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8494A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494A
KR20130038494A KR1020110102882A KR20110102882A KR20130038494A KR 20130038494 A KR20130038494 A KR 20130038494A KR 1020110102882 A KR1020110102882 A KR 1020110102882A KR 20110102882 A KR20110102882 A KR 20110102882A KR 20130038494 A KR20130038494 A KR 20130038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light
display device
left eye
right ey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2052B1 (en
Inventor
진유용
황광조
김의태
김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052B1/en
Publication of KR2013003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0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8Polarisers with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larisation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줄이고 2차원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패턴이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ective film having a pattern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three-dimensional crosstalk and improving the two-dimensional front brightness.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줄이고 2차원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패턴이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cluding a protective film formed with a pattern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three-dimensional crosstalk and improve the two-dimensional front brightness. .

최근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영상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2차원적인 평면영상뿐만 아니라 3차원적인 입체영상까지도 구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has developed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the display field has been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not only a two-dimensional plane image but also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with respect to an image realiza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인간이 영상의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는 두 눈 사이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 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이 있다.In addition to the binocular disparity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there are psychological and memorizing factors for the depth and stereoscopic effect of the human image.

이와 같은 요인들을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 방식 중 하나가 양안의 생리적 요인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느끼는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이다.One of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s using these factors is a stereoscopic type in which stereoscopic effect is felt using physiological factors of both eyes.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은 약 65㎜정도 떨어져 있는 좌우안에 시차정보가 포함된 평면의 연관영상을 제공하면, 뇌가 이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시면 전후의 공간정보를 생성해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 즉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를 이용한 것이다.The stereoscopic type is the ability to generate the spatial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display surface in the process of fusion of the brain by providing the plane image with the parallax in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That is, stereography is used.

이러한 입체감표현방식은 실질적인 입체감 생성위치에 따라 관찰자가 특수안경을 착용하는 안경방식과, 표시면 측의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등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를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stereoscopic expression system is classified into a spectacle system in which a viewer wears special glasses depending on a substantial stereoscopic generation position and a non-stereoscopic vision system in which a lens array such a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on the display side is used, . ≪ / RTI >

이 중 안경방식은 무안경 방식에 비해 시야각이 넓고 감상 시 어지러움증 유발이 적으며, 비교적 저렴한 원가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mong these glasses, the viewing angle is wider than that of the non-glasses type, and it is less prone to dizziness and can be manufactured at a relatively low cost.

위와 같은 안경방식은, 셔터안경 방식(shutter glasses)과 편광분할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The glasses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vided into shutter glasses and polarization splitting.

셔터안경 방식은, 하나의 화면으로 좌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고 셔터안경의 좌측 셔터와 우측 셔터의 순차적 개폐 타이밍(timing)을 좌우안 영상의 시교차 시간과 일치시켜서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The shutter glasses system alternately displays the left and right images with a single screen, and sequentially opens and closes the timing of the left shutter and the right shutter of the shutter glasses in accordance with the temporal difference time of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Thereby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feeling.

셔터안경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 시교차 타이밍을 완전히 일치하도록 제어하지 못함에 따라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관찰자가 입체영상을 감상할 때 어지러움증과 같은 피로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Flicker phenomenon may occur when the shutter eyeglasses system is not controlled so as to perfectly match the temporal difference timings so that observers may experience fatigue such as dizziness when viewing stereoscopic images.

또 다른 방식인 편광분할 방식은, 하나의 화면의 화소를 열, 행 또는 화소단위로 2분할하여 좌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방향으로 표시하고, 편광안경의 좌측 안경과 우측 안경이 서로 다른 편광방향을 갖도록 하여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Another method, polarization splitting, divides pixels on one screen into columns, rows, or pixels to display left and right images in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glasses of the polarizing glasses have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This is a method of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allowing each image to be separately recognized by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편광분할 방식은 셔터안경 방식에서와 같은 플리커 현상 발생 요인이 없으므로 감상 시 피로 유발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The polarization splittin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less fatigue when watching because there is no cause of flicker like the shutter glasses method.

또한, 편광분할 방식의 표시장치는 표시장치 전면에 편광을 분할할 수 있는 패터닝된 편광분할 광학매체(예를 들어, 패턴드 리타더층(patterned retarder) 등)를 장착하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저렴한 편광안경을 착용하여 다수가 감상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든다.In addition, a polarization split display device is equipped with a patterned polarization splitting optical medium (for example, a patterned retarder, etc.) capable of dividing the polarization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thereby making polarization extremely inexpensive. Wearing glasses can be enjoyed by many, so the cost is relatively low.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편광분할 방식의 표시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polarization split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종래의 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빛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nd FIG. 2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path of light in a three-dimensional mode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미도시)과 반응성 단량체가 코팅되어 패턴드 리타더층(patterned retarder)(50)과 보호필름(60)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includes a patterned retarder 50, a protective film 60, and the like coated with a display panel (not shown) and a reactive monomer.

