어 IC, 예컨대 PWM 제어 IC의 경우 과전압, 과전류, 입력저전압, 과부하, 고온 등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시스템과 IC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모드(Protection Mode)로 동작을 수행한다. 일시적인 이상상태나 노이즈 등에 의해 보호모드 상태로 진입을 하게 되면, IC는 일정시간 후에 다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종래에는 PWM 제어 IC의 동작을 위한 예비전원이 구비되어 있으며, 과전압, 과전류 등 이상상태 발생시 보호모드 기능이 동작하게 되고, 이상상태가 종료되고 나면 PWM 제어 IC가 자동복원을 하게 된다. 이때, 이상상태가 발생하게 되면, 보호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예비전원의 PWM 제어 IC로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 IC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보호모드 신호를 일정시간 지속하여 시간 지연 후 스위치를 온(ON) 해줌으로써, 예비전원이 다시 PWM 제어 IC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예비전원의 재공급에 따라 제어 IC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종래의 방식의 경우는 예비전원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예비전원이 없이 PWM 제어 IC 단독으로는 자동 복원이 수행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비전원을 구비하지 않고서, 제어 IC가 보호모드에서 출력을 제외한 자동복원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정상동작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상태 검출부; 이상상태의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하고, 보호모드 상태에서 자동회복 신호를 받아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프로텍션부; 정상상태에서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보조권선에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보호모드 상태에서,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전력공급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공급차단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며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반복하는 IC 전원부; 및 보호모드 개시에 따라 IC 전원부의 전력공급신호 및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프로텍션부로 자동회복신호를 제공하는 자동 재시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가 제안 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 이상상태 검출부는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프로텍션부는 이상상태 검출부의 출력과 자동회복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IC 전원부는 초기에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다가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IC 전원부는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된 경우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자동 재시작부는: 전력공급신호와 공급차단신호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카운터의 출력신호와 클럭의 신호에 대한 앤드게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제어 IC는 파워 컨버터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PWM 제어칩이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어 IC는: 시스템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아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PWM 생성부; 및 PWM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 따르면, PWM 생성부는: 시스템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은 피드백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상황에 따라 정해진 내부 전압신호와 시스템의 인덕터 전류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PWM 제어신호의 듀티를 정하는 PWM 비교기; 및 PWM 비교기의 출력과 프로텍션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노어게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 발생에 따른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자동회복하는 자동회복 회로에 있어서,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상태 검출부; 이상상태의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하고, 보호모드 상태에서 자동회복 신호를 받아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프로텍션부; 및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보호모드 상태에서,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와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프로텍션부로 자동회복신호를 제공하는 자동 재시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이상상태 검출부는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프로텍션부는 이상상태 검출부의 출력과 자동회복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자동 재시작부는: 전력공급신호와 공급차단신호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카운터의 출력신호와 클럭의 신호에 대한 앤드게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온-오프 구동하며 시스템의 입력전원을 전달하는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을 1차측 전원으로 입력받아 변환시켜 2차측을 통해 직류전원으로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구동을 PWM 제어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어 IC; 및 트랜스포머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하여 제어 IC로 제공하는 피드백회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워 컨버터 시스템이 제안된다.
본 시스템의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 IC는: 피드백회로로부터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아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PWM 생성부; 및 PWM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단계; 보호모드의 개시에 따라,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전력공급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공급차단신호에 따라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및 공급차단을 반복하는 단계; 전력공급신호 및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자동회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자동회복신호에 따라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방법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이상상태 검출은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보호모드 개시 이전에 초기에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다가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동작모드로 변경되는 단계에서는,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 IC는 파워 컨버터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PWM 제어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비전원을 구비하지 않고서, 제어 IC가 보호모드에서 출력을 제외한 자동복원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정상동작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노이즈에 의한 보호모드 오동작을 자동으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예비전원이 없어도 자동 복원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의 전원의 정상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예에 따른 파워 컨버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에', '위에', '하부에', '아래에' 등의 '접촉'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용어들이 포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이 되는 요소가 뒤집어지거나 그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 그에 따른 대응되는 상대적인 방향 개념을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각각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참조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도면부호일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의 전원의 정상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는 이상상태 검출부(110), 프로텍션부(120), IC 전원부(130) 및 자동 재시작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이상상태 검출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당해 제어 IC의 이상상태를 검출한다. 이상상태라 함은 정상상태에서 벗어난 상태를 말하고, 예컨대, 과전압(Over-Voltage), 과전류(Over-Current), 과부하(Overload), 입력저전압,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등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OLP, OVP, TSD 및 도 4에 도시된 OCP, Brown Out 등은 각각의 이상상태에 대한 검출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OLP는 과부하보호(Overload Protection), OVP는 과전압보호(Over-Voltage Protection), TSD는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OCP는 과전류보호(Over-Current Protection)를 나타낸다. 예컨대, OLP, OCP, 브라운 아웃 등은 시스템의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상상태 검출모드와 오어(OR)게이트에 의해 이상상태 검출부(110, 21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 이상상태 검출신호의 예로 OVP signal이 도시되고 있다.
