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0111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111A
KR20130030111A KR1020110093657A KR20110093657A KR20130030111A KR 20130030111 A KR20130030111 A KR 20130030111A KR 1020110093657 A KR1020110093657 A KR 1020110093657A KR 20110093657 A KR20110093657 A KR 20110093657A KR 20130030111 A KR20130030111 A KR 2013003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sub
mai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1368B1 (en
Inventor
강명주
장경진
김진동
정문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368B1/en
Priority to JP2012179782A priority patent/JP2013053843A/en
Priority to US13/592,478 priority patent/US20130049562A1/en
Priority to CN2012103094143A priority patent/CN102967107A/en
Priority to EP12182186.2A priority patent/EP2565565A3/en
Publication of KR2013003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1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36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1Secondary wings, e.g. pas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의 후방에 제공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냉각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서브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서브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제 1 구속 수단과, 상기 메인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제 2 구속 수단 및 상기 제 1 구속 수단이 상기 제 2 구속 수단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chamber is provided inside; A door including a main door forming a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a sub door provided at a rear of the main door, the door being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oling chamb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sub-door, the latch assembly selectively restraining rotation of the door, the latch assembly comprising: first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rotation of the sub-door; Second constraining means for constraining and constraining means for causing the first constraining means to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nstraining means.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음식물이 상하지 않고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되도록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이다.The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for refrigeration or freezing so that food is kept fresh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damaged.

최근에는, 냉장고의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냉장고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기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냉장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refrigerator that can efficiently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efficiently utilizing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and minimizing the loss of cold air gener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frigerator door.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하나의 도어를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로 분할하여, 메인 도어의 배면에는 인출입 빈도가 높은 물품을 저장하고, 서브 도어에는 인출입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물품을 저장하도록 하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In response to this demand, a refrigerator is divided into a main door and a sub door, and a refrigerator for storing articles having a high withdrawal frequency on the back of the main door and a product having a relatively low withdrawal frequency on the sub door is provided. It is being released.

도 1은 현재 출시되고 있는 냉장고의 메인 도어만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모두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only a main door of a refrigerator currently being released,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both a main door and a sub door being open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1 and 2, a conventional refrigerator 1 including a main door and a sub door is rotatably coupled to a main body 2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latch assembly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losed state.

상세히,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2)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메인 도어(3)와, 상기 메인 도어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는 서브 도어(4)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힌지 어셈블리(5)에 의하여 상기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detail, the door includes a main door 3 forming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2 and a sub door 4 rotata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door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do. The door is pivotally coupled to the body 2 by a hinge assembly 5.

또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서브 도어(4)가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래치(6)와, 상기 메인 도어(3)가 상기 서브 도어(4)에 고정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 2 래치(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atch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latch 6 which allows the sub door 4 to be fixed inside the storage space, and the main door 3 is fixed to the sub door 4 to maintain a closed state. A second latch 7 is inclu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도어와 래치 어셈블리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Door and latch assembly structure of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메인 도어만 개방하는 동작과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동작을 구분하기 위하여 2개의 래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First, since two latches are required to distinguish the operation of opening only the main door and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together,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둘째, 메인 도어만 개방하는 동작과,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동작에 따라 래치의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2개의 래치 구동부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래치의 동시 동작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Second, since the operation of the latch must be independent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opening only the main door and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together, two latch driving parts are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reliability is secured for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latc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일 래치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래치의 동시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disadvantages, by using the single latch assembly to smoothly open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latch.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의 후방에 제공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냉각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서브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서브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제 1 구속 수단과, 상기 메인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제 2 구속 수단 및 상기 제 1 구속 수단이 상기 제 2 구속 수단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ooling chamber therein; A door including a main door forming a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a sub door provided at a rear of the main door, the door being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oling chamb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sub-door, the latch assembly selectively restraining rotation of the door, the latch assembly comprising: first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rotation of the sub-door; Second constraining means for constraining and constraining means for causing the first constraining means to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nstraining means.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단일의 래치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메인 도어만 개방하는 동작과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operation of opening only the main door and opening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together using a single latch assembly is smoothly performed,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또한, 단일의 래치 어셈블리에 의하여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래치 구동부만 필요하므로, 래치 장착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냉장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can be controlled by a single latch assembly, since only one latch driving unit is needed, the size of the latch mounting unit can be reduced and the refrigerator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메인 도어만 개방하는 경우와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경우에 따라 연동 부재가 각각의 걸이부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므로, 걸이부의 동시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locking member simultaneously controls the respective hooking parts according to the case where only the main door is opened and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are opened toge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hooking part can be secured.

