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1769A -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769A
KR20130031769A KR1020120056765A KR20120056765A KR20130031769A KR 20130031769 A KR20130031769 A KR 20130031769A KR 1020120056765 A KR1020120056765 A KR 1020120056765A KR 20120056765 A KR20120056765 A KR 20120056765A KR 20130031769 A KR20130031769 A KR 20130031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ight source
display unit
specific region
partially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185B1 (ko
Inventor
이건호
박용훈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2005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85B1/ko
Priority to PCT/KR2012/009184 priority patent/WO2013180349A1/ko
Publication of KR2013003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며, 특정영역의 투과율이 선택적으로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미지가 특정영역을 통해 시인 가능하게 하는 선택적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PARTIALLY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가 나란하게 배열되고, 선택적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전체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조합된 영상이미지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부분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릴 표시수단을 이용한 슬롯머신 게임장치에 있어서, 게임의 흥미를 유발하고 좀 더 다채로운 영상이미지 연출을 위하여 액정표시장치가 이용된다.
통상 액정표시장치는 전방에 배치되며,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도광판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의 후방에는 심볼마크가 도안된 릴밴드를 장착한 회전릴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광판의 개구부를 통해 후방의 회전릴 표시수단의 영상이미지가 투시되는 동시에 전방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게임과 관련된 영상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게임 참여자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5753호(공개일:2011.05.04)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게임이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도광판의 개구부를 통해 후방의 회전릴 표시수단이 항상 노출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당첨내용, 안내메세지 등을 표시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며 단절된 화면 표시밖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액정표시장치와 회전릴 표시수단의 사이에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후방 백라이트가 구비되는데,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BLU(Back Light Unit)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후방 백라이트의 광학셔터가 차단되었을 때 후방 백라이트의 광원이 회전릴 상에 비춰지며, 전, 후방 백라이트의 광원 빛을 분산시키기 위해 각각의 도광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 개의 도광판 사이의 간격 및 도광판 자체의 두께로 인하여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 개구부에 화면 영역에는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비춰지지 않으며, 전체 화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비된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며, 특정영역의 투과율이 선택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미지가 상기 특정영역을 통해 시인 가능하게 하는 선택적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적디스플레이부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고, 상기 특정영역이 선택적으로 투과율이 제어되는 부분투명제어부 및 상기 부분투명제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부분투명제어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투명제어부는 부분투명PDLC 또는 부분투명PS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투명제어부는 부분투명PDLC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투명PDLC는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 및 상기 액정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부분투명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상호 교차되며 중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 ITO층 및 제2 ITO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ITO층과 상기 제2 ITO층 중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액정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기 액정의 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부분투명PDLC의 테두리 후방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가 회로구성되며, 인가되는 광원 구동전압에 의해 백라이트를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의 백라이트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량으로 발산하도록 분산시키는 광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회전릴표시장치와, 상기 회전릴표시장치의 전방에 구비되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패널와, 상기 표시패널와 상기 회전릴표시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과, 상기 액정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부분투명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상호 교차되며 중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2 ITO층와, 상기 액정의 테두리 후방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가 회로구성되며, 인가되는 광원 구동전압에 의해 백라이트를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의 백라이트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량으로 발산하도록 분산시키는 광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ITO층과 상기 제2 ITO층 중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액정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기 액정의 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도광판 및 제2광원 등의 후방 백라이트의 구성없이도 전체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조합된 영상이미지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불량율을 낮출 수 있으며, 생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부의 백라이트를 표시패널에 제공하기 위해 도광판이 이용되지 않고, 광원부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방식이 이용되기 때문에,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광원부로부터 발산하는 백라이트가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비춰지거나 전체 화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지닌다.
