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571A - Multi antenna - Google Patents
Multi antenn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5571A KR20130025571A KR1020110088958A KR20110088958A KR20130025571A KR 20130025571 A KR20130025571 A KR 20130025571A KR 1020110088958 A KR1020110088958 A KR 1020110088958A KR 20110088958 A KR20110088958 A KR 20110088958A KR 20130025571 A KR20130025571 A KR 201300255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op
- antenna
- substrate
- common radiator
- spaced a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01Q21/12—Parallel arrangements of substantially straight elongated conductive un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다중 안테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는,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루프, 기판의 상면에 제1 루프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루프, 기판의 상면에 제1 루프 및 제2 루프와 각각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제1 루프 및 제2 루프로부터 각각 커플링 급전되는 공통 방사체, 기판의 저면에 제1 루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기생 패치, 및 기판의 저면에 제1 기생 패치와 상호 이격하고, 제2 루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기생 패치를 포함한다.Multiple antennas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antenna includes a first loo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ubstrate, a second loo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op, and a first loop and a second loo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common radiator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upled and fed from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respectively, a first parasitic patch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op on the bottom of the substrate, and a first on the bottom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parasitic patch spaced apart from the parasitic patch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op.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tennas, and more particularly to multiple antennas.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데이터 통신, 인터넷, 인증, 결제, 근거리 무선 통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조되고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복수 개의 안테나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manufact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communication, Internet, authentication, paymen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so on. In order to perform smoothly, a technique of mounting and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 향상을 위해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안테나 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등 다중 안테나 기술이 주목 받고 있으며, 특히 4세대 이동 통신(LTE : Long Term Evolution)에서는 통신 속도의 향상 및 데이터의 용량 증대 등의 목적으로 MIMO 안테나 기술을 채택하였다. In other words, multi-antenna technologies such as MIMO (multi-input multi-output) antennas or diversity antennas are attracting attention to improve antenna performan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specially, in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LTE: Long Term Evolution), MIMO antenna technology is adopted to increase data capacity.
MIMO 안테나는 다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데,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트래픽를 분산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수신할 수 있게 된다. The MIMO antenna has a plurality of antennas, which can distribute data traffic by simultaneously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plurality of antennas, thereby allowing a large amount of data to be received quickly.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좁은 공간 내에서 MIMO 안테나를 구현하면,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안테나들 간에 상호 간섭(Mutual Coupling)이 발생하여 격리도(Isolation)가 저하되며, 그로 인해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특히, MIMO 안테나들이 동일한 편파를 갖는 경우, 각 안테나 간에 격리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바, 안테나들 상호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However, when the MIMO antenna is implemented in a narrow sp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spatial constraints, mutual coupling occurs between antennas, thereby reducing isolation, thereby degrading antenna performance. In particular, when the MIMO antennas have the same polarization, the isolation between each antenna needs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so a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s is required.
기존의 안테나들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1) 안테나들 상호 간의 거리를 늘리는 방안, 2) 안테나들 사이에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안, 3)안테나들 사이에 집중 정수 소자를 이용하여 디커플링 네트워크(De-coupling Network)를 형성하는 방안 등이 있으나, 기존의 방안들은 다중 안테나의 부피를 커지게 하고, 안테나들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안테나 이외의 별도의 장치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구현하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existing antennas, there are 1) a method of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antennas, 2) a barrier between antennas, and 3) a decoupling network using a lumped integer element between antennas. (De-coupling Network) can be formed, but the existing schemes are complicated to implem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device other than the antenna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of multiple antennas and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안테나를 소형화하여 무선 기기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각 안테나들 간의 격리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중 안테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le antenna that can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wireless device by miniaturizing the multiple antenna, and can maintain the isolation between the antennas to a certain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는,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루프;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제1 루프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루프;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와 각각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로부터 각각 커플링 급전되는 공통 방사체; 상기 기판의 저면에 상기 제1 루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기생 패치; 및 상기 기판의 저면에 상기 제1 기생 패치와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2 루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기생 패치를 포함한다.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op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loo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op; A common radiato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and coupled to and fed from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respectively; A first parasitic patch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op; And a second parasitic patch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asitic patch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op.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공통 방사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다중 안테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방사체가 제1 루프와 제2 루프로부터 커플링 급전을 받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중 안테나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광대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ple antennas can be miniaturized by allowing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share a common radiator. By forming the common radiator to receive the coupling feed from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multiple antennas and to improve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또한, 기판의 저면에 제1 루프 및 제2 루프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기생 패치 및 제2 기생 패치를 상호 이격하여 형성함으로써,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가 공통 방사체를 공유하고 동일한 편파 특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에 일정 수준의 격리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한 방향으로 모아주어 안테나의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parasitic patch and the second parasitic patch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so that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share a common radiator and have the sam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Despite having a level of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can be maintained, the beam pattern emitted from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can be collected in one direction to improve the directivity of the antenna.
