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744A -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Google Patents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1744A KR20130021744A KR1020110084196A KR20110084196A KR20130021744A KR 20130021744 A KR20130021744 A KR 20130021744A KR 1020110084196 A KR1020110084196 A KR 1020110084196A KR 20110084196 A KR20110084196 A KR 20110084196A KR 20130021744 A KR20130021744 A KR 201300217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chamber
- air
- hopper
- ai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09219 Horde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985 whole gra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0 keros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상부로 건조될 곡물이 투입되고, 하부로 투입된 곡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 이물질흡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호퍼와; 상기 상부호퍼 일측에 연결되어 있어 이물질흡입배출구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상부호퍼 내부를 통과하는 곡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이물질흡입배출구 측으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이물질분리장치와; 상기 상부호퍼와 연결되어 있어 내부로 곡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다수 개의 곡물통과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의 일측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의 타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곡물통과챔버의 벽면에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공급챔버로부터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배출챔버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곡물통과챔버, 공기공급챔버 및 공기배출챔버는 상부에 중공부의 곡물저장챔버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곡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낙하시키도록 구성된 균분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곡물이 유입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호퍼와; 상기 하부호퍼 배출구에 설치되어 하부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출조절기와; 상기 하부호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측정기와; 일측이 상기 하부호퍼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상부호퍼와 연결되어 있어 하부호퍼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부호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버킷엘리베이터와; 상기 본체의 공기공급챔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팬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을 연결시키는 순환연결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배출관과 순환연결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댐퍼와; 일측은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공기배출관과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호퍼 일측에 이물질분리장치를 설치하여 곡물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곡물만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되게 함으로써 건조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열교환기에 의해 배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상부로 건조될 곡물이 투입되고, 하부로 투입된 곡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 이물질흡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호퍼와; 상기 상부호퍼 일측에 연결되어 있어 이물질흡입배출구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상부호퍼 내부를 통과하는 곡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이물질흡입배출구 측으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이물질분리장치와; 상기 상부호퍼와 연결되어 있어 내부로 곡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다수 개의 곡물통과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의 일측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의 타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곡물통과챔버의 벽면에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공급챔버로부터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배출챔버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곡물통과챔버, 공기공급챔버 및 공기배출챔버는 상부에 중공부의 곡물저장챔버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곡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낙하시키도록 구성된 균분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곡물이 유입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호퍼와; 상기 하부호퍼 배출구에 설치되어 하부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출조절기와; 상기 하부호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측정기와; 일측이 상기 하부호퍼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상부호퍼와 연결되어 있어 하부호퍼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부호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버킷엘리베이터와; 상기 본체의 공기공급챔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팬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을 연결시키는 순환연결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배출관과 순환연결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댐퍼와; 일측은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공기배출관과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호퍼 일측에 이물질분리장치를 설치하여 곡물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곡물만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되게 함으로써 건조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열교환기에 의해 배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배열을 회수함은 물론, 곡물이 수직으로 설치된 곡물통과챔버 내를 하강 이동함으로써 곡물이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한,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반드시 건조가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산지에서 수확한 녹색 통곡물의 함수율은 50% 이상, 일반 곡물류는 통상 20~30%의 고함수율이기 때문에 쉽게 변질되거나 부패되어 곡물의 품질저하와 양적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곡물류는 수확직후 안전한 저장과 운송 및 식미의 보존을 위해서 약 15%의 수분함유량을 갖도록 건조해야 한다.
현재까지 순환식 곡물건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벼나 보리 등의 곡물에 등유 버너로부터의 직접적인 열풍을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써 벼나 보리의 함수율을 일정수준까지 건조시켜서 낮춰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전술한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흡입되는 공기를 버너로 가열하고, 그 가열된 공기가 버너 연소가스와 함께 곡물층을 통과하면서 곡물을 건조시키고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낮고 연료소비량이 많다.
