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0909A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909A
KR20130030909A KR1020110094496A KR20110094496A KR20130030909A KR 20130030909 A KR20130030909 A KR 20130030909A KR 1020110094496 A KR1020110094496 A KR 1020110094496A KR 20110094496 A KR20110094496 A KR 20110094496A KR 20130030909 A KR20130030909 A KR 20130030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user
main body
robot clean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영
이정현
황경은
장준호
김예빈
정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0909A/en
Publication of KR2013003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90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예약청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 및 이동제한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면서 포집된 먼지를 집진하는 청소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예약청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청소 예약시간 동안 청소작업이 수행되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능 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청소 예약시간의 시작과 종료 여부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리기 위한 통신제어부가 포함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부재시 수행되는 예약 청소의 실행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제품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reservation cleaning to a user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a travel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a sens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movement and restric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part,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cleaning driving unit for collecting dust collected while inhaling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air, an operation unit provided at the main body to enable reservation cleaning input, and a side of the main body to move data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a micro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omponents, the micro control unit, and a cleaning function control unit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during the cleaning reservation time input by the user, and input by the user Whether the scheduled cleaning time is started or terminated g Service: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informing the user's terminal using the SNS) is included.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he scheduled cleaning is performed in the abs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product satisfaction.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Robot cleaner }Robot cleaner {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정해진 주행알고리즘에 따라 청소구역을 이동하면서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the robot cleaner suck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while mov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while moving the cleaning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riving algorithm.

이를 위해 로봇 청소기에는 모터의 회전으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포집하는 청소기능부와, 자동주행을 위한 구동부, 주행 중 장애물과 클리프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각 기능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robot cleaner generates a suction force by rotating the motor, and a cleaning function uni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 driving unit for autonomous driving,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obstacles and cliffs while driving, and the respective functional unit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이용하여 로봇청소기의 제어부에서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청소작업을 수행하고, 청소작업 이후에는 소모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장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n,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cleaner us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to return to the charging device to charge the spent battery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또한, 로봇 청소기에는 청소예약 기능이 포함되어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예약된 시간에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cleaning reservation function so that cleaning can be performed at a scheduled time even when the user is absent.

하지만, 종래 기술의 로봇 청소기에서는 청소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가 부재중인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완료하고 충전장치로 복귀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청소수행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obot cleaner of the related art, 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cleaning reservation function, the user cannot check whether the robot cleaner is cleaned because the user completes the cleaning operation in the absence state and returns to the charg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중인 로봇 청소기가 실제로 청소작업을 수행한 이후 충전 중인지, 청소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충전 중인지 의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로봇 청소기의 청소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doubt whether the robot cleaner being charged is being charged after actually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or being charged without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thereby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robot cleaner.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청소기를 제어하고 청소기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has been disclosed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cleaner and monitoring the cleaning function using the Internet from a remote location.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50954에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청소 장치와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청소 장치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50954 discloses a technique for remotely controlling a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청소기(10)는 데이터 처리부(11)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leaner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data processor 11 and configured to receive data.

그리고, 카메라 등의 영상 획득 장치(12)에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여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예약 청소시간을 검사하거나, 주행수단(15)과 청소수단(14)를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2 such as a camera may capture image data and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terminal, and inspect the reservation cleaning time or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using the driving means 15 and the cleaning means 14. Can be.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청소기(10)에서는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청소기(10)로 예약정보 또는 제어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제어신호 처리부(21)와 영상 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2)가 포함된다.Meanwhile, in the cleaner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control signal processor 21 and image data for transmitting reservation information or a control command to the cleaner 10 using the terminal 20 to the user ( 22).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청소기(10)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청소기능을 구동하거나 청소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청소예약정보를 청소기(10)에 전송할 수 있다.Therefore, the cleaner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drive a cleaning function or monitor a cleaning state by using a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transmit cleaning reservation information to the cleaner 10.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인터넷을 이용 가능한 지역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연결되므로,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하지 못하는 사용자일 경우에는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a connection is made using a computer in an area where the Internet can be used, there is a limitation in use, and it is difficult to use when a user cannot use the computer.