또한, 다중 안테나의 하부에 형성된 메인 보드의 그라운드를 반사체로 사용하여 안테나의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때 루프 구조 및 커플링 급전 구조를 통해 다중 안테나와 메인 보드 간의 거리를 λ/16으로 줄임으로써, 다중 안테나를 무선 기기 내에 실장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rectivity of the antenna by using the ground of the main board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ulti-antenna as a reflector,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antenna and the main board to λ / 16 through the loop structure and coupling feeding structure In addition, multiple antennas can be mounted in a wireless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를 메인 보드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의 2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의 2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의 3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의 3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main board.
4 is a graph showing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of a firs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of a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illustrating isolation between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illustrating a 2D radiation beam pattern of a firs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illustrating a 2D radiation beam pattern of a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a 3D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a 3D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중 안테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multipl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저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안테나(100)는 기판(102), 제1 루프(104), 제2 루프(106), 공통 방사체(108), 제1 기생 패치(110), 및 제2 기생 패치(112)를 포함한다.1 and 2, the
기판(102)은 예를 들어, 일정한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판(102)은 일정한 두께의 판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102)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102)은 일정한 유전율 및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제1 루프(104)는 기판(10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루프(104)는 양단이 개방(Open)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루프(104)의 일단은 제1 급전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제1 루프(104)의 타단은 제1 접지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루프(104)의 일단은 제1 동축 케이블(미도시)의 급전 선로와 연결되고, 제1 루프(104)의 타단은 제1 동축 케이블(미도시)의 접지 선로와 연결될 수 있다.The
제2 루프(106)는 기판(102)의 상면에 제1 루프(104)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루프(106)는 제1 루프(104)와 상하 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루프(106)의 일단은 제2 급전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제2 루프(106)의 타단은 제2 접지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 루프(106)의 일단은 제2 동축 케이블(미도시)의 급전 선로와 연결되고, 제2 루프(106)의 타단은 제2 동축 케이블(미도시)의 접지 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루프(104)와 제2 루프(106)가 기판(102)의 상면에서 상하 대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루프(104)와 제2 루프(106)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삼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공통 방사체(108)는 제1 루프(104) 및 제2 루프(106)의 외측에서 제1 루프(104) 및 제2 루프(106)를 감싸며 기판(102)의 상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다. 이때, 공통 방사체(108)는 기판(102)의 상면에서 제1 루프(104) 및 제2 루프(106)와 각각 상호 이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공통 방사체(108)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공통 방사체(108)와 제1 루프(104) 및 공통 방사체(108)와 제2 루프(106) 간에는 전기적 커플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공통 방사체(108)는 제1 루프(104) 및 제2 루프(106)를 통해 커플링 급전을 받게 된다.Here, electrical coupling occurs between the
구체적으로, 제1 루프(104)의 일단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 루프(104)와 공통 방사체(108) 간에 전기적 커플링이 발생하여 공통 방사체(108)에 커플링 급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1 루프(104)와 공통 방사체(108)에서 방사가 이루어지며, 제1 루프(104)와 공통 방사체(108)가 제1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one end of the
또한, 제2 루프(106)의 일단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2 루프(106)와 공통 방사체(108) 간에 전기적 커플링이 발생하여 공통 방사체(108)에 커플링 급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2 루프(106)와 공통 방사체(108)에서 방사가 이루어지며, 제2 루프(106)와 공통 방사체(108)가 제2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one end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통 방사체(108)가 제1 루프(104) 및 제2 루프(106)를 통해 커플링 급전을 받도록 함으로써, 다중 안테나(100)를 소형화 할 수 있고,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광대역화 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antenna 100 can be miniaturized by allowing the