하나의 예에서, 이상상태 검출부(110)는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입력저전압,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 도 1의 프로텍션부(120)는 이상상태 검출부(110)에서 이상상태의 검출에 따라 동작모드 상태를 보호모드로 변경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상태 검출신호인 OVP signal이 생성됨에 따라 보호(Protection) 신호가 활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하이(high) 상태인 구간 동안 보호모드가 진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보호모드가 진행중인 구간 동안에는 제어 IC의 출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보호모드 상태에서는 IC 전원인 IC VCC가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저전압인 UVLO_OFF 전압 사이에서 하강과 상승을 반복한다.
예컨대, 도 3 및 4와 같이, OVP와 같은 이상상태가 이상상태 검출부(110, 210)를 통해 프로텍션부(120, 220)로 들어오면, 프로텍션부(120, 220)는 제어 IC와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래치 프로텍션(Latch Protection)을 이용하여 제어 IC의 출력과 시스템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보호모드 상황이 되면, 도 5와 같이 IC VCC가 UVLO_ON과 UVLO_OFF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른 UVLO Signal을 감지하여 카운트하여 래치 프로텍션(Latch Protection)을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리셋(Reset)을 하여 제어 IC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의 프로텍션부(120)는 보호모드 상태에서 자동회복 신호를 받아 동작모드로 변경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UVLO signal이 세번째 하이(high)로 변하는 순간, 즉 세번째 클럭에지 라이징 순간에 Auto Recovery 신호에 의해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로우(low) 상태로 변하여 종료됨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로우(low) 상태로 변하여 종료되고 동작모드가 되면, IC 전원인 IC VCC는 UVLO signal이 하이 상태에 있으므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예컨대, 도 5에서는, 동작모드가 진행되더라도 제어 IC는 아직 정상상태에 이르지 못한 것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동작모드의 재개에 따라 바로 제어 IC의 출력이 동시에 회복되지 않고 있다.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동작모드의 진행에 따라 예컨대, 제어 IC가 정상상태가 되는 시점인,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에 이르면, UVLO signal이 로우 상태로 변하고 시스템의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대신에 제어 IC가 정상상태에 도달하였으므로, 제어 IC의 출력이 재개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2차측의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도 1의 프로텍션부(120)는 입력신호에 따라 보호모드 또는 동작모드로 변경하므로, 예컨대 도 3 및/또는 4의 래치회로(120, 22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모드 상태가 되면, 제어 IC 자체는 동작하고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IC에서 출력신호, 예컨대 파워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구동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다음의 IC 전원부(130)에서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2차측의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에 도달함에 따라 제어 IC가 정상상태로 되고, IC 전원부(130)가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호모드가 동작모드로 변경되는 시점에서 바로 제어 IC의 출력이 재개되고, 그에 따라 IC 전원부(130)가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자동회복 신호인 Auto Recovery 신호가 도시된 바와 달리 UVLO signal의 하향 클럭에지 시점에 생성되는 경우에는 IC 전원이 IC VCC가 이미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에 도달하였으므로, 제어 IC의 출력이 재개되고 그에 따라 IC 전원부(130)가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IC VCC가 이미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에 도달하지 않았지만,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로우(low) 상태로 되고 동작모드로 변하는 시점에 제어 IC의 출력이 재개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션부(120, 220)는 이상상태 검출부(110, 210)의 출력과 자동 재시작부(140, 240)로부터의 자동회복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래치회로(120, 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상상태 검출부(110)의 출력을 리셋입력(R)으로 그리고 자동 재시작부(140)의 자동회복신호를 셋입력(S)으로 받아 출력단
Figure pat00001
에서 출력하는 래치회로(120)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프로텍션부(220)가 래치회로(221)와 반전기(223)를 구비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4의 래치회로(221)는 이상상태 검출부(110, 210)의 출력을 셋입력(S)으로 그리고 자동 재시작부(140)의 자동회복신호를 리셋입력(R)으로 받아 출력단 Q에서 출력된 후 반전기(223)를 거쳐 반전 출력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IC 전원부(130)는 정상상태에서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파워 컨버터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본 명세서에서 정상상태는 동작모드와 다를 수 있다. 정상상태는 보호모드가 아닌 동작모드 상태로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시스템의 안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동작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정상상태일 수도 있으나 아직 정상상태에 도달하기 전의 동작상태일 수도 있다. 만일, 이상상태가 검출되어 보호모드 상태로 변하는 경우, 2차측 보조권선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예컨대, IC 전원부(130)는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단자 외부에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상태에서, IC 전원부(130)는 단자 외부에 형성된 커패시터에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고 보호모드 개시에 따라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원을 IC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IC 전원 커패시터(VCC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의 용량에 따라 자동 복원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도 1의 IC 전원부(130)는 보호모드 상태에서,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 예컨대 도 5의 UVLO_OFF 전압까지 하락 시 전력공급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력공급신호(예컨대, 도 5에서 UVLO signal의 하이(high) 신호)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어신호이다. 