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21928A -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928A
KR20130021928A KR1020110084498A KR20110084498A KR20130021928A KR 20130021928 A KR20130021928 A KR 20130021928A KR 1020110084498 A KR1020110084498 A KR 1020110084498A KR 20110084498 A KR20110084498 A KR 20110084498A KR 20130021928 A KR20130021928 A KR 2013002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vider
network device
preferred content
metadata
prefer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649B1 (ko
Inventor
류대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6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싱하는 단계와,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로딩된 메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NETWORK DEVICE FOR CONNECTING TO CONTENT PROVIDE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셋톱박스 등에 해당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밴드(Broadband) TV, 웹 TV, 스마트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에게 개별 접속하여,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화상전화 서비스 등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높은 해상도와 상대적으로 큰 용량을 가지는 여러 개의 컴포넌트를 로딩하고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는 까닭에 콘텐츠 제공자에 처음으로 접속하는 경우에, 접속 시간 또는 로딩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여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미리 캐싱해둠으로써 콘텐츠 제공자에 접속하는 초기 접속 속도 또는 초기 로딩 속도를 높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캐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캐싱해두기 위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거나,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자동으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사용자와 SNS 파트너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할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싱하는 단계와,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로딩된 메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등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별로 상기 메모리에 캐싱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택한 선호 콘텐츠 제공자에 처음으로 접속할 때 소요되는 접속 시간 또는 로딩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등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기 이전에 국가를 선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선호 콘텐츠 제공자가 선택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검색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메모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본 발명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본 발명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자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셋톱박스 또는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TV를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만들어 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실제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와 TCP/IP 등의 프로토콜도 가지고 있으며, 웹 TV 서비스를 위해 전화 회선이나, 케이블 TV용 회선 등을 통해 서비스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또한, 셋톱박스가 내장된 네트워크 TV 형태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TV인 경우,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의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셋톱박스, 네트워크 TV 등일 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TV에는 셋톱박스가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도 1은 일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100), 서비스 제공자(2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제공자(CP : Content Provider)(300),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1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콘텐츠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콘텐츠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300)에게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서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운영자(100)는 콘텐츠 제공자(300)들이 제공한 콘텐츠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표시될 때 구성되는 메인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고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할 때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네트워크 운영자(1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제조자와 동일 주체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한다.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로, 영상 콘텐츠, 음악 콘텐츠, 방송 콘텐츠, 학습 콘텐츠, 게임 콘텐츠, 뉴스나 연예가 소식, 구직 정보, 용어 해설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게 유료로 상기 콘텐츠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무료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별로 콘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펌웨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펌웨어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콘텐츠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제공자(300)가 VOD(Video On Deman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300)가 AOD(Audio On Demand), MOD(Music On Deman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위와 같은 펌웨어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콘텐츠 제공자(300)는 업데이트 파일을 네트워크 운영자(100)에게 전송하고, 네트워크 운영자(10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로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200)는 네트워크 운영자(100), 콘텐츠 제공자(30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400) 상호 간에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임의의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자(200)는 콘텐츠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콘텐츠가 안정적인 수신이 될 수 있도록 전송망의 유지 보수 관리를 수행하며, 콘텐츠 제공자(300)에게는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자(200)를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네트워크 TV로서, 네트워크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콘텐츠 제공자(3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제공될 각종 콘텐츠를 만드는 사업자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30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V 방송국은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송국은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를 디지털로 바꾸어서 전송할 수 있다.
라디오 방송국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며,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또는 비디오 콘텐츠 없이 오디오 콘텐츠만 제공할 수 있다.
VOD 사업자 및 AOD 사업자는 TV 방송국이나 라디오 방송국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즉, VOD나 AOD 사업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혹은 영화, 음악 등을 저장해 놓고 나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해준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AOD 사업자는 오디오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제공하고, MOD 서비스 제공자는 내가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날씨 정보 제공자는 여러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제공해주며,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는 사진을 편집 및 저장하는 틀을 제공해준다.
이외에도,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는 PF(Packet Filter) 서버,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 제공자, ECG(Electronic Content Guide) 서비스 제공자, 포털 서버(Portal Server) 운영자 등 인터넷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서버 운영자일 수 있다.