본 발명의 목적은 예약 청소의 수행 시 청소의 시작과 청소의 종료 정보를 SNS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that can deliver the start and end of cleaning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SNS when performing the scheduled cleaning.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 및 이동제한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면서 포집된 먼지를 집진하는 청소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예약청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청소 예약시간 동안 청소작업이 수행되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능 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청소 예약시간의 시작과 종료 여부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리기 위한 통신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a travel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a sens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movement and restriction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part,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cleaning driving unit for collecting dust collected while inhaling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air, an operation unit provided at the main body to enable reservation cleaning input, and a side of the main body to move data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a micro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omponents, the micro control unit, and a cleaning function control unit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during the cleaning reservation time input by the user, and input by the user Whether the scheduled cleaning time is started or terminated 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terminal using the SNS.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부재시 수행되는 예약청소 정보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ervation cleaning information performed in the absence of the user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예약청소수행 정보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직접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servation clean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directly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access the Internet.

뿐만 아니라, 초기 설정 이후에는 예약청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설정입력이나 사용조작 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itial setting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etting input or use operation for receiving reservation cleaning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us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청소 장치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어구성을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요부구성인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의 기능부를 구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소셜네트워킹서비스로 연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 은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예약청소 알림 과정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예약청소 알림 메시지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functional part of the microcontrol unit that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robot cleaner and the user's terminal connected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showing a reservation cleaning notification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servation cleaning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y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어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0)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body 100, whic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can suck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air while being mov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500)와 모터의 회전력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구동부(800)가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500 for moving the main body 100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cleaning driving unit 800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주행부(500)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주행바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행바퀴는 아래에서 설명할 주행제어부(440 도 4 참조)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력이 조절되어 상기 본체(100)의 회전 및 전/후진을 가능하게 한다.And, although not shown, the traveling wheel 50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while supporting the main body 100 to rot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by the driving control unit (see FIG. 4 440) to be described below to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force to enable the rotation and forward / backward of the main body 100.

또한, 상기 청소구동부(800)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모터와, 상기 흡입모터에서 발생 된 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흡입유로 및 상기 흡입유로와 연결되어 포집된 먼지를 분리 저장하는 먼지통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leaning driving unit 80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he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he suction flow path for transmitt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suction motor and dust collected in connection with the suction flow path Dust bins are included to separate and store them.

상기 먼지통은 본체(100) 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비워줄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먼지통커버(120)에 의해 차폐된다.The dust container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can be selectively emptied by the user, and is shielded by the dust container cover 12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부재시 청소의 수행 시간과 종료시간 등을 예약 설정하여 청소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16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60 to allow the user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by setting the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cleaning in absence.

상기 조작부(160)는 사용자가 예약 설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60)의 일측에는 로봇 청소기(1)의 작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타트버튼(140)이 더 구비된다.The operation unit 160 may include a display and an operation button for allowing a user to check the reservation setting conten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160 may include a touch display. And, one side of the operation unit 16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art button 140 to allow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to be started.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의 작동을 위한 전원공급은 전원부(900)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 전원부(900)는 충전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충전가능한 배터리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주행부(500)와 청소구동부(800) 등으로 작동전원을 제공하게 된다.Power supply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900. The power supply unit 90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hargeable battery connected to a charging device (not shown) to provide operat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500, the cleaning driving unit 800, and the like.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주행부(500)의 이동 및 이동제한 정보는 물론, 전원공급을 위한 충전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30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300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moving unit and the movement restriction information,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device for power supply, and to move to the identified position. do.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300)에는 초음파센서, 포토센서, 적외선센서 중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는 장애물과 클리프 및 충전장치의 위치 등을 감지하여 상기 주행부(500)로 감지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로봇 청소기(1)가 이동 위치를 인식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detection unit 300 may include one or more detection sensors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a photo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and each sensor detects the position of an obstacle, a cliff, and a charging device, and the like. By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robot cleaner 1 is able to recognize the movement position and travel sta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에는 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태표시부(20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atus display unit 200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상태표시부(200)는 복수의 엘이디(220)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엘이디(220)의 점등 상태 및 점등 패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state display unit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22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lighting state and the lighting pattern of the LED 220. Will be.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네트워크망과 연결됨으로써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600)와 상기 통신부(60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와, 아래에서 설명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700)가 더 구비된다.Meanwhile, the main body 100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and is connected to a network network so that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nd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0, and a social network to be described below. A memory 700 that can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s further provided.