표시패널은 제 1 기판(미도시)과 제 2 기판(20)을 부착하여 형성되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한다.The display panel is formed by attaching the first substrate (not shown) and the second substrate 20 to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us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제 1 기판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 데이터 배선(미도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등이 형성된다.Gate lines (not shown), data lines (not shown), thin film transistors (not shown),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제 2 기판(20)에는 블랙매트릭스(BM)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수평화소라인(Hl) 쪽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The black matrix BM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0. As illustrated, the black matrix BM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1.

이와 같은 블랙매트릭스(BM)는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에서 비표시영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black matrix BM serves to block the non-display area in the two-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는 블랙매트릭스(BM)와 더불어 블랙스트라이프(BS)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the black stripe BS may be further formed along with the black matrix BM.

그리고, 제 2 기판(20)에는 다수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다수의 우안 수평화소라인(Hr)가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s H1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s Hr may be defined in the second substrate 20.

제 1 기판 하부에는 제 1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되고, 제 2 기판(20) 상부에는 제 2 편광판(40)이 부착된다.A first polarizer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polarizer 4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0.

이때,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40)은 광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제 1 편광판의 광투과축은 제 2 편광판(40)의 광투과축과 수직으로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40 transmit only linear polarization parallel to the light transmission axis,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40.

패턴드 리타더층(50)은, 접착층(52)에 의해 제 2 편광판(40)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다수의 좌안 리타더(Rl) 및 다수의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한다.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40 by the adhesive layer 5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eft eye retarders Rl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retarders Rr.

보호필름(60)은 패턴드 리타더층(50) 상부에 위치하며, 패턴드 리타더층(50) 및 제 2 편광판(4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protective film 60 is positioned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and serves to protect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40.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블랙매트릭스(BM) 및 블랙스트라이프(BS)는 정면 방향(Z1 영역)에서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각각 표시하는 다수의 좌안영상(Il) 및 다수의 우안영상(Ir) 중 일부가 상이한 리타더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three-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the black matrix BM and the black stripe BS each have a plurality of left eye images displayed by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and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in the front direction (Z1 region). A part of Il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images Ir are prevented from being output to different retarders.

예를 들어, 블랙매트릭스(BM)는 정면 방향(Z1 영역)에서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다수의 좌안영상(Il)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5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여 우원편광 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For example, in the black matrix BM,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ft eye images Il indicated by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in the front direction (Z1 region) is the right eye retarder Rr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Pass through) to prevent right polarization and output.

그리고, 블랙스트라이프(BS)는 정면 방향(Z1 영역)에서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다수의 우안영상(Ir)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5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여 좌원편광 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lack stripe BS may include the left eye retarder Rl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i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ight eye images Ir displayed by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in the front direction (Z1 region). It passes through the left circle and prevents it from being output.

이러한 블랙스트라이프(BS)는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 하부 부화소영역을 블랙 처리하여 형성한다.The black stripe BS is formed by blacking the lower subpixel area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장치의 상하 시야각 방향(Z2 영역)에서는, 정면 방향(Z1 영역)에서와 달리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다수의 좌안영상(Il)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5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여 우원편광 되어 출력되고 있다. (Il')As shown in FIG. 2, in the vertical viewing angle direction (Z2 area) of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ft eye images Il displayed by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1 is different from the front direction (Z1 area).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retarder Rr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and is output. (Il ')

그리고,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다수의 우안영상(Ir)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5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여 좌원편광 되어 출력되고 있다. (Ir')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ight eye images Ir displayed by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passes through the left eye retarder Rl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and is left polarized and output. (Ir ')

이와 같이, 우원편광 된 일부의 좌안영상(Il')은 우원편광 된 다수의 우안영상(Ir)과 함께 편광안경(미도시)의 우안렌즈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우안에 전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ft eye image Il 'of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observer's right eye through the right eye lens of the polarizing glasses (not shown) together with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right eye image Ir.

그리고, 좌원편광 된 일부의 우안영상(Ir')은 좌원편광 된 다수의 좌안영상(Il)과 함께 편광안경의 좌안렌즈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전달될 수 있다.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part of the right eye image Ir 'may be transmitted to the observer's left eye along with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eft eye image Il through the left eye lens of the polarizing glasses.

따라서, 다수의 우안영상(Ir)과 일부의 좌안영상(Il')이 서로 간섭하거나 다수의 좌안영상(Il)과 일부의 우안영상(Ir')이 서로 간섭함에 따라 3차원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한다.Therefore, the 3D crosstalk is caus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right eye images Ir and some of the left eye images Il 'or the interference of the plurality of left eye images Il and some of the right eye images Ir'. Occurs.

여기서, 3D 크로스토크(Crosstalk)란, 좌안영상(Il)이 우안에 제공되거나 우안 영상(Ir)이 좌안에 제공됨에 따라 선명한 3차원 입체영상의 인식을 방해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3D crosstalk means that the 3D crosstalk interferes with a clear 3D stereoscopic image as the left eye Il is provided to the right eye or the right eye Ir is provided to the left eye.

이와 같이, 3D 크로스토크에 의해 상하방향의 3차원 시야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us,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wered by the 3D crosstalk.