PF 서버는 콘텐츠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로케이션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접속을 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EPG 정보를 제공하고, ECG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자(300)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 접속 서버의 위치 및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콘텐츠의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주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포털 서버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방송국이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 서버로 연결한다. 포털 서버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300)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200)는 네트워크 운영자(100), 콘텐츠 제공자(300),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데이터 및 명령을 전송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서비스 제공자(200)는 통상적인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200)는 네트워크 운영자(100), 콘텐츠 제공자(30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400)가 서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망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동시에, IP 주소 할당, 대역폭 조절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자(200)의 역할은 널리 공지된 사실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통신 모듈이 장착된 네트워크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 TV 등의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다만,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방송수신부(4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 메모리(440), 메모리 컨트롤러(450), 메인 컨트롤러(470), 유저 인터페이스(460), 디스플레이부(480), 오디오출력부(495) 및 전원공급부(490)를 포함한다.
방송수신부(405)는 튜너(410), 복조부(4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410)와 복조부(4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를 구비하면서 튜너(410)와 복조부(420)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4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복조부(420)는 튜너(4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4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메인 컨트롤러(470)로 입력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4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4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출력부(49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메인 컨트롤러(470) 또는 메모리(4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4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470)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4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470)로 전달하거나, 메인 컨트롤러(4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46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5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메인 컨트롤러(4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5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80)는 메인 컨트롤러(4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4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셋톱 박스인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80)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495)는 메인 컨트롤러(4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49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49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4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4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49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46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00)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특히,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300)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460)는 리모트 컨트롤러(500) 등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300)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등록 신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셋업 시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신호를 통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되면, 선호 콘텐츠 제공자에 접속하여 메타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여 캐싱해둔다. 따라서, 일반 콘텐츠 제공자에 접속하는 것과 달리, 사용자들이 초기 진입시 소요되는 체감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3은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기 이전에 국가를 선택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를 소비할 때 발생하는 수익을 배분하는 기술, 인증 방법 및 운영 방법 등에 있어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선택하여 등록하기 이전에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할 국가를 먼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기 이전에 국가를 선택하는 대화상자 또는 팝업 메뉴가 나타나고,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할 국가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 국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추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할 국가를 선택하지 않고,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바로 등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할 국가를 선택하는 것은, 도 3과 같은 별도의 메뉴없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I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0)가 위치한 국가를 기본으로 또는 자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곳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선택하는 것이 언어적 측면이나 문화적 측면에서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다른 국가를 선택할 수도 있으므로, 기본으로 선택하되, 추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나의 국가 내에서도 여러 콘텐츠 제공자가 존재하므로, 도 4에서는 국가가 선택된 이후에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체크박스에서 '미국'을 선택하였으므로, 도 4에서는 '미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를 도시하였다. '미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의 실시 예로서, YOUTUBO(302), VUDO(303), CNM(304), FAX SPORTS(305), NETFIX(306)의 메뉴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YOUTUBO(302)는 VOD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이고, VUDO(303)와 NETFIX(306)는 영화 콘텐츠 제공자이다. CNM(304)은 뉴스 콘텐츠 제공자이고, FAX SPORTS(305)는 스포츠 콘텐츠 제공자이다. 이들은 단지 다양한 콘텐츠 제공자들의 예들일 뿐이며, 이 외에도 다큐멘터리 콘텐츠 제공자, 날씨 정보관련 콘텐츠 제공자,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자 등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콘텐츠 제공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메뉴 버튼(307)의 좌우에 표시된 스크롤 버튼(301a, 301b)을 선택하면 추가적인 메뉴 버튼들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메뉴 화면에는 통합 검색 메뉴(308)가 제공된다. 통합 검색 메뉴(308)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가 접속 가능한 모든 콘텐츠 제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검색하는 메뉴(309), 특정 콘텐츠 제공자를 지정해서 검색하는 메뉴(310),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로 구성된 그룹을 지정하여 검색하는 메뉴(3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메뉴 화면에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검색어 입력 메뉴(312)를 선택하여 특정 콘텐츠 제공자를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검색어는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동작 인식 리모컨 또는 통상적인 리모컨의 문자 입력 버튼을 이용해서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메뉴 화면상에 화면 키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을 위하여 입력하는 키워드는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키워드이거나 콘텐츠를 표시하는 키워드일 수 있다. 콘텐츠를 표시하는 키워드일 경우,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검색 결과로 제공한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선호 콘텐츠 제공자가 선택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서 제공된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고자 선택한 콘텐츠 제공자(302, 304)에는 선택되었다는 마크(313a, 313b)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2개만 선택하였지만,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메모리(440)에 여유 공간만 있다면, 콘텐츠 제공자 전부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선택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공되는 메모리(440)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할 수 있는 개수를 한정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460)에서 수신하는 등록 신호는 기설정된 메뉴를 통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메뉴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신규 등록, 변경, 추가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메뉴이다.
