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988A -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3988A KR20130043988A KR1020110108212A KR20110108212A KR20130043988A KR 20130043988 A KR20130043988 A KR 20130043988A KR 1020110108212 A KR1020110108212 A KR 1020110108212A KR 20110108212 A KR20110108212 A KR 20110108212A KR 20130043988 A KR20130043988 A KR 201300439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base
- stand
- type air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패널과; 공기 흡입구 전방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흡입패널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토출 패널에 설치된 복수개의 송풍기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강도보강부를 포함하여, 공기가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흡입 패널을 통과한 후 그 전방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송풍기를 향해 유동되므로 유동 저항이 적고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공조할 수 있고, 복수개의 송풍기 또는 열교환기에 의해 하중이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쏠리더라도 강도보강부가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고,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tand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e; A suction panel installed above the base and having an air suction hole;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front of the air inlet; A discharge panel provided in front of the suction panel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A plurality of blower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nel, the base including a lower plate portion and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integr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portion, the air being positioned in fron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nel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Since it flows toward a plurality of blowers, the flow resistance is low and air can be sucked and air-conditioned quickly,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can support while distributing the load even if the load is direct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by the plurality of blowers or heat exchangers. ,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overturning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에 세워져 설치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room.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and heating the room by using a heater, a cooler, a purifier, etc., or purifying the air, thereby creating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가 공기조화기에 복수개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를 입체적으로 공조시킨다.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n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n the room is sucked and an 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coordin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is discharged, and when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are formed in the air conditioner, air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is formed. Air conditioning the room in three dimensions.
공기조화기는 벽에 걸어서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Air conditioners include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wall,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floor of a room,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of a room.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하부의 전면이나 측면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상부의 전면이나 측면이나 상면으로 토출할 수 있다.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may inhale air to the front or side of the lower portion and then discharge the air to the front or sid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이스패널의 배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킨 후 열교환기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좌측과 우측으로 토출시키므로, 공기의 유동 저항이 크고, 베이스패널에 흡입구가 형성되므로 베이스패널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베이스패널에 설치할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브래킷을 베이스패널에 설치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ucks air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anel and blows it upward, heat exchanges with the heat exchanger, and discharges the heat exchanged air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is large, and an inlet is formed in the base panel. Therefore, not only the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base panel is installed in the base panel, but also the motor bracket for mounting the drive motor in the base panel,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ncrease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 전방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상기 토출 패널에 설치된 복수개의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강도보강부를 포함한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base; A suction panel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n air suction hole;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front of the air inlet; A discharge panel installed in front of the suction panel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It includes a plurality of blower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nel, the base includes a lower plate portion, and the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portion.
상기 강도 보강부는 후판부와 좌측부와 우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와 후판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may include a rear plate part,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and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art connecting the lower plate part and the thick plate part.
상기 경사부는 하단이 상기 하판부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may have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상기 경사부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 사이에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상기 경사부는 내부가 빈 중공통부일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may be an empty hollow cylinder portion.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경사부 보다 높은 위치에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may include a control box installation part in which a control box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clination part.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may include a pip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a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하판부의 후방부과 강도보강부의 후방부를 덮는 베이스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cover may be coupled to the base cover covering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상기 베이스와 베이스 커버에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관통되는 배관 홀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and the base cover may be formed so that the pipe hole through which the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passes.
상기 베이스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베이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base.
