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890A -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6890A KR20130036890A KR1020110101104A KR20110101104A KR20130036890A KR 20130036890 A KR20130036890 A KR 20130036890A KR 1020110101104 A KR1020110101104 A KR 1020110101104A KR 20110101104 A KR20110101104 A KR 20110101104A KR 20130036890 A KR20130036890 A KR 201300368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onstruction
- bridge
- tension
- s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
- 교량용 P.S.C 거더를 지상에서 제작하여 교대또는 교각위의 두 지점(16)상에 올려 놓은 다음 상기 거더와 일체화 되도록 거더의 상면에 슬래브 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교량을 건설하며 , 특히 교축방향을 기준으로 교량 완성시에 거더의 복부(2)의 높이가 지점부(15)는 높고 중앙부는 낮은 형태로 하여 높이가 변하는아치 형상으로 시공되는 교량에 대해 상기 지상에서 제작하는 P.S.C 거더에 있어서,교축방향을 기준으로 최종 완성된 교량 하단(3)의 형상과 동일한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긴장재(8)로 보강된 거더의 하부 플랜지(3);거더 단면상에서 복부를 기준으로 좌,우 내민부를 가지는 상기 하부플랜지의 내민부 상면(21)에서 거더 지간내에 적어도 4개(1조)이상 설치되어, 거더가 교대 또는 교각위에 거치된 후에 하부플랜지 보강역할을 하는 긴장재(8)의 정착구(7);상기 PSC 제작거더(1,100)의 복부(2)가 교량 완성후의 최종 복부 높이(W3)보다 작은 소정의 높이(W1)로 형성되어 제작거더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형상으로 제작되는 단면(22)구간이 거더 길이 방향으로 전 지간 내지 적어도 거더의 양 지점부(15,16)로부터 중앙부쪽으로 지간의 15%이상이 되도록 하여 하부플랜지(3)와 일체로 설치된 복부(2);복부(2)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수직철근(9)과 수평철근 (10);거더의 양 단부(11)의 하부플랜지(3) 상면부에 적어도 한 쌍이상이며 관통구멍(6)이 형성된 정착구(5)가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양 단부 정착구(5)에 구비된 구멍 내부를 관통하며, 아치형 거더의 아래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직선 배치되어 상기 관통구멍(6)이 구비된 단부 정착구(5)에서 긴장후 정착된 케이블(4);상기 요소로 구성되어, 교량 완성후의 최종 복부 높이(W3)보다 작은 소정의 복부 높이(W1)가 형성되어 ┴형상으로 제작된 단면(22)이 거더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 내지 적어도 상기 소정의 양 지점부(16) 구간에 걸쳐 형성되며, 양 단부의 정착구(5)에서 케이블(4)로 지지된 타이드 아치 거더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C 제작거더(1,100)
- 교량 하면이 아치 형상이며 P.S.C공법으로 시공되는 2경간 이상의 연속교량에 있어서,상기 청구항 1의 타이드 아치형 PSC 제작거더(1,100)를 교대및 교각위의 두 지점(16)상에 올려놓아 2경간 이상에 결쳐 거더가 배열되도록 거더를 거치하는 단계;PSC 제작거더가 거더 거치후의 추가 시공분(AH)에 대한 지지 거더의 역할을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작거더(1,100) 위에 제작거더와 일체로 복부 콘크리트(W2) 및 상부 슬래브(12,SL)를 수 개의 블록(23)으로 나누어 블록 단위의 단계별로 타설 하되,교각부의 지점부(15)로부터 지간 중앙부를 향하여 좌,우 양 쪽으로 균형이 맞도록 동시에 시공하는 것 내지는 좌우 교대로 시공하며,나중에 친 콘크리트블록에 의해 먼저 친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슬래브(12)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 및 제작거더의 하면(3)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제거하는 것 내지, 외부 케이블(4)의 장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타설된 상부 슬래브(12)의 내부에 배치된 긴장재(13)를 콘크리트 양생후에 시공이음된 단부(24)에서 긴장후 정착하는 단계;상기 좌,우 균형 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 및 긴장재(13)의 긴장및 정착하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시공이음된 단부(24)와 연결되도록 지간 중앙부 쪽으로 연속 시공해 나가는 단계;상기 지점부(15)로부터 지간 중앙부를 향하여 단계별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제작거더(1,100)의 하면(3)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내지, 외부 케이블(4)의 장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설치된 제작거더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구비된 정착구(7)에서 긴장재(8)를 긴장 정착하는 단계;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며, 상기 타이드 아치형 PSC 제작거더(1)가 거더 거치후의 추가 시공분(AH)에 대한 지지 거더의 역할을 하도록 지점(16)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매 시공단계마다 상부슬래브(12) 내지 하부플랜지(3)에 구비된 긴장재(13,8)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제작거더(1,100)와 상부슬래브(12)에 가해지는 매 시공단계마다의 하중에 의한 유해한 응력 및 케이블 장력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 하여 블록단위의 단계별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교량의 가설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2경간 이상이며, 횡방향으로 2개이상으로 거더(1,100)가 배열된후 각각의 거더의 하부플랜지(3)를 소정의 두께로 연결 타설하여 교량 하부(14)가 폐합된 단면을 구성하며 상기 폐합된 단면의 구간이 전 지간 내지 적어도 중간지점부(15)로부터 지간의 1/4 이하의 범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교량의 가설 방법
