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3848A -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 Google Patents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848A
KR20130033848A KR1020110097782A KR20110097782A KR20130033848A KR 20130033848 A KR20130033848 A KR 20130033848A KR 1020110097782 A KR1020110097782 A KR 1020110097782A KR 20110097782 A KR20110097782 A KR 20110097782A KR 20130033848 A KR20130033848 A KR 2013003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member
log
gap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678B1 (ko
Inventor
김명교
Original Assignee
김명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교 filed Critical 김명교
Priority to KR102011009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6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6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04B2/703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with longitudinal vertic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longitudinal elements with a convex ex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나무를 수직재로 활용하여 견고하고 친환경적인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은 수직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벽체를 구성하며 통나무로 이루어진 수직재; 및 수직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에 의하면, 통나무를 수직으로 나란히 입설하여 벽체를 구성함으로써, 통나무가 수축되는 것에 대비하여 종래에 필요하였던 자리잡음 공간(Settling Space)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가공시간과 시공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

Description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WALL STRUCTURE USING THE LOG FOR VERTICAL MEMBER}
본 발명은 벽식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활용하여 견고하고 친환경적인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주택, 농촌주택, 팬션 및 농장 관리사 등은 교외의 한적한 장소에 주로 시공되는 건축물로서, 근래들어 도시인구의 폭발적인 증대로 인해 교회의 한적한 전원생활을 갈망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맞추어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원주택은 통상 석재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시공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석재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한 통나무집과 같은 목조주택의 형태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에 통나무를 이용하여 목조주택을 시공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제10-2008-0029448호, 이하 ‘인용문헌’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 있다. 이 외에도 통나무를 이용한 다양한 목조주택의 시공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인용문헌은 서로 교차되게 적층하는 통나무의 적층부위 사이에 연결블럭을 개재하고, 상하로 적층되는 통나무 사이에 미리 제작된 블록형태의 간극부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통나무를 이용한 목조주택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용문헌에서와 같이 통나무를 옆으로 눕혀 “#”자 형태로 쌓아 올린 집을 노치스타일(Notch Style)의 통나무집이라고 한다.
인용문헌과 같은 종래의 통나무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는다.
첫째, 인용문헌과 같이 통나무를 옆으로 눕혀 쌓아 올린 집의 경우, 각 통나무의 수축으로 상부나무와 하부나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실내 단열성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열 효율면에서 영향을 끼쳐 나무집이 갖는 따뜻함과 쾌적함에 반하게 된다. 이에, 틈새를 막기 위해 콕킹재 또는 통나무용 실리콘을 사용하기는 하나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통나무의 내구력은 자연 상태에서 자란 그대로인 수직형태로 쓰여져야 하는데, 노치스타일 방법은 통나무가 가로로 눕혀 사용되기 때문에 통나무 자체의 갈라진 크랙 사이로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되면 배출이 어려우며, 이는 부후(腐朽)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노치스타일의 집은 북유럽 또는 추운지방에 적합하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부적합한 공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나무가 수축 팽창하더라도 통나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냉난방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의 내구력을 유지하고 부후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는, 수직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벽체를 구성하며 통나무로 이루어진 수직재; 및 수직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직재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재가 수축 팽창하더라도 수직재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간극재를 더 포함한다.
수직재의 측면중 이웃하는 것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간극재의 양측부가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간극재 삽입홈이 형성된다.
간극재의 좌우폭은 수직재의 수축 및 팽창률을 고려하여 간극재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본 발명은 간극재의 양쪽에 위치되고 간극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수직재의 수축 팽창시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재는 수직재들을 관통하는 환봉이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끼워지고 간극재에 대하여 수직재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수직재의 제자리 수축 팽창을 도와주는 수축팽창 보조수단을 더 포함한다.
수축팽창 보조수단은,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지며 간극제에 기대어 수직재의 양측부를 밀어줌으로써 수직재의 제자리 수축 팽창을 유도하는 탄성부재; 및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지고 탄성부재와 간극제 사이에 위치되어, 간극제에 기대어 탄성부재의 반력을 도와줌으로써 수직재의 제자리 수축 팽창을 도와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수축팽창 보조수단은,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부재 관통홀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재와 연결부재의 마찰을 줄여줌으로써 수직재의 수축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탄성부재가 맞닿는 완충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재 관통홀의 양단부는 단턱지게 형성되고, 완충슬리브는 연결부재 관통홀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환형부와, 제1환형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환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재 관통홀의 양단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도록 된 중공의 제2환형부를 포함한다.
