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7610A -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610A
KR20130037610A KR1020110102111A KR20110102111A KR20130037610A KR 20130037610 A KR20130037610 A KR 20130037610A KR 1020110102111 A KR1020110102111 A KR 1020110102111A KR 20110102111 A KR20110102111 A KR 20110102111A KR 20130037610 A KR20130037610 A KR 2013003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home
command
home appliance
control mode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연
한세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610A/ko
Priority to PCT/KR2012/008076 priority patent/WO2013051882A2/en
Priority to US13/645,849 priority patent/US9490989B2/en
Priority to EP12838508.5A priority patent/EP2764657B1/en
Publication of KR2013003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61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1Avoiding conflicts related to the use of home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전력망 관리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이전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 중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이전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 중인 경우 이동 단말로 현재 동작 상태 및 타협안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택 내용에 따라 상기 동작의 지속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명령들 간의 충돌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타협안을 근거로 현재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TWO COMMANDS IN SMART GRID NETWORK}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스마트 가전(Smart Appliance)과 전력 산업의 융합을 통해 고효율의 지능화된 전력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기술에는 실시간 감시(Real-time Monitoring), 수요 반응(Demand Response),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 등의 전력망 관리, 스마트 가전 등의 사용자 전력 관리 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는 유틸리지 사업자(110)로부터의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에 따라 댁 내 스마트 가전(130, 140, 150, 160)이 관리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으로는 수요 반응 및 부하 제어(Demand Response/Load Control: 이하 DRLC) 명령이 있으며, 이러한 DRLC 명령(10)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100)으로 전달되며,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이 DRLC 명령을 해석하여 자신과 연결된 스마트 가전들(130, 140, 150, 160)로 DRLC 명령(20)을 전달한다.
이러한 댁 내 스마트 가전(130, 140, 150, 160)은 DRLC 명령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명령(30)에 따라 구동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30)을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하여 특정 또는 다수의 스마트 가전(130, 140, 150, 160)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댁 내 스마트 가전은 DRLC 명령이 시작(200)되어 DRLC 명령이 끝날때까지(210) DRLC 명령에 기반하여 동작(220)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DRLC 명령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도록 스마트 가전이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도중에 사용자 명령(230)이 전달되면, 종래에는 사용자 명령(230)을 무시하고 DRLC 명령을 그대로 수행하거나 DRLC 명령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고 사용자 명령(230)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이 시작(300)되어 사용자 명령이 끝날때까지(310) 사용자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이 동작(320) 하는 도중에 DRLC 명령(330)이 수신되면, 도 2에서와 같이 DRLC 명령(330)이 무시되거나 DRLC 명령(330)에 따라 사용자 명령에 따른 동작이 중지된 후 DRLC 명령(33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댁 내 스마트 가전들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DRLC 명령을 그대로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방식대로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가 없게 된다.
이와 달리 스마트 가전들이 DRLC 명령에 따른 동작 도중에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DRLC 명령을 무시하고 실행할 경우, 유틸리티 사업자 입장에서는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할 수 없다. 게다가 유틸리티 사업자는 이러한 DRLC 명령이 무시되었다는 상황도 알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DRLC 명령과 사용자 명령이 중복적으로 발생될 경우, 사용자와 유틸리티 사업자에게 알려주고, 이러한 명령들을 조율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전력망 관리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전력망 관리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을 조율하여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명령 수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택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명령 수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전송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택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스마트 가전 관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실행되고 있는 전력망 관리 명령이나 사용자 명령이, 이후에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전력망 관리 명령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전력망 관리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현재 상황에 맞는 제안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명령들 간 조율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DRLC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 동작 도중에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사용자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 동작 도중에 DRLC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망 관리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을 조율하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내부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 관리 테이블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 관리 테이블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전력망 관리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이전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 중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이전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 중인 경우 이동 단말로 현재 동작 상태 및 타협안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택 내용에 따라 상기 동작의 지속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명령들 간의 충돌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타협안을 근거로 현재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댁 내의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430, 440, 450, 460)을 관리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스마트 가전(430, 440, 450, 460)과 전력선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댁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외부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유틸리티 사업자(410)로부터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 예컨대, DRLC 명령(470)을 수신하여 그 수신된 DRLC 명령(470)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타겟 스마트 가전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수신된 DRLC 명령(470)을 타겟 스마트 가전에 포워드하거나 그 DRLC 명령(470)을 해석함으로써 직접 타겟 스마트 가전을 제어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DRLC 명령(470)에 근거하여 스마트 가전(430, 440, 450, 460)을 운용하고, 그 운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운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은 DRLC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 타협안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만일 이러한 명령들 간 충돌이 발생할 경우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충돌이 발생함을 알리는 경고 또는 타협안을 포함하는 통지 형식의 알림 메시지(476)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420)로 전송한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상황에 맞는 선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420)은 알림 메시지를 근거로 사용자 명령의 취소 여부, 타협안에 대한 선택 등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478)를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으로 전달한다.