예컨대, 제어 IC 또는 시스템이 OVP, OCP, OLP, 브라운 아웃, TSD와 같은 이상상태가 되면, 도 5와 같이 제어 IC의 동작이 멈추며 출력이 중단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도 멈추게 된다. 그러면, 예컨대 IC 전원 커패시터(VCC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제어 IC의 공급전압(도 5의 IC VCC)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제어 IC의 공급전압(도 5의 IC VCC)이 일정전압인 미리 설정된 저전압(UVLO_OFF)까지 내려가게 되면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이 개시된다.
계속하여 보호모드 상태에서, IC 전원부(130)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다시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 예컨대 도 5의 UVLO_ON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에 공급차단신호에 따라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 또는 중단한다. 이때, 공급차단신호(예컨대, 도 5에서 UVLO signal의 로우(low) 신호)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따라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 예컨대 도 5의 UVLO_ON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이다. 도 5에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이 재개되면, 제어 IC의 공급전압(도 5의 IC VCC)이 UVLO_ON에 도달하게 되고, 다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지만, 제어 IC는 보호(Protection) 상태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의 전력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시 제어 IC의 공급전압은 감소하게 되고 도 5와 같은 IC VCC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반복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호모드 개시에 따라, 도 3의 VCC단을 통하여 연결된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은 출력이 없으므로, 예컨대 VCC단의 외부에 2차측 보조권선과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에 충전된 IC 전원의 전압이 점차 떨어져 UVLO 비교기로 입력된다. UVLO 비교기에서 IC 전원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인 UVLO_OFF 전압(도 3에서는 8V)까지 떨어지는 경우 스위치 S1이 다시 도통되어 스위치 S1의 구동에 따라 STR단을 통해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STR단을 통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공급된 STARTUP 전류원이 UVLO 비교기에서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도 3에서는 12V)에 도달하는 경우 5V인 VREF가 도 3의 소프트 스타트 회로를 구동시키고 소프트 스타트 회로에서 출력되는 SS_End 신호가 T-Delay를 거쳐 스위치 S1이 오픈되며 STR단을 통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IC 전원부(130)는 전력공급신호 및 공급차단신호의 반복, 예컨대 도 5의 UVLO signal의 하이 및 로우 신호의 반복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공급 차단을 반복한다. 이때,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의 반복 횟수는 설정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만일, 설정된 횟수만큼 전력 공급 및 차단이 반복되면, 다음의 자동 재시작부(140)에서 자동회복 신호를 프로텍션부(120)로 제공하게 된다. 도 5에서는 UVLO signal의 하이 클럭이 세번째 생성되는 시점에서 자동회복 신호인 Auto Recovery 시그널이 생성되어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로우(low)로 변하여 보호모드가 종료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종래와 달리, 별도의 예비 전원이 필요없이 동작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IC 전원부(130)는 초기에 본 발명의 제어 IC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다가 제어 IC의 공급 전압이 일정전압인 미리 설정된 고전압(UVLO_ON)에 도달 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 또는 중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에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IC 전원부(130)는 초기에 미리 설정된 고전압,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UVLO_ON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본 발명의 제어 IC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입력전원, 예컨대 SMPS에서의 입력전원 또는 SMPS에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1차측의 입력전원 등의 입력전원을 입력받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기에 STR 단자를 통해 예컨대 SMPS에서의 입력전원 또는 SMPS에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1차측의 입력전원 등의 입력전원을 받아 STARTUP 전류원으로 하여 스위치 S1를 거쳐 BIAS에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STARTUP 전류원이 UVLO 비교기로 입력되어 UVLO_ON 전압(도 3에서 12V)에 도달하기 전까지 BIAS로 공급되나, UVLO_ON 전압(도 3에서 12V)에 도달시에 정상적인 시스템이 동작하며 일정시간의 딜레이(도3 에서 SS_End 및 T-delay로 구성) 후에 스위치 S1이 개방되며 STARTUP 전류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부터, 도 3의 VCC단을 통해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하나의 예에서,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은 제어 IC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전압일 수 있다. 즉, IC 전원부(130)는 초기 동작모드 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되면, 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의 2차측의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IC 전원부(130)는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된 경우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 예컨대 도 5의 UVLO_ON 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한다. 