수직재의 측면 중 건물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햇빛에 의한 자연 변색 및 퇴색을 방지하고, 빗물이나 습기를 차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다.
수직재들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 중 건물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외부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 물기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물끊기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수직재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재들의 이탈방지 및 자연수축을 유도하는 상,하부 레일을 더 포함한다.
하부레일은 기초 또는 H빔 위에 설치되는 수평상태의 바닥판과, 바닥판의 상면 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수직재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수직재의 하부 이탈과 자연수축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판으로 구성되며, 상부레일은 수직재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수직재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수직재의 상부 이탈과 자연수축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부레일과 기초 또는 H빔 사이에 설치되어 기초 또는 H빔에서 발생된 습기가 수직재의 하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습기차단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닥재의 마감선을 고려한 하부 몰딩재로 실내측에서 수직재의 하부에 맞대어 설치되는 하부 마감재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통나무를 수직으로 나란히 입설하여 벽체를 구성함으로써, 통나무가 수축되는 것에 대비하여 종래에 필요하였던 자리잡음 공간(Settling Space)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가공시간과 시공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
둘째, 견고한 벽체를 바탕으로 2층 이상 무난히 건축 가능하고 시공자의 오랜 숙련기술에 의존하는 종래의 수공식 노치스타일(Notch Style)에 비해 공장에서의 기계화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셋째, 각 수직재 사이에 간극재 및 기밀유지부재를 구비하고, 간극재에 대하여 수직재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수직재의 제자리 수축 및 팽창을 도와주는 수축팽창 보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직재가 수축 팽창하더라도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냉,난방시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무집이 갖는 따스함, 시원함 및 아늑함의 시각적 미를 증대시켜 오랜시간 동안 조습기능을 가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넷째, 건물의 외벽에는 나노코팅법을 이용하여 도료를 나노코팅함으로써, 햇빛에 의한 자연 변색 및 퇴색을 방지하여 원목 그대로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을 통해 빗물이나 습기 침투시 1차적으로 차단하고, 물끊기 홈에서 2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벽체의 내구력을 유지할 수 있고 부후를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바닥으로부터의 습기는 습기 차단재 및 수직재의 저면에 형성된 물끊기 홈에 의해 1차 차단되고 하부레일에 의해 2차 차단됨으로써, 벽체의 내구력을 유지할 수 있고 부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통나무가 절반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나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통나무가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통나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통나무가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일의 사시도.
도 9는 도 3에서 연결부재 및 수축팽창 보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통나무가 절반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1)는, 기둥(10), 수직재(20), 연결부재(30), 간극재(40), 기밀유지부재(50), 수축팽창 보조수단(60), 레일(70)(80), 및 하부 마감재(90)를 포함한다.
기둥(10)은 벽체의 코너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벽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통나무로 제작된다. 이러한 기둥(10)의 측면에는 서로 이웃하는 두 벽체의 구성요소인 간극재(40)가 삽입되는 간극재 삽입홈(1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직재(20)는 복수 개가 기둥(10)과 기둥(10) 사이에서 수직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통나무로 제작된다. 그리고 수직재(20)의 하부 및 상부에는 레일(70)(80)이 삽입되는 레일홈(21)이 각각 형성된다. 수직재(20)의 측면 중 이웃하는 것과 마주보는 측면에는 간극재(40)의 양측부가 삽입되는 간극재 삽입홈(22)이 각각 길게 형성된다.
연결부재(30)는 복수 개의 수직재(20)가 수직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직재(20)들을 연결한다. 연결부재(30)는 강철소재의 환봉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에는 나사부(31)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30)는 수직재(20)들을 수평상태로 관통하고 최종적으로 그 양단부가 기둥(10)을 관통한 후 실외측에서 너트(32)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수직재(20)들이 그 설치형태를 유지하면서 기둥(10)에 견고히 지지된다.
간극재(40)는 수직재(20) 사이에 설치되며 그 양측부가 수직재(20)의 간극재 삽입홈(22)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수직재(20)가 수축 또는 팽창하더라도 수직재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즉, 간극재(40)의 좌우폭과 간극재 삽입홈(22)의 깊이는 수직재(20)의 수축 및 팽창률을 고려하여 간극재(40)가 간극재 삽입홈(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간극재(40)의 소재로는 수축 팽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수율 20% 이하의 건조목을 사용한다.
기밀유지부재(50)는 간극재(40)의 양쪽에 위치되고 수직재(20)의 간극재 삽입홈(22)에 삽입되어 수직재(20)의 수축 팽창시 간극재(40)와 함께 벽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신축성을 갖는 압축발포수지재로 제작된다.