또한, 블랙스트라이프(BS) 폭과 상하 시야각은 시청거리에 맞춰서 설계되어 있으므로, 시청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3D 크로스토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black stripe (BS) width and the vertical viewing angle are designed to match the viewing d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3D crosstalk may occur when the viewing distance approach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줄이고 2차원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패턴이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otective film formed with a pattern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three-dimensional cross-talk and improve the two-dimensional front brightnes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시장치는,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형성되며 좌안 리타더 및 우안 리타더로 구성되는 패턴드 리타더층과;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수의 가이딩 패턴으로 구성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 patterned retarder layer formed on the display panel and configured of a left eye retarder and a right eye retarder; It is formed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ective fil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면 각각에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판이 형성될 수 있다.Here, first and second polarizing plate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light may be formed on each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그리고, 제 2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며, 각 화소영역은 제 1 부화소영역 및 제 2 부화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 areas, and each pixel area may include a first subpixel area and a second subpixel area.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은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3차원 모드 또는 2차원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be implemented in a 3D mode or a 2D mode by a mode control signal.

이때,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2차원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부화소영역 및 제 2 부화소영역에서 광이 출광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in the 2D mode by the mode control signal, light may be emitted from the first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반면에,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3차원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부화소영역에서는 광이 출광되고, 상기 제 2 부화소영역에서는 광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in the 3D mode by the mode control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light is emit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and light is block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한편,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may have a shape consisting of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여기서,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의 표면과 상기 제 1 경사면이 이루는 예각이 증가할수록 상기 출사광의 굴절 정도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gree of refraction of the emitted light increases as the acute angle formed betwee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creases.

그리고,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상기 좌안 리타더 및 우안 리타더의 경계선을 대칭축으로 선대칭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undary lines of the left eye retarder and the right eye retarder are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의 상부에 패턴드 리타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상부에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수의 가이딩 패턴으로 구성되는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forming a patterned retarder layer on an upper portion of a display panel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us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 And forming a protective film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the protective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for changing a path of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면 각각에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first and second polarizing plates on the outer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selectively transmit light, wherei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have.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며, 각 화소영역은 제 1 부화소영역 및 제 2 부화소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 areas, and each pixel area may include a first subpixel area and a second subpixel area.

한편,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may be formed in a shape consisting of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상기 좌안 리타더 및 우안 리타더의 경계선을 대칭축으로 선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boundary lines of the left eye retarder and the right eye retarder are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패턴을 형성한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on of three-dimensional crosstalk can be reduced by using a protective film having a pattern.

그 결과 표시장치의 3차원 시야각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three-dimensional viewing angle and luminanc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2차원 모드에서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luminance in the two-dimensional mode can be improved.

도1은 종래의 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빛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모드 별 화소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에서의 빛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에서의 휘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빛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크로스토크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휘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의 블랙매트릭스의 폭 및 블랙스트라이프의 폭과 반사각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FIG. 2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path of light in a three-dimensional mode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ixel area for each mod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referred to describe a path of light in a two-dimensional mod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change in luminance in the two-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path of light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referred to describe crosstalk variation in a 3D mod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luminance change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FIG. 11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relationship between a width of a black matrix, a width of a black stripe, and a reflection angl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모드 별 화소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referred to describe a pixel area for each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 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30)과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패턴드 리타더층(patterned retarder)(150)과 보호필름(160)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30, a backlight unit (not shown), a patterned retarder 150, a protective film 160, and the like. It includes.

표시패널(13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 1 기판(미도시) 및 제 2 기판(120)이 합착하여 형성되며,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play panel 130 is formed by bonding the first substrate (not shown)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which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left eye image Il and the right eye image Ir. Play a role.

제 1 기판(미도시)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 데이터 배선(미도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등이 형성된다.Gate lines (not shown), data lines (not shown), thin film transistors (not shown),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not shown).

제 2 기판(120)에는 블랙매트릭스(BM)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수평화소라인(Hl) 쪽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The black matrix BM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20. As illustrated, the black matrix BM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1.

이와 같은 블랙매트릭스(BM)는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 및 3차원 모드에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의 비표시영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black matrix BM serves to block non-display areas such as gate lines and data lines in the 2D and 3D modes of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는 블랙매트릭스(BM)와 더불어 블랙스트라이프(BS)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the black stripe BS may be further formed along with the black matrix BM.

블랙매트릭스(BM) 및 블랙스트라이프(BS)는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 정면 방향(도2의 Z1 영역)에서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각각 표시하는 다수의 좌안영상(Il) 및 다수의 우안영상(Ir) 중 일부가 상이한 리타더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lack matrix BM and the black stripe BS are formed by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and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respectively displayed in the front direction (Z1 region of FIG. 2)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Some of the left eye Il and the plurality of right eye Ir are prevented from being output to different retarders.

예를 들어, 블랙매트릭스(BM)는 정면 방향(Z1 영역)에서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다수의 좌안영상(Il)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15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여 우원편광 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For example, in the black matrix BM,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ft eye images Il indicated by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in the front direction (Z1 region) is the right eye retarder Rr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Pass through) to prevent right polarization and output.