유틸리지 사업자(410)는 스마트 가전의 전력 소비를 낮춰서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외부 사업자에 해당한다. 이러한 유틸리티 사업자(410)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을 통해 DRLC 명령(470)을 전달함으로써 댁 내 스마트 가전(430, 440, 450, 460)의 전력 소비를 제어한다.
스마트 가전(430, 440, 450, 460)은 세탁기, 냉장고, TV 등과 같은 가전 기기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 또는 이동 단말(420)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이동 단말(420)은 스마트 가전(430, 440, 450, 46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4200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420)을 이용하여 원하는 스마트 가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가전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474)은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을 통해 타겟 스마트 가전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을 통하지 않고 직접 타겟 스마트 가전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의 상세 구성 및 그 동작을 살펴보기 위해 도 5를 참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DRLC 명령 수신부(500), DRLC 명령 처리부(505), 사용자 명령 수신부(510), 사용자 명령 처리부(515), 스마트 가전 관리부(520), 알림 메시지 생성부(525), 메시지 송수신부(530)를 포함한다. 특히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535)를 더 포함한다.
먼저, DRLC 명령 수신부(500)는 유틸리티 사업자(410)로부터 DRLC 명령을 수신한다. 이러한 유틸리티 사업자(410)가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할 경우에는 DRLC 명령 수신부(500)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유틸리티 사업자(410)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DRLC 명령 처리부(505)는 수신된 DRLC 명령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들 중 DRLC 명령에 대응하는 타겟 스마트 가전을 판단한다. 그리고나서 타겟 스마트 가전별로 DRLC 명령을 근거로 한 동작 명령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타겟 스마트 가전이 에어컨일 경우 에어컨의 온도, 예약 시간 등에 대한 동작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DRLC 명령 처리부(505)는 각각의 스마트 가전에서 DRLC 명령의 처리가 가능한 경우 수신된 DRLC 명령을 각각의 스마트 가전으로 포워딩한다.
사용자 명령 수신부(510)는 이동 단말(42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 가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이동 단말(420)과 원격으로 통신 가능하며, 이외에도 댁 내에 장착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동 단말(420)과의 연결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명령 처리부(515)는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며, DRLC 명령 처리부(505)에서와 유사하게 동작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스마트 가전 관리부(520)는 DRLC 명령 또는 사용자 명령에 기반하여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DRLC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는 스마트 가전 관리부(520)는 DRLC 명령에 해당하는 스마트 가전의 전력 소비를 낮추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스마트 가전 관리부(520)는 사용자 명령이 스마트 가전의 동작 도중에 수신되더라도 저장부(535)에 저장된 현재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스마트 가전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가전 관리부(520)는 DRLC 명령이 실행된 상태에서는 DRLC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 동작의 중지, 지속 및 제안 내용에 기반한 스마트 가전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반대인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DRLC 명령과 사용자 명령 간의 충돌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가전 관리부(520)는 DRLC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을 제어하는 도중에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DRLC 명령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스마트 가전들에 대한 목록을 참조한다. 이러한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예시하면 도 7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에는 세탁기, 냉장고, 에어콘, 전열기 등의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각각에 대해 현재 DRLC 명령의 적용 여부가 맵핑되어 있다. 도 7에서와 같은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면, 스마트 가전 관리부(520)는 DRLC 명령이 적용되지 않은 스마트 가전 예컨대, 냉장고에 대해서는 사용자 명령어를 그대로 수행시키고, DRLC 명령을 수행 중인 스마트 가전 예컨대, 세탁기, 에어콘, 전열기에 대해서는 이러한 스마트 가전의 동작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동 단말(420)에게 전달한다.
알림 메시지 생성부(525)는 DRLC 명령 및 사용자 명령 간 충돌 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별로 크게 두 가지의 성격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DRLC 명령이 우선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420)로 전달되는 알림 메시지는 경고(warning) 메시지 형태이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명령이 먼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통지(notification) 메시지 형태를 갖는다.