또한, 건조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건조열풍의 온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서 고온 건조로 인한 곡물의 식미가 저하되고 동할율(胴割率)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의 기술로는,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05710호, 특허문헌 1) 19페이지 도 6을 살펴보면, 저장실 내부로 유입된 곡물이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열풍이 유입되는 다수 개의 곡물이동통로를 통과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저장실 내부로 유입된 곡물에 벗겨진 겉껍질과 먼지 등의 이물질이 동시에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곡물이동통로 내로 유입되는 바, 통로 벽면에 이물질 등이 달라붙게 되면 원할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 효율이 저하되기도 하고 불필요한 겉껍질을 건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팀으로 찐 녹색 통곡물을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곡물 자체에서 점액이 발생되기 때문에, 각 곡물이동통로 내로 유입된 곡물이 통로 내부에 부착되기도 하고, 때로는 곡물끼리 부착되어 응결체가 형성되어 곡물이 통로 내부에 정체되어 건조기의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호퍼 일측에 이물질분리장치를 설치하여 곡물과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과 건조과정에서 탈피되면서 생기는 겉껍질 등을 제거한 후 곡물만이 곡물건조기 내부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곡물통과챔버 내에서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곡물통과챔버에 다수 개의 수직교반기를 설치함으로써 곡물통과챔버 내부로 유입된 곡물이 원할하게 하부로 하강 이동되면서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때, 복수개의 수직교반기는 서로 체인 등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에 의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곡물건조기의 구성과 제작을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곡물건조기는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건조공기의 습도에 따라 순환 운전과 배열회수 운전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운전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곡물 건조기에 비해 우수한 열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로 건조될 곡물이 투입되고, 하부로 투입된 곡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 이물질흡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호퍼와; 상기 상부호퍼 일측에 연결되어 있어 이물질흡입배출구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상부호퍼 내부를 통과하는 곡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이물질흡입배출구 측으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이물질분리장치와; 상기 상부호퍼와 연결되어 있어 내부로 곡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다수 개의 곡물통과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의 일측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의 타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곡물통과챔버의 벽면에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공급챔버로부터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배출챔버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곡물통과챔버, 공기공급챔버 및 공기배출챔버는 상부에 중공부의 곡물저장챔버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곡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낙하시키도록 구성된 균분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곡물이 유입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호퍼와; 상기 하부호퍼 배출구에 설치되어 하부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출조절기와; 상기 하부호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측정기와; 일측이 상기 하부호퍼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상부호퍼와 연결되어 있어 하부호퍼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부호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버킷엘리베이터와; 상기 본체의 공기공급챔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팬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본체의 공기배출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을 연결시키는 순환연결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배출관과 순환연결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댐퍼와; 일측은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공기배출관과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하부가 상기 곡물통과챔버 내부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수직회전축과, 상기 수직회전축 외주면에 설치된 교반날개 및 상기 수직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로 구성되어 각 곡물통과챔버로 유입된 곡물을 교반시키도록 구성된 수직교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곡물통과챔버 내부로 삽입된 각 수직회전축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 또는 체인과; 상기 벨트 또는 체인과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호퍼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 외주면에 설치된 보조교반날개 및 수평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보조회전장치로 구성되어 하부호퍼로 유입된 곡물을 교반시키도록 구성된 다수 개의 수평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물통과챔버 내부에는 곡물통과챔버 내로 유입된 곡물의 하강 통과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곡물통과챔버 벽면에 통과량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호퍼 일측에 이물질분리장치를 설치하여 곡물과 혼합되어 있는 겉껍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곡물만이 곡물건조기 내부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곡물통과챔버 내에서의 건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각의 곡물통과챔버에 다수 개의 수직교반기를 설치함으로써 곡물통과챔버 내부로 유입된 곡물이 원할하게 하부로 이동되면서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수직교반기는 서로 체인 등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에 의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곡물건조기의 구성과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곡물건조기는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공기의 습도에 따라 순환방식 또는 배열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운전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곡물 건조기에 비해 우수한 열효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일측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타측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서 열교환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곡물통과챔버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통과량조절수단의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일측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타측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서 