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167A - Urinal system for women - Google Patents
Urinal system for wom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1167A KR20130021167A KR1020110083532A KR20110083532A KR20130021167A KR 20130021167 A KR20130021167 A KR 20130021167A KR 1020110083532 A KR1020110083532 A KR 1020110083532A KR 20110083532 A KR20110083532 A KR 20110083532A KR 20130021167 A KR20130021167 A KR 20130021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al
- urine
- female
- water
- odo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76 sede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2—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intended for use by wome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7—Waterless or low-flush urina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성의 소변을 담는 소변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전방 쪽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를 향해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형으로 바닥이 형성되는 소변기 본체; 및 상기 배출구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소변과 상기 소변의 배출을 위해 제공되는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되 악취의 역류를 저지시키는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에서 여성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함은 물론, 고정관념으로 취부되어 왔던 여성들의 대소변 겸용 변기를 남성 전용 소변기처럼 소변 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막대한 물자원의 낭비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와 더불어 여성의 소변 시 앞서 사용한 대변 사용자로 인해 불쾌감이 수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ing female-only urinal, the urine space for containing the female urine is provided therein and the outle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the bottom is formed inclined so that the height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outlet. Urinal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discharge unit for preventing odor backflow to prevent the backflow of odor while the wash water provided for the discharge of the urine and the urine is discharged. As a result, it is suitable for women to use in office buildings and public restrooms, and solves the wasteful problem of the huge source of materials by making fecal-use toilets of women who have been fixed as stereotypes and using them as urine for men. In addition,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that is accompanied by discomfort caused by the feces user previously used when urinating women.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에서 여성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함은 물론, 고정관념으로 취부되어 왔던 여성들의 대소변 겸용 변기를 남성 전용 소변기처럼 소변 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막대한 물자원의 낭비적 문제감점을 해결하고 이와 더불어 여성의 소변 시 앞서 사용한 대변 사용자로 인해 불쾌이 수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ing women-only urinal, and more particularly, it is suitable for women to use in office buildings or public toilets, as well as urine stool combined urine for women who have been stereotyped like urine for m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female urinal capable of effectively eliminating the wasteful problem of the huge source of material and by using the exclusive use, and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of discomfort caused by the feces user previously used in women's urine.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소변기는 수세식 남성 전용 소변기이다. 다시 말해, 남성용의 경우에는 대변을 위한 대변기(좌식 양변기)와 소변기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Most urinals currently known are flush male urinal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men, it is used by being divided into a toilet (seat toilet) and a urinal for feces.
근래에 들어 물 부족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물을 사용하지 않는 무수 소변기까지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water shortage has come, even anhydrous urinals have appeared.
하지만, 여성용의 경우에는 대변기와 소변기가 별도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즉 여성의 생식 구조상 입식 소변이 어려워 좌식 소변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변기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However, for women, the toilet and urinals are not separated separately. In other words, because the female reproductive structure is difficult to urinate sedentary urine because it is forced to use a combination of the existing toilet.
따라서 여성들의 경우, 소변 시에도 대변기(혹은 좌식 양변기)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되며, 이로써 물자원의 낭비를 야기하고 있다.Therefore, women use large amounts of water when using urinals (or sedentary toilets) to urinate, causing a waste of resources.
예컨대, 대변기를 1회 사용할 경우 배출되는 물의 양은 약 12 ~ 13ℓ인데, 대변기를 주로 사용하는 여성 1인이 하루에 평균적으로 5 내지 7회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60 ~ 98ℓ 정도의 많은 물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For exampl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when using a toilet is about 12 to 13 ℓ. Considering that one woman who uses the toilet is using 5 to 7 times a day on average, The reality is that water is used.
이 경우, 1회는 대변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며, 나머지 4회 내지 6회는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루 물의 사용량은 55 ~ 70ℓ로 물 부족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In this case, one time is used to excrete feces and the other four to six times are used to excrete urine. In other words, the daily amount of water used to discharge urine is 55 ~ 70ℓ has been pointed out as a cause of water shortage.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15799호의 여성용 소변기가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 문헌에 개시된 여성용 소변기는 물을 절약할 수는 있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recently, the urinal for women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5799 has been proposed, the female urinal disclosed in the document was able to save water, but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there was.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1254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561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1455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7661호 등에도 여성용 소변기가 제안되고 있지만 상품화에는 미치지 못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112540, 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8-0056115, 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9-0014551, 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1-0017661 Even female urinals have been proposed, but they have not been commercialized due to the lack of commercialization.
한편, 여성들의 사회적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 등의 이용 빈도가 격증하고 있는데, 직장 내에서 혹은 외부 활동 시의 대변 횟수와 소변 횟수를 조사해보면 소변 횟수가 월등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대변기를 사용하여 물 낭비를 심각하게 야기 시키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women's social activities increase, the frequency of use of office buildings and public toilets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urinations in the workplace or outside activities is high. As one can, toilets are being used to seriously waste water.
뿐만 아니라 대소변 구분이 없기 때문에, 소변 시 타인의 대변 악취도 함께 겪어야 하는 불쾌함도 수반된다.In addition, because there is no stool classification, it is accompanied by the unpleasantness of urine and other stool odor.