수축팽창 보조수단(60)은 연결부재(30)의 외측에 끼워져 수직재(20)의 제자리 수축 팽창을 유도하여 수직재(20)들을 일렬로 잡아주고, 수축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레일(70)(80)은 수직재(2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재(20)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자연수축 및 팽창을 유도하는 것으로, 수직재(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레일(70)과 수직재(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레일(80)로 구성된다.
하부 마감재(90)는 바닥재의 마감선을 고려한 하부 몰딩재로 실내측에서 수직재(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마감재(90)로 인해 몰탈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00은 기둥(10)에 인접된 수직재(20)를 하부레일(7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이다. 고정부재(100)의 양단부에는 나사부(101)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재(100)가 하부레일(70)의 후술할 장공(72a) 및 수직재(20)를 관통한 후 양단부의 나사부(101)에 각각 너트(102)가 결합됨으로써 수직재(20)는 하부레일(70)에 고정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수직재(20)의 간극재 삽입홈(22)으로부터 실외측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외부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물기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물끊기 홈(23)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물끊기 홈(23)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직재(20)의 저면에도 측면에 형성된 것과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직재(20)의 저면을 통해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수직재(20)에는 연결부재(30)가 관통되는 연결부재 관통홀(24)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30)가 수직재(20)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부재 관통홀(24)의 양단은 간극재 삽입홈(22)과 연결된다. 이 때, 연결부재 관통홀(24)의 양단부는 후술할 완충슬리브(63)의 형상에 맞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 관통홀(24)의 중심부 직경보다 양단부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간극재(40)의 하부 및 상부에는 레일(70)(80)이 삽입되는 레일홈(41)이 각각 형성된다. 수직재(20)를 좌우로 관통하는 연결부재(30)는 간극재(40)도 좌우로 관통한다.
기밀유지부재(50)의 하부 및 상부에는 레일(70)(80)이 삽입되는 레일홈(51)이 각각 형성된다. 수직재(20) 및 간극재(40)를 좌우로 관통하는 연결부재(30)는 기밀유지부재(50)도 좌우로 관통한다.
수축팽창 보조수단(60)은 와셔(61), 스프링(62) 및 완충슬리브(63)를 포함한다.
와셔(61)는 강철소재로 형성되는 지지부재로서 연결부재(30)의 외측에 끼워지며 간극재(40)에 기대어 스프링(62)의 반력을 도와줌으로써 수직재(20)의 제자리 수축 팽창을 도와준다.
스프링(62)은 강철소재로 형성되어 연결부재(30)의 외측에 끼워지며 와셔(61)에 기대어 수직재(20)의 양측부를 밀어줌으로써, 수직재(20)의 제자리 수축 팽창을 유도하여 벽체의 치수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프링(62)은 수직재(20)의 수축 팽창에 적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완충슬리브(63)는 강철소재로 형성되며 연결부재(3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부재 관통홀(24)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재(20)와 연결부재(30)의 마찰을 줄여줌으로써 수직재(20)의 수축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62)이 수직재(2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완충슬리브(63)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스프링(62)으로 인해 통나무로 된 수직재(20)가 침식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러한 완충슬리브(63)는 연결부재 관통홀(24)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환형부(63a)와, 제1환형부(63a)로부터 연장되며 제1환형부(63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재 관통홀(24)의 양단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도록 된 중공의 제2환형부(63b)로 구성된다.
한편, 도 3의 화살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62)의 반력방향과 수직재(20)의 수축방향은 일치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나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통나무가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수직재(20)는 이웃하는 것과 연결되는 양측부만 평면 가공하고, 건물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접하는 부분은 최소한의 가공만하여 통나무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연미를 살릴 수 있다. 수직재(20)의 하단부 중 실내측에 접하는 부분에는 하부 마감재(90)가 접합되도록 평면 가공된 마감재 접합부(25)가 형성된다.
수직재(20)는 설치시 자연상태에서 자란 뿌리쪽을 아래로 줄기쪽을 위로 향하게 설치하며, 건물의 실외측에 접하는 수직재(20)의 외측 부분에는 자연 퇴색 및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체가 함유된 나노코팅 및 오일스테인 처리된다. 이와 같이 수직재(20)의 외측에 코팅처리되는 자외선차단제는 빗물이나 습기 침투를 1차적으로 방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통나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통나무가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수직재(20)는 이웃하는 것과 연결되는 양측부뿐만 아니라 건물의 실내측에 접하는 부분을 평면 가공함으로써, 건물의 실내측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나무결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여 시각적 미를 확보할 수 있다. 하부 마감재(90)는 수직재(20)의 실내측 평면 하부에 접합된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일의 사시도이다.
