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911A -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6911A KR20130036911A KR1020110101144A KR20110101144A KR20130036911A KR 20130036911 A KR20130036911 A KR 20130036911A KR 1020110101144 A KR1020110101144 A KR 1020110101144A KR 20110101144 A KR20110101144 A KR 20110101144A KR 20130036911 A KR20130036911 A KR 201300369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film
- pattern region
- light
- mas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상에 형성된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1 단계; 및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 방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균일한 폭과 뚜렷한 경계 면을 갖는 패턴 리타더를 빠른 속도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패터 리타더 (Patterned retarder, 복굴절 매질 또는 위상차 필름이라고도 함)는 편광 안경 방식의 입체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패턴 리타더는 반투과형 LCD 등의 일면에 제공되어 반사부와 투과부의 광학 특성을 각각 최적화하는 보상 필름의 기능을 함으로써 외부의 빛이 밝거나 어두움에 상관없이 LCD 화상의 양호한 식별력을 얻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패턴 리타더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노광 시스템에 의해 롤에 말려져 있는 필름이 연속적으로 풀리면서 풀린 부분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건조시킨 후 광을 조사하여 편광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마스크를 여러 번 사용하거나 마스크의 정렬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필름을 풀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필름의 사행과 떨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필름에 형성되는 편광 패턴의 폭 및 경계를 불규칙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편광 패턴이 불규칙적인 필름은 편광 성능이 떨어지며, 이를 부착한 3D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역시 현저히 악화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에, 필름에 노광 패턴을 규칙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89782호에서는 기판 위에 고분자막을 형성한 후, 고분자막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편광된 빛이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광 투과 영역 및 광 차단 영역이 상하 및 좌우로 서로 엇갈려서 교대로 형성된 패턴 마스크를, 그리고 이 패턴 마스크 상부에는 각각 서로 다른 편광을 투과시키는 구별되는 두 영역을 갖는 편광판을 위치시키고, 편광판의 상부로부터 고분자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분자막의 미소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배향 방향을 갖는 배향막을 형성하고, 이 배향막 위에 위상 지연층을 형성하는 패턴 리타더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2장의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1장의 마스크에 2 가지 이상의 패턴이 구비된 마스크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빛의 확산, 패턴 간 마스크의 불일치, 필름의 사행, 배향막 재료의 반응성 차이 등에 따라 패턴 폭이 일치하지 않거나 패턴 경계 면이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마스크의 사용 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패턴 리타더의 연속 제조가 비효율적인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균일한 폭과 뚜렷한 경계 면을 갖는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균일한 연속적 노광을 수행할 수 있는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패턴 리타더를 제조함에 있어서 필름의 떨림 및 사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1. 필름 상에 형성된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1 단계; 및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 방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2. 위 1에 있어서,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3. 위 1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제2 단계에 비해 단위 면적 당 1.5 배 이상의 광량을 조사하는 제조 방법.
4. 위 1에 있어서, 제1 패턴 영역은 필름의 이송 방향과 같거나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조 방법.
5. 위 1에 있어서, 제1 단계는 제1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를 배향막 상에 위치시켜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6. 위 1에 있어서, 제2 단계는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를 배향막 상에 위치시켜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7. 위 1에 있어서, 제2 단계는 마스크 없이 배향막 전체에 광을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8. 위 1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계는 제1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패턴 노광부; 및 제1 및 제2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전면 노광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에 의해 동시에 수행되는 제조 방법.
9. 위 1에 있어서, 필름은 원, 타원 또는 이들의 일부의 곡률로 휘어진 표면을 갖는 필름 이송부에 밀착되어 이송되는 것인 제조 방법.
10. 위 9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계는 필름 이송부와 동일 곡률로 휘어진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를 배향막 상에 위치시켜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11. 위 1에 있어서, 필름 이송부는 원형 롤러; 타원형 롤러; 또는 원, 타원 또는 이들의 일부의 곡률로 휘어진 벨트인 제조 방법.
12. 위 5, 6, 8 또는 10에 있어서, 패턴 형성부는 편광자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 위 12에 있어서, 패턴 형성부는 마스크 또는 마스크 및 편광자가 원, 타원 또는 이들의 일부의 곡률로 휘어져 구성되도록 하는 내부 기압 조절용 챔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4. 위 1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제2 단계에 비해 단위 면적 당 2 배 이상의 광량을 조사하는 제조 방법.