더불어, 전술한 본 발명의 효과는 비단 슬롯머신과 같은 게임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미지를 조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2D영상과 3D영상을 구현하는 기술 및 기타 디스플레이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미지의 조합에 의한 영상이미지 표시 기술 등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부분투명제어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미지가 화면 전체에 대하여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조합된 영상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부분투명제어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미지가 화면 전체에 대하여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의 조합된 영상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0) 및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가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의 일부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이미지가 동시에 시인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슬롯머신과 같은 게임장치로 이용되거나 기타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이미지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의 영상이미지가 조합되어 표시되는 게임장치, 3D 입체 영상표시장치, 전자 액자 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로 회전릴표시장치가 구비되고,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로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회전릴표시장치는 회전릴의 릴밴드에 인쇄된 심볼마크를 가변적으로 표시하며, 심볼마크의 조합에 따라 당첨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00)는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대체 가능하다. 예컨대, 통상 알려진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소정 영상이미지를 표시하는 사진이나 사물(예컨대, 쥬얼리 등과 같은)이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게임내용에 해당하는 영상이미지를 표시하고, 게임 내용에 해당하는 영상이미지가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투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0)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표시장치와 다름없으므로 백라이트를 포함한 내부의 자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슬롯머신 게임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의 복수 영역을 투시 가능하게 하고,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가 영상이미지를 상호 조합 표시하여 3D 입체영상을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슬롯머신에 장착되되,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는 액정표시장치이며, 디스플레이부(200)는 회전릴표시장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0)는 회전릴의 외주면에 릴밴드(202)가 부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밴드(202)에는 도시되지 않은 게임과 관련된 심볼마크가 도안된다. 회전릴(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심볼마크를 조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조명부(203)가 설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조명부(203)로 회전릴(201)을 조명하여 회전릴(201)의 심볼마크 영상이미지가 전방에서 시인 가능하게 하며, 회전릴(201)이 회전하다가 정지할 때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투시되는 심볼마크의 조합에 의해 게임의 당첨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는 표시패널(110), 부분투명제어부(120) 및 광원부(13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은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액정패널로 이루어진다. 표시패널(11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TFT기판(113)과 칼라필터(112)가 접합된 패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편광필름(111,114)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TFT기판(113)은 통상 알려진 액정패널과 마찬가지로, 화소 및 화소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게이트 메탈과 소스 메탈이 종횡으로 배선된 어레이기판이며, 칼라필터(112)는 글래스 기판 상에 R,G,B 패턴이 인쇄되거나, R, G, B 필름이 코팅된 기판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TFT기판(113)과 칼라필터(112)가 접합된 패널의 측부에는 드라이브IC가 실장되며, TFT기판(113)과 칼라필터(112) 사이에는 액정이 봉입된다. 편광필름(111,114)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패턴이 인쇄된 필름으로서, 액정의 움직임에 따라 빛의 편광방향이 전환되면, 빛의 투과 및 차단을 결정하여 칼라필터(112)를 통한 다양한 색상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필름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패널(110)은 보호 필름 또는 글래스 등 다른 구성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표시패널(110)은 AD보드(116)로부터 DVI, VGA 형식의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방을 향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부분투명제어부(120)는 표시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방에서 시인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고, 특정영역(A)이 선택적으로 투과율이 제어된다.
부분투명제어부(120)는 부분투명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또는 부분투명PSCT(Polymer Stabilized Cholesteric Textur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부분투명제어부(120)는 부분투명PDLC를 포함하고,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121) 및 액정(121)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부분투명 제어하고자 하는 액정(121)의 특정영역(A)에 상호 교차되며, 중첩되도록 장착되어 액정(121)의 특정영역(A)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ITO층(122) 및 제2ITO층(1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ITO층(122) 및 제2ITO층(123)이 액정(121)의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액정(121)은 편광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내에 액정을 포함시킨 패널로서, PDLC 구동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가 불규칙하게 배열되면서 불투명해져 광을 차단시키며, PDLC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이 가지런하게 정렬되면서 투명해져 투과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액정(121)은 양측면에 장착되는 투명한 상태의 ITO층(122,123)을 통해 PDLC 구동전압을 인가받으며, 전체 영역 중 ITO층(122,123)과 접촉되어 PDLC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영역에 한하여 동작하여 투명해지며 그 이외의 영역은 동작하지 않게 되어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액정(121)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방에서 디스플레이부(200)의 회전릴 영상이미지가 시인되는 영역 즉 특정영역(A)의 양면에서만 ITO층(122,123)이 각각 접촉된 상태로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투명해지거나 불투명해지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부분투명제어부(12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ITO층(122)은 특정영역(A)의 폭(W)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액정(121)의 전면에 장착된다. 또한, 제2ITO층(123)은 특정영역(A)의 길이(L)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액정(121)의 후면에 장착되며, 제1ITO층(122)과 제2ITO층(123)은 각각 단부에 형성된 ITO전극(122a,123a)을 통해 도 6과 같이 PDLC 드라이버(124)로부터 PDLC 구동전압을 인가받는다.