하부레일(70)은 기초 또는 H빔 위에 설치되어 수직재(20) 하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자연수축 및 팽창을 유도한다. 하부레일(70)과 기초 또는 H빔 사이에는 기초에서 발생된 습기가 수직재(20)의 하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습기 차단재(110)가 설치된다. 습기 차단재(110)는 압축발포수지로 형성된다. 하부레일(70)은 습기 차단재(110) 위에 설치되는 수평상태의 바닥판(71)과, 바닥판(71)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수직재(2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홈(21)에 삽입되어 수직재(20)의 하부 이탈과 자연수축 및 팽창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판(7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레일(70)의 소재로는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또는 아연도금판이 사용된다. 한편, 바닥판(7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바닥판(71)을 기초 또는 H빔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고정홀(71a)이 형성되고, 제1가이드판(72)에는 제1가이드판(72)에 수직재(20)의 하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수직재(20)의 수축 팽창시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장공(72a)이 이격 형성된다.
상부레일(80)은 수직재(20)의 상부 이탈방지 및 자연수축 팽창을 유도한다. 또한, 상부레일(80)은 수직재(20)를 잡아줌으로써 창문 등이 설치되는 부분의 수직재(2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부레일(80)의 소재로는 하부레일(70)과 마찬가지로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또는 아연도금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상부레일(80)은 수직재(20)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판(81)과, 수평판(81)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수직재(2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21)에 삽입되어 수직재(20)의 상부 이탈과 자연수축 팽창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판(82)으로 구성된다. 수평판(81)의 양쪽 가장자리와 제2가이드판(82)에는 수직재(20)의 상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수직재(20)의 수축 팽창시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장공(81a)(82a)이 이격 형성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20은 상부레일(80)의 수평판(81) 상면에 설치되어 지붕재 또는 지붕판재 및 서까래를 지지하는 경사보로서 휨하중에 강한 나무를 사용한다. 이러한 경사보(120)의 상면은 지붕재 등의 설치형태에 맞게 건물의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9는 도 3에서 연결부재 및 수축팽창 보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로는 외주연 전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축팽창 보조수단(60)의 경우 수직재(20)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스프링(62)을 지지하는 와셔를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부재(3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와셔(61)를 사용하고, 수직재(20)를 중심으로 다른 쪽에는 연결부재(30′)에 나사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너트식 와셔(64)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30′)로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을 사용하고, 수직재(20)의 한쪽에 위치되어 스프링(62)을 지지하는 와셔를 환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식 와셔(64)로 구성함으로써, 수직재(20)가 용이하게 제 위치에 정렬될 수 있으며, 제자리 수축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치수안정성을 높여 공장에서의 기계화로 대량생산하는데 큰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 : 벽식구조체 10 : 기둥
11 : 간극재 삽입홈 20 : 수직재
21 : 레일홈 22 : 간극재 삽입홈
23 : 물끊기 홈 24 : 연결부재 관통홀
25 : 마감재 접합부 30, 30′ : 연결부재
40 : 간극재 50 : 기밀유지부재
60 : 수축팽창 보조수단 61 : 와셔
62 : 스프링 63 : 완충슬리브
64 : 너트식 와셔 70 : 하부레일
80 : 상부레일 90 : 하부 마감재
100 : 고정부재 110 : 습기 차단재
120 : 경사보

Claims (16)

  1. 수직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벽체를 구성하며 통나무로 이루어진 수직재; 및
    상기 수직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재가 수축 팽창하더라도 수직재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간극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의 측면중 이웃하는 것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상기 간극재의 양측부가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간극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재의 좌우폭은 상기 수직재의 수축 및 팽창률을 고려하여 상기 간극재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재의 양쪽에 위치되고 상기 간극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재의 수축 팽창시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직재들을 관통하는 환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7.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간극재에 대하여 상기 수직재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상기 수직재의 제자리 수축 및 팽창을 도와주는 수축팽창 보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팽창 보조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간극제에 기대어 상기 수직재의 양측부를 밀어줌으로써 수직재의 제자리 수축 및 팽창을 유도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와 간극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간극제에 기대어 상기 탄성부재의 반력을 도와줌으로써 상기 수직재의 제자리 수축 및 팽창을 도와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팽창 보조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수직재에 형성되는 연결부재 관통홀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직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마찰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수직재의 수축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맞닿는 완충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관통홀의 양단부는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완충슬리브는 상기 연결부재 관통홀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환형부와, 상기 제1환형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환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관통홀의 양단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도록 