도 1은 현재 출시되고 있는 냉장고의 메인 도어만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평면도.
도 2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모두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외부를 둘러싸는 케이스가 제거된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케이스가 제거된 래치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냉장고의 메인 도어만 회전할 때 래치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냉장고의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한 몸으로 회전할 때 래치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와 본체간 실링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수평 단면도.
1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a main door of a refrigerator currently being released is opened.
2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are open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tch assembly with the case surrounding the outside removed.
6 is a side view of the latch assembly with the case removed.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latch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completely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atch assembly when only the main door of the refrigerator rotates.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atch assembly when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of the refrigerator rotates in one body.
10 and 11 are plan views of latch assemblie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and a body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 공간 또는 냉각실(cooling compartment)(111)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에서 상기 냉각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2)와, 상기 서브 도어(122)의 일측, 예를 들어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121)와 서브 도어(122)의 개폐를 제어하는 래치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20)는 상기 서브 도어(122)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이나 저면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storage space or a cooling compartment 111 therein, and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 door assembly 12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ling chamber, and a latch assembly mounted on one side, for example, an upper surface of the sub door 122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door 121 and the sub door 122 ( 20). Here, the latch assembly 20 may be mount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oor 122 but also on the side or bottom surface.

상세히, 상기 도어(12)는, 상기 냉장고(1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메인 도어(121)와, 상기 냉각실(111)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메인 도어(121)와 한 몸으로 회동하는 서브 도어(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121)는 상기 서브 도어(122)로부터 독립적으로 또는 한 몸으로 회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122)는 상기 메인 도어(121)와 동축 회전하는 형태이다. In detail, the door 12 may include a main door 121 forming a front portion of the refrigerator 10 and a sub door accommodated in the cooling chamber 111 and pivoted with the main door 121 in one body. (122). In addition, the main door 121 may be rotated independently or in one body from the sub door 122. In addition, the sub door 122 is coaxially rotated with the main door 121.

또한,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상기 냉각실(111)에는 다수의 선반(112)과 드로어(11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122)에도 다수의 도어 바스켓(12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실(111)로 공급되는 냉기의 일부는 상기 서브 도어(122)로 공급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helves 112 and drawers 113 may be installed in the cooling chamber 111 provided in the main body 11. In addition, a plurality of door baskets 123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ub door 122. A portion of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111 is supplied to the sub door 122.

상기 서브 도어(122)에는 음식물 기타 냉각이 요구되는 물품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도어(121)의 배면에도 수납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 도어(121)의 배면에는 상대적으로 인출입 빈도가 높은 물품이 수납되고, 상기 서브 도어(122)의 배면에는 상대적으로 인출입 빈도가 낮은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빈도가 높은 물품을 인출입할 때에는 상기 메인 도어(121)만 개방하면 되므로, 냉기 손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sub-door 122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food and other items that require cooling, and a storage space is also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oor 121. An article having a relatively high withdrawal frequency may be stored in a rear surface of the main door 121, and an article having a relatively low withdrawal frequency may be accommodated in a rear surface of the sub door 122. Therefore, since the main door 121 only needs to be opened when the article having a high withdrawal frequency is withdrawn, cold air loss is reduced.

또한, 상기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메인 도어(121)의 배면 테두리가 상기 본체(11)의 전면 테두리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122)는 상기 냉각실(111)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21)와 상기 본체(11)가 접하는 부분에만 냉기 누설 방지를 위한 가스켓이 둘러지면 충분하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12 is closed, the rear edge of the main door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1. In addition, the sub door 122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cooling chamber 111. Therefore, it is sufficient that a gasket for preventing cold air leakage is surrounded only at a portion where the main door 121 and the main body 1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외부를 둘러싸는 케이스가 제거된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케이스가 제거된 래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latch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atch assembly from which a case surrounding the outside is removed,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latch assembly from which the case is removed. .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20)는, 내부 구성들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래치 케이스(21)와, 메인 도어 또는 서브 도어의 개방을 차단하거나 닫힘을 해제하기 위한 복수의 걸이부(22)와, 상기 걸이부(22)가 선택적으로 걸려서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복수의 스토퍼(23)와, 상기 복수의 스토퍼(23)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후커(24) 및 상기 복수의 스토퍼(23)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연결 기어(25)를 포함한다.4 to 6, the latch assembly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case 21 for enclosing and protecting the internal components, and block or release the opening of the main door or the sub-door. Rot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22, the plurality of stoppers 23 selectively restraining the opening of the door by selectively hooking the hook portions 22, and the stoppers 23. A hooker 24 and a plurality of stoppers 23 for selectively limiting the coupling gear 25 are included to rotate.