그리고 대소변 겸용 사용을 하게 되어 타인의 배변을 구분할 수 없는 관계로 대변 사용 중인 경우 대기시간이 길어져 배뇨를 참아야 하는 고통을 겪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만약 소변 전용기가 있으면 이러한 문제점이 자동으로 해결될 것이라 예상된다.
In addition, the use of stool combined with other people's bowel can not be distinguished, so if you are using a stool, the waiting time is too long to suffer urination to endure, if there is a urine-only device, this problem will be automatically resolved It is expected.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에서 여성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함은 물론, 고정관념으로 취부되어 왔던 여성들의 대소변 겸용 변기를 남성 전용 소변기처럼 소변 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막대한 물자원의 낭비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와 더불어 여성의 소변 시 앞서 사용한 대변 사용자로 인해 불쾌감이 수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uitable for use by women in office buildings or public toilets, but also by using urine-like toilets for women who have been fixed as a urine-like urine. It is to provide a flush female urinals that can solve the problem and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associated with discomfort caused by the feces user previously used when urinating women.
상기 목적은, 여성의 소변을 담는 소변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전방 쪽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를 향해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형으로 바닥이 형성되는 소변기 본체; 및 상기 배출구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소변과 상기 소변의 배출을 위해 제공되는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되 악취의 역류를 저지시키는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rine space for containing a female urine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the urine main body is formed in an inclined bottom so that the height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a water discharge unit for flushing feminine odor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area so that the washing water provided for the discharge of the urine and the urine is discharged, and the odor counterflow prevention water discharge unit stops the reflux of the odor. Is achieved by.
상기 소변기 본체의 소변공간은 통상의 대변기의 대변공간 용적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urine space of the urinal body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stool space of a conventional toilet.
상기 소변기 본체는 도자기로 제작될 수 있다.The urinal body may be made of porcelain.
상기 소변기 본체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소변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 본체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통한 상기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washing water supply unit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urinal body; A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urinal main body to detect whether the urinal main body is us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supply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based on a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ing sensor.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감지거리에 접근하여 일정 지연시간이 지나면 1차 소량의 물이 상기 소변기 본체 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소변을 마치고 상기 감지거리를 벗어나면 2차 소량의 물로 상기 소변기 본체 내면을 세척하도록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sensing distance passes a certain amount of water after a certain delay time, the urine main body is supplied into the urinal body, when the user finishes urine and the second small amount of water inside the urinal main body The washing water supply may be controlled to wash.
상기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은, 상기 배출부에 인접된 상기 소변기 본체에 결합되며,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된 측벽에 다수의 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상부 캡; 상기 상부 캡의 하단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그릇 형태의 하부 캡;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캡 내의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상부 캡과 상기 하부 캡 간의 공간을 차폐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 역류 방지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odor countercurrent prevention water discharge unit, the upper cap is coupled to the urinal main body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ion,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wall spac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lower cap having a bowl shape in which a lower recess of the upper cap is seated, and a water filled therein;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cap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malodor backflow prevention film to prevent the backflow of odor by shielding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lower cap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in the lower cap.
상기 악취 역류 방지막은 탄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lodor backflow prevention film may be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상기 상부 캡의 외벽에는 상기 악취 역류 방지막이 끼워지는 방지막 끼움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wall of the upper cap may further be formed in the prevention film fitting groove for the odor counter flow prevention film is fitted.
상기 상부 캡은 오링(O-Ring)에 의해 상기 소변기 본체에 기밀 유지될 수 있다.The upper cap may be kept airtight in the urinal body by an O-ring.
상기 상부 캡의 하단 영역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링이 위치되는 상기 상부 캡의 외벽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스커트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may be further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upper cap, and a ski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may be further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upper cap in which the O-ring is loc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에서 여성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함은 물론, 고정관념으로 취부되어 왔던 여성들의 대소변 겸용 변기를 남성 전용 소변기처럼 소변 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막대한 물자원의 낭비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와 더불어 여성의 소변 시 앞서 사용한 대변 사용자로 인해 불쾌감이 수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only suitable for women to use in office buildings or public toilets, but also a wasteful problem of a huge source of material by using the fecal combined toilets of women who have been fixed as a urine-like urine for me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associated with discomfort due to the feces user previously used when urinating wome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대기 모드 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사용 모드 시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의 동작 구도도.
도 5는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의 분해도.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악취 역류 방지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제어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대기 모드 시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사용 모드 시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the flush female ur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by mode.
FIG. 2 is a side view of the flush female urinal shown in FIG. 1 in use mode; FIG.
3 and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water discharge unit for preventing odor backflow shown in Figures 1 and 2, respectively.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water discharge unit for preventing odor backflow.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lodor backflow prevention film.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lushing female-only urinal.