15. 위 1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는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최소 적산 노광량이 조사되는 제조 방법.
16. 위 9에 있어서, 필름 이송부의 표면에는 점착층 또는 미끄럼 방지층이 구비되어 있는 제조 방법.
17. 위 10에 있어서, 필름 이송부와 패턴 형성부의 거리가 일정한 제조 방법.
18. 위 1에 있어서, 위 배향막은 광 가교 특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고분자로 형성된 것인 제조 방법:
[화학식 1]
(식 중, R1은 폴리신나메이트, 폴리알콕시신나메이트(알콕시기는 탄소수 1-20) 또는 폴리알릴로일옥시신나메이트이고, R2는 폴리불소화신나메이트, 폴리염소화신나메이트 또는 폴리디신나메이트이며, 상기 고분자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균일한 폭과 뚜렷한 경계 면을 갖는 패턴 리타더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마스크의 광 투과부의 경계에서 발생되는 빛의 확산에 따른 패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마스크를 1번만 사용하거나 적어도 패턴들의 경계에 마스크의 광투과부 경계가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2개의 마스크의 위치 불일치에 따른 패턴 손상 및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패턴 리타더의 연속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균일한 노광이 가능하다. 특히, 필름 이송부가 밀착되는 필름을 타원 또는 그 일부의 곡률로 구부려 이송시키는 경우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노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송되는 필름이 필름 이송부에 밀착되어 이송되게 함으로써 연속적인 패턴 리타더 제조시 필름의 떨림 및 사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패턴 형성부와 필름 이송부의 곡률을 일치시켜 이들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필름의 밀착 면에 광이 균일하게 입사되도록 할 수 있고 보다 균일한 노광 및 패턴 형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 배향막, 제1 패턴 영역, 제2 패턴 영역,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경계 및 액정코팅층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마스크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된 제조 장치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노광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이송부의 구현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턴 형성부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턴 형성부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마스크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된 제조 장치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노광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이송부의 구현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턴 형성부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턴 형성부의 구조를 예시한다.
본 발명은 필름 상에 형성된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1 단계; 및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 방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균일한 폭과 뚜렷한 경계 면을 갖는 패턴 리타더를 빠른 속도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필름, 배향막, 제1 패턴 영역, 제2 패턴 영역,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경계 및 액정코팅층은 예컨대 도 1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필름 상에 형성된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1 단계를 포함한다.
필름은 투명한 광학용 필름으로서 배향막 형성을 위한 기재 필름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예컨대 편광판일 수 있다. 패턴 리타더를 편광판 이외의 별도의 기재 필름에 형성시킨 후 편광판에 접합할 경우에는 편광판에 패턴 리타더를 접착제 등으로 접합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편광판을 본 발명의 필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은 LCD 제조 분야에서 공지의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편광판은 편광자와 이 편광자의 적어도 한면에 적층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이색성 염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및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두께로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두께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배향막은 위의 필름 상에 형성된다. 배향막은 필름 상에 고분자막을 형성한 후 고분자막에 편광된 빛을 조사하여 광 가교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제1 단계에 의해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이 의도된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은 필름의 이송 방향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광 조사에 의해 배향이 부여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고분자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믹산 및 폴리신나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광배향제로 하기 화학식 1의 광배향이 가능한 신나메이트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포함하여 광 가교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식 중, R1은 폴리신나메이트, 폴리알콕시신나메이트(알콕시기는 탄소수 1-20) 또는 폴리알릴로일옥시신나메이트이고, R2는 폴리불소화신나메이트, 폴리염소화신나메이트 또는 폴리디신나메이트이며, 상기 고분자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임).