상세히, 상기 복수의 걸이부(22)는, 상기 냉장고(10)의 본체(11) 내부에 고정되는 제 1 걸이부(221)와 상기 메인 도어(121)의 배면에 돌출되는 제 2 걸이부(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토퍼(23)는, 상기 제 1 걸이부(221)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제 1 스토퍼(231)와, 상기 제 2 걸이부(222)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제 2 스토퍼(232)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plurality of hook parts 22 may include a first hook part 221 fixed inside the main body 11 of the refrigerator 10 and a second hook part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oor 121. 222). The plurality of stoppers 23 include a first stopper 231 selectively restraining the first hook part 221, and a second stopper 232 selectively restraining the second hook part 222. ).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스토퍼(231)와 제 2 스토퍼(232)의 측면부에는 상기 제 1 걸이부(221)와 제 2 걸이부(222)가 삽입되는 걸이홈(231a,232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토퍼(231)와 제 2 스토퍼(232)의 측면부에는 상기 연결 기어(25)의 기어이와 맞물리는 제 1 피니언(231b)과 제 2 피니언(232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토퍼(232)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후커(24)의 회전단이 걸리는 후킹홈(232c)이 형성된다. In more detail, hook grooves 231a and 232a into which the first hook part 221 and the second hook part 222 are inserted are formed at side surfaces of the first stopper 231 and the second stopper 232, respectively. . A first pinion 231b and a second pinion 232b meshing with the gears of the connection gear 25 are formed at side surfaces of the first stopper 231 and the second stopper 232, respectively. In addition, a hooking groove 232c is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second stopper 232 to which the rotary end of the hooker 24 is caugh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메인 도어(121)와 서브 도어(122)의 개방 형태에 따라 상기 제 2 걸이부(222)가 상기 제 2 스토퍼(232)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 스토퍼(2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퍼(231)도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20)의 작동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hook portion 222 rotates the second stopper 232 according to the open form of the main door 121 and the sub-door 122, the second stopper 232 The first stopper 231 is also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latch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한편, 상기 래치 케이스(21)에는 상기 제 1 걸이부(221)와 제 2 걸이부(222)가 삽입되는 제 1 걸이홈(211)과 제 2 걸이홈(212)이 각각 상호 반대편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12)의 개방 형태에 따라 상기 제 1 걸이부(221)와 제 2 걸이부(222)가 상기 걸이홈(211,212)에 각각 삽입되거나 상기 걸이홈(211,212)으로부터 분리된다. In the latch case 21, first hook grooves 211 and second hook grooves 212 into which the first hook portion 221 and the second hook portion 222 are inserted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 The first hook portion 221 and the second hook portion 222 may be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s 211 and 212 or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s 211 and 21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n shape of the door 1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atch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completely clo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걸이부(221)와 제 2 걸이부(222)가 상기 래치 케이스(21)의 제 1 걸이홈(211)과 제 2 걸이홈(212)에 각각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door 12 is completely closed, as illustrated, the first hook portion 221 and the second hook portion 222 may be the first hook grooves of the latch case 21. 211 and the second hook groove 212 are respectively maintained in a fully inserted state.

상세히, 상기 제 2 걸이부(222)가 상기 래치 케이스(21)의 제 2 걸이홈(2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스토퍼(232)는 도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걸이부(222)가 상기 래치 케이스(21)의 제 2 걸이홈(21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걸이부(222)는 상기 제 2 스토퍼(232)의 걸이홈(232a)에 걸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토퍼(2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 기어(25)는 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기어(2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퍼(22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 1 스토퍼(231)와 제 2 스토퍼(232)가 상기 연결 기어(25)에 의하여 기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In detail,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hook portion 222 into the second hook groove 212 of the latch case 21, the second stopper 23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In addition, when the second hook portion 22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econd hook groove 212 of the latch case 21, the second hook portion 222 is a hook groove of the second stopper 232. It becomes the state caught by 232a. In addition, as the second stopper 23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nection gear 25 rotates simultaneous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addition, as the connection gear 25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stopper 22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first stopper 231 and the second stopper 232 are gear-coupled by the connecting gear 25.