따라서, ITO전극(122a,123a)을 통해 PDLC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액정(121)의 전체 영역에서 액정(121)을 사이에 두고 제1ITO층(122)과 제2ITO층(123)이 상호 중첩되는 특정영역(A)만이 구동하게 되어 투명하게 제어되는 것이다.
광원부(130)는 부분투명제어부(120)의 테두리 후방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이미지가 전방에서 시인될 수 있도록 부분투명제어부(120)의 후면을 조명하는 구성요소로서, 부분투명제어부(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과 부분투명제어부(120)에 백라이트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원부(13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미도시)가 회로구성되며 인가되는 광원 구동전압에 의해 백라이트를 발광하는 광원(131)을 포함하며, 도 6과 같이 광원제어부(133)로부터 광원 구동전압을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광원(131)이 부분투명제어부(120)의 양 측부와 상측 및 하측 후방에 각각 4개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부분투명제어부(120)의 전체영역에 대하여 필요로 하는 광량으로 고르게 백라이트가 제공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2개 또는 3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각 측부별로 2열 또는 3열 등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광원(131)으로는 LED 소자 이외에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광원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이용될 수 있으나, 소비전력 및 광효율을 고려할 때 LED 소자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소자의 고유의 고휘도 직진성으로 인해 그대로 광원(131)으로 이용할 경우, LED 소자가 배치된 위치와 LED 소자간의 간격이 형성된 위치 간의 광량차이로 인해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의 전체 밝기가 불규칙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광원(131)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광원(131)의 백라이트가 균일한 광량으로 발산하도록 분산시키는 광분산부재(1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광분산부재(132)는 백라이트가 분산된 상태로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131)의 외부면 중 부분투명제어부(120)를 향해 백라이트가 출력되는 부분에만 광원(131)을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분산부재(132)의 후면에는 광원으로부터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시트가 장착될 수 있다.
광원부(130)는, 부분투명제어부(120)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광원(13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부분투명제어부(120)의 전체 영역에 조사되도록 부분투명제어부(120)로부터 일정 간격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투명제어부(120)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백라이트를 발산하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표시패널(110)의 전체 화면에 대하여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의 영상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이 AD보드(116)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구동하여 전방을 향해 표시패널(110)의 전면화면에 해당하는 영상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부분투명제어부(120)의 각 ITO층(122,123)에는 PDLC 구동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며, 광원부(130)에는 광원구동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부분투명제어부(120)의 액정(121)이 불투명해지고 광원(131)으로부터 백라이트가 부분투명제어부(120)의 후면에 조사되므로, 표시패널(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미지는 화면 전체에 대하여 전방에서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의 영상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200)의 회전릴 영상이미지가 조합되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이 AD보드(116)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구동하여 전방을 향해 표시패널(110)의 영상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부분투명제어부(120)의 각 ITO층(122,123)에 PDLC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광원부(130)에 광원구동전압을 인가한다. 광원부(130)에 광원구동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부분투명제어부(120)의 특정영역(A)이 투명해지면서 디스플레이부(200)의 회전릴(201)의 영상이미지가 특정영역(A)을 통해 전방에서 시인됨과 동시에, 액정(121)에서 특정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불투명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광원(131)의 백라이트를 받아 표시패널(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미지가 전방에서 시인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도광판 등의 후방 백라이트의 구성없이도 표시패널(110)의 전체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의 조합된 영상이미지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부(130)의 백라이트를 표시패널(110)에 제공하기 위해 도광판이 이용되지 않고 부분투명제어부(120)에 백라이트가 직접 조사되는 방식이 이용되기 때문에, 선택적디스플레이부(100)의 광원부(130)로부터 발산하는 백라이트가 디스플레이부(200)의 표면에 비춰지거나, 전체 화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선택적디스플레이부 110 : 표시패널
120 : 부분투명제어부 121 : 액정
122 : 제1ITO층 123 : 제2ITO층
130 : 광원부 131 : 광원
132 : 광분산부재 200 : 디스플레이부
201 : 회전릴 202 : 릴밴드
203 : 디스플레이 조명부

Claims (8)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며, 특정영역의 투과율이 선택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이미지가 상기 특정영역을 통해 시인 가능하게 하는 선택적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디스플레이부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고, 상기 특정영역이 선택적으로 투과율이 제어되는 부분투명제어부; 및
    상기 부분투명제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부분투명제어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투명제어부는 부분투명PDLC 또는 부분투명PS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투명제어부는 부분투명PDLC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투명PDLC는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 및