본 제1 단계는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을 광 가교시켜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는 임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특정 방법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a와 같이, 제1 패턴 영역으로는 광이 투과되고 제2 패턴 영역으로는 광이 투과되지 않는(차단되는) 마스크를 배향막 상에 위치시킨 후 광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필름이 이송됨에 따라 광원이 규칙적으로 플래쉬되어 노광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제1 단계에서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영역은 그 후 제2 단계에서 광 조사가 되더라도 배향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는 제1 단계에서 후술하는 제2 단계에 비해 단위 면적 당 1.5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배 이상의 광량(에너지)을 조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 방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제2 단계에서 노광되는 배향막 부분은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패턴 영역이다.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패턴 영역의 일부(예컨대, 제2 패턴 영역과 인접한 제1 패턴 영역 부분, 제2 패턴 영역의 경계와 맞닿아 있는 제1 패턴 영역 부분 등)와 제1 패턴 영역 전체를 포함한다.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패턴 영역 전체일 경우에는 제2 단계에서 배향막 전체에 대해 노광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단계에서의 노광에 의해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 방향은 바뀌지 않고 제2 패턴 영역만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는 광 가교 방식의 배향에 있어, 제1 단계에서 제2 단계에 비해 단위 면적 당 1.5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배 이상의 광량(에너지)이 조사되는 경우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단계에서는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최소 적산 노광량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량(에너지)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패턴 영역이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되어야 입체 영상 표시 장치용 패턴 리타더로 기능할 수 있다. 패턴 리타더는 제1 및 제2 패턴 영역이 서로 다른 편광 특성을 나타내어 좌, 우안에 전달되는 화상이 상이하도록 한다.
본 제2 단계는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 방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는 임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특정 방법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b와 같이, 인접하는 양쪽 제1 패턴 영역의 절반 부분과 제2 패턴 영역으로는 광이 투과되고 위 제1 패턴 영역의 나머지 절반 부분으로는 광이 투과되지 않는 마스크를 배향막 상에 위치시킨 후 광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c와 같이 제1 및 제2 패턴 영역 모두에 광을 투과시키는 마스크를 배향막 상에 위치시킨 후 광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크 없이 제1 및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배향막 전체에 편광된 광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는 서로 다른 편광된 빛이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광 투과 영역 및 광 차단 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통상적인 패턴 마스크를 포함한다.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위한 마스크는 각각 존재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마스크에 제1 및 제2 단계 수행을 위한 구성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제1 패턴 영역으로 광이 투과되도록 하는 패턴 노광부(제1 단계 수행을 위한 구성)와 제1 및 제2 패턴 영역으로 광이 투과되도록 하는 전면 노광부(제2 단계 수행을 위한 구성)가 하나의 마스크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패턴 노광부는 패턴 형성 방향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이 권출 및 이송되면서 연속적으로 패턴 리타더를 수행하는 공정에서 n번째 영역에 대한 제1 단계가 수행된 후 n번째 영역에 대한 제2 단계가 수행될 때, 그와 동시에 n+1번째 영역의 제1 단계를 수행하는데 편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컨대 도 4의 리타더 제조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제조 장치는 제1 및 제2 패턴 영역을 배향시키는 광 배향부(100)와 배향된 제1 및 제2 패턴 영역에 액정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리타더 형성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배향부(100)는 본 발명의 제1 단계가 수행되는 제1 배향부(10), 본 발명의 제2 단계가 수행되는 제2 배향부(20) 및 배향막이 형성된 필름(40)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필름 이송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향부(10)는 필름(40) 상부의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제1 광원(11) 및 제1 마스크(12)를 포함하고, 제2 배향부(20)는 필름(40) 상부의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을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제2 광원(21) 및 제2 마스크(22)를 포함한다. 제2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은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수직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2a의 마스크를 제1 마스크(12)로, 도 2b의 마스크를 제2 마스크(22)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마스크(12)와 제2 마스크(22)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광원(11) 및 제2 광원(21)은 일렉트론 빔 또는 편광된 전자파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된 전자파 중에서도 자외선이 취급 용이성의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광원들은 필름(40) 상의 배향막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비접촉식 배향을 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제1 광원(11) 혹은 제2 광원(21)은 편광되지 않은 일렉트론 빔 또는 전자기파를 조사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마스크(12) 혹은 제2 마스크(22)에 편광필터 기능이 부가되도록 편광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필름 이송부(30)는 필름(40)을 권출하는 제1 롤(31)과 필름(40)이 권취되는 제2 롤(32)을 포함한다. 제1 롤(31) 및 제2 롤(32)은 독립적으로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과 벨트나 체인 등의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력 유지 및 안정적인 필름의 이송을 위한 가이드 롤(미도시) 및 공정에 따라 필름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다수 구비할 수 있다.