메시지 송수신부(530)는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이동 단말(420)로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알림 메시지의 구조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의 패키지(800)는 기본 정보(805)와 제안 정보(810)로 구분된다.
먼저, 기본 정보(805)는 사용자 명령을 적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가전에 현재 적용 중인 DRLC 명령 정보(815),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임을 알리기 위한 사용자 명령 정보(820) 및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스마트 가전들의 상태 정보(8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 정보(820)는 사용자 명령에 대한 응답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안 정보(810)는 실행 중인 DRLC 명령의 무시(830), 사용자가 보낸 사용자 명령의 취소(835)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에서 제안한 타협(8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안 정보(810)의 구성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정 가능하다.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 내의 제안 정보(81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420)은 이러한 선택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의 패키지(800)의 경우에는 DRLC 명령 정보(815)에는 DRLC 명령을 수행할 스마트 가전 및 그 스마트 가전에 적용된 DRLC 명령이 설정되며, 사용자 명령 정보(820)에는 현재 적용 중인 사용자 명령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며, 스마트 가전 상태 정보(825)에는 스마트 가전의 현재 상태 정보가 설정된다.
또한, 제안 정보(81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현재 적용 중인 사용자 명령의 무시(830), 수신된 DRLC 명령의 취소(835)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에서 제안한 타협(84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600단계에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610단계에서 타겟 스마트 가전이 DRLC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 중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는 에너지 효율의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DRLC 명령에 따라 스마트 가전이 동작 중에 사용자 명령이 수신될 경우 사용자 명령을 무조건 우선할 경우에는 스마트 그리드의 정책에 반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사용자 명령을 무시한 채 DRLC 명령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사용자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동작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두 명령 간의 조율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선택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RLC 명령에 대응하여 타겟 스마트 가전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DRLC 명령이 적용되지 않은 타겟 스마트 가전 즉, DRLC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 중이 아닌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해서는 635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 명령을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자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 동작을 지시한다. 이와 달리 타겟 스마트 가전이 DRLC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 중인 경우에는 615단계에서 DRLC 명령을 수행 중인 스마트 가전에 대해서는 경고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420)로 전송한다. 그리고나서 620단계에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625단계에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선택이 무시, 취소, 타협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의 선택이 실행 중인 DRLC 명령의 무시에 해당할 경우 630단계에서 DRLC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의 동작을 중지시킨 후, 635단계에서 사용자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의 동작을 지시한다. 반면, 사용자의 선택이 사용자 명령의 취소에 해당할 경우 640단계에서 DRLC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선택이 타협에 해당한 경우 645단계에서 제안 내용에 기반한 스마트 가전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DRLC 명령에 따라 에어컨의 온도를 제어하고 있는 도중에 온도를 올리라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명령을 고려한 에어컨의 온도를 정한 후 정해진 에어컨의 온도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이러한 제안에 타협했을 경우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제안했던 내용에 따라 에어컨의 온도를 올리게 된다.
만일 세탁기를 실행하라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비록 세탁기가 DRLC 명령에 따라 동작 중이 아니더라도 저전력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에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전력 소비 가격이 제일 저렴할 때 세탁기 예약을 실행하자는 타협안을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타협안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입장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900단계에서 사용자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어, 905단계에서 DRLC 명령이 수신되면, 910단계에서 DRLC 명령과 사용자 명령을 비교 분석한 후, 915단계에서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동작 변경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동작 변경의 가능 여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판단한다. 만일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동작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920단계에서 변경 불가능한 타겟 스마트 가전을 제외한 DRLC 명령 기반의 스마트 가전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세탁기(1200) 및 냉장고(1300)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명령이 적용되면,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은 현재 스마트 가전의 동작을 고려하여 갱신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1200)와 같은 스마트 가전의 경우 동작이 시작된 이후에는 세탁이 완료될 때까지 동작의 중지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세탁기(1200)에 대해서는 DRLC 명령에 의한 동작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해 'false'로 설정되게 된다.
