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24655A -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655A
KR20130024655A KR1020110088220A KR20110088220A KR20130024655A KR 20130024655 A KR20130024655 A KR 20130024655A KR 1020110088220 A KR1020110088220 A KR 1020110088220A KR 20110088220 A KR20110088220 A KR 20110088220A KR 20130024655 A KR20130024655 A KR 20130024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sea
anchor block
main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364B1 (ko
Inventor
이준원
이두원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3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3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천이나 바다에 부유(浮游)하는 복수 개의 부유체, 이 부유체 각각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이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에 구비되는 메인앵커블록을 포함하고, 메인앵커블록을,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본체, 이 본체와 부유체에 구비되어 오탁방지막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부재, 및 이 본체에 상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해저면의 해조류들이 자라나도록 허용하는 메인성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을 공사 완료 후 수거하지 않고 인공 어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형상 변경함으로써 수거에 따른 폐기물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수거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INTERCEPTION DEVICE WITH ARTIFICIAL SEAWEED REEF}
본 발명은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을 공사 완료 후 수거하지 않고 인공 어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형상 변경함으로써 수거에 따른 폐기물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수거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해안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및 항만공사를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므로 공사 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줌은 물론이고 주변 어장 및 수자원을 황폐화시킴으로써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이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구역내에 격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변에 오탁방지막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오탁방지막은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하는 막과, 이 막의 상단에 부유체를 부착하여 구성되며, 그 하단은 앵커블록에 의해 해저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오탁방지막은 공사 현장의 자연환경 조건에 따라 높이, 길이 등의 규격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이고 방지막을 구성하는 재질을 선택 사용하여야 한다.
즉, 조류의 흐름이 빠르지 않고 방향이 일정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공사 현장에서는 오탁방지막에 부유체만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파도가 심하고 조류의 속도가 빠르며 조류의 방향이 수시로 변하고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공사현장에서는 외부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앵커블록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오탁방지막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0188519호(1999.01.12)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블록은 공사 완료 후 제거를 해야 함에 따라 폐기물처리비용이 들고, 철거하지 않을 경우 해양 수질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을 공사 완료 후 수거하지 않고 인공 어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형상 변경함으로써 수거에 따른 폐기물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수거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는: 하천이나 바다에 부유(浮游)하는 복수 개의 부유체, 상기 부유체 각각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에 구비되는 메인앵커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앵커블록은,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상기 부유체에 구비되어 상기 오탁방지막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부재, 및 상기 본체에 상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해저면의 해조류들이 자라나도록 허용하는 메인성장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 각각은 일측 또는 양측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 각각은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인공어초용 서브앵커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내측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서브성장홈부를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어류의 산란 서식처를 위해 내측에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탁방지막과 상기 와이어는 포자주머니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을 공사 완료 후 수거하지 않고 인공 어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형상 변경함으로써 수거에 따른 폐기물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수거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10)는 부유체(20), 오탁방지막(30) 및 메인앵커블록(40)을 포함한다.
부유체(20)는 하천이나 바다에 부유(浮游)하는 것을 복수 개로 구비된다. 즉, 부유체(20)는 하천수나 해수보다 비중이 작아 물 위에 뜨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부유체(2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다양하게 형상 변경 가능하다.
아울러, 부유체(20)는 중실이나 중공 형상인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에어 튜브일 수도 있다. 이 부유체(20)는 오탁방지장치(1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부표 역할도 한다.
또한, 오탁방지막(30)은 부유체(20) 각각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오탁방지막(30)은 해수나 하천을 따라 흐르는 오염물질이나 기름띠 등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오탁방지막(30)은 물을 통과시키는 막(membrane)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오탁방지막(3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오탁방지막(30)은 하나 구비될 수도 있으나,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오탁방지막(30)은 하천이나 바다에 서로 나란하도록 복수 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유체(20)는 하나 구비되어 모든 오탁방지막(30)을 연결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오탁방지막(30)이 서로 너무 근접되거나 접하게 되어 물의 흐름을 너무 많이 방해할 수 있다.