또한, 상기 제 1 스토퍼(2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 1 스토퍼(231)의 걸이홈(231a)의 개방단이 상기 제 1 걸이부(221)를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이부(221)는 상기 걸이홈(231a)에 완전히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후커(24)의 단부는 상기 제 2 스토퍼(232)의 후킹홈(232c)에 걸린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스토퍼(232)의 회전을 차단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stopper 23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open end of the hook groove 231a of the first stopper 231 faces the first hook part 221. The first hook portion 2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31a.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hooker 24 is caught in the hooking groove 232c of the second stopper 232, thereby blocking rotation of the second stopper 232.

한편, 상기 도어(12),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 도어(121)에는 상기 후커(24)의 회전을 제어하는 푸쉬 버튼(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121)의 전면에는 버튼부(31)가 노출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31)로부터 후방으로 누름단(32)이 연장되고, 상기 메인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후커(24)의 타단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단(32)은 상기 버튼부(31)의 배면으로부터 직접 연장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버튼부(31)와 상기 누름단(32)의 장착 위치가 다르게 설정되고, 기구적 또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31)가 눌러지면 상기 누름단(32)이 후퇴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래치 어셈블리(20)는 상기 도어(12)의 상단 부위에 장착되고, 누름단(32)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20)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31)는 상기 누름단(32)보다 낮은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도어(121)의 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별도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상기 버튼부(31)를 누르는 힘이 상기 누름단(32)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12, specifically, the main door 121 may be provided with a push button 3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hooker 24. In detail, the front part of the main door 121 is exposed to the button part 31, i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he user pressing by hand. Then, the pressing end 32 extends backward from the button part 31, and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hooker 24 while the main door 121 is closed. Here, the push end 32 need not extend directly from the back of the button portion 31. That i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utton portion 31 and the pressing end 32 is set differently, and the pressing end 32 is designed to retreat when the button portion 31 is pressed by a mechanical or electrical connection means. May be For example, the latch assembly 20 may be moun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12, and the pressing end 3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atch assembly 20. In addition, the button part 3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121 corresponding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pressing end 32. That is, a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part 31 may be transmitted to the pressing end 32 through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means.

도 8은 냉장고의 메인 도어만 회전할 때 래치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latch assembly when only the main door of the refrigerator rotates.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121)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푸쉬 버튼(30)을 누르면 상기 후커(24)가 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push button 30 is pressed to open the main door 121, the hooker 24 rotates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상세히, 후커(2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커(24)의 단부는 상기 제 2 스토퍼(232)로부터 분리되어 상호간의 연결 관계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121)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 2 걸이부(222)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스토퍼(23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후커(24)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푸쉬 버튼(30)의 누름단(32)이 상기 후커(24)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In detail, as the hooker 24 rotates, the end portions of the hooker 24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stopper 232 so tha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released. In this state, when the main door 121 is pulled out, the second hook part 222 is moved to rotate the second stopper 232 in a clockwise direction. Here, the hooker 24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a torsion spring,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ush end 32 of the push button 30 is separated from the hooker 24.

더욱 상세히, 상기 제 2 스토퍼(2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퍼(231)도 상기 연결 기어(25)에 의하여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스토퍼(231)의 걸이홈(231a)에 삽입된 상기 제 1 걸이부(221)가 상기 걸이홈(231a)에 걸린 상태로 변경된다. 상기 걸이부(221)가 상기 걸이홈(231)에 걸려서 구속되면, 상기 래치 어셈블리(20)가 장착된 상기 서브 도어(122)의 회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21)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서브 도어(122)는 상기 냉장고(10)의 냉각실(111)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 More specifically, as the second stopper 23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stopper 231 also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connecting gear 25 at the same time. Then, the first hook portion 221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31a of the first stopper 231 is changed to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hook groove 231a. When the hook part 221 is caught and restrained by the hook groove 231, the rotation of the sub door 122 on which the latch assembly 20 is mounted is blocked. Therefore, the sub-door 122 is maintained in the cooling chamber 111 of the refrigerator 10 while the main door 121 is rotated.

도 9는 냉장고의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한 몸으로 회전할 때 래치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latch assembly when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of the refrigerator rotate in one body.