이후, 세탁기(1200), 냉장고(1300), 에어콘(1400) 및 전열기(1500)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DRLC 명령이 수신된 경우,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세탁기(1200)에 대해서는 DRLC 명령이 적용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세탁기(1200)를 제외한 나머지 냉장고(1300), 에어콘(1400) 및 전열기(1500)에 대해서 DRLC 명령 기반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915단계에서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동작 변경이 가능한 경우 에너지 관리 시스템(400)은 925단계에서 통지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생성 후 이동 단말(420)로 전송한다. 이때, 서로 다른 사용자가 스마트 가전별로 서로 다른 사용자 명령을 적용해놓았을 수 있으므로, 도 4에서는 하나의 이동 단말(42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각자 설정해놓은 스마트 가전에 대한 동작 변경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들로 통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930단계에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935단계에서 제안 내용에 기반한 스마트 가전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별로 알림 메시지가 통지된 경우에는 그 사용자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RLC 명령과 사용자 명령이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명령 수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택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은,
    유틸리티 사업자로부터 수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인 스마트 가전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이 아닌 스마트 가전에 대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은,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별로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의 적용 여부를 맵핑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인 스마트 가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한 응답임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정보,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의 동작 상태 정보,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무시, 상기 사용자 명령의 취소 및 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한 타협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무시, 상기 사용자 명령의 취소 및 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한 타협 중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이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무시일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이 아닌 스마트 가전에 대한 동작을 중지시킨 후 상기 사용자 명령을 실행시키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이 상기 사용자 명령의 취소일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이 아닌 스마트 가전에 대한 동작을 유지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10.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명령 수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전송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택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스마트 가전 관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가전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스마트 가전이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은,
    유틸리티 사업자로부터 수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별로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명령의 적용 여부를 맵핑한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가전 관리부는,
    상기 스마트 가전의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 중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인 스마트 가전을 판단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이 아닌 스마트 가전에 대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전력 제어 모드로 동작 중인 스마트 가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한 응답임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정보,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의 동작 상태 정보, 상기 전력 제어 모드의 무시, 상기 사용자 명령의 취소 및 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한 타협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스마트 가전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0110102111A 2011-10-06 2011-10-06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eased KR20130037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11A KR20130037610A (ko) 2011-10-06 2011-10-06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2/008076 WO2013051882A2 (en) 2011-10-06 2012-10-05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mmand conflicts in a smart grid network
US13/645,849 US9490989B2 (en) 2011-10-06 2012-10-05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mmand conflicts in a smart grid network
EP12838508.5A EP2764657B1 (en) 2011-10-06 2012-10-05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mmand conflicts in a smart grid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111A KR20130037610A (ko) 2011-10-06 2011-10-06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610A true KR20130037610A (ko) 2013-04-16

Family

ID=4804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111A Ceased KR20130037610A (ko) 2011-10-06 2011-10-06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90989B2 (ko)
EP (1) EP2764657B1 (ko)
KR (1) KR20130037610A (ko)
WO (1) WO201305188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5755B2 (en) 2015-04-21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method of managing group actions of external apparatu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9570B (zh) * 2011-04-26 2015-01-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具有遠端喚醒機制之的網路系統與遠端喚醒方法
US10116747B2 (en) * 2013-02-05 2018-10-30 Txu Energy Retail Company Llc Electricity provider content platform
JP2014212369A (ja) * 2013-04-17 2014-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WO2014188530A1 (ja) * 2013-05-22 2014-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81798A1 (en) * 2013-09-17 2015-03-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rocess-based inter-thing collabo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web of things environment
EP3066790A1 (en) * 2013-11-04 2016-09-1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of notifying a user on a task on an apparatus
KR102317039B1 (ko) * 2014-01-06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095294B1 (en) * 2014-01-15 2019-04-0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ontrol of smart devices with a remote source