도 5에서, 보호모드가 동작모드로 변경되면 UVLO signal이 하이 상태인 동안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IC 전원인 IC VCC가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은 차단되지만, UVLO_ON 전압에 도달함에 따라 제어 IC가 정상상태로 되며 제어 IC의 출력이 재개되고, 그에 따라 IC 전원부(130)는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2차측의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호모드가 동작모드로 변경되는 시점에서 바로 제어 IC의 출력이 재개되고, 그에 따라 IC 전원부(130)가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자동 재시작부(140)는 보호모드 개시에 따라 IC 전원부(130)의 전력공급신호 및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한다. 또한, 도 1의 자동 재시작부(140)는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프로텍션부(120)로 자동회복신호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UVLO signal의 하이 클럭이 세번째 생성되는 시점에서 자동회복 신호인 Auto Recovery 시그널이 생성되어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로우(low)로 변하여 보호모드가 종료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때, 도 5에서, UVLO signal의 하이 신호는 시스템의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이고, UVLO signal의 로우 신호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공급차단신호이다. 이때, IC 전원부(130)에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재공급 및 재차단의 반복 횟수는 설정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의 구성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재시작부(240)는 카운터(241) 및 앤드(AND)게이트(243)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241)는 IC 전원부(130)에서의 전력공급신호와 공급차단신호의 클럭을 카운트한다. 이때, 클럭 카운트는 상승에지를 카운트하거나 하강에지를 카운트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카운터(241)는 시스템의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인 UVLO signal의 하이 클럭만을 카운트할 수도 있다. 도 4의 앤드게이트(243)는 카운터(241)의 출력신호와 클럭의 신호에 대한 논리합을 출력한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IC 전원부(130)에서의 전력공급신호인 UVLO signal의 하이 클럭이 세번 카운트되는 시점에서 자동회복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카운터(241)는 복수의 플립플롭을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플립플롭에서 UVLO 신호를 클럭으로 하고 첫번째 플립플롭의
Figure pat00002
의 출력을 두번째 플립플롭의 클럭으로 하고, RESET 신호를 두개의 플립플롭에서 T 입력단의 입력신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UVLO signal의 하이 클럭에 따라 입력되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의 입력을 도 4의 RESET 신호로 삼을 수 있다. 도 4는 카운터(241)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방법으로 카운터(24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제어 IC는 파워 컨버터 시스템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도 7의 도면부호 20 참조)를 구동하는 PWM 제어칩일 수 있다. 예컨대, 파워 컨버터 시스템은 SMPS에 적용되는 파워 컨버터일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어 IC는 PWM 생성부(150) 및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WM 생성부(150)는 시스템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아 PWM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PWM 생성부(150)는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2차측 출력을 피드백 받아 시스템의 1차측 입력과 비교함으로써 원하는 2차측 출력을 얻도록 PWM 듀티비를 조절하고 파워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키기 위한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서, PWM 생성부(150)는 PWM 비교기 및 노어(NOR)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PWM 비교기는 시스템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은 피드백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상황에 따라 정해진 내부 전압신호와 시스템의 인덕터 전류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PWM 제어신호의 듀티를 결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IC의 정상상태에서는, PWM 비교기는 시스템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은 피드백신호와 시스템의 1차측 입력, 예컨대 인덕터 전류를 모니터링한 검출신호를 비교하여 원하는 2차측 출력을 얻도록 듀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2차측 출력의 피드백신호는 FB 단자를 통해 입력되어 PWM 비교기의 네거티브 단으로 입력되고, 인덕터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검출된 신호는 CS단을 거쳐 PWM 비교기의 포지티브 단으로 입력됨으로써, PWM 비교기에서 비교하여 원하는 2차측 출력을 얻도록 듀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IC가 정상상태가 아닌 특수한 상황에서, 시스템의 2차측 출력으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아닌 미리 설정된 상황에 따라 정해진 내부 전압신호와 시스템의 1차측 입력, 예컨대 인덕터 전류를 모니터링한 검출신호를 비교하여 원하는 2차측 출력을 얻도록 듀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버스트 제어블럭에서 버스트(burst) 활성신호인 bu_en 신호를 트랜지스터 Q1에 인가하여 2차측 출력의 피드백신호를 그라운드로 빼내고, 버스트(burst) 피크 신호인 bu_pk_b 신호를 스위치 S2에 인가하여 미리 설정된 상황에 따라 정해진 내부 전압신호인 5V 값을 PWM 비교기의 네거티브 단으로 입력시키고, 인덕터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검출된 신호를 CS단을 거쳐 PWM 비교기의 포지티브 단으로 입력시켜 비교함으로써, 원하는 2차측 출력을 얻도록 듀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PWM 비교기의 출력은 오실레이터 신호와 함께 래치회로로 입력되고 출력되면서 듀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PWM 비교기와 래치회로를 거쳐 듀티가 결정되는 신호는 노어게이트로 입력된다.
