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47862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862A
KR20130047862A KR1020110112661A KR20110112661A KR20130047862A KR 20130047862 A KR20130047862 A KR 20130047862A KR 1020110112661 A KR1020110112661 A KR 1020110112661A KR 20110112661 A KR20110112661 A KR 20110112661A KR 20130047862 A KR20130047862 A KR 20130047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layer
available bandwidth
received
channel qu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기
문상준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862A/ko
Priority to PCT/KR2012/009137 priority patent/WO2013066082A1/ko
Priority to US14/355,714 priority patent/US9686699B2/en
Priority to EP12846639.8A priority patent/EP2775635B1/en
Publication of KR2013004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86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3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ate control, e.g. request to the server to modify its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dapting protocols for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to wireless environment, e.g. adapt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가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미디엄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로부터 수신되었는 지 아니면,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또는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trol Protocol)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MAC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RLC 또는 PDCP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 노드비에 의해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품질 정보 또는 상기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고,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VAILABLE BANDWIDTH OF EACH OF USER EQUIPME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진화형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가 관리하는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 들 각각이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와 진화형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는 각각 다수의 레이어(Layer)들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갖는다.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로는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trol Protocol) 레이어와,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레이어와 및 미디엄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 및 물리 레이어(Physical Layer: 이하, 'L1'이라 칭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L1은 무선 전송(Radio Transfer)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레이어로, 상기 L1 레이어와 상기 MAC 레이어 사이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s) 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 채널은 특정 데이터들이 상기 물리 레이어에서 처리되는 방식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물리 레이어는 데이터를 각 셀 별로 할당되어 있는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와 물리 채널 별로 할당되어 있는 채널화 코드(Channelization code)로 부호화하여 무선으로 송신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MAC 레이어와 RLC 레이어는 논리(logical)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MAC 레이어는 논리 채널을 통해서 RLC 레이어가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전송 채널을 통해 물리 레이어에 전달하고, 상기 물리 레이어가 전송 채널을 통해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논리 채널들을 통해서 RLC 레이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MAC 레이어는 로지컬 채널들이나 전송 채널들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들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부가 정보를 해석해서 적절한 동작을 취하고, 랜덤 액세스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RLC 레이어는 논리 채널들의 설정 및 해제를 담당하고, 상위 레이어로부터 내려온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거나 연접하는 기능 및 오류 정정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PDCP 레이어는 상기 RLC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에 위치하며,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패킷 형태로 전송된 데이터의 헤더를 압축하고 복원하는 기능과, 이동성으로 특정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가 변경되는 상항 에서 데이터의 무손실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적응적 스트리밍(Adaptive Streaming) 방식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eNode B의 MAC 레이어와 RLC 레이어 간에 정보 교환이 없었다. 그러므로, 기존의 eNodeB는 UE로부터 수신된 피드백(feedback) 정보를 통해서 상기 UE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을 추정하고, 추정된 대역폭에 상응하는 품질의 서비스(예를 들어, 비디오)를 상기 UE 에게 제공했었다. 일 예로, eNode B가 UE에게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UE가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100kbps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eNode B는 상기 UE에게 100kbps의 대역폭을 갖는 화질의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UE가 무선 환경 내에서 이동으로 인해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10kbps 정도로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eNode B의 MAC 레이어와 RLC 레이어 간에 정보 교환이 없으므로, 상기 RLC 레이어에서는 상기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고, 그로 인해서 변화된 대역폭에 상응하는 대역폭을 갖는 화질의 비디오가 상기 UE에게 전달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eNode B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호스트로서 기존 서버(server)는 해당 UE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송신 제어 프로토콜(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레이어에서는 일정 윈도우 크기(window size)에 대응하는 패킷을 상기 UE에게 송신하면서, 점점 송신하는 윈도우 크기를 증가시킨다. 