이때,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공통 방사체(108)를 공유하게 되고, 동일한 편파 특성을 갖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100)는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에 일정 수준의 격리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operate at the same time, in which cas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share the
제1 루프(104) 및 제2 루프(106)를 상하 대칭하여 형성하고, 공통 방사체(108)를 상하 대칭하여 형성하는 경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며, 다중 안테나(100)는 MIMO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When the
한편, 공통 방사체(108)는 기판(102)의 일측 상의 제1 루프(104)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방부(121) 및 기판(102)의 타측 상의 제2 루프(106)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개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공통 방사체(108)에 제1 개방부(121) 및 제2 개방부(123)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방사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개방부(121) 및 제2 개방부(123)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중 안테나(100)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또한, 공통 방사체(108)는 제1 루프(104)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제1 매칭부(122) 및 제2 루프(106)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제2 매칭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매칭부(122) 및 제2 매칭부(124)는 다중 안테나(100)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형성된다. 즉, 제1 매칭부(122) 및 제2 매칭부(124)의 폭 및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중 안테나(100)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공통 방사체(108)에는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제1 슬릿(125) 및 제2 슬릿(1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릿(125)은 제1 루프(104)의 일측면에서 제1 루프(104)와 상호 이격하여 기판(102)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고, 제1 슬릿(125)의 종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릿(127)은 제2 루프(106)의 일측면에서 제2 루프(106)와 상호 이격하여 기판(102)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고, 제2 슬릿(127)의 종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25)과 제2 슬릿(127)은 기판(102) 상에서 상하 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슬릿(125)과 제2 슬릿(127)의 길이 및 폭을 조절함으로써,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각각 조정(튜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제1 기생 패치(110)는 기판(102)의 저면에 제1 루프(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기생 패치(112)는 기판(102)의 저면에 제2 루프(10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기생 패치(110)와 제2 기생 패치(112)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하여 형성된다.The fir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102)의 저면에 제1 기생 패치(110)와 제2 기생 패치(112)를 형성함으로써,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기생 패치(110)와 제2 기생 패치(112)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그리고, 기판(102)의 저면에 제1 기생 패치(110)와 제2 기생 패치(112)를 형성함으로써,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기판(102)과 수직한 방향으로 모아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한편, 제1 기생 패치(110)와 제2 기생 패치(112)는 각각 기판(102)의 상면에 형성된 공통 방사체(108)와 전기적 커플링을 발생시킨다. 이때, 제1 기생 패치(110)와 제2 기생 패치(112) 간의 상호 이격된 간격을 통해 제1 기생 패치(110) 및 제2 기생 패치(112)와 공통 방사체(108) 간에 발생되는 전기적 커플링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기생 패치(110) 및 제2 기생 패치(112)와 공통 방사체(108) 간에 발생되는 전기적 커플링양을 조절함으로써,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임피던스,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 및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빔폭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firs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를 메인 보드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ple antenna is mounted on a mai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안테나(100)는 메인 보드(1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메인 보드(150)에는 그라운드가 형성되는데, 이때 메인 보드(150)는 다중 안테나(100)의 반사체(Reflector)로 동작하게 된다. 즉, 메인 보드(150)의 그라운드는 다중 안테나(100)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다중 안테나(100)의 상부 방향으로 다시 반사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다중 안테나(100)의 지향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multi-antenna 100 may be formed on the
일반적으로 반사체는 안테나와 λ/4(λ는 해당 안테나의 사용 주파수에 따른 파장)의 이격 거리를 두고 형성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100)는 루프 급전 및 커플링 급전을 사용하여 다중 안테나(100)에서 공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중 안테나(100)와 반사체 즉, 메인 보드(150) 간의 이격 거리를 λ/4보다 짧은 λ/16로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다중 안테나(100)의 공진 주파수가 800 MHz 인 경우, 다중 안테나(100)와 메인 보드(150) 간의 이격 거리(λ/16)는 23mm가 되게 된다. In general, the reflector is formed a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and λ / 4 (λ is a wavelength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ntenna), but the multi-antenn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loop feeding and coupling feeding. Since the resonance can be easily formed in the multi-antenna 100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ulti-antenna 100 and the reflector, that is, the