US9883641B2 (en) * 2014-05-07 2018-02-06 Vivint, Inc. Sprinkl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642968B2 (en) 2014-09-24 2020-05-05 Nokia Technologies Oy Controlling a device
US9280148B1 (en) * 2014-09-25 2016-03-0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agging items for use in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CN107113205B (zh) * 2014-09-29 2020-08-04 Lg 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249116B1 (ko) * 2014-09-29 2021-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830672B2 (en) * 2014-10-29 2017-11-28 Solarcity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message bus system
KR101943430B1 (ko) * 2014-11-05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JP6511866B2 (ja) * 2015-03-03 2019-05-15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70108904A1 (en) * 2015-04-10 2017-04-20 Aict Location based electric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06168763B (zh) * 2015-05-22 2021-04-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控制方法以及控制器
CN107294818A (zh) * 2016-04-05 2017-10-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闹钟提醒方法及装置
CN107228462B (zh) * 2017-07-10 2019-07-26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7809545B (zh) * 2017-11-20 2020-07-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0022210A1 (ja) 2018-07-27 2020-01-30 京セラ株式会社 分散電源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分散電源制御方法
CN109274181A (zh) * 2018-11-27 2019-01-25 电卫士智能电器(北京)有限公司 配电箱管理系统
CN109709814B (zh) * 2018-12-26 2020-05-01 北京蓦然认知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中动态构建冲突校验规则表的方法、装置
WO2023042642A1 (ja) * 2021-09-16 2023-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ネルギーリソースの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717B1 (ko) * 1998-12-10 2001-02-01 윤종용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EP1350176A2 (en) 2000-07-06 2003-10-08 Homeporta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coordinating devices and appliances, such as from a central portal and via a wide/are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018703A1 (en) 2001-01-31 2003-01-23 Christian Huitema Smart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protocol
EP1317099B1 (en) * 2001-11-29 2008-12-24 Panasonic Corporatio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home gateway
JP4377786B2 (ja) * 2004-09-22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化機器、サーバ装置、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17914B2 (en) * 2005-06-09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Event notification system for an appliance
US8095233B1 (en) * 2005-10-11 2012-01-10 American Grid, Inc. Interconnected premises equipment for energy management
WO2008045370A2 (en) * 2006-10-06 2008-04-17 Paragon Wireles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mobile device
CA2722870C (en) 2008-09-15 2017-03-07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management of household appliances
US8626344B2 (en) 2009-08-21 2014-01-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813383B2 (en) * 2009-08-18 2017-11-07 Control4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issioning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area network
FR2949916B1 (fr) * 2009-09-08 2016-07-22 Jerome Gilbert Dispositif, pour deconnecter au moins un appareil du reseau electrique, qui offre au moins un mode de fonctionnement en derogation, dispositif configurable, systeme et procede de configuration.
JP5446922B2 (ja) 2010-01-25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登録方法
KR101611296B1 (ko) * 2010-02-09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2573247B1 (en) * 2010-05-17 2021-01-2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9577430B2 (en) * 2010-08-20 2017-02-2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herein
US8560133B2 (en) * 2010-09-01 2013-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smart system
JP2012058998A (ja) * 2010-09-08 2012-03-22 Toshiba Corp サーバ、課金サーバ、電力使用量計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718798B2 (en) * 2010-11-09 2014-05-06 General Electric Company Gateway mirroring of metering data between zigbee networks
JP2014179783A (ja) * 2013-03-14 2014-09-2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電気機器および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5755B2 (en) 2015-04-21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and method of managing group actions of external apparat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4657A2 (en) 2014-08-13
US20130090773A1 (en) 2013-04-11
EP2764657B1 (en) 2018-02-21
EP2764657A4 (en) 2015-05-20
WO2013051882A2 (en) 2013-04-11
WO2013051882A3 (en) 2013-07-04
US9490989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7610A (ko)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997442B (zh) 智能家居系统的监控方法和系统及智能家居系统
AU2010322810B2 (en) Network system for a component
CN111031565B (zh) 一种识别ZigBee设备离在线状态的方法及装置
CN103914040A (zh) 家电设备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632526B (zh) 一种控制装置、方法、存储介质及设备
KR20120072015A (ko)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전력 생산 장치
CN109474692A (zh) 一种智能家电远程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160041283A (ko) 사용자의 개입정보를 활용하여 그룹 제어 모드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237056A (zh) 一种设备终端、控制终端和服务器及其控制方法
CN110515307A (zh) 一种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及网络设备
CN110535733B (zh) 家用电器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5573132A (zh) 家庭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用电器的控制方法
CN106683368A (zh) 洗衣机的控制方法、系统、洗衣机及云端服务器
CN115767834A (zh) 灯光控制方法、装置、智能面板及介质
CN105159133A (zh) 一种智能家居系统的控制方法、服务器及系统
EP2587719B1 (en) Network system
CN109945296A (zh) 空调器、家电设备的控制方法、家电设备及存储介质
CN104202239A (zh) 通信方法、通信系统和冰箱
CN108809777B (zh) 运行控制方法、Wi-Fi通信模块、家电设备、系统和存储介质
CN108134720B (zh) 一种设备自适应控制方法、装置及服务器
CN102589100A (zh) 一种基于蓝牙无线网络的空调控制模组
CN105681098B (zh) 电器及其控制方法
US9219763B2 (en) Network system
KR101718215B1 (ko) 가전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