그로 인해서, TCP 윈도우 크기가 점점 증가하게 되므로, 적정 TCP 처리량(throughput)에 도달하는 데에도 특정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eNode B의 MAC 레이어,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 각각에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송신하고, 송신된 대역폭 추정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eNode B 각각의 레이어에서제공된 대역폭 추정 정보들을 기반으로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기반으로 서비스 품질 및 TCP 윈도우 크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가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미디엄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로부터 수신되었는 지 아니면,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또는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trol Protocol)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MAC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RLC 또는 PDCP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 노드비에 의해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품질 정보 또는 상기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고,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가 관리하는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UE 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UE 각각에게 서비스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은, 해당 UE로부터 획득한 채널 품질 정보 또는 상기 이 노드비가 서빙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가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미디엄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로부터 수신되었는 지 아니면,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또는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trol Protocol)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MAC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확인 결과, RLC 또는 PDCP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 노드비에 의해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품질 정보와 상기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는 대역폭 추정부와, 상기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가 관리하는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는 서버에 있어서, UE 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UE 각각에게 서비스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은, 해당 UE로부터 획득한 채널 품질 정보와 상기 이 노드비가 서빙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Node B의 MAC 레이어,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 각각에서 UE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송신하고, 송신된 대역폭 추정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고, 추정된 대역폭을 기반으로 해당 단말에게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추정된 대역폭을 상기 eNode B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호스트인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정된 대역폭을 기반으로 제어된 서비스 품질 을 갖고 TCP 윈도우 크기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UE의 대역폭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추정기와 레이어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eNodeB의 MAC 레이어에서 대역폭 추정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eNodeB의 RLC 또는 PDCP 레이어에서 대역폭 추정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추정기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활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활용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은 eNode B의 MAC 레이어,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UE의 레이어 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역폭 추정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기반으로 TCP 윈도우 크기를 제어하고, UE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을 제안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추정기와 레이어간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E(100)가 eNodeB(110)를 통해서 서버(130)와 통신하는 데 관련된 각 장치별 프로코콜 스택들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상기 eNodeB(110)가 관리하는 UE(100)가 하나인 경우를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다 수개의 UE들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UE(100)의 프로토콜 스택은 순차적으로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TCP/IP 레이어, PDCP 레이어, RLC 레이어, MAC 레이어 및L1레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eNodeB(110)의 프로토콜 스택은 PDCP 레이어, RLC 레이어, MAC 레이어 및 L1레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서버(130) 의 프로토콜 스택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TCP/IP 레이어, L2/L1 레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UE(100)의 RLC 및 MAC 레이어와 상기 eNodeB(110)의 RLC 및 MAC 레이어는 상기 UE(100)와 상기 eNodeB(110)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UE(100)의 PDCP 레이어에서 상기 서버(130)로부터 전달된 IP 패킷이 복원되고, 상기 eNodeB(110)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상기 서버(130)에 상기 복원된 IP 패킷이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UE(100)와 상기 서버(130)는 IP 통신을 하게 되며, 상기 UE(100)와 상기 서버(130) 각각이 구비한 TCP/IP레이어 및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각각 TCP/IP레이어 간에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간에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통신 방식에서는 하위 레이어의 정보가 상위 레이어에 전달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위 레이어의 정보를 상위 레이어에 전달하기 위한 대역폭 추정기(120)를 제안한다. 상기 대역폭 추정기(120)는 상기 eNodeB (110)의 RLC 및 MAC 레이어 각각에서 수집 가능한 UE별 대여폭 추정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UE별로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한다. 그리고, 상기 대역폭 추정기(120)는 상기 추정된 UE별로 이용 가능한 대역폭 정보를 상기 서버(130)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또는 TCP/IP 레이어에게 전달한다.