이 경우, 반사체를 사용하여 다중 안테나(100)의 지향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메인 보드(150)와의 이격 거리를 기존의 안테나에 비해 1/4 수준으로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다중 안테나(100)를 무선 기기 내에 장착하는 내장형 안테나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LTE BAND 5 대역(824 ~ 894 MHz)으로 하였다.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of a firs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of a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 shown. Here,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s
도 4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는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에서 VSWR이 각각 2.0564, 1.2591, 1.8644, 1.9128인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tennas have VSWRs of 2.0564, 1.2591, 1.8644, and 1.9128 at 824 MHz, 849 MHz, 869 MHz, and 894 MHz,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제2 안테나는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에서 VSWR이 각각 1.9822, 1.4482, 1.4861, 2.1547인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VSWRs are 1.9822, 1.4482, 1.4861, and 2.1547 at 824 MHz, 849 MHz, 869 MHz, and 894 MHz,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LTE BAND 5 대역(824 ~ 894 MHz)의 대부분의 주파수 대역에서 VSWR이 2 이하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써,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잘 형성됨을 알 수 있고, 다중 안테나(100)를 통해 LTE BAND 5 대역에서 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have VSWR of 2 or less in most frequency bands of the
이는 공통 방사체(108)가 제1 루프(104) 및 제2 루프(106)를 통해 커플링 급전을 받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광대역 특성을 향상시킨 결과이다.
This is a result of improving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by form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LTE BAND 5 대역(824 ~ 894 MHz)인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주파수(M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dB)를 나타낸다.6 is a graph illustrating isolation between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resonant frequencies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는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에서 각각 -7.6177 dB, -7.3562dB, -9.5850dB, -12.477dB 인 것을 볼 수 있다. 즉, LTE BAND 5 대역(824 ~ 894 MHz)의 전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가 -7 dB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is -7.6177 dB, -7.3562 dB, -9.5850 dB, and -12.477 dB at 824 MHz, 849 MHz, 869 MHz, and 894 MHz, respectively.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isolation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s less than -7 dB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of the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공통 방사체(108)를 공유하고, 동일한 편파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에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LTE BAND 5 대역(824 ~ 894 MHz)의 주파수 전 영역에서 격리도가 -7 dB 이하로 일정 수준의 격리도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share the
이는 기판(102)의 저면에 제1 루프(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기생 패치(110)를 형성하고, 제1 기생 패치(110)와 상호 이격하여 제2 루프(106)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기생 패치(112)를 형성함으로써,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킨 결과이다.
The firs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의 2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의 2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2D 방사빔 패턴을 도시한 것은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빔폭(Beam Width)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7 is a graph showing a 2D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graph showing a 2D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2D radiation beam patterns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illustrated to check beam widths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도 7을 참조하면, 제1 안테나는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에서 빔폭(Beam Width)이 70.84°, 72.34°, 76.35°, 77.57° 인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tenna has beam widths of 70.84 °, 72.34 °, 76.35 °, and 77.57 ° at 824 MHz, 849 MHz, 869 MHz, and 894 MHz.