- 상기 청구항 1의 타이드 아치형 PSC 제작거더(1,100)를 교대위의 두 지점(16)상에 올려놓는 단계;PSC 제작거더(1,100)가 거더 거치후의 추가 시공분(AH)에 대한 지지 거더의 역할을 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작거더의 위에 제작거더(1,100)와 일체로 복부 콘크리트(W2) 및 상부 슬래브(12,SL)를 수 개의 블록(23)으로 나누어 블록 단위의 단계별로 타설하되,교대부의 지점부(16)로부터 지간 중앙부를 향하여 좌,우 양 쪽으로 균형이 맞도록 동시에 시공하는 것 내지는 좌우 교대로하여 시공하며, 제작거더의 하면(3)에서 발생하는 인장응력내지, 외부 케이블(4)의 장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설치된 제작거더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구비된 정착구(7)에서 긴장재(8)를 긴장 정착하는 단계;상기 좌,우 균형 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 및 긴장재의 긴장 정착하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시공이음된 단부(24)와 연결되도록 지간 중앙부 쪽으로 연결 시공해 나가는 단계;상기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며, 상기 타이드 아치형 PSC 제작거더(1,100)가 거더 거치후의 추가 시공분(AH)에 대한 지지 거더의 역할을 하도록 지점(16)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매 시공단계마다 하부플랜지에 구비된 긴장재(8)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제작거더에 가해지는 매 시공단계마다의 하중에 의한 유해한 응력및 케이블(4) 장력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단계별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 교량의 가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104A KR20130036890A (ko) | 2011-10-05 | 2011-10-05 |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104A KR20130036890A (ko) | 2011-10-05 | 2011-10-05 |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6890A true KR20130036890A (ko) | 2013-04-15 |
Family
ID=4843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1104A Ceased KR20130036890A (ko) | 2011-10-05 | 2011-10-05 |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6890A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50454A (zh) * | 2015-11-02 | 2016-02-24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钢桁拱桥梁的钢拱肋外包混凝土施工方法 |
CN105672134A (zh) * | 2016-01-26 | 2016-06-15 | 河海大学 | 一种下承式钢管混凝土系杆拱桥架设施工方法 |
RU2657562C1 (ru) * | 2017-10-06 | 2018-06-14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пецремпроект" |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балки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
CN108262325A (zh) * | 2017-11-29 | 2018-07-10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一种超大跨度全玻璃钢除臭盖板及臭气收集装置 |
KR101989004B1 (ko) * | 2018-03-13 | 2019-09-24 | 원용석 | 교량용 이중합성거더 |
CN110863431A (zh) * | 2019-11-22 | 2020-03-06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悬索桥吊杆钢导索管加固、提高安装精度的方法 |
CN112252154A (zh) * | 2020-11-05 | 2021-01-22 | 重庆交通大学 | 一种新型的中、下承式拱桥短吊杆的锚固结构 |
CN112411342A (zh) * | 2020-12-16 | 2021-02-26 | 昆山同济市政工程有限公司 | 一种预制钢箱梁人行景观桥的施工方法 |
KR102263272B1 (ko) | 2020-08-14 | 2021-06-14 | (주)주성이앤씨 | 홍수 방재 교량용 변단면 거더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15559229A (zh) * | 2022-10-20 | 2023-01-03 | 北京市政路桥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上承式空腹拱桥主拱圈结构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
KR102522672B1 (ko) | 2023-01-04 | 2023-04-18 | (주)주성이앤씨 | 중앙부와 단부의 콘크리트 강도가 다른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
CN118153176A (zh) * | 2024-05-09 | 2024-06-07 | 西华大学 | 基于Transformer模型与GWO算法的系杆张拉力优化方法 |
-
2011