기설정된 메뉴를 통해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셋업 시에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지 못하더라도 추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방송 등을 보면서 콘텐츠의 내용이나 종류 등이 사용자 자신에게 적합한지 판단한 후에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재등록할 수 있다. 즉, 추후 변경 및 삭제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검색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신규 등록, 변경 또는 추가하기 위해서 콘텐츠 제공자를 검색할 때,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자 그룹 지정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자 그룹은 그 종류별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콘텐츠 제공자, 뉴스 콘텐츠 제공자, 스포츠 콘텐츠 제공자, 다큐멘터리 콘텐츠 제공자, 화상 전화 콘텐츠 제공자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앞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늘어날수록 콘텐츠 제공자의 종류는 더 다양화될 것이다. 콘텐츠 제공자의 종류가 다양화될수록 사용자에게는 도 6과 같은 그룹지정 검색이 유용하다.
콘텐츠 제공자 그룹은 각 콘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그룹을 지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운영자(100)가 지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지정하여 사용자 지정 그룹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특정 그룹 내에서 등록하고자 할 때, 도 6의 일실시예와 같이 영화, 뉴스, 스포츠 등과 같이 그룹별로 콘텐츠 제공자를 분류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룹지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분야 내에서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검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메모리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440)는 임시저장 영역(441), 녹화 영역(443), 그림/음악 파일 영역(445) 및 캐싱 영역(44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채용되는 모든 메모리가 도 7과 같이 저장 영역이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임시저장 영역(441)에는 콘텐츠 제공사(300)로부터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방송물이나, 비디오 또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물 등이 임시로 저장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방송물이나 영상물에 대한 녹화지시를 하지 않은 경우에 임시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물이나, 비디오 또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물의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녹화 영역(443)에 방송물이나 영상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지영상(예로서, 그림)이나 음악파일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그림/음악파일영역(445)에는 다운로드한 그림이나 음악파일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캐싱 영역은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된 선호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와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별 메타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상기 메모리(440)는 상기 등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가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캐싱 영역에 저장한다.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설명해주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면 콘텐츠 제공자에 접속했을 때, 찾고 있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 그 예로서, 콘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 이외에도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450)는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별로 상기 메모리(440)에 캐싱하는데, 이때,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450)는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캐싱을 수행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실행은 완료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의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지연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다른 스레드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메타 데이터를 캐싱하는 작업은 사용자의 요청과 관계없이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초기 접속/로딩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므로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셋팅 단계에서 채널 스캔 등과 같이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미리 해당 콘텐츠 제공자(300)에 차례로 접속하여 캐싱해둘 수 있다.