또한, 도 3의 노어(NOR)게이트는 PWM 비교기의 출력과 프로텍션부(120)의 출력을 입력받아 PWM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도 3에서는 PWM 비교기와 래치회로를 거쳐 듀티가 결정되는 신호와 프로텍션부(120)의 보호모드 또는 동작모드에 따른 신호와 오실레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노어게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예시와 달리 다른 방식으로 PWM 비교기의 출력과 프로텍션부(120)의 출력을 노어게이트에서 입력받아 PWM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 및/또는 3에서, 구동부(160)는 PWM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도 7의 도면부호 20 참조)를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다음의 도 4 및 5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의 예들 및 도 1 내지 3이 참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는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 발생에 따른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자동회복하는 자동회복 회로로서, 이상상태 검출부(110), 프로텍션부(120) 및 자동 재시작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자동회복회로를 구비한 제어 IC는 파워 컨버터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PWM 제어칩일 수 있다.
먼저, 도 4의 이상상태 검출부(110)는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를 검출한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이상상태 검출부(110)는 OVP 검출모드, OCP 검출모드, OLP 검출모드, 브라운 아웃 검출모드, TSD 검출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이상상태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이상상태 검출부(110)는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상태 검출부(11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도 1, 3 및 5 등을 참조한다.
다음, 도 4의 프로텍션부(120)는 이상상태 검출부(110)에서 이상상태의 검출에 따라 동작모드에서 보호모드 상태로 모드를 변경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상태 검출신호인 OVP signal이 생성됨에 따라 보호(Protection) 신호가 활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프로텍션부(120)는 보호모드 상태에서 자동 재시작부(140)로부터 자동회복 신호를 받아 동작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프로텍션부(120, 220)는 이상상태 검출부(110, 210)의 출력과 자동회복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래치회로(120, 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텍션부(220)가 래치회로(221)와 반전기(223)를 포함하고 있고, 한편, 도 3에서 래치회로(120)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4의 프로텍션부(12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도 1 및 5 등을 참조하도록 한다.
다음, 도 4의 자동 재시작부(140)를 살펴본다. 도 4의 자동 재시작부(140)는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보호모드 상태에서, 전력공급신호와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한다. 이때, 클럭 카운트는 상승에지를 카운트하거나 하강에지를 카운트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력공급신호, 예컨대, 도 5에서 UVLO signal의 하이(high) 신호는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시스템의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어신호이고, 공급차단신호, 예컨대, 도 5에서 UVLO signal의 로우(low) 신호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모드 상태에서는 IC 전원인 IC VCC가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저전압인 UVLO_OFF 전압 사이에서 하강과 상승을 반복한다. 이때, 자동 재시작부(140)는 IC 전원인 IC VCC의 하강과 상승의 반복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자동 재시작부(140)는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프로텍션부(120)로 자동회복신호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인 UVLO signal의 하이 클럭이 세번째 생성되는 시점에서 자동회복 신호인 Auto Recovery 시그널이 생성되어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로우(low)로 변하여 보호모드가 종료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보호모드에 따라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도시되지 않음)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경우, 예컨대, IC 전원 커패시터(VCC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에 충전된 전원을 IC 전원의 공급전원(도 5의 IC VCC)으로 사용한다. 이때, IC 전원의 공급전원(도 5의 IC VCC)은 점차 감소하며 IC VCC가 미리 설정된 저전압인 UVLO_OFF 전압까지 떨어지면,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하고, 그에 따라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에 도달하면 다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IC VCC의 하강과 상승의 반복 횟수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자동회복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카운트 횟수뿐만 아니라 IC 전원 커패시터(VCC 커패시터)의 용량에 따라 자동 복원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자동 재시작부(140)는 카운터(241) 및 앤드(AND)게이트(243)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241)는 시스템의 입력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력 재공급에 대한 전력공급신호와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차잔에 대한 공급차단신호의 클럭을 카운트한다. 이때, 카운터(241)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인 UVLO signal의 하이 클럭만을 카운트할 수도 있다. 도 4의 앤드게이트(243)는 카운터(241)의 출력신호와 클럭의 신호에 대한 논리합을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카운터(241)는 복수의 플립플롭을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기타 다른 방식으로 카운터(24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자동 재시작부(14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도 1 및 5 등을 참조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컨버터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제3 실시예를 살펴봄에 있어서, 다음의 도 7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들 및 도 1 내지 4 및 도 6이 참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예에 따른 파워 컨버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컨버터 시스템은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20), 트랜스포머(30), 제어 IC(10) 및 피드백회로(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파워 컨버터 시스템은 공진형 DC-DC 컨버터일 수 있고,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20)는 제어 IC(1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구동하며 시스템의 입력전원을 트랜스포머(30) 1차측으로 전달한다. 이때,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10)는 n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서, 트랜스포머(30)는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20)의 구동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을 1차측 전원으로 입력받아 변환시켜 2차측을 통해 직류전원으로 출력한다.