도 1에서는 상기 대역폭 추정기(120)의 위치를 상기 eNodeB(110)와 상기 서버(130) 사이에 위치한 중간 노드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대역폭 추정기(120)의 위치는 일 예로서 도시된 것 일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역폭 추정기는 eNodeB 또는 서버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역폭 추정기(120)는 상기 eNodeB (110)의 MCA 레이어 및 RLC 레이어 각각으로부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eNodeB (110)의 MAC 레이어가 제공하는 대역폭 추정 정보는 무선 채널 품질(wireless channel quality)을 포함한다. 상기 eNodeB(110)의 RLC 레이어 또는 PDCP 레이어에서 제공하는 대역폭 추정 정보는 상기 eNodeB (110)가 해당 UE에게 실제로 서빙(serving)한 데이터의 양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대역폭 추정기의 동작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첫 번째 동작은 eNodeB (110)의 MAC 레이어와,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 중 정어도 하나에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대역폭 추정 정보")를 상기 대역폭 추정기에게 보고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동작은 상기 대역폭 추정기가 첫 번째 동작을 통해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UE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세 번째 동작은, 상기 대역폭 추정기가 계산한, 해당 UE별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활용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활용의 예로 TCP 레이어에서 활용하는 경우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때활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추정된 UE별 이용 가능한 대역폭이 활용되는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의 다른 엔티티(entity)의 다양한 레이어들에서도 활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첫 번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eNodeB의 MAC레이어에서 대역폭 추정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eNodeB의 MAC레이어는 UE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보고를 수신하고, 205단계로 진행한다. 일반적인 eNodeB의 MAC레이어는 자신이 관리하는 UE들로부터 가장 최근의 CQI를 보고받는다. 이때, 해당 UE에 대해 보고 받은 CQI의 채널 상태가 이전에 보고 받은 CQI의 채널 상태보다 좋을 경우, 상기 UE는 현재 데이터량(data rate)보다 더 높은 데이터량을 수신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해당 UE에 대해 보고 받은 CQI의 채널 상태가 이전에 보고 받은 CQI의 채널 상태보다 나쁠 경우, 상기 UE는 현재 데이터량보다 낮은 데이터량을 수신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eNodeB의 MAC레이어는 현재 CQI를 이전 CQI와 비교하고, 이전 CQI에 비해 현재 CQI가 변화된 값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기 위해서 205단계로 진행한다. 205단계에서 상기 eNodeB의 MAC레이어는 상기 수신한 CQI에 대응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level)을 계산하고 2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NodeB의 MAC레이어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CQI별 MCS 레벨이 메핑된 테이블을 통해서 200단계에서 수신한 CQI에 대응하는 MCS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기 테이블은 MCS 레벨 별로 대응하는 CQI의 범위가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210단계에서 eNodeB의 MAC레이어는 상기 MCS 레벨을 수치화하기 위해서 특정 무선 자원당 몇 바이트를 실어서 보낼 수 있는지를 계산하고, 2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도, 미리 저장되어 있는 MCS 레벨 별로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byte)들의 수를 획득한다.
215단계에서 eNodeB의 MAC레이어는 상기 특정 무선 자원 단위로 획득한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weighted average)을 계산하고, 2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획득한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weighted average)은 현재의 CQI를 바이트 단위로 변환한 값이 된다.
220단계에서 eNodeB의 MAC레이어는 이전 단계에서 200단계 내지 215단계를 거쳐 계산한, 이전 단계의 CQI를 바이트 단위로 변환한 값과 상기 현재의 CQI를 바이트 단위로 변화한 값을 비교하여 변화량을 백분율(%)로 계산하고, 225단계로 진행한다.
225단계에서 상기 eNodeB의 MAC레이어는 상기 계산된 변화량의 백분율을 대역폭 추정 정보로서 상기 대역폭 추정기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eNodeB의 RLC 또는 PDCP 레이어에서대역폭 추정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RLC 레이어 혹은 PDCP 레이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 인터벌(interval) 단위로 깨어나서 305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에서 RLC 레이어 혹은 PDCP 레이어는 주어진 세션(session)에 대해 해당 인터벌 동안 서빙된 대역폭 즉, 바이트들의 수를 계산하고 310단계로 진행한다.
310단계에서 RLC 레이어 혹은 PDCP 레이어는 상기 서빙된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계산하고, 315단계로 진행한다.
315단계에서 RLC 레이어 혹은 PDCP 레이어는 상기 대폭 추정기로 상기 서빙된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송신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번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추정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상기 대역폭 추정기는 eNodeB의 MAC 레이어 및/또는 RLC/PDCP 레이어를 통해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하고, 405단계로 진행한다.