다만, 채널 스캔 작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셋팅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외의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전원이 켜질 때마다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주기를 설정해두고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캐싱을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서 채널 스캔할 때에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자 한다면, 채널 스캔이 수행될 때마다 캐싱하는 것으로 설정해두고, 채널 스캔 설정에 따라서 캐싱이 함께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캐싱을 해두더라도 콘텐츠 제공자(300)에서 제공하는 메타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450)는 상기 메모리(4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47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460)로부터 콘텐츠 제공자(300)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440)에 액세스하여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한다. 이때, 상기 접속 요청 신호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된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이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470)가 캐싱된 메타 데이터에 따라 선호 콘텐츠 제공자에 접속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를 제어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유저 인터페이스(460)는 수신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외에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네트워크 운영자(10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450)는 네트워크 운영자(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제공자(30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잘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원격제거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모트 컨트롤러(500)에 대응하는 포인터(40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8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상하, 좌우(도 8의 (b)), 앞뒤(도 8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된 포인터(401)는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4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8의 (b)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된 포인터(401)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4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4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5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디스플레이부(4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4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4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디스플레이부(4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4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4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할 경우,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국가, 콘텐츠 제공자 등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510), 사용자입력부(520), 센서부(530), 출력부(540), 전원공급부(560), 저장부(550), 제어부(570)를 포함하고, 무선통신부(5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5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51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로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51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5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9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513)을 통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5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520)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00)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530)는 자이로센서(531) 또는 가속도센서(5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센서(531)는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533)는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540)는 사용자입력부(52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5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520)의 조작 여부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540)는 사용자입력부(52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510)를 통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5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54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5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4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60)는 리모트 컨트롤러(5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60)는 리모트 컨트롤러(5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560)는 리모트 컨트롤러(5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550)는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리모트 컨트롤러(50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와 RF 모듈(5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50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570)는 리모트 컨트롤러(9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570)는 사용자입력부(5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530)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510)를 통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570)는, RF 모듈(511) 또는 IR 모듈(513) 등을 제어하여,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등록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에 따른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 특유의 장점이 있다.
도 10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본 발명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일실시예이고, 도 11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본 발명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3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기 이전에 국가를 먼저 선택할 수 있다. 도 10과 도 3을 비교하여 볼 때, 도 10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이용하여 '한국'이라는 국가를 선택한 것을 가정한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움직이고, 포인터를 통해 국가를 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 10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공간 리모콘으로서, 공간 리모콘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팔이 움직이면, 그 움직임에 따라 공간 리모콘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포인터가 움직인다. 심플한 외관과 조작 편의성 증대로 누구라도 쉽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와 같이 국가를 '한국'으로 선택했을 때, 한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를 '제1CP', '제2CP', '제3CP', '제4CP'로 도시하고, 리모트 컨트롤러(500)를 이용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도 10과 동일하게,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일실시예로서 공간 리모콘을 도시하였으며, 리모트 컨트롤러(500)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움직이고, 포인터를 통해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쉽게 등록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S600)한다. 이때, 등록하는 프로세스는 2가지 실시 예로 구현 가능하다.
첫 번째 실시 예는,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할 때에 등록하는 것이고, 두 번째 실시 예는,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가 있을 때 등록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가 등록될 수 있고, 특정 기준만 만족하면 사용자의 선택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술한 바이며, 상기 등록 신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셋업 시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는 경우에 발생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설정된 메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도 상술한 바이다.
두 번째 실시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없이 자동적으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것은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자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선택이 어려운 경우에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추천해주는 것과 유사하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할 콘텐츠 제공자를 미리 설정해두거나,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많이 등록되는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 또는 추천하거나, 특별한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이 즐겨보는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추천하는 것이다. 또는, 다른 사용자들의 접근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보다 큰 콘텐츠 제공사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추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기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한 콘텐츠 제공사인지 여부, 다른 사용자들이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한 순위 중 기설정된 순위 내인지 여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특정 SNS의 파트너로 등록된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자인지 여부 및 다른 사용자들의 접근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보다 큰 콘텐츠 제공사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콘텐츠 제공자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관련 부가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특정 SNS의 파트너(예를 들어, 친구 등)로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등록된 선호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특정 SNS의 파트너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추천해줌으로써, 사용자와 특정 관계에 있는 타 사용자와의 유대 관계를 높이고,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싱한다(S610). 이때 캐싱은 백그라운드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채널 스캔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캐싱이 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콘텐츠 제공자로의 초기 진입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캐싱 후에 기설정된 주기로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업데이트(S620)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주기에 해당하면 업데이트된 부분을 다시 수신하여 캐싱하고, 해당하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제공자로의 접속 요청 신호를 기다린다(S630).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한다(S640). 다만, 이때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된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이다. 또한, 접속 요청 신호가 없으면 업데이트 주기에 해당하는지 체크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로딩된 메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고, 상기 액세스된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그래픽 데이터 등을 통하여 사용자는 콘텐츠를 이용(S650)할 수 있다.