도 8을 참조하면, 제2 안테나는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에서 빔폭(Beam Width)이 66.27°, 73.46°, 76.04°, 75.92°인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antenna has beam widths of 66.27 °, 73.46 °, 76.04 °, and 75.92 ° at 824 MHz, 849 MHz, 869 MHz, and 894 MHz.
이와 같이,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LTE BAND 5 대역(824 ~ 894 MHz)의 대부분의 주파수 대역에서 빔폭이 70°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넓은 빔 폭을 갖는 지향성 안테나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uch,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can confirm that the beam width is 70 ° or more in most frequency bands of the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보드(150)의 그라운드(160)를 다중 안테나(100)의 반사체로 사용하여 다중 안테나(100)의 지향성을 향상시킨 결과이다. 또한, 기판(102)의 저면에 제1 루프(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기생 패치(110)를 형성하고, 제1 기생 패치(110)와 상호 이격하여 제2 루프(106)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기생 패치(112)를 형성함으로써,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을 한 방향 즉, 다중 안테나(100)의 상부 방향으로 모아준 결과이다.
This is a result of improving the directivity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의 3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의 3D 방사빔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a 3D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graph showing a 3D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는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에서 안테나 이득이 각각 3.044 dBi, 4.442 dBi, 5.040 dBi, 4.678 dBi 인 것을 볼 수 있고, 안테나 효율이 27.51 %, 37.18 %, 41.61 %, 38.96 % 인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first antenna can be seen that the antenna gain is 3.044 dBi, 4.442 dBi, 5.040 dBi, 4.678 dBi at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 respectively, the antenna efficiency is 27.51%, 37.18 %, 41.61%, 38.96%.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안테나는 824 MHz, 849 MHz, 869 MHz, 894 MHz에서 안테나 이득이 각각 3.228 dBi, 4.215 dBi, 4.353 dBi, 3.697 dBi 인 것을 볼 수 있고, 안테나 효율이 29.49 %, 35.73 %, 36.91 %, 32.04 % 인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antenna has antenna gains of 3.228 dBi, 4.215 dBi, 4.353 dBi, and 3.697 dBi at 824 MHz, 849 MHz, 869 MHz, and 894 MHz, respectively, and antenna efficiency is 29.49% and 35.73. %, 36.91%, 32.04%.
이와 같이,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LTE BAND 5 대역(824 ~ 894 MHz)의 전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이득이 3 dBi 이상이고, 안테나 효율이 27 %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다중 안테나(100)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have an antenna gain of 3 dBi or more and an antenna efficiency of 27% or more in all frequency bands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11 is a plan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다중 안테나(100)는 한 쌍의 제1 슬릿(125-1, 125-2) 및 한 쌍의 제2 슬릿(127-1, 127-2)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다중 안테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한 쌍의 제1 슬릿(125-1, 125-2) 및 한 쌍의 제2 슬릿(127-1, 127-2)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multi-antenna 100 includes the pair of first slits 125-1 and 125-2 and the pair of second slits 127-1 and 127-2 except for the pair of first slits 125-1 and 125-2. Since i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ultiple antenna shown in FIG. 2, only a pair of first slits 125-1 and 125-2 and a pair of second slits 127-1 and 127-2 will be described here. The description of other components will be omitted.