열교환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곡물통과챔버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통과량조절수단의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크게 상부호퍼(10), 이물질분리장치(20), 본체(30), 균분기(34), 수직교반기(40), 하부호퍼(50), 수평교반기(60), 배출조절기(70), 함수율측정기(90), 버킷엘리베이터(80), 공기공급관(100), 공기배출관(110) 및 열교환기(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호퍼(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부로부터 건조될 곡물(1)이 투입되고, 하부로는 곡물(1)이 배출되면서 본체(30) 내측으로 곡물(1)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호퍼(10)의 하부 측면에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흡입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분리장치(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호퍼(10)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어 이물질흡입배출구(11) 측으로 공기를 송풍팬(12)으로 송풍하여 상부호퍼(10) 출구측을 통과하는 곡물(1)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겉껍질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흡입배출구(11) 측으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분리장치(20)는 통상의 송풍팬(12)과 도시되지 않은 흡입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물질흡입배출구(11)는 반대측 송풍팬(12)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물질흡입배출구(11) 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팬 등이 설치되어 곡물(1)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빨아들이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12)은 곡물(1)이 아래로 떨어지고 곡물(1)보다 가벼운 겉껍질 등의 이물질은 바람에 의해 날아갈 수 있을 정도의 송풍 속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흡입팬도 이물질흡입배출구(11) 측으로 날아오는 이물질이 원할하게 흡입될 수 있을 정도의 흡입력을 가지는 풍량 또는 흡입 풍속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호퍼(10)와 연결되어 있어 상부호퍼(10)를 통해 내부로 곡물(1)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30)의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다수 개의 곡물통과챔버(31)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곡물(1)이 각각의 곡물통과챔버(31)로 분산되어 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곡물통과챔버(31)의 일측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챔버(32)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31)의 타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챔버(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곡물통과챔버(31)의 벽면은 다공판 또는 메쉬(mesh)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공급챔버(32)로부터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배출챔버(33)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체(30)는 상기 곡물통과챔버(31), 공기공급챔버(32) 및 공기배출챔버(33)의 상부에 중공부(35)가 형성된 곡물저장챔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곡물통과챔버(31), 공기공급챔버(32) 및 공기배출챔버(33)가 본체(30)의 중공부(35) 상부까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초 본체(30) 내부로 곡물(1)이 가득 차도록 유입되어 있다 하더라도 건조 과정상에서 곡물(1) 자체의 부피가 축소되고 또한 겉껍질 등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되면서 건조 곡물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게 되어 곡물통과챔버(31)의 상부는 곡물(1)이 채워져 있지 아니하고 빈 공간이 되기 때문에, 공기공급챔버(3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곡물(1)이 차 있는 곡물통과챔버(31)의 하부보다는 상부로 쉽게 유입 배출되어, 결과적으로 곡물(1)과 건조공기의 접촉이 감소되어 건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곡물(1)의 건조과정에서 계속적으로 곡물통과챔버(31) 이상으로 곡물(1)이 적층될 수 있도록 건조 초기에서부터 곡물(1)이 충분히 투입되어야 하며, 따라서 곡물(1)을 건조하기 위한 공기의 공급과 배출은 본체(30)의 하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균분기(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의 내측 상부 즉, 곡물통과챔버(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삿갓 형상의 다수 개의 플레이트가 층을 이루어 다수 엇갈려 설치되어 있어 상부호퍼(10)로부터 하강되어 본체(30) 내부로 유입되는 곡물(1)을 골고루 분산시켜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다수 개의 균분기(34)가 마치 피라미드와 같은 형상을 이루면서 상하로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어 상부호퍼(10)를 통해 유입된 곡물(1)이 균분기(34)를 거치면서 골고루 분산되면서 곡물통과챔버(31)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직교반기(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곡물통과챔버(31) 내부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수직회전축(41)과, 상기 수직회전축(41) 외주면에 설치된 교반날개(42) 및 상기 수직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43)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곡물통과챔버(31)로 유입된 곡물(1)을 교반시키면서 곡물(1)이 정체하지 않고 원할하게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회전장치(43)의 일 예로는 각각의 수직회전축(41)마다 모터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물통과챔버(31) 내부로 삽입된 각 수직회전축(4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43b) 또는 체인과; 상기 벨트(43b) 또는 체인과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3a);로 구성하여 하나의 회전모터(43a)로 전체 수직회전축(41)을 회전시켜 작동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하부호퍼(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 곡물통과챔버(31)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곡물(1)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어 배출구(51)를 통해 후속 공정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교반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호퍼(50)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회전축(62)과, 상기 수평회전축(62) 외주면에 설치된 보조교반날개 및 수평회전축(62)을 회전시키는 보조회전장치(63)로 구성되어 하부호퍼(50)로 유입된 곡물(1)을 교반시키면서 곡물(1)이 하부호퍼(50) 내부에서 정체되지 않고 원할하게 하부의 배출구(5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62)은 하부호퍼(50) 내부에 다수 설치되어 있고, 보조회전장치(63)는 각각의 수평회전축(62)을 연결하는 벨트(61)나 체인 및 벨트(61)나 체인에 연결된 모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조절기(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호퍼(50)의 배출구(51)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호퍼(50)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1)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한 배출조절기(7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공지된 교반날개 또는 스프링 또는 스크류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곡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호퍼(50)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1)은 버킷엘리베이터(80)로 순환 이동하여 재건조 과정을 거치고, 곡물(1)의 건조가 완료되면 배출된다.