즉, 상기 통신부(600)는 CDMA, WCDMA, HSDPA, WIFI, Wibro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에 접속하게 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600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Internet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CDMA, WCDMA, HSDPA, WIFI, Wibro, etc.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ser to subscribe Access to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요부구성인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의 기능부를 구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parts of the microcontrol unit that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유닛(400)에는 기본적인 청소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주행제어부(440)와 청소기능제어부(430) 및 전원관리부(450)가 구비되고, 예약청소작업과 관련된 수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통신제어부(460) 및 상기 상태표시부(200)를 이용한 엘이디(220)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명제어부(470) 및 상기 각 기능부 들을 관리하기 위한 메인제어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icro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vel control unit 440, a cleaning function control unit 430 and a power management unit 450 to control the basic cleaning function, and the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and Managing the lighting control unit 470 and each of the functional units to enable the on / off control of the LED 220 using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460 and the status display unit 200 to provide the relevant performance information to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controller 410 for.

상세히, 상기 주행제어부(440)는 상기 메인제어부(410)에 내장된 프로그램 에 따라 다양한 주행모드를 로드하여 실행시키게 되며, 로드된 주행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부(300)의 감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주행부(500)를 제어하게 된다. In detail, the driving controller 440 loads and executes various driving modes according to a program embedded in the main controller 410, and reflects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loaded driving mode. The driving unit 500 is controlled.

또한, 상기 주행제어부(44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예약청소작업에 따라 주행부(500)의 작동 및 종료를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operation and termination of the driv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input by the user.

그리고, 상기 청소기능 제어부(430)는 흡입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주행제어부(440)와 마찬가지로 청소모드에 따라 흡입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leaning function control unit 43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similarly to the traveling control unit 4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cleaning mode.

상기 조명 제어부(470)는 상기 상태표시부(200)를 구성하는 엘이디(220)의 온/오프(On/Off) 제어를 위한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의 온/오프, 청소작업의 수행, 장애 또는 에러상황 발생 등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여 엘이디(220)를 온/오프(On/Off) 제어하게 된다.The lighting control unit 47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LED 220 constituting the state display unit 200, the on / off of the robot cleaner 1, performing a cleaning operation, In response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a failure or an error situation, the LED 220 is controlled on / off.

또한, 상기 통신제어부(46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60)를 이용하여 청소예약정보를 입력하고 외출했을 때, 상기 통신부(6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예약청소의 수행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enters the cleaning reserv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operation unit 160 and goes ou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460 uses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ubscribed to by the user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600. ) To inform the user of the performance of reservation cleaning.

상세히,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소셜네트워킹서비스로 연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예약청소 알림 과정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In detail, FIG. 5 is a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and a terminal of a user connected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showing a reservation cleaning notification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상기 통신부(600)를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7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가 연결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의 청소기 아이디(ID)와 비밀번호는 물론 예약청소 상황을 알리기 위한 사용자 아이디(ID)가 내장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0. In addition, the memory 700 includes a cleaner ID (ID) and a password of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o which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as well as a user ID (ID) for notifying a reservation cleaning situation. Is built.

즉,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상기 통신부(600)를 통해 무선으로 사용자가 가입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에 로봇 청소기(1)의 계정을 설정하고 사용자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예약청소 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up an account of the robot cleaner 1 in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o which the user is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0 and establishes a relationship with the user. By signing up, you will be informed of the reservation cleaning status.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를 소유한 사용자가 트위터(Twitter)에 계정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로 트위터(Twitter) 계정을 생성하게 된다.As an example, when a user who owns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ccount on Twitter, a Twitter account is created by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를 보유한 사용자는 트위터에 자신의 개인 계정과, 자신의 개인 계정으로 예약청소의 수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로봇 청소기(1)의 계정을 함께 보유하게 되며, 상기 로봇 청소기(1) 계정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의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서 생성될 수 있다.That is, a user having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his personal account on Twitter and an account of the robot cleaner 1 for provi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reservation cleaning to his personal account. The robot cleaner 1 account may be created while the user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puts user information.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의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1)의 제품 등록을 위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In detail, the user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a management server for product regist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nd inputs personal information.

여기서, 입력되는 개인정보에는 로봇 청소기(1)의 제품번호와 트위터 계정이 포함되며, 사용자가 트위터 계정을 입력하면, 상기 관리서버에서 트위터(Twitter)에 접속하여 청소기의 트위터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트위터 계정을 사용자가 팔로우 할 수 있도록 알려주게 된다.Here,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product number and the Twitter account of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user enters the Twitter account, the management server to connect to Twitter (Twitter) to create a Twitter account of the cleaner, and create You will be prompted to follow your Twitter account.