제1 배향부(10) 이전에 필름(40)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배향막 형성부(미도시)가 포함된다. 배향막 형성시에는 유동 주조법, 및 에어 나이프(air knife), 그라비아(gravure), 리버스 롤(reverse roll), 키스 롤(kiss roll), 스프레이(spray) 또는 블레이드(blade) 등의 통상의 장치에 의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배향막 형성은 배향막 형성부에 의하여 배향의 직전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배향막 형성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배향막 형성부에는 형성된 배향막을 경화시키기 위해서 통상의 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리타더 형성부(200)는 혼합 용액 도포부(210), 혼합 용액 건조부(220) 및 경화부(230)를 포함한다.
혼합 용액 도포부(210)는 액정 화합물, 모노머 및 용매를 포함한 코팅액을 배향막의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도포시에는 에어 나이프(air knife), 그라비아(gravure), 리버스롤(reverse roll), 키스 롤(kiss roll), 스프레이(spray), 블레이드(blade) 등의 통상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혼합 용액 건조부(220)는 혼합 용액 도포부(210)에서 도포된 혼합 용액을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통상의 건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경화부(230)는 제3 광원(미도시)을 사용하여 상기 형성된 코팅층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전자파를 조사하는 광원 등의 통상적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3D 디스플레이용 편광 필름(F)에 광을 조사하여 리타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시스템의 일종이다.
노광 시스템은 램프(310), 반사경-1(320), 집광기(330), 반사경-2(340), 패턴 형성부(350) 및 필름 이송부(360)를 구비한다.
램프(310)는 광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발광소자로 발생된 광은 반사경-1(320)으로 출력된다. 반사경-1(320)은 램프(310)에서 출력되는 광을 집광기(330)를 향해 반사시킨다.
집광기(330)는 반사경-1(320)에서 반사되는 광들을 집광하여 반사경-2(340)로 전달한다. 반사경-2(340)는 집광기(330)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패턴 형성부(350)로 반사시킨다.
반사경-1(320), 집광기(330) 및 반사경-2(340)로 구성된 광학 시스템에 의해 패턴 형성부(350)는 램프(310)에서 조사된 광을 전달받게 된다.
필름 이송부(360)는 회전 운동을 통해 필름(F)을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 따라 밀착시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필름(F)은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에 밀착되어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송 과정 중 발생되는 떨림 및 사행이 방지된다.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은 필름(F)이 밀착되는 밀착면에 해당하고, 필름(F)은 필름 이송부(360)의 표면에 밀착되어 원, 타원 또는 이들의 일부의 곡률로 휘어진 채 이동한다.
필름 이송부의 표면에는 필름이 밀착되어 이송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점착층 또는 미끄럼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송되는 필름에 충분한 장력이 걸려 있는 경우에는 밀착을 위한 별도의 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필름 이송부(360)는 도 5에서는 타원형 롤러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를 원형 롤러로 구현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원형 롤러를 다수 개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a)와 같이 원형 롤러 2개를 벨트로 연결하여 구성한 무한궤도 형식이 가능하고, 도 6(b)와 같이 복수 개의 원형 롤러를 타원 또는 그 일부의 곡률을 갖는 궤적으로 이격 배치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7(c)와 같이 복수 개의 원형 롤러를 타원 또는 그 일부의 곡률을 갖는 궤적으로 인접하게 촘촘히 배치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d) 및 6(e)와 같이 도 6(b) 및 도 6(c)의 구성 하부에 이중 또는 다중의 지지롤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
패턴 형성부(350)는 반사경-1(320), 집광기(330) 및 반사경-2(340)를 통해 전달받은 램프(310)에서 조사된 광을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에 밀착된 필름(F)으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에 밀착된 필름(F)의 일부분에 편광 패턴이 형성된다.
패턴 형성부(350)에서 필름 이송부(360)에 밀착된 필름(F)으로 전달되는 광은 필름 이송부(360)의 타원형 롤러의 중심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에 밀착된 필름(F) 부분에 광들이 균일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한 방법이 된다.
또한,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은 무반사 및 무산란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에서는 입사된 광이 반사되거나 산란하지 않으므로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에 밀착된 필름(F) 부분에 편광 패턴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패턴 형성부(350)의 상세 구조는 예컨대 도 7과 같다.