본 발명은 공기가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흡입 패널을 통과한 후 그 전방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송풍기를 향해 유동되므로 유동 저항이 적고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공조할 수 있고, 복수개의 송풍기 또는 열교환기에 의해 하중이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쏠리더라도 강도보강부가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고,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ir flows through a suction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flows toward a plurality of blowers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se, the flow resistance is low and air can be sucked and air-conditioned quickly. Even if the load is direct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he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can support the load while distributing the loa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tand-up of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시시예의 정지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베이스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in air conditioner temporary stop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of one embodiment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시시예의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베이스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during operation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nd-i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본 실시예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베이스(2)와; 베이스(2)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흡입 패널(6)과; 공기 흡입구(4) 전방에 설치된 열교환기(8)와; 흡입패널(6)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10)(12)가 형성된 토출 패널(14)과; 토출 패널(14)에 설치된 복수개의 송풍기(16)(1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베이스(2)는 흡입 패널(6)과 열교환기(8)와 토출 패널(14)과 복수개의 송풍기(16)(18)의 하중이 작용될 수 있고, 흡입 패널(6)과 열교환기(8)와 토출 패널(14)과 복수개의 송풍기(16)(18)를 안정감 있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 두께나 좌우방향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토출 패널(14)과 복수개의 송풍기(16)(18)가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방부를 구성할 수 있고, 흡입 패널(6)과 열교환기(8)가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후방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the length of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r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전방부에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고급화하고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parts capable of improving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and increasing the function of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in the front part.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토출 패널(14)의 전방에 배치되어 토출 패널(14)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10)(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22)(24)와, 풍향조절부재(22)(24)를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모터(26)(2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22)(24)와 풍향조절모터(26)(28)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is a wind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10)(12)를 여닫는 도어(30)(32)와 도어(30)(32)를 동작시키는 도어 구동기구(34)(36)를 포함할 수 있고, 도어 구동기구(34)(36)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커버(20)와 풍향조절부재(22)(24)와 도어 구동기구(34)(36)가 토출 패널(14) 및 복수개의 송풍기(16)(18)와 함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방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th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베이스(2)의 높이가 높을 경우, 공기 흡입구(4)의 위치와 공기 토출구(10)(12)의 위치도 높을 수 있고, 베이스(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전체 높이의 적어도 1/3의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전방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질수록 전방부가 무거워지면서 전방 방향으로 넘어지려고 할 수 있는데, 베이스(2)의 강도가 높을 경우 베이스(2)가 이를 지탱하면서 스텐드형 공기조화기가 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하, 베이스(2)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may try to fall in the forward direction as the number of parts mounted on the front part increases, and the front part becomes heavy. When the strength of th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전방부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38)(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22)(24) 및 풍향조절모터(26)(28)와 도어 구동기구(34)(36)가 사이드 패널(38)(40)에 설치될 수 있다.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사이드 패널(38)(40)에는 공기 토출구(10)(12)와 연통되는 공기 토출홀(39)(16)이 형성될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22)(24)는 공기 토출홀(39)(16)을 통과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게 사이드 패널(38)(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어 구동기구(34)(36)는 사이드 패널(38)(4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30)(32)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흡입 패널(6)은 후판부와, 후판부의 좌측에서 돌출된 좌측판부와, 후판부의 우측에서 돌출된 우측판부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 흡입구(4)는 후판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흡입 패널(6)은 우측판부의 하부와 좌측판부의 하부 사이에 열교환기(8)가 안착될 수 있는 후판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열교환기(8)는 공기 흡입구(4) 전방에 위치되게 흡입 패널(6)의 좌측판부와 우측판부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토출 패널(14)은 좌측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될 수 잇고, 우측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토출 패널(14)은 전판부과, 전판부의 좌측에서 절곡된 좌측판부과, 전판부의 우측에서 절곡된 우측판부을 포함할 수 있고, 좌측 공기 토출구(10)는 좌측판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 공기 토출구(12)는 우측판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토출 패널(14)은 전판부의 배면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열교환기(8)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 패널(14)의 전판부 배면의 안내를 받으면서 토출 안내될 수 있다. The
복수개의 송풍기(16)(18)는 토출 패널(14)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송풍기(16)와 토출 패널(14)의 하부에 상부 송풍기(42)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하부 송풍기(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부 송풍기(42)는 회전축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토출 패널(14)에 설치된 상부 모터(45)와, 상부 모터(45)의 회전축에 설치된 상부 터보팬(46)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blower 42 may include an
하부 송풍기(18)는 회전축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토출 패널(14)에 설치된 하부 모터(47)와, 하부 모터(47)의 회전축에 설치된 하부 터보팬(48)을 포함할 수 있다.The