그리고, 블랙스트라이프(BS)는 정면 방향(Z1 영역)에서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다수의 우안영상(Ir)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15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여 좌원편광 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lack stripe BS may include the left eye retarder Rl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in part of the plurality of right eye images Ir displayed by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in the front direction (Z1 region). It passes through the left circle and prevents it from being output.

그리고, 제 2 기판(120)에는 다수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다수의 우안 수평화소라인(Hr)가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s H1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s Hr may be defined in the second substrate 120.

여기서,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 각각에는 적, 녹, 청색 부화소영역(R, G, B)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좌안 수평화소라인(Hl)과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은 표시패널(130)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다.Here,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 regions R, G, and B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and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respectively. The pixel lines Hr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30.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기판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P1)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미도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각 부화소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a gate wiring (not shown) and a data wiring (not shown) that cross each other to define the pixel region P1, and a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gate wiring and the data wiring. A pixel electrode (not shown)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disposed in each subpixel area may be formed.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영역(P1)은, 상부 부화소영역(SP1) 및 하부 부화소영역(SP2)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부 부화소영역(SP1)과 하부 부화소영역(SP2)은 각각 적, 녹, 청색 부화소영역(R, G, 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ixel area P1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dividing the upper subpixel area SP1 and the lower subpixel area SP2 into an upper subpixel area SP1. The lower subpixel area SP2 may be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 areas R, G, and B, respectively.

그리고, 상부 부화소영역(SP1)은 하부 부화소영역(SP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bpixel area SP1 may be larger than the lower subpixel area SP2.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130)은 타이밍 제어부(미도시) 등을 통해 전달 받는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3차원 모드 또는 2차원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3D mode or a 2D mode by a mod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timing controller (not shown).

표시패널(130)이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2차원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 제 1 부화소영역(SP1) 및 제 2 부화소영역(SP2)에서 광이 출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30 is implemented in the 2D mode by the mode control signal, light may be emit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P1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P2.

즉,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에서의 화소영역(P1)은 상부 부화소영역(SP1) 및 하부 부화소영역(SP2)이 동일한 영상 데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at is, in the two-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the pixel area P1 may be driven by the same image data of the upper subpixel area SP1 and the lower subpixel area SP2.

반면에, 표시패널(130)이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3차원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 제 1 부화소영역(SP1)에서는 광이 출광되고, 제 2 부화소영역(SP2)에서는 광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panel 130 is implemented in the 3D mode by the mode control signal, light is emit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P1 and light is block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P2. Can be controlled.

즉,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화소영역(P2)은, 상부 부화소영역(SP1)이 좌안영상(Il) 또는 우안영상(Ir)에 의해 구동되고, 하부 부화소영역(SP2)이 블랙 처리되어 광이 차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ixel region P2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the upper subpixel area SP1 is driven by the left eye image Il or the right eye image Ir, and the lower subpixel area SP2 is black. Can be processed to block ligh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3차원 모드에서만 하부 부화소영역(SP2)을 블랙 처리하여 블랙스트라이프(BS)가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black sub stripe area SP2 to be formed by blacking the lower subpixel area SP2 only in the 3D mode.

그 결과 2차원 모드에서 블랙매트릭스(BM)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빛은 차단되고, 나머지 영역(블랙스트라이프(BS)가 형성될 영역 포함)은 개구영역이 되어 빛이 통과하게 된다.As a result, light is blocked in the region where the black matrix BM is formed in the two-dimensional mode, and the remaining region (including the region where the black stripe BS is to be formed) becomes an opening region so that light passes.

반면에, 3차원 모드에서는 하부 부화소영역(SP2)이 블랙 처리됨에 따라 제 1 기판으로부터의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블랙매트릭스(BM) 및 블랙스트라이프(BS)가 형성된 영역에서 모두 빛을 차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3D mode, as the lower subpixel area SP2 is blacked, the light from the first substrate may be blocked, and the light is blocked from both the black matrix BM and the black stripe BS. do.

이러한 화소 구조를 적용하면, 2차원 모드에서 개구율 및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3차원 모드에서 3D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By applying such a pixel structure, the aperture ratio and the front luminance can be improved in the two-dimensional mode, and 3D crosstalk can be prevented in the three-dimensional mode.

다시 도3을 살펴보면, 표시패널(130)의 외측면 각각에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14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gain, first and second polarizers 140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30 to selectively transmit light.

이때, 제 1 편광판(미도시) 및 제 2 편광판(140)은 광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제 1 편광판(미도시)의 광투과축은 제 2 편광판(140)의 광투과축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olarizing plate (not shown)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transmit only linear polarization parallel to the light transmission axis,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not shown) is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It can be arranged vertically.

한편,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은 제 1 편광판과 표시패널(130)과 제 2 편광판(14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상태가 되어 패턴드 리타더층(150)으로 입사된다.Meanwhile,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plate, the display panel 130,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to be linearly polarized to enter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여기서, 패턴드 리타더층(150)은, 접착층(152)에 의해 제 2 편광판(140)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다수의 좌안 리타더(Rl) 및 다수의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한다.Here,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by the adhesive layer 15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eft eye retarders Rl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retarders Rr. .