도 7의 제어 IC(10)는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20)의 구동을 PWM 제어한다. 제어 IC(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어 IC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피드백회로(40)는 트랜스포머(30)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하여 제어 IC(10)로 제공한다.
도 2 및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어 IC(10)는 피드백회로(40)로부터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아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PWM 생성부(150) 및 PWM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20)를 구동하는 구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제4 실시예를 살펴봄에 있어서, 다음의 도 5, 8a, 8b 및 9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들 및 도 1 내지 4 및 도 6이 참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8b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은 이상상태 검출 및 보호모드 변경 단계(S100),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및 차단 반복 단계(S200), 자동회복신호 생성 단계(S300) 및 동작모드로의 변경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은 이상상태 검출 단계(S1100) 이전에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의 전력공급 단계(S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IC는 파워 컨버터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PWM 제어칩일 수 있다.
먼저, 도 8a 및 8b의 이상상태 검출 및 보호모드 변경 단계(S100)에서는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된다. 보호모드로의 변경에 따라, 제어 IC의 출력이 중단됨으로써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이상상태 검출 및 보호모드 변경 단계(S100)에서의 이상상태 검출은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8a 및 8b의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및 차단 반복 단계(S200)를 살펴본다. 본 단계(S200)에서는, 우선, 보호모드의 개시에 따라,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전력공급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S210). 그리고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에 따라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공급차단신호에 따라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S230). 본 단계(S200)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및 차단이 반복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모드 개시에 따라 보조권선에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 예컨대 도 5의 UVLO_OFF 전압까지 떨어진 경우에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예컨대, 도 5에서 UVLO signal의 하이(high) 신호)에 따라, IC 전원은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는다(S210). 또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따라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 예컨대 도 5의 UVLO_ON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공급차단신호(예컨대, 도 5에서 UVLO signal의 로우(low) 신호)에 따라, IC 전원으로의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은 재차단 또는 중단된다(S230). 보호모드 상태에서는, 도 5의 UVLO signal의 하이 및 로우 신호의 반복에 따라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재공급 및 재차단이 반복된다. 이때,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재공급 및 재차단의 반복 횟수는 자동회복신호의 생성을 위해 카운트되고(S310), 그 반복 회수는 설정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및 8b의 자동회복신호 생성 단계(S300)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의 자동회복신호 생성 단계(S300)에서는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대한 전력공급신호 및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차단에 대한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한다(S310). 도 5를 참조하면, IC 전원인 IC VCC의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저전압인 UVLO_OFF 전압 사이에서 하강과 상승이 카운트될 수 있다. 이때, 클럭 카운트는 상승에지를 카운트하거나 하강에지를 카운트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인 UVLO signal의 하이 클럭만을 카운트할 수도 있다(S310). 도 8a에는 공급차단신호, 예컨대 클럭 하강에지를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8b에는 전력공급신호, 예컨대 클럭 상승에지를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는 도 8a에 따른 카운트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8b의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단계(S300)에서는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자동회복신호를 생성한다(S330).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재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인 UVLO signal의 하이 클럭이 세번째 생성되는 시점에서 자동회복 신호인 Auto Recovery 시그널이 생성된다.