된 중공의 제2환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의 측면 중 건물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햇빛에 의한 자연 변색 및 퇴색을 방지하고, 빗물이나 습기를 차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들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 중 건물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외부 물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 물기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물끊기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재들의 이탈방지 및 자연수축을 유도하는 상,하부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은 기초 또는 H빔 위에 설치되는 수평상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직재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재의 하부 이탈과 자연수축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레일은 상기 수직재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고 상기 수직재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재의 상부 이탈과 자연수축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과 기초 또는 H빔 사이에 설치되어 기초 또는 H빔에서 발생된 습기가 상기 수직재의 하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습기차단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16. 제1항에 있어서,
    바닥재의 마감선을 고려한 하부 몰딩재로 실내측에서 상기 수직재의 하부에 맞대어 설치되는 하부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KR1020110097782A 2011-09-27 2011-09-27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Active KR10129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82A KR101291678B1 (ko) 2011-09-27 2011-09-27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82A KR101291678B1 (ko) 2011-09-27 2011-09-27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848A true KR20130033848A (ko) 2013-04-04
KR101291678B1 KR101291678B1 (ko) 2013-08-01

Family

ID=4843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782A Active KR101291678B1 (ko) 2011-09-27 2011-09-27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6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80A (ko) 2015-05-28 2016-12-07 이홍중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KR101726275B1 (ko) * 2016-11-07 2017-04-13 주식회사 보람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CN110761401A (zh) * 2019-10-31 2020-02-07 四川长豪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紧固件快速拉紧的抗开裂装配式建筑
KR20200053214A (ko) * 2018-11-08 2020-05-18 박용택 목조주택용 통나무 벽체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47B1 (ko) 2018-11-13 2020-01-16 주식회사 비앤이소음컨설팅연구소 목조건축물의 수축커버용 몰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571A (ja) * 1992-11-27 1994-07-19 Nobuaki Debari 間伐材を利用した集成壁体による建物施工方法
KR950008882A (ko) * 1993-09-03 1995-04-19 이종은 원목건축물의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JP4615579B2 (ja) 2008-04-01 2011-01-19 勝次 堤 間伐材を用いた面構成体
KR101122815B1 (ko) * 2009-03-12 2012-03-21 서우원 통나무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 및 그 목조주택의 수축 변형 방지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80A (ko) 2015-05-28 2016-12-07 이홍중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KR101726275B1 (ko) * 2016-11-07 2017-04-13 주식회사 보람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KR20200053214A (ko) * 2018-11-08 2020-05-18 박용택 목조주택용 통나무 벽체 패널
CN110761401A (zh) * 2019-10-31 2020-02-07 四川长豪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紧固件快速拉紧的抗开裂装配式建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678B1 (ko)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5972C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nted and water control siding, vented and water control sheathing and vented and water control trim-board
CN109415898B (zh) 建筑物和其建筑工艺方法
KR101291678B1 (ko)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US8015775B2 (en) Light weight load bearing architectural column
US20080263988A1 (en) Building System for Constructing Walls
KR101014591B1 (ko) 휘어진 원목으로 형성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 및 축조방법
CA2944427A1 (en) Building structure in which korean-style house and wooden house are introduced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KR20140034580A (ko) 결구식 경량 목구조 개량형 한옥
US20130255175A1 (en) Deck Surfacing
KR101897866B1 (ko)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JP3112560U (ja) 壁式木造建築物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KR102824616B1 (ko) 한식 구조물의 보강구조
JP2002371635A (ja) 木材間の防水継手及び製造方法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KR102593955B1 (ko) 장연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FI12381U1 (fi) Seinäelementti ja kerrostalo
JP5269308B2 (ja) 建物の外部床の床面構造、及び該床面構造の形成方法。
CA1144333A (en) Modular building system
KR101775362B1 (ko) 기와지붕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공간차단재 및 그것이 사용된 정자와 퍼걸러
Moody et al. Use of wood in buildings and bridges
RU2572107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е решения (конструкция) малоэтажного дома из деревянных каркасных элементов с щитовой обшивкой и утеплителем
KR101592458B1 (ko) 방수 및 단열을 위한 평슬라브 옥상의 지붕 골조 시스템
KR101839104B1 (ko) 내구성이 우수한 기와지붕의 시공방법 및 그것에 의해 시공된 지붕을 갖는 정자와 퍼걸러
JP6963247B2 (ja) 耐力壁及び建物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