패턴드 리타더층(150)은,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하며,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는 각각 표시패널(13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에 대응되도록 번갈아 배치된다.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includes a left eye retarder Rl and a right eye retarder Rr, and the left eye retarder Rl and the right eye retarder Rr respectively include a left eye horizontal pixel of the display panel 130. It is alternate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ine Hl and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표시패널(130)에서 출사하는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은, 제 2 편광판(140)을 통과하여 각각 선편광된 좌안영상(Il) 및 선편광된 우안영상(Ir)으로 변조되고, 선편광된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은 패턴드 리타더층(150)로 입사된다.The left eye image Il and the right eye image Ir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30 are modulated into a linearly polarized left eye image Il and a linearly polarized right eye image 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larizer 140, respectively. The linearly polarized left eye image Il and right eye image Ir are incident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여기서, 제 2 편광판(140)을 통과하여 변조된 선편광된 좌안영상(Il) 및 선편광된 우안영상(Ir)은, 패턴드 리타더층(150)를 통과함에 따라 원편광 상태가 된다.Here, the linearly polarized left eye image Il and the linearly polarized right eye image Ir, which are modulated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are circularly polarized as they pass through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이때, 패턴드 리타더층(150)은 제 2 편광판(140)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의 편광 상태를 Line별로 변경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may change the polarization states of the left-eye image Il and the right-eye image Ir passed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for each line.

다시 말해서, 표시패널(13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을 지나는 좌안영상(Il)은, 제 2 편광판(14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된 후, 패턴드 리타더층(15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면서 좌원편광되어 출력된다.In other words, the left eye image Il passing through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1 of the display panel 130 is linearly pola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and then the left eye retarder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output while passing through Rl).

그리고, 표시패널(130)의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을 지나는 우안영상(Ir)은, 제 2 편광판(14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된 후, 패턴드 리타더층(15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면서 우원편광되어 출력된다.The right eye image Ir passing through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of the display panel 130 is linearly pola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and then the right eye retarder Rr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output.

이렇게 출력된 좌원편광된 좌안영상(Il) 및 우원편광된 우안영상(Ir)은 관찰자에게 전달된다.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eft eye Il and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right eye Ir are output to the viewer.

한편, 관찰자가 착용하는 편광안경(170)은, 좌안렌즈(172) 및 우안렌즈(174)를 포함하는데, 이때, 좌안렌즈(172)는 좌원편광만 투과시키고, 우안렌즈(174)는 우원편광만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larized eyeglasses 170 worn by the observer includes a left eye lens 172 and a right eye lens 174, wherein the left eye lens 172 transmits only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the right eye lens 174 is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Only permeate.

따라서, 관찰자에게 전달된 영상 중, 좌원편광된 좌안영상(Il)은 좌안렌즈(172)를 통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전달되고, 우원편광된 우안영상(Ir)은 우안렌즈(174)를 통하여 관찰자의 우안에 전달된다.Accordingly, among the images transmitted to the observer,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eft eye image Il is transmitted to the left eye of the observer through the left eye lens 172, and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right eye image Ir is transmitted to the observer through the right eye lens 174. Delivered to the right eye

그 결과 관찰자는 좌우안으로 각각 전달된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을 조합함에 따라 입체영상을 인식하게 된다.As a result, the observer recognizes the stereoscopic image by combining the left eye image Il and the right eye image Ir deliver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위와 같이 편광분할 광학매체로서 사용되는 패턴드 리타더층(150)는,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며, 표시패널(130)로부터 출사된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이 서로 다른 편광방향을 갖도록 변조하는 역할을 한다.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used as the polarization split optical medium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left eye image Il and the right eye image Ir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30 have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It modulates to have.

보호필름(160)은 패턴드 리타더층(150) 상부에 위치하며, 패턴드 리타더층(150) 및 제 2 편광판(14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protective film 160 is positioned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and serves to protect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160)에는 표시패널(130)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수의 가이딩 패턴(GP)이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GP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160 to change a path of the emission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30.

이때, 가이딩 패턴(GP)은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의 경계선을 대칭축으로 선대칭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ing pattern GP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undary lines of the left eye retarder Rl and the right eye retarder Rr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for example, having a shape consisting of a first inclined plane and a second inclined plane. Can be.

이러한 가이딩 패턴(GP)은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팅 방식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guiding pattern GP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n inkjet printing method.

한편, 가이딩 패턴(GP)의 표면과 제 1 경사면 또는 제 2 경사면이 이루는 예각(도8의 α)이 증가할수록 표시패널(130)의 출사광의 굴절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acute angle (α in FIG. 8)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guiding pattern GP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or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creases, the degree of refraction of the emitted light of the display panel 130 may increase.

이는 도11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표시패널(130)의 상부에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제 2 편광판(140)을 부착한다.Looking 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irst,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30 using an adhesive resin.

그리고, 표시패널(130)의 하부에도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미도시)을 부착할 수 있다.A first polarizing plate (not shown)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light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30.