한 쌍의 제1 슬릿(125-1, 125-2)은 제1 루프(104)의 양 측면에서 각각 제1 루프(104)와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2 슬릿(127-1, 127-2)은 제2 루프(106)의 양 측면에서 각각 제2 루프(106)와 이격하여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슬릿(125-1, 125-2)의 전체 길이 및 폭은 도 1에 도시된 제1 슬릿(125)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슬릿(127-1, 127-2)의 전체 길이 및 폭은 도 1에 도시된 제2 슬릿(127)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slits 125-1 and 125-2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이와 같이, 도 1의 제1 슬릿(125)을 제1 루프(104)의 양 측면에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고, 도 1의 제2 슬릿(127)을 제2 루프(106)의 양 측면에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함으로써, 다중 안테나(100)의 가로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다중 안테나(100)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의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of 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다중 안테나(100)는 공통 방사체(108)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다중 안테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공통 방사체(108)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multi-antenna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ulti-antenna shown in FIGS. 1 and 2 except that the
공통 방사체(108)는 제1 루프(104)와 상호 이격하여 제1 루프(104)를 감싸며 형성되는 제1 공통 방사체(108-1) 및 제2 루프(106)와 상호 이격하여 제2 루프(106)를 감싸며 형성되는 제2 공통 방사체(108-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공통 방사체(108-1)와 제2 공통 방사체(108-2)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통 방사체(108)는 제1 공통 방사체(108-1)와 제2 공통 방사체(108-2)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공통 방사체(108)가 기판(102)의 상면에서 상하로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통 방사체(108)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 또는 두 부분 이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2 : 기판 104 : 제1 루프
106 : 제2 루프 108 : 공통 방사체
108-1 : 제1 공통 방사체 108-2 : 제2 공통 방사체
110 : 제1 기생 패치 112 : 제2 기생 패치
121 : 제1 개방부 122 : 제1 매칭부
123 : 제2 개방부 124 : 제2 매칭부
125 : 제1 슬릿 127 : 제2 슬릿
125-1, 125-2 : 한 쌍의 제1 슬릿 127-1, 127-2 : 한 쌍의 제2 슬릿
150 : 메인 보드 160 : 그라운드102
106: second loop 108: common radiator
108-1: 1st common radiator 108-2: 2nd common radiator
110: first parasitic patch 112: second parasitic patch
121: first opening part 122: first matching part
123: second opening portion 124: second matching portion
125: first slit 127: second slit
125-1, 125-2: pair of first slits 127-1, 127-2: pair of second slits
150: main board 160: ground
Claims (8)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제1 루프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루프;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와 각각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로부터 각각 커플링 급전되는 공통 방사체;
상기 기판의 저면에 상기 제1 루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기생 패치; 및
상기 기판의 저면에 상기 제1 기생 패치와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2 루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기생 패치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A first loo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loop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op;
A common radiato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and coupled to and fed from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respectively;
A first parasitic patch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op; And
And a second parasitic patch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asitic patch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op.
제1 루프 및 제2 루프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상하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다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oop and the second loop are
Multiple antenna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공통 방사체는,
상기 기판의 일측 상의 상기 제1 루프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방부; 및
상기 기판의 타측 상의 상기 제2 루프의 개방된 부분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개방부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on radiator is
A first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open portion of the first loop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nd a second opening formed in a position facing the open portion of the second loop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상기 공통 방사체는,
상기 제1 루프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매칭부; 및
상기 제2 루프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제2 매칭부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on radiator is
A first matching part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an open portion of the first loop; And
And a second matching portion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pen portion of the second loop.
상기 공통 방사체는,
상기 제1 루프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루프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슬릿; 및
상기 제2 루프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2 루프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on radiator is
A first sli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loop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op; And
And a second slit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op on one side of the second loop.
상기 공통 방사체는,
상기 제1 루프의 양 측면에서 상기 제1 루프와 각각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슬릿; 및
상기 제2 루프의 양 측면에서 상기 제2 루프와 각각 이격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슬릿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on radiator is
A pair of first slit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op on both sides of the first loop; And
And a pair of second slit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op on both sides of the second loop.