그래서, 부유체(20)는 오탁방지막(30)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부유체(20)와 오탁방지막(30)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부유체(20)는 하측에 걸고리(2)를 구비하고, 오탁방지막(30)은 상측에 걸쇠(4)를 구비하여 걸고리(2)에 걸어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걸고리(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부유체(20)에 고정 설치되고, 걸쇠(4)는 오탁방지막(30)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앵커블록(40)은 하천 바닥이나 바다 해저면에 구비되어 오탁방지막(30)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메인앵커블록(40)은 하천이나 해수의 비중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하천 바닥이나 바다 해저면에 박혀 고정 설치된다.
특히, 메인앵커블록(40)은 콘크리트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탁방지막(30)은 각각 메인앵커블록(40)에 연결된다. 여기서, 메인앵커블록(40)은 해양 오염을 줄이기 위해 최소의 개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하나의 메인앵커블록(40)은 2개의 오탁방지막(30)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에 따라, 메인앵커블록(40)이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오탁방지막(30)을 연결하고 이 오탁방지막(30)이 부유체(20)에 연결됨에 따라, 부유체(20)와 오탁방지막(30)은 메인앵커블록(40)에 의해 유실되지 않게 된다.
한편, 메인앵커블록(40)은 본체(42), 연결고리부재(44), 및 메인성장홈부(46)를 포함한다.
본체(42)는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연결고리부재(44)는 본체(42)에 구비되어 오탁방지막(3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연결고리부재(4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탁방지막(30)의 하측을 묶거나 분리 가능하게 걸어 오탁방지막(3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연결고리부재(44)는 본체(4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메인성장홈부(46)는 본체(42)에 상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해저면의 해조류들이 자라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인성장홈부(46)는 본체(42)의 상하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되어 하천 바닥이나 바다 해저면에서 자라나는 해조류가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해조류가 메인성장홈부(46)를 통해 자라나서 본체(42)를 뒤덮음에 따라, 본체(42)는 인공 어초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메인성장홈부(46)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체(42)는 내부에 어류의 활동 공간과 해조류의 집단서식 공간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체(42)는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내측에 공간부(62)를 갖고, 공간부(62)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서브성장홈부(64)를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서브성장홈부(64)의 직경이나 평면적은 공간부(62)의 직경이나 평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간부(62)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어류와 해조류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물론, 서브성장홈부(64)의 평면적 크기와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공간부(62)를 통해 자라는 해조류가 서브성장홈부(64)를 통해 본체(42)를 감쌈에 따라, 메인앵커블록(40)이 더욱 더 인공 어초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유체(20)는 하천이나 해수의 흐름에 따라,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양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탁방지막(30)은 부유체(20)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오탁수의 확산 방지를 충분히 실현하지 못할 수 있다.
그래서, 부유체(20)는 더욱 견고하게 위치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부유체(20) 각각은 일측 또는 양측에 와이어(52)를 연결하고, 와이어(52) 각각은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인공 어초용 서브앵커블록(5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물론, 와이어(52)가 각각의 부유체(20)를 양쪽에서 잡아당기고, 각 와이어(52)가 서브앵커블록(5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와이어(52) 각각은 상측을 대응되는 부유체(20)에 연결하고, 하측을 대응되는 서브앵커블록(50)에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와이어(5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부유체(20)와 서브앵커블록(5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앵커블록(5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편의상, 메인앵커블록(40)과 동일한 것으로 도시한다. 즉, 서브앵커블록(50)은 인공 어초의 기능을 병행하게 된다.