- 2011-10-05 KR KR1020110101104A patent/KR20130036890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50454B (zh) * | 2015-11-02 | 2017-01-11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钢桁拱桥梁的钢拱肋外包混凝土施工方法 |
CN105350454A (zh) * | 2015-11-02 | 2016-02-24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钢桁拱桥梁的钢拱肋外包混凝土施工方法 |
CN105672134A (zh) * | 2016-01-26 | 2016-06-15 | 河海大学 | 一种下承式钢管混凝土系杆拱桥架设施工方法 |
RU2657562C1 (ru) * | 2017-10-06 | 2018-06-14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пецремпроект" |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балки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
CN108262325B (zh) * | 2017-11-29 | 2024-05-24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一种超大跨度全玻璃钢除臭盖板及臭气收集装置 |
CN108262325A (zh) * | 2017-11-29 | 2018-07-10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一种超大跨度全玻璃钢除臭盖板及臭气收集装置 |
KR101989004B1 (ko) * | 2018-03-13 | 2019-09-24 | 원용석 | 교량용 이중합성거더 |
CN110863431A (zh) * | 2019-11-22 | 2020-03-06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悬索桥吊杆钢导索管加固、提高安装精度的方法 |
KR102263272B1 (ko) | 2020-08-14 | 2021-06-14 | (주)주성이앤씨 | 홍수 방재 교량용 변단면 거더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12252154A (zh) * | 2020-11-05 | 2021-01-22 | 重庆交通大学 | 一种新型的中、下承式拱桥短吊杆的锚固结构 |
CN112411342A (zh) * | 2020-12-16 | 2021-02-26 | 昆山同济市政工程有限公司 | 一种预制钢箱梁人行景观桥的施工方法 |
CN115559229A (zh) * | 2022-10-20 | 2023-01-03 | 北京市政路桥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上承式空腹拱桥主拱圈结构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
KR102522672B1 (ko) | 2023-01-04 | 2023-04-18 | (주)주성이앤씨 | 중앙부와 단부의 콘크리트 강도가 다른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
CN118153176A (zh) * | 2024-05-09 | 2024-06-07 | 西华大学 | 基于Transformer模型与GWO算法的系杆张拉力优化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36890A (ko) |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536489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작된 강합성보 | |
KR101171039B1 (ko) |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 |
KR101456635B1 (ko) | 하로식 폼 트래블러와 선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0943823B1 (ko) |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거더 | |
KR101335382B1 (ko) |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 |
CN109338896B (zh) | 一种宽幅混凝土pk箱梁支架体系施工方法 | |
KR101208231B1 (ko) |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시공방법 | |
CN112267367A (zh) | 一种自锚式钢箱系杆拱桥先拱后梁法体系转化方法 | |
KR101052305B1 (ko) | 단순보 형식으로 제작되어 지점부에서 발생되는 휨모멘트를최소화하는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 |
KR101308792B1 (ko) | 가변형 단면 박스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688517B1 (ko) |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
KR20130090709A (ko)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198376B1 (ko) | 에프씨엠 교량의 주두부 시공방법 | |
KR100981982B1 (ko) | 프리캐스트 코핑용 인양 시스템 | |
KR100592196B1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 |
KR101165572B1 (ko) | 중경간 판형 거더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CN112227216B (zh) | 一种钢斜撑连续刚构桥的三角区扣索吊索联合施工方法 | |
CN112681150B (zh) | 箱型拱桥预制吊装体系及施工方法 | |
JP2020063598A (ja) | Pc有ヒンジ桁橋におけるヒンジ部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 |
KR101136992B1 (ko) |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
KR20150032499A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 |
KR101734304B1 (ko) |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 |
KR101739658B1 (ko) | 교량 슬래브 전단면을 압축부재로 사용하고 슬래브 폭이 넓은 강박스와 슬래브가 일체화된 강박스 거더교 | |
KR102206777B1 (ko) | 개구형 단경간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7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