복수개의 송풍기(16)(18)와 열교환기(8)의 사이에는 상부 터보팬(46)과 하부 터보팬(48)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49)가 설치될 수 있다.An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송풍기(16)(18)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송풍된 공기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토출하는 전방 토출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전방 토출 패널(50)은 복수개의 송풍기(16)(18) 중 하부 송풍기(18)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2)의 전면 일부를 차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베이스(2)는 하판부(51)와, 하판부(51) 상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강도보강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강도 보강부(52)는 후판부(53)와 좌측부(54)와 우측부(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후판부(52)와 좌측부(54)와 우측부(55)는 하판부(51)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강도 보강부(52)는 하판부(51)와 후판부(54)를 연결하는 경사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경사부(58)는 하단이 하판부(51)의 전방부(51a)와 후방부(51b) 중 전방부(51a)에 연결될 수 있다. The
경사부(58)는 좌측부(54)와 우측부(55) 사이에 좌측부(54) 및 우측부(55)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경사부(58)는 내부가 빈 중공통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강도 보강부(52)는 경사부(58) 보다 높은 위치에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는 컨트롤 박스(60)가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강도 보강부(52)는 열교환기(8)에 연결되는 배관(9)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부(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베이스(2)에는 하판부(51)의 후방부과 강도보강부(51)의 후방부를 함께 덮는 베이스 커버(70)가 결합될 수 있다.The
베이스 커버(70)는 강도 보강부(52)의 후판부(52) 후방에 위치되고 강도 보강부(52)의 후판부(52) 배면을 덮는 후판부(72)와, 후판부(72)의 좌측에서 절곡되고 강도 보강부(52)의 좌측부(54) 후방부 외면을 덮는 좌측판부(74)와, 후판부(72)의 우측에서 절곡되고 강도 보강부(72)의 우측부(55) 후방부 외면을 덮는 우측판부(76)를 포함할 수 있다.The
베이스(2)와 베이스 커버(70)에는 열교환기(8)에 연결되는 배관(9)이 관통되는 배관 홀(78)(80)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베이스 커버(70)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베이스(2)에 결합될 수 있다.Th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베이스(2)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베이스 도어(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tand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베이스 도어(100)는 베이스(2)의 전방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게 연결되거나 베이스(2)의 전방과 베이스(2)의 전방 이외로 슬라이드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복수개의 송풍기(16)(18)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흡입 패널(6)의 후방에서 공기 흡입구(4)를 통과하여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8)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고, 이후 그 전방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송풍기(16)(18)로 분산되어 흡입된다.First, when the plurality of
복수개의 송풍기(16)(18)로 흡입된 공기는 둘레 방향으로 송풍되고, 이후 공기 토출구(10)(12)를 통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air sucked into the plurality of
복수개의 송풍기(16)(18) 중 하부 송풍기(18)에서 송풍된 공기는 일부가 전방 토출 패널(50)을 통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blown by the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운전 또는 정지시, 복수개의 송풍기(16)(18) 등에 의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방부로 하중이 집중되거나 열교환기(8)에 의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후방부로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데, 베이스(2)의 강도 보강부(52)가 하중을 분산시키고,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is driven or stopped, the load may be concentrated in front of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by a plurality of
한편, 베이스 커버(70)는 베이스(2)의 후방부에서 강도 보강부(52)를 지지하고,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는 보다 안정감있게 유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2: 베이스 4: 공기 흡입구
6: 흡입 패널 8: 열교환기
10,12: 공기 토출구 14: 토출 패널
16,18: 송풍기 51: 하판부
52: 강도보강부 53: 후판부
54: 좌측부 55: 우측부
58: 경사부 62: 컨트롤 박스 설치부
64: 배관 수용홈부 70: 베이스 커버
78,80: 배관 홀2: base 4: air intake
6: suction panel 8: heat exchanger
10, 12: air discharge port 14: discharge panel
16,18: blower 51: lower panel
52: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53: thick plate portion
54: left part 55: right part
58: inclined portion 62: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64: piping accommodating groove 70: base cover
78,80: plumbing holes
Claims (10)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 전방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패널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상기 토출 패널에 설치된 복수개의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A base;
A suction panel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n air suction hole;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front of the air inlet;
A discharge panel installed in front of the suction panel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A plurality of blower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nel,
The base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nd integrally protruding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includes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상기 강도 보강부는 후판부와 좌측부와 우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와 후판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trength reinforcement part includes a rear plate part and a left part and a right part,
Stand typ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slope connecting the lower plate and the rear plate.
상기 경사부는 하단이 상기 하판부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전방부에 연결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of which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상기 경사부는 상기 좌측부와 우측부 사이에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clined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between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상기 경사부는 내부가 빈 중공통부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of the hollow hollow cylinder.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경사부 보다 높은 위치에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를 포함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rength reinforcement unit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ontrol box installation portion is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higher than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trength reinforcement unit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ip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하판부의 후방부과 강도보강부의 후방부를 덮는 베이스 커버가 결합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is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is coupled to the base cover to cover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plate and the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상기 베이스와 베이스 커버에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관통되는 배관 홀이 연통되게 형성된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8,
And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cover to communicate with a pipe hole through which a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passes.