배출조절기(70)에 설치된 모터는 단순히 회전 속도의 조절이나 정지 등과 같은 작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일측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버킷엘리베이터(80) 측으로 곡물(1)을 이송하고, 타측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다음 공정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함수율측정기(90)는 하부호퍼(5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1)의 함수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물(1)이 건조 목표로 하는 함수율에 도달하면 상기 배출조절기(70) 또는 도시되지 않은 댐퍼 등을 연계 작동시켜 곡물(1)의 순환 건조를 중단하고 곡물(1)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버킷엘리베이터(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하부호퍼(50)의 배출구(51)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상부호퍼(10)와 연결되어 있다.
즉, 하부호퍼(50)의 배출구(51)로 배출된 곡물(1)을 다시 상부호퍼(1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한다.
초기 본체(30)에 투입되는 곡물(1)은 도시되지 않은 컨베이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부호퍼(10)를 통해 투입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버킷엘리베이터(80) 하부측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곡물투입구를 통해 투입할 수 있다.
공기공급관(100)은 상기 본체(30)의 공기공급챔버(32)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팬(101)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배출관(110)은 본체(30)의 복수개의 공기배출챔버(33)들과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는 공기공급관(100) 및 공기배출관(110)이 본체(3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각 관들이 각각 공기공급챔버(32) 및 공기배출챔버(33)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양한 공지의 방식으로 덕트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연결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팬(101)은 건조 공기가 곡물(1)이 충진된 곡물통과챔버(31)를 균일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공기압력과 풍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열교환기(12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은 공기공급관(10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공기배출관(110)과 연결되어 있다.
열교환기(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측 및 환기측에 에어필터(121)가 설치되어 있고, 급기측에 급기팬(123)이, 배기측에 배기팬(122)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측이 공기공급관(100)과 연결되고, 환기측이 공기배출관(110)과 연결되어 있어 환기 및 외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30) 한 대에 열교환기(120) 한 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120) 측의 급기팬(123)을 생략하고, 팬(101) 만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환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외기 즉, 급기는 본체(30)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히팅장치에서 온도를 조절하여 공기공급챔버(32)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100)과 공기배출관(110)은 순환연결관(1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공급관(100)과 공기배출관(110)과 순환연결관(130)에는 각각 댐퍼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택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배출관(110) 내부에 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습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건조 공기의 순환을 정지하고, 댐퍼(140a)와 댐퍼(140c)를 열고 댐퍼(140b)를 닫아 공기공급관(100)과 공기배출관(110)이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며, 건조 공기가 열교환기(120)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습도와 온도가 낮은 외기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하여 급기되는 배열회수 환긴 운전을 하면서, 습도가 일정치 이하가 되면 댐퍼(140a)와 댐퍼(140c)를 닫고 댐퍼(140b)를 열어서 건조공기가 순환 운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댐퍼(140a, 140b, 140c)들의 개폐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한 배열회수 환기 운전과 순환 운전을 병행하면서 운전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열교환기(120)에 다수 개의 본체(30)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의 본체(30) 내부의 습도에 따라 습도가 높은 본체(30)를 우선적으로 배열회수 환기운전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곡물(1)은 상부호퍼(10)를 통해 유입된 후 이물질분리장치(20)를 거치면서 겉껍질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낙하하면서 균분기(34)에 의해 골고루 분산되어 각각의 곡물통과챔버(31)로 유입되고, 수직교반기(40)에 의해 곡물통과챔버(31) 내부에서 원할하게 하강하고, 이 과정에서 곡물통과챔버(31)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공판 또는 금속망을 통해 일측에서는 공기공급챔버(32)와 연통되어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어 곡물(1)을 건조시키고, 타측에서는 공기배출챔버(33)와 연통되어 외측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곡물(1)이 건조되게 된다.