도 13은 콘텐츠 제공자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것으로,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셋업 메뉴에서 여러 가지 설정을 하는 경우에(S700), 콘텐츠 제공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S700). 콘텐츠 제공자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기 이전에 콘텐츠 제공자의 국가를 먼저 선택할 수 있음은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바탕으로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한다(S720).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방법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고,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자동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등록할 것인지 자동으로 등록할 것인지 여부 역시 셋업 메뉴 등에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호 콘텐츠 제공자가 등록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서 채널 스캔을 할 때에(S750),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콘텐츠 제공자(300)에 메타 데이터를 요청하여(S730)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S740),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캐싱한다(S760). 도 13에는 캐싱하는 과정을 채널 스캔 다음에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캐싱도 채널 스캔을 하는 중에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므로, 업데이트 여부를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확인하여(S770), 업데이트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S780), 수신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S790).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셋업이 종료되고(S800), 그 이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제공자로의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810).
상기 접속 요청 신호가 선호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것인 경우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함으로써(S820), 콘텐츠 제공자로의 초기 접속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네트워크 운영자 200 서비스 제공자
300 콘텐츠 제공자 400 네트워크 디바이스
405 방송수신부 410 튜너
420 복조부 4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440 메모리
450 메모리 컨트롤러 460 유저 인터페이스
470 메인 컨트롤러 480 디스플레이부
490 전원공급부 495 오디오출력부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단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메모리에 캐싱하는 단계;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로딩된 메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된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등록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신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셋업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는 경우에 발생하거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설정된 메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메뉴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신규 등록, 변경, 추가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메뉴인,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기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한 콘텐츠 제공사인지 여부, 다른 사용자들이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한 순위 중 기설정된 순위 내인지 여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특정 SNS의 파트너로 등록된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자인지 여부 및 다른 사용자들의 접근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보다 큰 콘텐츠 제공사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하는 단계는 백그라운드로 수행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하는 단계는 채널 스캔과 동시에 수행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하는 단계 후에, 기설정된 주기로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 신호가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된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인 경우에 수행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등록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등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콘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별로 상기 메모리에 캐싱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에 접속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신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셋업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경우에 발생하거나,
    기설정된 메뉴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를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메뉴는,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를 신규 등록, 변경, 추가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메뉴인,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캐싱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캐싱된 메타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접속 요청 신호가 상기 선호 콘텐츠 제공자로 등록된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인 경우에 수행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20. 제 1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84498A 2011-08-24 2011-08-24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1265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498A KR101265649B1 (ko) 2011-08-24 2011-08-24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498A KR101265649B1 (ko) 2011-08-24 2011-08-24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928A true KR20130021928A (ko) 2013-03-06
KR101265649B1 KR101265649B1 (ko) 2013-05-22

Family

ID=4817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498A Active KR101265649B1 (ko) 2011-08-24 2011-08-24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6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649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501684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listings according to points of interest
US9432740B2 (en) Enhance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for viewed program and control of internet TV device using mobile device
JP5650143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構成
KR101784184B1 (ko) 아이피티비에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20233651A1 (en) Iptv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2010002359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erforming content display control, control method, and video display system
US201300471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broadcast receiving device
US201102833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listings according to a destination location
CN107211181B (zh) 显示装置
US2012014390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s searching method thereof
US11956495B2 (en)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JP4226990B2 (ja) 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で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203271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for different accounts
KR101265649B1 (ko) 복수 개의 콘텐츠 제공자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582543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1034501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389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11434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listings according to a destination location
US2024007347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system
JP4796110B2 (ja) 通信装置
JP2017060061A (ja) プログラム、携帯通信機及びテレビ操作方法
KR101715171B1 (ko) 이기종 단말기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7738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