    상기 액정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부분투명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상호 교차되며 중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ITO층 및 제2ITO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ITO층과 상기 제2ITO층 중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액정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기 액정의 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부분투명PDLC의 테두리 후방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가 회로구성되며, 인가되는 광원 구동전압에 의해 백라이트를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의 백라이트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량으로 발산하도록 분산시키는 광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7. 회전릴표시장치;
    상기 회전릴표시장치의 전방에 구비되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와 상기 회전릴표시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
    상기 액정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부분투명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상호 교차되며 중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2ITO층;
    상기 액정의 테두리 후방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가 회로구성되며, 인가되는 광원 구동전압에 의해 백라이트를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원의 백라이트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량으로 발산하도록 분산시키는 광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ITO층과 상기 제2ITO층 중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액정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ITO층은, 상기 액정의 특정영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기 액정의 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20056765A 2011-09-21 2012-05-29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Active KR10135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65A KR101357185B1 (ko) 2011-09-21 2012-05-29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PCT/KR2012/009184 WO2013180349A1 (ko) 2012-05-29 2012-11-02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5100 2011-09-21
KR1020110095100 2011-09-21
KR1020120056765A KR101357185B1 (ko) 2011-09-21 2012-05-29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69A true KR20130031769A (ko) 2013-03-29
KR101357185B1 KR101357185B1 (ko) 2014-02-05

Family

ID=4967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765A Active KR101357185B1 (ko) 2011-09-21 2012-05-29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7185B1 (ko)
WO (1) WO20131803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108A1 (ko) * 2015-03-10 2016-09-15 크루셜텍 (주) 이미지 스캔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606353B2 (en) 2014-08-19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transparency glas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ariable transparency gla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566B1 (ko) * 2017-08-07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영상표시장치
WO2019051408A2 (en) * 2017-09-11 2019-03-14 Corning Incorporated BLANKED DISCRETE REGION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9976021B (zh) * 2019-04-29 2024-02-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964A (ja) * 2002-11-20 2004-06-17 Aruze Corp 遊技機
JP2004357730A (ja) * 2003-05-30 2004-12-24 Aruze Corp 遊技機
US20050073471A1 (en) * 2003-10-03 2005-04-07 Uni-Pixel Displays, Inc. Z-axis redundant display/multilayer display
JP2007117421A (ja) * 2005-10-28 2007-05-17 Aruze Corp 遊技機
KR101068154B1 (ko) * 2009-10-27 2011-09-27 (주)코텍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6353B2 (en) 2014-08-19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transparency glas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ariable transparency glass
WO2016144108A1 (ko) * 2015-03-10 2016-09-15 크루셜텍 (주) 이미지 스캔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349A1 (ko) 2013-12-05
KR101357185B1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2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291940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EP2296033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nd gam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KR10106815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357185B1 (ko) 부분투명 디스플레이장치
US20170363797A1 (en) Transparent display with improved contrast and transmission
KR201400675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467014B2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game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10884291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container
KR101165437B1 (ko) 디스플레이장치
AU2012299609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gaming machine including same
KR20110032340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10546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lural display panels and surface irregularities
JP2007127940A (ja) 液晶表示装置
AU2012337590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game console including same
US2009020144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033908A (ja) 液晶表示装置
KR2011007103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20840A (ko)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256840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45775A (ko) 도광판
JP2007328225A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