아울러, 각 곡물통과챔버(31)를 거친 곡물(1)이 하부호퍼(50)로 유입된 채 수평교반기(60)에 의해 교반되면서 하부호퍼(50) 내부에서 정체되지 않도록 하고 함수율측정기(90)에 측정된 곡물(1)의 상태에 따라 배출조절기(70)의 구동 또는 도시되지 않은 전동 댐퍼의 작동에 따라 후속 공정으로 배출되거나, 버킷엘리베이터(80)를 타고 상부호퍼(10)로 이동하여 재 건조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곡물통과챔버(31) 내부에는 곡물통과챔버(31) 내로 유입된 곡물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곡물통과챔버(31) 벽면에 회동 또는 개폐조절 가능하도록 된 통과량조절수단(31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상기와 같이 작동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장치가 설치됨이 마땅하며, 컨트롤장치는 이물질분리장치(20), 수직교반기(40), 수평교반기(60), 배출조절기(70), 버킷엘리베이터(80), 함수율측정기(90) 및 습도센서 및 공기공급관(100) 및 공기배출관(110)에 설치된 댐퍼(140a, 140b, 14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1 : 곡물 10 : 상부호퍼
11 : 이물질흡입배출구 12 : 송풍팬
20 : 이물질분리장치
30 : 본체 31 : 곡물통과챔버
31a : 통과량조절수단 32 : 공기공급챔버
33 : 공기배출챔버 34 : 균분기
35 : 중공부
40 : 수직교반기 41 : 수직회전축
42 : 교반날개 43 : 회전장치
43a : 회전모터 43b : 벨트
50 : 하부호퍼 51 : 배출구
60 : 수평교반기 61 : 벨트
62 : 수평회전축 63 : 보조회전장치
70 : 배출조절기 80 : 버킷엘리베이터
90 : 함수율측정기 100 : 공기공급관
101 : 팬 110 : 공기배출관
120 : 열교환기 121 : 에어필터
122 : 배기팬 123 : 급기팬
130 : 순환연결관 140a, 140b, 140c : 댐퍼
11 : 이물질흡입배출구 12 : 송풍팬
20 : 이물질분리장치
30 : 본체 31 : 곡물통과챔버
31a : 통과량조절수단 32 : 공기공급챔버
33 : 공기배출챔버 34 : 균분기
35 : 중공부
40 : 수직교반기 41 : 수직회전축
42 : 교반날개 43 : 회전장치
43a : 회전모터 43b : 벨트
50 : 하부호퍼 51 : 배출구
60 : 수평교반기 61 : 벨트
62 : 수평회전축 63 : 보조회전장치
70 : 배출조절기 80 : 버킷엘리베이터
90 : 함수율측정기 100 : 공기공급관
101 : 팬 110 : 공기배출관
120 : 열교환기 121 : 에어필터
122 : 배기팬 123 : 급기팬
130 : 순환연결관 140a, 140b, 140c : 댐퍼
Claims (4)
- 곡물 건조기에 있어서,
상부로 건조될 곡물(1)이 투입되고, 하부로 투입된 곡물(1)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일측 벽면에 이물질흡입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호퍼(10)와;
상기 상부호퍼(10) 일측에 연결되어 있어 이물질흡입배출구(11)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상부호퍼(10) 내부를 통과하는 곡물(1)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이물질흡입배출구(11) 측으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이물질분리장치(20)와;
상기 상부호퍼(10)와 연결되어 있어 내부로 곡물(1)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다수 개의 곡물통과챔버(31)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31)의 일측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챔버(32)가 형성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31)의 타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챔버(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곡물통과챔버(31)의 벽면에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공급챔버(32)로부터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배출챔버(33)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곡물통과챔버(31), 공기공급챔버(32) 및 공기배출챔버(33) 상부에 중공부(35)인 곡물저장챔버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곡물(1)을 골고루 분산시켜 낙하시키도록 구성된 균분기(34)와;
상기 본체(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곡물통과챔버(31)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곡물(1)이 유입되며, 하부에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호퍼(50)와;
상기 하부호퍼(50) 배출구(51)에 설치되어 하부호퍼(50)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1)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배출조절기(70)와;
상기 하부호퍼(5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1)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측정기(90)와;
일측이 상기 하부호퍼(50)의 배출구(51)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상부호퍼(10)와 연결되어 있어 하부호퍼(50)에서 배출된 곡물(1)을 상부호퍼(1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버킷엘리베이터(80)와;
상기 본체(30)의 공기공급챔버(32)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팬(101)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본체(30)의 공기배출챔버(33)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배출관(110)과;
상기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공기배출관(110)을 연결시키는 순환연결관(130)과;