다음으로, 제 2 편광판(140) 상부에 접착수지를 도포한 후 패턴드 리타더층(150)을 형성한다.Next, after applying the adhesive resin o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40,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is formed.

그리고, 패턴드 리타더층(150) 상부에 표시패널(130)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수의 가이딩 패턴(GP)으로 구성되는 보호필름(160)을 부착한다.A protective film 160 including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GP for changing a path of the emission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30 is attached to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이때, 패턴드 리타더층(150) 상부에 보호필름(160)을 부착하고 나서, 다수의 가이딩 패턴(GP)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ective film 160 may be attached to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and then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GP may be formed.

반면에, 보호필름(160)에 다수의 가이딩 패턴(GP)을 형성하고 난 다음에, 다수의 가이딩 패턴(GP)이 형성된 보호필름(160)을 패턴드 리타더층(150) 상부에 부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forming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GP on the protective film 160, the protective film 160 having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GP is formed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150. can do.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에서의 빛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에서의 휘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6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the path of light in the two-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hange in luminance in the two-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referred to to explai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2차원 모드에서는 A 영역에서 빛이 집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light may be collected in an area A in the two-dimensional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정면 방향 등에서 출사하던 출사광이 가이딩 패턴(GP)에 의해 굴절되어 A 영역으로 집광될 수 있다.That is,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front direction or the like may be refracted by the guiding pattern GP and condensed to the A region.

그 결과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2차원 휘도(실선)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2차원 휘도(점선)와 비교하여 정면 방향에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two-dimensional luminance (solid lin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in the front direction compared with the two-dimensional luminance (dotted line) of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표시패널(13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을 통과한 빛이 가이딩 패턴(GP)에 의해 굴절되어 정면 방향으로 집광되고,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을 통과하는 빛도 가이딩 패턴(GP)에 의해 굴절되어 정면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1 of the display panel 130 is refracted by the guiding pattern GP, is focus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Light may also be refracted by the guiding pattern GP to be focused in the front direction.

그리하여 본 발명의 반치폭(Full With at Half Maxmum)(F1)은 본 발명의 휘도 최대치가 증가함에 따라 종래의 반치폭(R1)과 비교하여 폭이 좁아지면서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Thus, the Full With at Half Maxmum (F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in size while being narrower in width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ull-width at half (R1) as the luminance maximu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가이딩 패턴(GP)이 형성된 보호필름(160)을 적용하여 표시패널(130)의 출사광을 정면 방향으로 집광시켜 정면 방향의 2차원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the two-dimensional luminance in the front direction by condensing the exit light of the display panel 130 in the front direction by applying the protective film 160 having the guiding pattern GP formed thereon. have.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빛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크로스토크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의 휘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ath of light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talk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referred to describe a change, and FIG. 10 is a diagram referred to describe a luminance change in a three-dimensional mod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3차원 모드에서는 B 영역에서 빛이 집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light may be collected in a region B in the 3D mod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정면 방향 등에서 출사하던 출사광이 가이딩 패턴(GP)에 의해 굴절되어 B 영역으로 집광될 수 있다.That is,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front direction or the like may be refracted by the guiding pattern GP and condensed to the B region.

이때, l(패턴드 리타더층의 높이 + 보호필름의 높이)은 100um이고, d(블랙매트릭스(BM)의 폭 + 블랙스트라이프(BS)의 폭)는 170um이고, t(제 2 기판의 높이 + 제 2 편광판의 높이 + 접착층의 높이)는 700um라고 한다.At this time, l (the height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 the height of the protective film) is 100um, d (width of the black matrix (BM) + width of the black stripe (BS)) is 170um, t (height of the second substrate + The height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 the height of the adhesive layer) is 700 μm.

그리고, 제 2 기판(120)의 굴절률과 보호필름(160)의 굴절률은 1.5이고, 공기의 굴절률은 1이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substrate 120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tective film 160 are 1.5, and the refractive index of air is 1.

수학식1은 스넬(snell) 법칙을 정의하는 식으로, 입사각 Φ로 굴절률이 n인 물질에 입사된 빛이 공기(n=1)로 출사할 때 굴절각이 θ임을 나타내고 있다.Equation 1 defines the Snell law, which indicates that the angle of refraction is θ when light incident on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n at the incident angle Φ is emitted to air (n =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도8에서도 입사각 β로 보호필름(160)의 가이딩 패턴(GP)의 경사면에 입사되는 입사광이 보호필름(160)에서 공기로 통과할 때 굴절각이 γ가 됨을 알 수 있다.8, it can be seen that the angle of refraction becomes γ when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ing pattern GP of the protective film 160 passes through the air from the protective film 160 at the incident angle β.

이때, 입사각 β는 두 평행선에서의 엇각관계에 의해서 θ+α가 된다.At this time, the incident angle β becomes θ + α due to the offset ang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allel lines.

입사광이 보호필름(160)에서 공기로 통과하는 경우는 굴절률이 큰 매질(n=1.5)로부터 굴절률이 작은 제 2 매질(n=1)로 입사되는 경우로서, 즉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빛이 입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When incident light passes through the protective film 160 into the air, the incident light is incident from the medium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n = 1.5) into the second medium having a small refractive index (n = 1), that is,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medium in a dense medium. It is a case of entering.