한편, 상기와 같이 관리서버를 통해 로봇 청소기(1)의 트위터 계정이 생성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로봇 청소기(1)의 트위터를 팔로우(Follow) 하게 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1)에서 예약청소 작업의 시작과 종료 메시지를 트윗(Tweet) 할 경우, 트윗(Tweet)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2)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ollows the Twitter of the robot cleaner 1 after the Twitter account of the robot cleaner 1 is create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cleaner 1 of the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When tweeting the start and end messages, the twee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2.

그리고, 상기 메모리(700)에는 상기와 같이 관리서버를 통해 생성되는 로봇 청소기(1)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계정과 사용자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및 로봇 청소기(1)의 예약청소 작업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달될 상황별 알림메시지가 저장된다.In addition, the memory 700 includes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ccount of the robot cleaner 1 generate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as described above, and a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of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nd the robot cleaner 1 of the user. Therefore, the contextual notification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user is stored.

상세히, 상기 메모리(700)에 저장되는 상황별 알림메시지에는 예약청소작업의 수행 시 전달되는 시작메시지와, 예약청소작업의 종료시 전달되는 종료메시지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situation-specific notification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700 includes a start message delivered when the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n end message delivered at the end of the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시작메시지에는 예약청소 작업의 시작 일시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청소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종료메시지에는 예약청소 작업의 종료 일시와 먼지통의 사용량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tart message may include a start date and time of the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and a cleaning mode input by the user, and the end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end date and time of the reservation cleaning operation and the dust container usage.

한편,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4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예약청소의 설정이 입력될 경우 먼저, 상기 통신부(600)를 통해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로그인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ting of the reservation cleaning is input by the user in the micro-control unit 400, first, by logging into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subscribed b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00 to maintain a standby state.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400)에서는 예약청소 입력이 완료될 경우 상기 메모리(700)에 내장된 청소기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자동 로그인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청소 시작시간에 도달하기까지 로봇 청소기(1)는 상기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며 대기하게 된다.To this end, the microcontrol unit 400 is programmed to automatically log in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o which a user subscribes using a cleaner account built in the memory 700 when a reservation cleaning input is completed. The robot cleaner 1 waits while maintaining a login state to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ntil the reservation cleaning start time set by the user is reached.

상기와 같이 로봇 청소기(1)가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설정된 예약청소 시작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무선네트워크통신을 통해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청소시작을 알리는 시작메시지가 입력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bot cleaner 1 reaches the set reservation cleaning start time while maintaining the login state, a start message is input to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o notify the cleaning start through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즉,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400)에서는 예약청소 시간이 도달하게 되면, 상기 메모리(700)에서 시작메시지를 로드하여 로봇 청소기(1)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계정에 시작메시지를 올리게 된다.That is, when the reservation cleaning time is reached in the microcontrol unit 400, the start message is loaded from the memory 700 and the start message is placed o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ccount of the robot cleaner 1.

한편, 상기와 같이 로봇 청소기(1)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계정에 시작메시지가 올려지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2)에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의해 시작메시지가 전달되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시작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예약청소가 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art message is posted o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ccount of the robot cleaner 1 as described above, the star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2 by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nd the user starts such a start. By checking the message, you can confirm that the reservation cleaning has started.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예약청소 알림 메시지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ervation cleaning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by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에서 예약청소시간에 도달하여 시작메시지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올리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1)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아이디(ID)와 함께 시작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2)에 도시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robot cleaner 1 reaches the reservation cleaning time and uploads a start message to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ID of the robot cleaner 1 is shown as shown. A start message is shown in the user terminal 2 together with.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시작메시지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올려진 시간이 별도로 기재되므로, 시작메시지의 시작일시와 시작메시지가 올려진 시간을 확인하여 예약된 시간에 로봇 청소기(1)의 예약청소가 시작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And, even if the start message as described above is not listed in real time, since the uploaded time is listed separately, the start date and start time of the start message is confirmed by checking the reservation time of the robot cleaner 1 at the scheduled time. You can check whether cleaning has started.

한편, 로봇 청소기(1)에서는 예약청소가 수행되어 설정된 시간까지 청소작업이 수행된 이후 청소작업을 종료하게 되면, 종료메시지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올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after the cleaning is performed until the set time by the scheduled cleaning, the end message is posted to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그리고, 상기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올려진 종료메시지는 상기 시작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2)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1)의 예약청소가 종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nd message uploaded to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s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2 similarly to the start message,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reservation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1 has ended.

또한, 상기 시작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종료메시지가 올려진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1)의 예약청소 수행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milar to the start message, even if the user does not check in real time, the end message can be confirmed, since the uploaded time can be easily checked by the user.