상기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공기배출관(110)과 순환연결관(130)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댐퍼(140a, 140b, 140c)와;
일측은 공기공급관(100)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공기배출관(110)과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곡물통과챔버(31) 내부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수직회전축(41)과, 상기 수직회전축(41) 외주면에 설치된 교반날개(42) 및 상기 수직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43)로 구성되어 각 곡물통과챔버(31)로 유입된 곡물(1)을 교반시키도록 구성된 수직교반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장치(43)는, 상기 곡물통과챔버(31) 내부로 삽입된 각 수직회전축(4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43b) 또는 체인과; 상기 벨트(43b) 또는 체인과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3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호퍼(50)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회전축(62)과, 상기 수평회전축(62) 외주면에 설치된 보조교반날개 및 수평회전축(62)을 회전시키는 보조회전장치(63)로 구성되어 하부호퍼(50)로 유입된 곡물(1)을 교반시키도록 구성된 다수 개의 수평교반기(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통과챔버(31) 내부에는 곡물통과챔버(31) 내로 유입된 곡물의 통과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곡물통과챔버(31) 벽면에 통과량조절수단(31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4196A KR20130021744A (ko) | 2011-08-23 | 2011-08-23 |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4196A KR20130021744A (ko) | 2011-08-23 | 2011-08-23 |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1744A true KR20130021744A (ko) | 2013-03-06 |
Family
ID=4817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4196A Abandoned KR20130021744A (ko) | 2011-08-23 | 2011-08-23 |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21744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77060A (zh) * | 2013-11-29 | 2015-06-03 | 林运开 | 粮食烘干机 |
CN108094524A (zh) * | 2017-12-19 | 2018-06-01 | 马斌祥 | 一种粮食干燥机 |
KR102397995B1 (ko) * | 2021-08-11 | 2022-05-16 | 이승석 | 목재 건조장치 |
KR20220095768A (ko) * | 2020-12-30 | 2022-07-07 |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조사 제조 및 분사 방법 |
WO2023018102A1 (ko) * | 2021-08-11 | 2023-02-16 | 이승석 | 목재 건조장치 |
-
2011
- 2011-08-23 KR KR1020110084196A patent/KR20130021744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77060A (zh) * | 2013-11-29 | 2015-06-03 | 林运开 | 粮食烘干机 |
CN108094524A (zh) * | 2017-12-19 | 2018-06-01 | 马斌祥 | 一种粮食干燥机 |
KR20220095768A (ko) * | 2020-12-30 | 2022-07-07 |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조사 제조 및 분사 방법 |
KR102397995B1 (ko) * | 2021-08-11 | 2022-05-16 | 이승석 | 목재 건조장치 |
WO2023018102A1 (ko) * | 2021-08-11 | 2023-02-16 | 이승석 | 목재 건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77054B (zh) | 倒置微波低温流化床干燥设备 | |
KR20130021744A (ko) | 배열회수 방식의 순환식 곡물건조기 | |
KR100929281B1 (ko) | 농수산물의 열풍순환식 건조시스템 | |
KR101823598B1 (ko) |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 |
WO2018047640A1 (ja) | 穀物乾燥機及び該穀物乾燥機の使用方法 | |
US10995990B2 (en) | Rotary dryer with multi-drying chambers | |
CN106839730A (zh) | 一种带式干燥冷却机 | |
CN109059441A (zh) | 一种热风干燥系统及干燥方法 | |
KR100762370B1 (ko) | 건조기 | |
CN109237919B (zh) | 一种粮食干燥装置及其干燥方法 | |
CN114739122A (zh) | 基于微波加热的振动流化床粮食循环干燥机 | |
CN109883183B (zh) | 干燥机 | |
CN107421254A (zh) | 菊花翠芽绿茶制作用热风烘干装置 | |
CN114963740A (zh) | 一种食品加工烘干装置 | |
CN105166129A (zh) | 用于有机扁茶微波杀青的连续生产线 | |
CN106705624A (zh) | 一种多能源综合利用的谷物干燥设备 | |
CN105211336A (zh) | 新型有机扁茶微波杀青生产线 | |
CN110230920A (zh) | 一种节能型农业谷物快速干燥处理装置 | |
JP4608396B2 (ja) | 穀類の回転蒸煮機 | |
RU148092U1 (ru) | Зерно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 |
KR102087910B1 (ko) | 농수산물 건조장치 | |
CN210399892U (zh) | 一种粮食烘干机热风导流装置 | |
CN208139786U (zh) | 种子恒温鼓风干燥箱 | |
CN110487059A (zh) | 一种粮食热风循环干燥设备 | |
CN221724779U (zh) | 一种工业大麻干燥用烘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