한편, 본체(42)는 어류의 산란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해 내측에 브라켓(7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브라켓(70)은 본체(42)의 공간부(62) 내측면에 선반(shelf)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4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4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브라켓(70)은 본체(42)의 메인성장홈부(46)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브라켓(70)은 서브앵커블록(50)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브라켓(7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메인앵커블록(40)과 서브앵커블록(50)이 인공 어초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메인앵커블록(40)과 서브앵커블록(50)에서 자생하는 식물은 포자(胞子)를 퍼뜨려 번식하게 된다. 그래서, 오탁방지막(30)과 와이어(52)는 포자주머니(8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포자주머니(8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오탁방지막(30)과 와이어(52)에 다양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오탁방지장치 20: 부유체
30: 오탁방지막 40: 메인앵커블록
42: 본체 44: 연결고리부재
46: 메인성장홈부 50: 서브앵커블록
52: 와이어 62: 공간부
64: 서브성장홈부 70: 브라켓
80: 포자주머니

Claims (5)

  1. 하천이나 바다에 부유(浮游)하는 복수 개의 부유체;
    상기 부유체 각각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에 구비되는 메인앵커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앵커블록은,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상기 부유체에 구비되어 상기 오탁방지막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부재; 및
    상기 본체에 상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해저면의 해조류들이 자라나도록 허용하는 메인성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 각각은 일측 또는 양측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 각각은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인공어초용 서브앵커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내측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서브성장홈부를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어류의 산란 서식처를 위해 내측에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과 상기 와이어는 포자주머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KR1020110088220A 2011-08-31 2011-08-31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Active KR10126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20A KR101262364B1 (ko) 2011-08-31 2011-08-31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20A KR101262364B1 (ko) 2011-08-31 2011-08-31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55A true KR20130024655A (ko) 2013-03-08
KR101262364B1 KR101262364B1 (ko) 2013-05-08

Family

ID=4817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20A Active KR101262364B1 (ko) 2011-08-31 2011-08-31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6383A (zh) * 2014-08-25 2014-12-10 浙江海洋学院 高固着强度锚定系统
KR20160014358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60144212A (ko) * 2015-06-08 2016-12-16 강방원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30B1 (ko) 2016-08-22 2016-12-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에어버블을 이용한 이동식 소음,진동 오탁 방지 장치
KR102060726B1 (ko) * 2019-01-29 2019-12-30 임대규 에어버블 수중 차단벽
KR20210073287A (ko) 2019-12-10 2021-06-18 임대규 에어버블 수중 차단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56Y1 (ko) * 2004-05-19 2004-07-31 한국해양연구원 오탁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358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N104186383A (zh) * 2014-08-25 2014-12-10 浙江海洋学院 高固着强度锚定系统
CN104186383B (zh) * 2014-08-25 2016-07-06 浙江海洋学院 高固着强度锚定系统
KR20160144212A (ko) * 2015-06-08 2016-12-16 강방원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364B1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364B1 (ko)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US8322294B2 (en) Offshore fresh water reservoir
KR101611209B1 (ko) 오탁방지장치
KR100642573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의 설치구조
NO20121333A1 (no) Anordning for oppsamling av forurensing pa en vannoverflate
KR102332673B1 (ko)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ZA200504532B (en) Mooring system for offshore fish production
WO2012116702A1 (en) Floating barrier
CN112252286A (zh) 一种海洋环保海岸带垃圾拦截处理装置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US20150078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Stable Sand Beach and Shoreline Profiles and for Controlling Beach or Riparian Erosion
CN101265696A (zh) 一种海底防侵蚀和促淤系统及其应用
KR101014950B1 (ko) 수면 부유물을 포집하기 위한 용기 구조체
CN101023225B (zh) 水下储水容器
KR20120046851A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200202651Y1 (ko) 하천의 수질 정화용 텔레스코핑 기구
KR20160144212A (ko)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KR100431572B1 (ko) 경사식 해수유입 방파제
KR101739292B1 (ko) 복합 인공어초
JP2000144700A (ja) 河川・用水用標識体兼流動物回収装置
JP2005036453A (ja) 遮水水域浄化装置
KR200410823Y1 (ko) 친환경 탄소 인공 어소 블록
JP2005207220A5 (ko)
JP2005312429A (ja) 浮水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