그리고,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빛이 입사하는 경우는 수학식 1에 의해 입사각보다 굴절각이 크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light is incident from the dense medium to the small medium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angle of refraction is larger than the angle of incidence by Equation (1).

따라서, 각도 α(가이딩 패턴(GP)의 표면과 제 1 경사면 또는 제 2 경사면이 이루는 예각)가 커질수록 보호필름(160)의 가이딩 패턴(GP)의 경사면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입사각 β이 커지고, 수학식 1에 의해 굴절각 γ가 커지게 된다.Therefore, as the angle α (acute angle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guiding pattern GP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or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creases, the incident angle β of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ing pattern GP of the protective film 160 is increased. It becomes large and the refractive angle (gamma) becomes large by Formula (1).

한편, θ는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Meanwhile, θ may be defined by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즉, θ는 블랙매트릭스(BM) 및 블랙스트라이프(BS)의 폭에 의해 결정되는 각도이다. 예를 들어, d가 170um이고 t가 700um일 때, θ는 6.92일 수 있다.That is, θ is an angle determined by the widths of the black matrix BM and the black stripe BS. For example, when d is 170um and t is 700um, θ may be 6.92.

이때, 블랙매트릭스(BM) 및 블랙스트라이프(BS)의 폭이 넓을수록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개구율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θ는 적절하게 선택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the wider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M and the black stripe BS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3D crosstalk, while the aperture ratio can be reduced, so θ needs to be appropriately selected.

한편,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상하 시야각 방향(Z2 영역)에서는, 정면 방향(Z1 영역)에서와 달리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다수의 좌안영상(Il)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5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여 우원편광 되어 출력되고 있다. (Il')On the other hand, in the vertical viewing angle direction (Z2 region)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in the front direction (Z1 region), a part of the plurality of left eye images Il indicated by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l is patterned retarder layer.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retarder Rr of 50, and is output. (Il ')

그리고,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다수의 우안영상(Ir)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층(5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여 좌원편광 되어 출력되고 있다. (Ir')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ight eye images Ir displayed by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passes through the left eye retarder Rl of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50, and is left polarized and output. (Ir ')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우원편광 된 일부의 좌안영상(Il')은 우원편광 된 다수의 우안영상(Ir)과 함께 편광안경(170)의 우안렌즈(174)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우안에 전달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the left eye image Il 'of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lens 174 of the polarizing glasses 170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right circularly polarized eye images Ir. Could be delivered.

그리고, 좌원편광 된 일부의 우안영상(Ir')은 좌원편광 된 다수의 좌안영상(Il)과 함께 편광안경(170)의 좌안렌즈(172)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전달될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part of the right eye image Ir 'may be transmitted to the observer's left eye through the left eye lens 172 of the polarizing glasses 170 together with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eft eye image Il.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우원편광 된 일부의 좌안영상(Il') 및 좌원편광 된 일부의 우안영상(Ir')이 가이딩 패턴(GP)이 형성된 보호필름(160)에 의해 더욱 굴절되기 때문에 관찰자에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eye image Il 'of the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the right eye image Ir' of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re further refracted by the protective film 160 in which the guiding pattern GP is formed. It may not be communicated to the observer.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 패턴(GP)이 형성된 보호필름(160)을 적용하면,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줄이고, 3차원 시야각 및 정면 방향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us, by applying the protective film 160 having the guiding pattern G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talk, and to improve the luminance in the three-dimensional viewing angle and the front direction.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3차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각도(실선)가 종래의 표시장치의 3차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각도(점선)와 비교하여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angle (solid line) in which three-dimensional crosstalk occurs i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compared to the angle (dotted line) in which three-dimensional crosstalk occurs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3차원 휘도(실선)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3차원 휘도(점선)와 비교하여 정면 방향에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three-dimensional luminance (solid lin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in the front direction compared with the three-dimensional luminance (dotted line) of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표시패널(13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을 통과한 빛이 가이딩 패턴(GP)에 의해 굴절되어 정면 방향으로 집광되고,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을 통과하는 빛도 가이딩 패턴(GP)에 의해 굴절되어 정면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ft eye horizontal pixel line H1 of the display panel 130 is refracted by the guiding pattern GP, is focus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right eye horizontal pixel line Hr. Light may also be refracted by the guiding pattern GP to be focused in the front direction.