그리고 도 8a 및 8b의 동작모드로의 변경 단계(S400)에서는 전술한 자동회복신호 생성 단계(S300)에서 생성된 자동회복신호에 따라 보호모드를 동작모드로 변경한다. 도 5를 참조하면, UVLO signal의 하이 클럭이 세번째 생성되는 시점에서 자동회복 신호인 Auto Recovery 시그널이 생성되고, 그에 따라 보호(Protection) 시그널이 로우(low)로 변하여 보호모드가 종료되고 동작모드가 진행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동작모드로 변경되는 단계(S400)에서는,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IC의 정상상태에서 시스템의 입력전원이 아닌 시스템의 트랜스포머(도 7의 도면부호 30 참조)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 VCC의 미리 설정된 고전압인 UVLO_ON 전압에 도달 시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을 살펴본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은 이상상태 검출 단계(S1100) 이전에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의 전력공급 단계(S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호모드 개시 이전에 초기에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다가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S1000).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 제어 IC 20 :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
30 : 트랜스포머 40 : 피드백회로
110, 210 : 이상상태 검출부 120, 220 : 프로텍션부
130 : IC 전원부 140, 240 : 자동 재시작부
150 : PWM 생성부 160 : 구동부
221 : 래치회로 223 : 반전기
241 : 카운터 243 : 앤드게이트

Claims (20)

  1.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상태 검출부;
    상기 이상상태의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보호모드 상태에서 자동회복 신호를 받아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프로텍션부;
    정상상태에서 상기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보조권선에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상기 보호모드 상태에서,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전력공급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상기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공급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반복하는 IC 전원부; 및
    상기 보호모드 개시에 따라 상기 IC 전원부의 상기 전력공급신호 및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텍션부로 자동회복신호를 제공하는 자동 재시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 검출부는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션부는 상기 이상상태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자동회복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포함하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C 전원부는 초기에 상기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다가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C 전원부는 상기 보호모드에서 상기 동작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IC 전원이 상기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하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재시작부는: 상기 전력공급신호와 공급차단신호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클럭의 신호에 대한 앤드게이트; 를 포함하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7.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 IC는 파워 컨버터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PWM 제어칩인,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IC는:
    상기 시스템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아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PWM 생성부; 및
    상기 PWM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PWM 생성부는: 상기 시스템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은 피드백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상황에 따라 정해진 내부 전압신호와 상기 시스템의 인덕터 전류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PWM 제어신호의 듀티를 정하는 PWM 비교기; 및 상기 PWM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프로텍션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노어게이트; 를 포함하는,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10.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 발생에 따른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자동회복하는 자동회복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상태 검출부;
    상기 이상상태의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보호모드 상태에서 자동회복 신호를 받아 동작모드로 변경하는 프로텍션부; 및
    상기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상기 보호모드 상태에서, 상기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상기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력공급신호와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상기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텍션부로 자동회복신호를 제공하는 자동 재시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 검출부는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션부는 상기 이상상태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자동회복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재시작부는: 상기 전력공급신호와 공급차단신호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클럭의 신호에 대한 앤드게이트; 를 포함하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14. 온-오프 구동하며 시스템의 입력전원을 전달하는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을 1차측 전원으로 입력받아 변환시켜 2차측을 통해 직류전원으로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구동을 PWM 제어하는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어 IC;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출력을 피드백하여 상기 제어 IC로 제공하는 피드백회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워 컨버터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 IC는:
    상기 피드백회로로부터 상기 2차측 출력을 피드백받아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PWM 생성부; 및
    상기 PWM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파워 컨버터 시스템.