상세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걸이부(221)는 상기 제 1 스토퍼(231)의 걸이홈(231a)에 삽입되기만 한 상태이다. 즉, 상기 제 1 걸이부(221)는 상기 걸이홈(231a)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푸쉬 버튼(30)을 누르지 않고 상기 메인 도어(121)와 서브 도어(122)를 함께 잡아당기면, 상기 제 1 걸이부(221)가 상기 제 1 스토퍼(231)로부터 분리된다. In detail, as shown in FIG. 7,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completely closed, the first hook part 221 is only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31a of the first stopper 231. That is, the first hook part 221 is detachable from the hook groove 231a. In this state, when the main door 121 and the sub door 122 are pulled together without pressing the push button 30, the first hook part 22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23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래치 어셈블리(20)의 구동 메카니즘에 의하면, 메인 도어(121)만 열릴 때는 상기 서브 도어(122)가 상기 제 1 걸이부(221)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메인 도어(121) 및 서브 도어(122)가 모두 열릴 때는 상기 서브 도어(122)가 상기 제 1 걸이부(221)로부터 자유로이 분리된다. 따라서, 단일의 래치 어셈블리에 의하여 두 가지 형태의 개방 메카니즘의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latch assembly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the main door 121 is opened, the rotation of the sub door 122 is limited by the first hook part 221. When both the main door 121 and the sub door 122 are opened, the sub door 122 is freely separated from the first hook part 221. Thus, there is a controlled effect of two types of opening mechanisms by a single latch assembly.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10 and 11 are plan views of latch assemblie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20)에 구비되는 연결 기어(25) 대신 커넥팅 로드(26)가 적용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10 and 11,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connecting rod 26 is applied instead of the connecting gear 25 provided in the latch assembly 20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상세히, 상기 커넥팅 로드(26)의 일단은 상기 제 1 스토퍼(2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스토퍼(232)에 연결된다. In detail,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6 is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23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232.

도 10은 메인 도어(121)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래치 어셈블리(20)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메인 도어(121)를 닫으면, 상기 제 2 스토퍼(2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토퍼(2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넥팅 로드(26)의 타단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커넥팅 로드(26)의 일단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퇴하게 된다. 즉, 상기 커넥팅 로드(26)의 후퇴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 1 스토퍼(23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걸이부(221)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킨다. 10 illustrates a state of the latch assembly 20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door 121 is opened. When the main door 121 is closed in this state, the second stopper 232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do. As the second stopper 232 rotate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6 is also retracted while rotating counterclockwise. At the same time,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6 is also retracted while rotating counterclockwise. That is, the first stopper 231 rotates to release the restrained state of the first hook part 221 by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connecting rod 26.

상세히, 상기 메인 도어(121)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제 1 스토퍼(231)와 제 2 스토퍼(2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122)를 잡아 당기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걸이부(221)가 상기 제 1 스토퍼(231)로부터 분리된다. In detail, when the main door 121 is completely closed, the first stopper 231 and the second stopper 232 are in a state as shown in FIG. 11. In this state, when the sub-door 122 is pulled out, the first hook part 22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231 as shown in FIG. 11.

위에서 제시된 연결 기어(25)나 커넥팅 로드(26) 외에도 상기 제 2 스토퍼(232)의 회전 운동이 상기 제 1 스토퍼(231)로 전달되어, 두 개의 스토퍼(231,232)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이 제안 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사상에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nnecting gear 25 or the connecting rod 26 shown abov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econd stopper 23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topper 231, so that the two stoppers 231 and 232 rotate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opose, and means for performing such a function are all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와 본체간 실링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수평 단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and a main body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의 경우, 도어(12)가 메인 도어(121)와 서브 도어(122)로 이루어지지만, 본체(11)와 도어(12) 간의 접촉 부위에 발생하는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40)는 메인 도어(121)와 본체(11) 간의 접촉 부위에만 형성되어도 충분하다.12 and 13,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12 includes the main door 121 and the sub door 122, but the main body 11 and the door ( 12) The sealing member 40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cold air generat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portions may be formed only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ain door 121 and the main body 11.

상세히, 서브 도어가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고, 메인 도어가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는 구조의 경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접촉되는 테두리 부위와, 본체와 서브 도어가 접촉되는 테두리 부위에 실링 부재가 각각 둘러져야 한다.In detail, when the sub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ub door, sealing is performed at the edge portion where the main door and the sub door contact each other, and the edge portion where the main body and the sub door contact each other. Each member should be surrounded.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서브 도어(122)는 상기 본체(11)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상기 서브 도어(122)의 전면 테두리부가 상기 본체(11)의 전면 테두리부에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21)와 본체(11) 간의 접촉 부위에만 실링 부재(40)가 둘러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냉장고의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contrary, the sub-door 12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front edge of the sub-door 122 does not contact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1. Therefore, it is sufficient that the sealing member 40 surrounds only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ain door 121 and the main body 11.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refrigerator are reduced.