도 7a와 같이, 패턴 형성부(350)는 챔버(351), 편광판(353), 편광판 고정부(355), 마스크 고정부(357) 및 마스크(359)를 구비할 수 있다.
편광판(353)은 COP(시클로 올레핀 고분자)/편광자 PVA(폴리비닐알콜)/COP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PVA는 요오드 염색이 된 것을 이용하거나, 그 외 다른 편광을 시킬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편광판 고정부(355)는 편광판(353)의 양단을 패턴 형성부(350)에 고정시킨다. 또한, 경우에 따라, COP(시클로 올레핀 고분자), TA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보호필름 없이 편광자만을 사용할 수 있다.
광원에서 편광된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패턴 형성부(350)는 도 8a와 같이 편광판(353) 또는 편광자 없이 마스크(359)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359)는 편광 패턴 형성이 가능한 필름 또는 석영유리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마스크 고정부(357)는 마스크(359)의 양단을 패턴 형성부(350)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마스크(359)는 네 변을 가지는 사각면 형태이며, 그 일변과 마주보는 대변은 마스크 고정부(357)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이들 두 변을 제외한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한 쌍의 두 변은 마스크 고정부(357)에 고정되지 않는다.
챔버(351)는 내부 기압을 조정하여, 편광판(353)와 마스크(359)의 곡면과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 간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챔버(351)의 내부 기압을 낮추어 편광판(353)와 마스크(359)의 곡률 반경을 감소시켜, 편광판(353)와 마스크(359)의 곡면과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 간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조정한 결과를 도 7b 및 도 8b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5에도 패턴 형성부(350)에 구비된 마스크의 곡면과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 간 거리가 일정(AA'=BB'=CC')하게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편광판(353)과 마스크(359)의 곡면과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 간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필름 이송부(360)의 곡면에 밀착된 필름(F) 부분에 광들이 균일하게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광학 시스템과 다른 형태의 광학 시스템을 통해, 램프(310)로부터 패턴 형성부(350)로 광이 전달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광학 시스템 없이 램프(310)로부터 패턴 형성부(350)로 광이 직접 전달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내부 기압이 조정가능한 챔버(351)를 이용하여 편광판(353)과 마스크(359)의 곡면을 조정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챔버(351) 이외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편광판(353)와 마스크(359)의 곡면을 조정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편광판(353)과 마스크(359)의 양단에 외압을 가하는 수단을 제어하여, 편광판(353)과 마스크(359)의 곡면을 조정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위에서 편광판(353)과 마스크(359)의 곡면이 가변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편광판(353)와 마스크(359)의 곡면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챔버(351)와 같은 편광판(353)과 마스크(359)의 곡면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필름(F)이 필름 이송부(360)가 타원형 롤러로 상정하였으나, 타원형 롤러는 필름(F)을 밀착시킨 상태로 타원 또는 그 일부의 곡률로 이동시키는 수단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를 원형 롤러 또는 도 6의 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는 편광판(353)과 마스크(359)가 필름 이송부(360) 면에 대하여 편광판(353), 마스크(359)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으나 이들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이격되거나 혹은 그 적층 순서를 변경한다 할지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편광판(353)과 마스크(359)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나 편광판 또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편광광일 경우에는 생락될 수 있다. 또한, 편광판(353) 중 편광자만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위에서는 챔버(351)를 이용하여 마스크(359)를 포함하는 부분의 곡면을 조절하였으나, 이는 곡면을 조절하는 수단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마스크의 곡면을 조절하는 동시에 이러한 곡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챔버(351)를 대체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크의 곡률 반경은 패턴 형성부에 고정된 마스크의 두 변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 장치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의 노광 시스템은 3D 디스플레이용 편광 필름에 편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3D 디스플레이용 편광 필름 이외의 다른 필름에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일본 후지사의 TAC 필름에 배향막을 도포하고 100℃에서 1 분간 건조를 실시하였다. 제1 패턴 영역에 광 조사가 되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해 하기 표 1의 A 광량(에너지, mJ/cm2)으로 조사하여 제1 패턴 영역이 +45°로 배향되도록 패턴 노광을 실시하였다.