  16. 시스템 또는 제어 IC의 이상상태 검출에 따라 보호모드로 변경되고, 상기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IC 전원으로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단계;
    상기 보호모드의 개시에 따라, 상기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까지 하락 시 전력공급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후 상기 IC 전원이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공급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 및 공급차단을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전력공급신호 및 공급차단신호가 번갈아 반복되는 클럭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자동회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회복신호에 따라 상기 보호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 검출은 과전압, 과전류, 과부하, 써멀 셧다운(Thermal Shutdown), 브라운 아웃(Brown Ou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호모드 개시 이전에 초기에 상기 시스템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다가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로 변경되는 단계에서는, 상기 IC 전원이 상기 미리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 시 상기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시스템의 2차측 보조권선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재개하는,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20. 청구항 16 내지 19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 IC는 파워 컨버터의 파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동하는 PWM 제어칩인,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KR1020110117762A 2011-11-11 2011-11-11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Withdrawn KR20130052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62A KR20130052359A (ko) 2011-11-11 2011-11-11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US13/672,452 US20130119956A1 (en) 2011-11-11 2012-11-08 Control ic having auto recovery circuit, auto recovery circuit of control ic, power converter system and method for auto recovering control ic
JP2012246057A JP2013106350A (ja) 2011-11-11 2012-11-08 自動回復回路付き制御ic、制御icの自動回復回路、パワ変換システム及び制御icの自動回復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62A KR20130052359A (ko) 2011-11-11 2011-11-11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359A true KR20130052359A (ko) 2013-05-22

Family

ID=4827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762A Withdrawn KR20130052359A (ko) 2011-11-11 2011-11-11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19956A1 (ko)
JP (1) JP2013106350A (ko)
KR (1) KR201300523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1627B2 (en) * 2013-01-08 2018-03-20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Control circuit for programmable power supply
KR20160070710A (ko) * 2014-12-10 2016-06-20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변조 모드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US9960694B2 (en) 2016-05-04 2018-05-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voltage in a power conversion circuit
CN107066297A (zh) * 2017-04-06 2017-08-18 大连网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恢复固件的方法及装置
JP2020154431A (ja) * 2019-03-18 2020-09-24 キオクシア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情報記録方法
CN111404527B (zh) * 2020-03-23 2023-08-18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系统异常自动上下电的控制电路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7782A (en) * 1999-07-28 2000-07-1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Resonant mode power supply having over-power and over-current protection
AU2002360849A1 (en) * 2001-12-31 2003-07-24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Basic halogen convertor ic
KR101066996B1 (ko) * 2002-10-29 2011-09-2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
US7068016B2 (en) * 2002-11-01 2006-06-27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One cycle control PFC boost converter integrated circuit with inrush current limiting, fan motor speed control and housekeeping power supply controller
WO2004042905A1 (en) * 2002-11-07 2004-05-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converter
US6781352B2 (en) * 2002-12-16 2004-08-24 International Rectifer Corporation One cycle control continuous conduction mode PFC boost converter integrated circuit with integrated power switch and boost converter
US7272025B2 (en) * 2005-01-18 2007-09-18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either a regulated or an unregulated output of a switching power supply
US7539028B2 (en) * 2005-07-01 2009-05-26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ult detection in a switching power supply
CN1937383A (zh) * 2005-09-22 2007-03-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开关电源装置、半导体装置以及控制方法
US7616459B2 (en) * 2005-12-07 2009-11-10 Active-Semi, Inc. System and method for a primary feedback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100704119B1 (ko) * 2005-12-14 2007-04-06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류 제어 스위칭 모드 전력 공급기
US7576528B2 (en) * 2006-10-04 2009-08-18 Power Integrations, Inc. Control circuit responsive to an impedance
US7239532B1 (en) * 2006-12-27 2007-07-03 Niko Semiconductor Ltd. Primary-side feedback switching power supply
KR101365753B1 (ko) * 2007-04-23 2014-02-2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US8089783B2 (en) * 2008-05-30 2012-01-03 Active-Semi, Inc. Constant current and voltage controller in a three-pin package with dual-use switch pin
US8289732B2 (en) * 2008-12-23 2012-10-16 Iwatt Inc. Controller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 driving BJT based on primary side adaptive digital control
KR101677731B1 (ko) * 2009-12-31 2016-11-1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자동 재 시작 회로 및 그 방법
JP5304745B2 (ja) * 2010-07-30 2013-10-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絶縁型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2185484B (zh) * 2011-05-10 2013-09-18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开关电源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US8630103B2 (en) * 2011-06-15 2014-01-14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a power converter controller with an external programming terminal having multiple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9956A1 (en) 2013-05-16
JP2013106350A (ja)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53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31411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における障害条件に対する条件付き応答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94452B1 (ko)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JP505605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集積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57229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20130052359A (ko) 자동회복 회로를 구비한 제어 ic, 제어 ic의 자동회복 회로, 파워 컨버터 시스템 및 제어 ic의 자동회복 방법
JP5464851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679613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828378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99110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4124054A (ja) 情報機器及びバッテリ充電回路
JP2008022641A (ja) 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JP2007312544A (ja) 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JP7461253B2 (ja) 昇圧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WO2011158282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用半導体装置
JP5426440B2 (ja) 直流給電システム
US8779743B2 (en) Control circuits and control methods for over voltage protection in power suppliers
JP556665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408085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回路
JP201101937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用半導体装置
JP5445205B2 (ja) 携帯機器の電源制御回路及び携帯機器の電源制御方法
JP2010015348A (ja) 電源回路
JP554058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3158877A (ja) 直流電源装置
JP200608723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