405단계에서 상기 대역폭 추정기는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송신한 레이어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송신한 레이어가 eNodeB의 MAC 레이어일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로서 수신한 CQI의 변화량의 백분율을 통해서 채널 상태 관련 파라미터(parameter)를 업데이트(update)하고,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송신한 레이어가 eNodeB의 RLC 레이어 또는 PDCP 레이어일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로서 수신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고, 420단계로 진행한다.
420단계에서 상기 대역폭 추정기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해당 UE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고, 425단계로 진행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a는 CQI의 변화량의 백분율을 MCS 레벨별로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byte)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으로 전환하기 위한 값이다.
425단계에서 상기 대역폭 추정기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추정된 해당 UE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추정된 해당 UE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버의 TCP 레이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로 전달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송신한 레이어에 따라 410 단계와 415 단계의 동작 중 하나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MAC 레이어 및 RLC/PDCP 레이어의 양 자에서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가 전달된 경우 상기 410 단계와 415 단계의 동작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 번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활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추정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서버의 TCP 레이어가 활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500단계에서 서버의 TCP 레이어가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대역폭 보고를 수신하고, 505단계로 진행한다.
505단계에서 상기 서버의 TCP 레이어는 하기 <수학식2>를 이용하여 최적의 TCP 윈도우를 계산하고, 510단계로 진행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는 특정 상수이며, 상기 라운드 트립 시간은 특정 TCP 패킷에 대한 ACK신호가 돌아오는 시간이다.
일 예로, 상기 <수학식2>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이20Mbps이고, 라운트 트립 타임이 30 ms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최적의 TCP 윈도우 값은 20Mbps * 30 ms * 특정 상수 이다.
510단계에서 상기 서버의 TCP 레이어는 상기 <수학식2>를 통해서 계산된 최적의 TCP 윈도우와, 기존 방식에 의해서 계산되는 TCP 윈도우(이하, '오리지널(original) 윈도우'라 칭함) 중 큰 값으로 해당 UE의 TCP 윈도우를 설정하고, 515단계로 진행한다.
515단계에서 상기 서버의 TCP 레이어는 상기 설정된 TCP 윈도우를 사용하여 상기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TCP 레이어는 무선에서 추정한 최적의 TCP 윈도우보다 크기가 큰 데이터를 상기 UE 에게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TCP 레이어에서 윈도우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에서는 패킷 로스(packet loss)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TCP 윈도우 크기를 줄이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동작은 트래픽 혼잡(congestion)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한 동작으로 실제 혼잡 상황이 발생하였는 지와 관계없이 수행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CP 레이어는, 해당 UE가 현재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정확하게 알고 있으므로, 트래픽 혼잡 상황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수학식 2>를 통해서 계산된 최적의 TCP 윈도우의 크기가 줄어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현재 UE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서버가 인지하게 되면 트래픽 혼잡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TCP 윈도우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래픽 혼잡 상황이 아니고 단순히 패킷 로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UE가 현재 이용 가능한 대역폭에 큰 변화가 없고, 그로 인해 최적의 TCP 윈도우 크기 역시 큰 변화를 갖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해당 UE가 현재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획득한 서버의 TCP 레이어는 상기 UE에게 보다 정확한 대역폭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활용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추정된 해당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가 활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600단계에서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상기 대역폭 추정기로부터 해당 UE가 현재 이용 가능한 대역폭 보고를 수신하고, 605단계로 진행한다.
605단계에서 상기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상기 UE에게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상기 대역폭 보고에 상응하는 대역폭을 갖는 서비스 품질 레벨을 갖도록 조정하고, 610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UE에게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비디오 혹은 오디오 스트림에 해당한다고 가정한다.