상기 공통 방사체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다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on radiator is
Multiple antennas are formed in at least two par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다중 안테나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 상에서 상기 다중 안테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장치.A multiple antenn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main board formed under the multi-antenna and having a ground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ultiple antennas on the main bo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8958A KR101252244B1 (en) | 2011-09-02 | 2011-09-02 | Multi antenn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8958A KR101252244B1 (en) | 2011-09-02 | 2011-09-02 | Multi antenn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5571A true KR20130025571A (en) | 2013-03-12 |
KR101252244B1 KR101252244B1 (en) | 2013-04-09 |
Family
ID=4817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89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2244B1 (en) | 2011-09-02 | 2011-09-02 | Multi antenn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224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109299A1 (en) | 2013-03-11 | 2014-09-11 | Hyundai Motor Company | Vehicle with variable oil pump |
KR101517475B1 (en) * | 2014-03-18 | 2015-05-04 | (주)하이게인안테나 | multi band multi polarization patch antenna |
WO2016064080A1 (en) * | 2014-10-23 | 2016-04-28 | 주식회사 감마누 | Multiband two-port antenna |
WO2023200121A1 (en) * | 2022-04-14 | 2023-10-19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Mimo antenna with improved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8543B1 (en) * | 2017-04-05 | 2019-01-1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ultiport mimo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9904628B (en) * | 2019-04-17 | 2021-04-02 | 华东交通大学 | Intelligent terminal antenna arra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54435B2 (en) * | 2002-04-26 | 2007-08-08 |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 2-element and multi-element array type slot antenna |
JP4153886B2 (en) * | 2004-03-18 | 2008-09-2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Antenna device |
KR20090083976A (en) * | 2008-01-31 | 2009-08-05 | (주)에이스안테나 | Directional Microstrip Slot Antenna |
KR100949649B1 (en) * | 2008-05-19 | 2010-03-2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Ultra-wideband monopole antenna with parasitic patch of inverted T shape |
-
2011
- 2011-09-02 KR KR1020110088958A patent/KR1012522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109299A1 (en) | 2013-03-11 | 2014-09-11 | Hyundai Motor Company | Vehicle with variable oil pump |
KR101517475B1 (en) * | 2014-03-18 | 2015-05-04 | (주)하이게인안테나 | multi band multi polarization patch antenna |
WO2016064080A1 (en) * | 2014-10-23 | 2016-04-28 | 주식회사 감마누 | Multiband two-port antenna |
WO2023200121A1 (en) * | 2022-04-14 | 2023-10-19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Mimo antenna with improved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2244B1 (en) | 2013-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768894B (en) |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 with cross dipole radiating elements | |
US11777229B2 (en) | Antennas including multi-resonance cross-dipole radiating elements and related radiating elements | |
CN113748572B (en) | Radiating element with angled feed stalk and base station antenna including the same | |
US7864117B2 (en) | Wideband or multiband various polarized antenna | |
US20230114554A1 (en) | Ultra-wide bandwidth low-band radiating elements | |
US8854270B2 (en) | Hybrid multi-antenna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8878737B2 (en) | Single feed planar dual-polarization multi-loop element antenna | |
US10044111B2 (en) | Wideband dual-polarized patch antenna | |
US8633856B2 (en) | Compact single feed dual-polarized dual-frequency band microstrip antenna array | |
US7830327B2 (en) | Low cost antenna desig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 |
US5594455A (en) | Bidirectional printed antenna | |
US10186778B2 (en) | Wideband dual-polarized patch antenna array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 |
US10103440B2 (en) | Stripline coupled antenna with periodic slots for wireless electronic devices | |
KR101750336B1 (en) | Multi Band Base station antenna | |
US20140062822A1 (en) | Dual frequency coupling feed antenna and adjustable wave beam module using the antenna | |
TWI628861B (en) | Complex antenna | |
KR20130090770A (en) | Directive antenna with isolation feature | |
KR20160004720A (en) | Apparatus for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11735819B2 (en) | Compact patch and dipole interleaved array antenna | |
KR101252244B1 (en) | Multi antenna | |
US20030103015A1 (en) | Skeleton slot radiation element and multi-band patch antenna using the same | |
US20170170555A1 (en) | Decouple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Hwang et al. | Cavity-backed stacked patch array antenna with dual polarization for mmWave 5G base stations | |
JP3273402B2 (en) | Printed antenna | |
US11239544B2 (en) | Base station antenna and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