그 후, 제1 및 제2 패턴 영역 전체에 대해 마스크 없이 하기 표 1의 B 광량(에너지)으로 조사하여 제1 패턴 영역은 +45°의 배향 방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제2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이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해 -45°가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배향막 상에 액정을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시킨 후 경화 노광하여 패턴 리타더 샘플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샘플은 Axoscan으로 배향 각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탁월(◎): 제1 패턴 영역은 +45°의 배향 방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제2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이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해 -45°가 됨.
- 양호(○): 제1 패턴 영역은 +45°에서 ± 2°의 배향 방향을 나타내면서 제2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이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해 -45°가 됨.
- 불량(X):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이 +47°를 초과하거나 +43°미만이면서 제2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이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해 -45°가 됨.
A B |
200 | 180 | 160 | 140 | 120 | 100 | 80 | 60 | 40 | 20 |
100 | ◎ | ○ | ○ | X | X | X | X | X | X | X |
90 | ◎ | ◎ | ○ | ○ | X | X | X | X | X | X |
80 | ◎ | ◎ | ◎ | ○ | ○ | X | X | X | X | X |
70 | ◎ | ◎ | ◎ | ◎ | ○ | X | X | X | X | X |
60 | ◎ | ◎ | ◎ | ◎ | ◎ | ○ | X | X | X | X |
50 | ◎ | ◎ | ◎ | ◎ | ◎ | ◎ | ○ | X | X | X |
40 | ◎ | ◎ | ◎ | ◎ | ◎ | ◎ | ◎ | ○ | X | X |
30 | ◎ | ◎ | ◎ | ◎ | ◎ | ◎ | ◎ | ◎ | X | X |
20 | ◎ | ◎ | ◎ | ◎ | ◎ | ◎ | ◎ | ◎ | ◎ | X |
10 | ◎ | ◎ | ◎ | ◎ | ◎ | ◎ | ◎ | ◎ | ◎ | ◎ |
위 표 1과 같이, A 광량(mJ/cm2)이 B 광량(mJ/cm2)에 비해 1.5 배 이상인 경우 양호한 품질의 패턴 리타더 제조가 가능하고, A 광량(mJ/cm2)이 B 광량(mJ/cm2)에 비해 1.5 배 이상인 경우 탁월할 품질의 패턴 리타더 제조가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10: 제1 배향부 11: 제1 광원
12: 제1 마스크 20: 제2 배향부
21: 제2 광원 22: 제2 마스크
30: 필름 이송부 31: 제1 롤
32: 제2 롤 40: 필름
100: 광 배향부 200: 리타더 형성부
210: 혼합 용액 도포부 220: 혼합 용액 건조부
230: 경화부
310: 램프 320: 반사경-1
330: 집광기 340: 반사경-2
350: 패턴 형성부 351: 챔버
353: 편광자 355: 편광판 고정부
357: 마스크 고정부 359: 마스크
360: 필름 이송부
12: 제1 마스크 20: 제2 배향부
21: 제2 광원 22: 제2 마스크
30: 필름 이송부 31: 제1 롤
32: 제2 롤 40: 필름
100: 광 배향부 200: 리타더 형성부
210: 혼합 용액 도포부 220: 혼합 용액 건조부
230: 경화부
310: 램프 320: 반사경-1
330: 집광기 340: 반사경-2
350: 패턴 형성부 351: 챔버
353: 편광자 355: 편광판 고정부
357: 마스크 고정부 359: 마스크
360: 필름 이송부
Claims (18)
- 필름 상에 형성된 배향막의 제1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1 단계; 및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배향 방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제 2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패턴 영역과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2 단계에 비해 단위 면적 당 1.5 배 이상의 광량을 조사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과 같거나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를 상기 배향막 상에 위치시켜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배향막의 제2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를 상기 배향막 상에 위치시켜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마스크 없이 상기 배향막 전체에 광을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계는 제1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패턴 노광부; 및 제1 및 제2 패턴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광이 투과되는 전면 노광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에 의해 동시에 수행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원, 타원 또는 이들의 일부의 곡률로 휘어진 표면을 갖는 필름 이송부에 밀착되어 이송되는 것인 제조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계는 상기 필름 이송부와 동일 곡률로 휘어진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부를 배향막 상에 위치시켜 수행되는 것인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이송부는 원형 롤러; 타원형 롤러; 또는 원, 타원 또는 이들의 일부의 곡률로 휘어진 벨트인 제조 방법.