610단계에서 상기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조정된 서비스 품질 레벨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상기 UE 에게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현재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획득한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현재 UE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기반으로 조정된 서비스 품질 레벨을 갖는 서비스를 상기 UE 에게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UE는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가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미디엄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로부터 수신되었는 지 아니면,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또는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trol Protocol)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MAC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RLC 또는 PDCP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 노드비에 의해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품질 정보 또는 상기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고,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미리 인지하고 있는 테이블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최근에 수신한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에 매핑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과, 상기 최근에 수신한 CQI 이전에 수신한 CQI에 매핑되는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MAC 레이어와, RLC 또는 PDCP 레이어 모두를 통해서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MAC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RLC 또는 PDCP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 노드비에 의해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품질 정보와 상기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고,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방법.
  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가 관리하는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UE 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UE 각각에게 서비스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은, 해당 UE로부터 획득한 채널 품질 정보와 상기 이 노드비가 서빙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 사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미리 인지하고 있는 테이블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최근에 수신한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에 매핑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과, 상기 최근에 수신한 CQI 이전에 수신한 CQI에 매핑되는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 사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TCP 레이어가 제1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응하는 TCP 윈도우 크기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기 이전에 계산한 TCP윈도우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응하는 TCP 윈도우 크기와 상기 제1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기 이전에 계산한 TCP윈도우 크기 중 큰 값을 현재 TCP 윈도우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현재 TCP 윈도우를 통해서 상기 제1UE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 사용 방법.
  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가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미디엄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로부터 수신되었는 지 아니면,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또는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trol Protocol)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MAC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확인 결과, RLC 또는 PDCP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경우,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 노드비에 의해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품질 정보 또는 상기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는 대역폭 추정부와,
    상기 계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E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미리 인지하고 있는 테이블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최근에 수신한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에 매핑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과, 상기 최근에 수신한 CQI 이전에 수신한 CQI에 매핑되는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UE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추정부는, 상기 확인 결과 MAC 레이어와, RLC 또는 PDCP 레이어 모두를 통해서 상기 대역폭 추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MAC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RLC 또는 PDCP 레이어를 통해서 수신한 대역폭 추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 노드비에 의해서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품질 정보와 상기 서빙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가 현재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계산하고, 서버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UE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 추정 장치.
  1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진화된 이 노드비(eNodeB: enhanced NodeB)가 관리하는 사용자 장치 별(UE: User Equipment)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는 서버에 있어서,
    UE 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UE 각각에게 서비스되는 스트리밍 서비스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UE별 사용 가능한 대역폭은, 해당 UE로부터 획득한 채널 품질 정보와 상기 이 노드비가 서빙한 대역폭의 바이트들의 수에 대해 웨이트된 평균값을 사용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미리 인지하고 있는 테이블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최근에 수신한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에 매핑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과, 상기 최근에 수신한 CQI 이전에 수신한 CQI에 매핑되는 MCS 레벨에 매핑된 특정 무선 자원을 나타내는 바이트들의 수를 웨이트한 평균값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의 TCP 레이어가 제1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응하는 TCP 윈도우 크기를 계산하고, 상기 제1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기 이전에 계산한 TCP윈도우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응하는 TCP 윈도우 크기와 상기 제1UE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수신하기 이전에 계산한 TCP윈도우 크기 중 큰 값을 현재 TCP 윈도우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현재 TCP 윈도우를 통해서 상기 제1UE에게 데이터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10112661A 2011-11-01 2011-11-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Ceased KR20130047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61A KR20130047862A (ko) 2011-11-01 2011-11-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2/009137 WO2013066082A1 (ko) 2011-11-01 2012-11-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4/355,714 US9686699B2 (en) 2011-11-01 2012-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vailable bandwidth for each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2846639.8A EP2775635B1 (en) 2011-11-01 2012-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vailable bandwidth for each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61A KR20130047862A (ko) 2011-11-01 2011-11-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62A true KR20130047862A (ko) 2013-05-09