그리하여 본 발명의 반치폭(Full With at Half Maxmum)(F2)은 본 발명의 휘도 최대치가 증가함에 따라 종래의 반치폭(R2)과 비교하여 폭이 좁아지면서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Thus, the Full With at Half Maxmum (F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in size as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alf-width (R2) as the luminance maximu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가이딩 패턴(GP)이 형성된 보호필름(160)을 적용하여 표시패널(130)의 출사광을 정면 방향으로 집광시켜 정면 방향의 3차원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at is,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protective film 160 having the guiding pattern GP, the output light of the display panel 130 may be focused in the front direction to increase the three-dimensional luminance in the front direction. have.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의 블랙매트릭스의 폭 및 블랙스트라이프의 폭과 반사각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11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relationship between a width of a black matrix, a width of a black stripe, and a reflection angl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딩 패턴(GP)의 표면과 제 1 경사면 또는 제 2 경사면이 이루는 예각(α)이 증가할수록 보호필름(160)의 출사광의 굴절각(γ)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it is understood that the angle of refraction γ of the emitted light of the protective film 160 increases as the acute angle α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guiding pattern GP and the first or second inclined surface increases. Can be.

이와 같은 각도 α와 굴절각(γ)과 의 관계를 이용하여 블랙매트릭스(BM)의 폭 및 블랙스트라이프(BS)의 폭을 결정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M and the width of the black stripe BS may be determine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α and the refraction angle γ.

예를 들어, α=1이고 블랙매트릭스(BM)의 폭 및 블랙스트라이프(BS)의 폭이 100인 경우에 굴절각(γ)이 약 8도 정도가 된다.For example, when α = 1 and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M and the width of the black stripe BS are 100, the refraction angle γ is about 8 degrees.

따라서, 굴절각(γ)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각도 α를 증가시켜 가이딩 패턴(GP)의 경사면의 기울기를 증가시키거나, 블랙매트릭스(BM)의 폭 및 블랙스트라이프(BS)의 폭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ing pattern GP by increasing the angle α in order to increase the refraction angle γ, or increase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M and the width of the black stripe BS. have.

이때, 이때, 블랙매트릭스(BM) 및 블랙스트라이프(BS)의 폭을 증가시키면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개구율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각도 α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ile increasing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M) and the black stripe (BS)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3D crosstalk, while the aperture ratio can be reduced,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angle α.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20: 제 2 기판 130: 표시패널
140: 제 2 편광판 150: 패턴드 리타더층층
152: 접착층 160: 보호필름
120: second substrate 130: display panel
140: second polarizing plate 150: patterned retarder layer layer
152: adhesive layer 160: protective film

Claims (15)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형성되며 좌안 리타더 및 우안 리타더로 구성되는 패턴드 리타더층과;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수의 가이딩 패턴으로 구성되는 보호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which displays a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 patterned retarder layer formed on the display panel and configured of a left eye retarder and a right eye retarder;
A protective film formed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for changing a path of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면 각각에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polarizing plate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light on each of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며, 각 화소영역은 제 1 부화소영역 및 제 2 부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areas, each pixel area including a first subpixel area and a second subpixel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3차원 모드 또는 2차원 모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in a 3D mode or a 2D mode by a mode control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2차원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부화소영역 및 제 2 부화소영역에서 광이 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in the two-dimensional mode by the mode control signal,
And light is emitted from the first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3차원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부화소영역에서는 광이 출광되고, 상기 제 2 부화소영역에서는 광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in the 3D mode by the mode control signal,
And light is emit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and light is block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has a shape consisting of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의 표면과 상기 제 1 경사면이 이루는 예각이 증가할수록 상기 출사광의 굴절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s the acute angle betwee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creases, the degree of refraction of the emitted light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상기 좌안 리타더 및 우안 리타더의 경계선을 대칭축으로 선대칭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undary lines of the left eye retarder and the right eye retarder are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의 상부에 패턴드 리타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상부에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수의 가이딩 패턴으로 구성되는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orming a patterned retarder layer on the display panel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Forming a protective film on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the protective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for changing a path of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면 각각에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forming first and second polarizing plates on each of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to selectively transmit light.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atterned retarder lay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며, 각 화소영역은 제 1 부화소영역 및 제 2 부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areas, each pixel area including a first subpixel area and a second subpixel are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are formed in a shape consisting of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딩 패턴은, 상기 좌안 리타더 및 우안 리타더의 경계선을 대칭축으로 선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lurality of guiding patterns are formed such that the boundary lines of the left eye retarder and the right eye retarder are line-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KR1020110102882A 2011-10-10 2011-10-1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ctive KR101842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82A KR101842052B1 (en) 2011-10-10 2011-10-1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82A KR101842052B1 (en) 2011-10-10 2011-10-1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94A true KR20130038494A (en) 2013-04-18
KR101842052B1 KR101842052B1 (en) 2018-05-15

Family

ID=4843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82A Active KR101842052B1 (en) 2011-10-10 2011-10-1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0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30956B1 (en) 2020-04-22 202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052B1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78756B (en) Image display device
US9344708B2 (en) Non-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467192B1 (e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JP5321575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9185397B2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rier panel having opening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501812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86161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KR20120075319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79257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125001A (en) Image display device
CN102854631A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forming method thereof
KR101324060B1 (en) Glassesless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20250001831A (en) Light field display apparatus
KR101842052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60780B1 (en) Glassesless 3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20120126562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92660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77427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78343B1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101878327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21545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generating 3D images by matching a software optical grating
KR101876432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KR102157273B1 (en) Three-dimentional projection apparatus
JP2010048894A (en) Stereoscopic display
KR101886304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