100..... 본체 200..... 상태표시부
300..... 감지부 400..... 마이크로컨트롤유닛
410..... 메인제어부 440..... 주행제어부
460..... 통신제어부 470..... 조명제어부
500..... 주행부 600..... 통신부
700..... 메모리 800..... 청소구동부
900..... 전원부
100 ..... Main unit 200 ..... Status display
300 ..... Detection part 400 ..... Microcontrol unit
410 ..... Main control unit 440 ..... Travel control unit
460 ..... Communication control part 470 ..... Lighting control part
500 ..... Travel 600 ..... Communication
700 ..... Memory 800 ..... Cleaning
900 ..... Power

Claims (6)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 및 이동제한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와 함께 이물을 흡입하면서 포집된 먼지를 집진하는 청소구동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예약청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청소 예약시간 동안 청소작업이 수행되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능 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청소 예약시간의 시작과 종료 여부를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리기 위한 통신제어부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The main body forming the appearance,
A travel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A sens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movement and movement restric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A cleaning driv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collect dust collected while inhaling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air;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enable reservation cleaning input;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enable data movement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Includes a micro-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omponents,
The micro control unit,
A cleaning functio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cleaning operation to be completed during the cleaning reservation time input by the user;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start and end of the cleaning reservation time input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using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종류와, 가입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사용자 아이디(ID) 및 사용자와 동일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생성한 청소기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구비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to which the user subscribes, the user ID of the subscrib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the cleaner ID generated by the same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the user. Robot cleaner provided with a memory for storing th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청소예약작업이 입력될 경우, 상기 메모리와 통신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접속하고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the microcontrol unit,
The robot cleaner is connected to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to which the user subscribes and maintains a login state when the cleaning reservation task is input by the u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예약된 청소작업이 수행될 경우, 사용자가 가입한 소설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예약된 청소작업의 시작메시지와, 예약된 청소작업의 종료메시지를 포함한 상황별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mory,
When a scheduled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a robot which stores a notification message for each situation including a start message of a scheduled cleaning operation and a termination message of a scheduled cleaning operation using a novel network service (SNS) subscribed to by the user vacuum clea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메시지에는,
청소작업의 시작일시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rt message,
Robot cleaner including the start date and time of clean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메시지에는,
청소작업의 종료일시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nd message,
Robot cleaner including the end date of the cleaning operation.
KR1020110094496A 2011-09-20 2011-09-20 Robot cleaner Ceased KR201300309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96A KR20130030909A (en) 2011-09-20 2011-09-20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96A KR20130030909A (en) 2011-09-20 2011-09-20 Robot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909A true KR20130030909A (en) 2013-03-28

Family

ID=4818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496A Ceased KR20130030909A (en) 2011-09-20 2011-09-20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090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550A (en) * 2013-08-23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CN112617669A (en) * 2019-09-23 2021-04-09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687092B2 (en) 2018-04-23 2023-06-27 Sharkninja Operating Llc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550A (en) * 2013-08-23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US11687092B2 (en) 2018-04-23 2023-06-27 Sharkninja Operating Llc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CN112617669A (en) * 2019-09-23 2021-04-09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510B1 (en) Robot cleaner
TWI654961B (en) Robotics device, terminal devic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robotics device, and program
CN212591911U (en) Autonomous Surface Cleaning Unit with Multiple Controllers
US20150212500A1 (en) Device for creation of layout information, system for operation of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s, and self-propelled electronic device
KR20160058594A (en) Robot clean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505127B2 (en) Self-propelled electronic device
KR101840150B1 (en) Autonomous traveling body
KR101412590B1 (en) Robot cleaner, an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me
JP2020036899A (en) Discharge interface of robot cleaner
JP7212447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EP2511782A2 (en) Robot cleaner,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JP6924624B2 (en) Vacuum cleaner wi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it
KR101341221B1 (en) Robot cleaner
CN112294203B (en) Robot cleaners and robotic systems
TW201345680A (en) Robot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JP6681260B2 (en) Self-propelled equipment for relay and communication relay system for self-propelled equipment
KR20130030909A (en) Robot cleaner
JP5989408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and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control system
JP6660093B2 (en) Vacuum clean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and vacuum cleaner system
KR101341296B1 (en) Robot cleaner
JP6619055B2 (en) Running body device
US20220338697A1 (en) Cleaner system
KR101250055B1 (en) Robot cleaner
KR101306402B1 (en) Robot cleaner
JP2016051340A (en) Autonomous traveling body and traveling bod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