Family

ID=4819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661A Ceased KR20130047862A (ko) 2011-11-01 2011-11-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86699B2 (ko)
EP (1) EP2775635B1 (ko)
KR (1) KR20130047862A (ko)
WO (1) WO2013066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221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서비스 시 중복 전송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5877B1 (en) 2014-05-12 2018-09-11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adio layer information to enhance network transfer protocols
US9935730B1 (en) * 2014-05-12 2018-04-03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adio layer information to enhance network transfer protocols
KR102313485B1 (ko) 2015-04-22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현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035017A (zh) * 2018-01-12 2019-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9143181A1 (en) * 2018-01-18 2019-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dynamically controlling tcp congestion window
CN111343647B (zh) * 2018-12-19 2022-08-02 中国移动通信集团重庆有限公司 用户感知评估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987B1 (en) 1999-06-01 2005-02-01 Fastforward Networks, Inc. System for multipoint infrastructure transport in a computer network
DE60028967T2 (de) 1999-06-01 2007-02-15 Fastforward Networks, Inc., San Francis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andbreitenzuteilung
US7706330B2 (en) * 2005-10-03 2010-04-27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link adaptation in a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100827371B1 (ko) 2005-11-30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070147249A1 (en) 2005-12-22 2007-06-28 Brijesh Kumar Cross layer optimization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in lossy wireless environments
WO2008105310A1 (ja) * 2007-02-28 2008-09-04 Ntt Docomo, Inc.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00072354A (ko) * 2007-09-28 2010-06-3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17598B2 (en) * 2007-12-2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flow control
US8127197B2 (en) * 2008-03-13 2012-02-2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control padding for 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S8638699B2 (en) * 2008-11-10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large service data unit (SDU)
JP5388332B2 (ja) * 2009-01-07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EP2214435A1 (en) * 2009-01-30 2010-08-04 Panasonic Corporation Efficient packet data unit transmissions and re-transmissions involving a relay node
US8867495B2 (en) * 2009-03-20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mechanisms for beamforming operation
CA2764870C (en) * 2009-06-18 2015-02-17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EP2582075A4 (en) * 2010-06-09 2015-10-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SUPPORTS
KR20120029338A (ko) * 2010-09-16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피드백 방법 및 장치
CA2813636C (en) * 2010-10-08 2017-03-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te channel state information estimation
US8675558B2 (en) * 2011-01-07 2014-03-18 Intel Corporation CQI definition for transmission mode 9 in LTE-advanced
WO2013043201A1 (en) * 2011-09-23 2013-03-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xtrapol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estimates from multiple packets sent over different frequency channels to generate a combined csi estimate for a mimo-ofdm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221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서비스 시 중복 전송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6082A1 (ko) 2013-05-10
EP2775635B1 (en) 2020-02-26
US9686699B2 (en) 2017-06-20
US20140293823A1 (en) 2014-10-02
EP2775635A4 (en) 2015-06-24
EP2775635A1 (en)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9917B (zh) 用于选择无线电链路控制协议数据单元大小的方法和设备
KR2013004786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2564557B1 (en) Method for setting and adjusting a parameter dependent on a round trip time
US971666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ata transmission
EP2995117A1 (en) Offloading communication from a cellular network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04517585A (ja) ハイブリッドarq方法及びハイブリッドarq送信機
JP2006121753A (ja) 高速ダイナミックリンクアダプテ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494521B (zh) 用于edch的自适应harq控制
CN107615692B (zh) 服务质量驱动的选择性混合自动重传请求
KR201000599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방법
US110446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ongestion in data transmission path
JP2011509593A5 (ko)
RU201013220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2010273262A (ja) 無線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JP2005006320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無線通信局、およびデータ・パケットを送信する方法
JP4956429B2 (ja) 無線送信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下り送信制御方法
US20050054347A1 (en) Uplink resource allocation
EP3503655B1 (e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10911973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845177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gateway apparatus
CN101369842A (zh) 确认模式下无线链路控制层业务发送窗口调整方法
JP2007235932A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Shadmand et al. TCP dynamics and adaptive MAC retry-limit aware link-layer adaptation over IEEE 802.11 WLAN
JP2004282792A (ja) ハイブリッドarq方法及びハイブリッドarq送信機
CN101388695B (zh) 一种外环功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