Claims (8)

내부에 냉각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의 후방에 제공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냉각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서브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서브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제 1 구속 수단과,
상기 메인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제 2 구속 수단 및
상기 제 1 구속 수단이 상기 제 2 구속 수단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cooling chamber therein;
A door including a main door forming a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a sub door provided at a rear of the main door, the door being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oling chamber;
At least a portion mounted to one side of the sub-door, the latch assembly selectively restraining rotation of the door,
The latch assembly,
First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rotation of the sub-door;
Second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rotation of the main door;
And connecting means for causing the first restraining means to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restrain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속 수단은,
상기 냉각실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걸이부와,
일측에 상기 제 1 걸이부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이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제 1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straining means,
A first hook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cooling chamber,
A refrigerator including a first stopper formed at one side and accommodating the first hook part to selectively hook the first hook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속 수단은,
상기 메인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2 걸이부와,
일측에 상기 제 2 걸이부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걸이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restraining means,
A second hook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door;
And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hook part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second stopper selectively catches the second hook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에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said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gear for engaging said first and second stopper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에 제공되는 푸쉬 버튼과,
일단이 상기 제 2 스토퍼에 걸려서 상기 제 2 스토퍼의 회동을 구속하는 후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ush button provided on the main door,
And a hooker, one end of which hooks the second stopper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econd stopp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커는 상기 푸쉬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 2 스토퍼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ooker is rotated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second stopper is relea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메인 도어의 접촉 부위에 둘러지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aling member surrounded by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door.

KR1020110093657A 2011-08-31 2011-09-16 Refrigerator Active KR101861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657A KR101861368B1 (en) 2011-09-16 2011-09-16 Refrigerator
JP2012179782A JP2013053843A (en) 2011-08-31 2012-08-14 Refrigerator
US13/592,478 US20130049562A1 (en) 2011-08-31 2012-08-23 Refrigerator
CN2012103094143A CN102967107A (en) 2011-08-31 2012-08-28 Refrigerator
EP12182186.2A EP2565565A3 (en) 2011-08-31 2012-08-2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657A KR101861368B1 (en) 2011-09-16 2011-09-16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111A true KR20130030111A (en) 2013-03-26
KR101861368B1 KR101861368B1 (en) 2018-05-25

Family

ID=4817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657A Active KR101861368B1 (en) 2011-08-31 2011-09-1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36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738A (en) * 2013-06-14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40145718A (en) * 2013-06-14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50098915A (en)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refrigerator
EP3008409A4 (en) * 2013-06-14 2017-03-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006691B2 (en) 2016-06-08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90104107A (en) * 2019-08-21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6554A (en)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738A (en) * 2013-06-14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40145718A (en) * 2013-06-14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008409A4 (en) * 2013-06-14 2017-03-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841222B2 (en) 2013-06-14 2017-12-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50098915A (en)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refrigerator
US10006691B2 (en) 2016-06-08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90104107A (en) * 2019-08-21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368B1 (en)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360B2 (en) Refrigerator
KR102574740B1 (en)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U2014277716B2 (en) Refrigerator
EP2431688B1 (en) Refrigerator
KR20130030111A (en) Refrigerator
CN105051475B (en) Carriage and the refrigerator with the carriage
CN114370739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EP3207319B1 (en) Refrigerator
JP2013053843A (en) Refrigerator
KR20110064720A (en) Refrigerator
KR20090032731A (en) Variable shelf unit of refrigerator
EP3543632B1 (en) Refrigerator
KR20170087736A (en) Refrigerator
KR102179342B1 (en) Refirgerator
KR102227959B1 (en) Refirgerator
KR20170112654A (en) A refrigerator and drawer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2392210B1 (en) Refirgerator
KR20220162109A (en) Refrigerator
KR102488549B1 (en) Refirgerator
KR20190104108A (en) Refirgerator
JP2007170751A (en) Storage
KR102093448B1 (en) Refirgerator
KR102150097B1 (en) Refirgerator
CN214333150U (en) Storage device
KR101592310B1 (en) Actuator with a protecting cover for a refrigerator and the refrigerator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