상기 강도 보강부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베이스 도어를 더 포함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8,
Stand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bas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strength reinforc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212A KR101880482B1 (en) | 2011-10-21 | 2011-10-21 |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212A KR101880482B1 (en) | 2011-10-21 | 2011-10-21 |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3988A true KR20130043988A (en) | 2013-05-02 |
KR101880482B1 KR101880482B1 (en) | 2018-07-20 |
Family
ID=4865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82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80482B1 (en) | 2011-10-21 | 2011-10-21 |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04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62577A (en) * | 2017-03-29 | 2017-08-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9063B2 (en) * | 1991-02-22 | 1995-07-26 | 株式会社東芝 | Air conditioner |
KR20040078973A (en) * | 2003-03-05 | 2004-09-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flow guiding structure of Airconditioner in interior part |
JP2005083742A (en) * | 2003-09-04 | 2005-03-31 | Lg Electron Inc | Interi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20050103707A (en) * | 2004-04-27 | 2005-11-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
CN2851940Y (en) * | 2005-10-21 | 2006-12-27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casing arrangement structure |
KR100745426B1 (en) | 2006-09-19 | 2007-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100776261B1 (en) * | 2006-11-07 | 2007-1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7610A (en) * | 1992-10-22 | 1994-05-20 | Toshiba Corp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KR950023706U (en) * | 1994-01-27 | 1995-08-23 | Base fan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KR100267222B1 (en) * | 1997-11-13 | 2000-10-16 | 구자홍 | support for air conditioner |
KR20000055577A (en) * | 1999-02-08 | 2000-09-05 | 구자홍 | device for mounting air guide and shroud of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KR20020088807A (en) * | 2001-05-21 | 2002-11-29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 dehumidifier |
KR20040076518A (en) * | 2003-02-26 | 2004-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an support structure of Airconditioner in interior part |
KR100547685B1 (en) * | 2003-11-17 | 2006-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0547675B1 (en) * | 2003-09-04 | 2006-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0547689B1 (en) * | 2003-11-18 | 2006-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an motor fixing structure of integrated air conditioner |
KR100727461B1 (en) * | 2004-12-29 | 2007-06-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JP2007071517A (en) * | 2005-09-09 | 2007-03-22 | Hitachi Ltd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KR20080056509A (en) * | 2006-12-18 | 2008-06-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101444360B1 (en) * | 2008-01-08 | 2014-09-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11
- 2011-10-21 KR KR1020110108212A patent/KR1018804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9063B2 (en) * | 1991-02-22 | 1995-07-26 | 株式会社東芝 | Air conditioner |
KR20040078973A (en) * | 2003-03-05 | 2004-09-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flow guiding structure of Airconditioner in interior part |
JP2005083742A (en) * | 2003-09-04 | 2005-03-31 | Lg Electron Inc | Interi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20050103707A (en) * | 2004-04-27 | 2005-11-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
CN2851940Y (en) * | 2005-10-21 | 2006-12-27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casing arrangement structure |
KR100745426B1 (en) | 2006-09-19 | 2007-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100776261B1 (en) * | 2006-11-07 | 2007-1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62577A (en) * | 2017-03-29 | 2017-08-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CN107062577B (en) * | 2017-03-29 | 2023-09-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0482B1 (en) | 2018-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295553B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315427B1 (en) | Air conditioner | |
US9410716B2 (en) | Ventilation apparatus | |
KR20130043983A (en) | Air conditioner | |
KR20070078259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45476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16164463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7412149B2 (en) | Air conditioning control room | |
JP2012032054A (en) | Air conditioner | |
CN208936310U (en) | Air conditioner | |
KR20110038403A (en)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
KR20070078255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30043979A (en)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
KR20130043988A (en) |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130043989A (en) | Air conditioner | |
KR101093764B1 (en) | Multi-directional discharge air conditioner | |
KR20200111061A (en) | A modula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100051957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JP2005061674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210601946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KR20220104557A (en) | Air-conditioner | |
KR10239295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477814B1 (en) | air conditioner | |
WO2019127907A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unit | |
KR102743915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