- 청구항 5, 6, 8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부는 편광자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부는 마스크 또는 마스크 및 편광자가 원, 타원 또는 이들의 일부의 곡률로 휘어져 구성되도록 하는 내부 기압 조절용 챔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2 단계에 비해 단위 면적 당 2 배 이상의 광량을 조사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배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최소 적산 노광량이 조사되는 제조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이송부의 표면에는 점착층 또는 미끄럼 방지층이 구비되어 있는 제조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이송부와 상기 패턴 형성부의 거리가 일정한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144A KR20130036911A (ko) | 2011-10-05 | 2011-10-05 |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
PCT/KR2012/007127 WO2013051789A1 (ko) | 2011-10-05 | 2012-09-05 |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
CN201280049520.0A CN103858047A (zh) | 2011-10-05 | 2012-09-05 | 图案化的延迟器的制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144A KR20130036911A (ko) | 2011-10-05 | 2011-10-05 |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6911A true KR20130036911A (ko) | 2013-04-15 |
Family
ID=4804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1144A Withdrawn KR20130036911A (ko) | 2011-10-05 | 2011-10-05 |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6911A (ko) |
CN (1) | CN103858047A (ko) |
WO (1) | WO201305178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50717B2 (ja) * | 2019-07-24 | 2020-09-02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光照射装置および光照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1752B1 (ko) * | 2004-05-14 | 2005-05-27 | (주)애드뷰 | 패턴화된 광위상변조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JP2007505338A (ja) * | 2003-09-09 | 2007-03-08 | コニンクリユケ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ブイ. | 内蔵ディスプレイを備える鏡 |
JP5462628B2 (ja) * | 2006-09-13 | 2014-04-02 | ロリク アーゲー | ボリューム光アラインされたリターダ |
EP2372433B1 (en) * | 2009-02-03 | 2018-04-11 | LG Chem,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lter for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CN101510413A (zh) * | 2009-03-20 | 2009-08-19 |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 二维/三维影像显示装置 |
KR101293552B1 (ko) * | 2009-03-20 | 2013-08-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다중 전면 화상 구현 시스템 |
KR20110038854A (ko) * | 2009-10-09 | 2011-04-1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패턴화 리타더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리타더 |
KR101063056B1 (ko) * | 2010-09-29 | 2011-09-08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필름 노광 시스템 및 방법 |
-
2011
- 2011-10-05 KR KR1020110101144A patent/KR2013003691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09-05 CN CN201280049520.0A patent/CN103858047A/zh active Pending
- 2012-09-05 WO PCT/KR2012/007127 patent/WO201305178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51789A1 (ko) | 2013-04-11 |
CN103858047A (zh) | 2014-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8374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tially laminating optical film including polarizing film, to rectangular-shaped panel | |
CN106199810A (zh) | 偏振板的制造方法 | |
JP6662992B2 (ja) | 円偏光板の製造方法 | |
WO2013102981A1 (ja) | 光学フィルム製造装置、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 | |
CN111045128A (zh) | 光学层叠体及显示装置 | |
WO2021131367A1 (ja) |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 |
KR20190063375A (ko) |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 |
JP5922459B2 (ja) | 位相差板の製造方法 | |
KR20130036911A (ko) | 패턴 리타더의 제조 방법 | |
TW201351003A (zh) | 曝光裝置及曝光方法 | |
JP4603387B2 (ja) | 液晶表示装置用光学素子の製造装置 | |
KR20220135162A (ko) |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 |
JP2014164142A (ja) | 配向基材と位相差フィルムとの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WO2022201907A1 (ja) |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位相差層付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 |
KR20110125858A (ko) | 패턴화 리타더의 제조방법과 이의 제조장치 | |
WO2020066918A1 (ja) | 偏光モジュール、偏光光照射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JP2019215584A (ja) |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 |
KR20110038854A (ko) | 패턴화 리타더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리타더 | |
JP6154750B2 (ja) |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JP7223874B2 (ja) | 偏光板、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該偏光板または該位相差層付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 |
JP7645639B2 (ja) | 積層体および位相差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 |
KR102248880B1 (ko) | 배향막, 편광판, 및 위상차판,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
KR20240155243A (ko) | 렌즈부, 표시체 및 표시 방법 | |
KR20240155242A (ko) | 렌즈부, 표시체 및 표시 방법 | |
KR20240024067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