9 is a side view of the flush female ur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by mode.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flush female urinal shown in FIG. 9 in use mode;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대기 모드 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사용 모드 시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의 동작 구도도, 도 5는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의 분해도,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악취 역류 방지막의 개략적인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제어블록도이다.1 is a side view in the standby mode of the flushing female-only ur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in the use mode of the flushing female-only urinal shown in Figure 1, Figures 3 and 4 respectively Operational diagram of the odor countercurrent prevention water discharge unit shown in 1 and 2,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odor countercurrent prevention water discharge unit,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5, Figure 7 is a odor countercurrent prevention film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FIG.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flushing female urinal.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는 현재 가정집이나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 등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세식 변기, 즉 양변기 혹은 좌변기로 불리는 변기와 달리 여성 전용의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로서, 소변기 본체(100)와, 소변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flushing female-only ur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lushing female-only urinal for women, unlike the flushing toilets generally installed in homes, office buildings, or public restrooms, that is, toilets or toilets. ,
소변기 본체(100)는 의자식으로 여성들이 편안하게 앉아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좌식으로 형성된다. 소변기 본체(100)는 도자기, 즉 도기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으므로 소변기 본체(100)는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ters, the
이러한 소변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여성들이 소변을 볼 때, 소변을 담는 소변공간(110)이 내부에 형성된다.Inside the
이때, 소변공간(110)은, 현재 가정집이나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 등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세식 변기, 즉 양변기 혹은 좌변기로 불리는 변기의 대변공간 용적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예컨대, 약 12 ~ 13ℓ정도의 물을 담아 배출시키는 대변기의 대변공간에 비해 본 실시예의 소변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소변공간(110)이 훨씬 작다. 이는 본 실시예의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는 소변 전용이기 때문에, 대변 사용 시보다 적은 양의 물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소변기 본체(100)의 소변공간(110) 하부에는 바닥(111)이 형성되는데, 바닥(111)의 일측에는 소변과 더불어 소변의 세척을 위한 물, 즉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The
이때, 배출구(112)는 소변기 본체(100)의 전방 쪽의 하부에 형성되는데, 소변공간(110) 하부의 바닥(111)은 배출구(112)를 향해 점진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여성이 소변을 눌 때, 보편적으로 소변이 소변기 본체(100)의 전방을 향하게 됨을 감안한 것으로서, 이렇게 제작하게 되면 소변이 소변기 본체(100)의 내벽을 더럽히는 현상을 보다 현실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소변기 본체(100)의 하부 영역에는 배수관(113)이 결합되며, 소변기 본체(100)는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소변기 본체(100)의 후방 일측에는 세척수가 담기는 탱크(130)가 마련될 수 있다.A
도 8을 먼저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에는 세척수 공급부(141), 감지센서(142) 및 제어부(143)가 더 마련된다.Referring first to Figure 8, the flushing female-only ur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washing
세척수 공급부(141)는 소변기 본체(100)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세척수 공급부(141)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세척수 공급부(141)는 소변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제어부(143)에 의해 제어된다.The washing
감지센서(142)는 소변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소변기 본체(100)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즉 소변을 보기 위한 여성이 소변기 본체(100)에 앉아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센서(142)는 소변기 본체(100)의 상면이나 혹은 탱크(130)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근접식 거리센서로 적용될 수 있다.The
제어부(143)는 감지센서(142)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세척수 공급부(141)를 통한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어한다.The
예컨대, 제어부(143)는, 사용자가 감지거리에 접근하여 일정 지연시간이 지나면 1차 소량의 물이 소변기 본체(100) 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소변을 마치고 감지거리를 벗어나면 2차 소량의 물로 소변기 본체(100) 내면을 세척하도록 세척수 공급부(14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1차 소량의 물과 2차 소량의 물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아니면 한 쪽이 많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수 없으므로 제어부(143)는 사용자가 소변을 완료한 그 시점에서 한 번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여 소변을 세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Of course,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limited to this, the
한편,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20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 본체(100)의 배출구(112)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변과 소변의 배출을 위해 제공되는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되 악취의 역류를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to 7, the
본 실시예처럼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200)이 배출구(112)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When the
이러한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200)은, 배출부(111)에 인접된 소변기 본체(100)에 결합되며,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된 측벽에 다수의 물 배출홀(211)이 형성되는 상부 캡(210)과, 상부 캡(210)의 하단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홈(221)이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그릇 형태의 하부 캡(220)과, 일단부는 상부 캡(2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 캡(220) 내의 물의 양에 따라 상부 캡(210)과 하부 캡(220) 간의 공간을 차폐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 역류 방지막(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dor countercurrent
상부 캡(210)은 그 내부가 빈 공간(212)을 형성하며,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된 측벽에 다수의 물 배출홀(211)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배출홀(211)을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물 배출홀(211)이 3개 형성되나 이의 구조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물 배출홀(211)의 개수는 더 많거나 혹은 더 적을 수도 있다.The
상부 캡(210)의 외벽에는 악취 역류 방지막(230)의 단부(230a)가 끼워지는 방지막 끼움홈부(213)가 형성된다. 방지막 끼움홈부(213)에 악취 역류 방지막(230)이 끼워짐으로써 악취 역류 방지막(230)의 설치가 용이한 한편 악취 역류 방지막(230)이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uter wall of the
상부 캡(210)은 오링(O-Ring, 240)에 의해 소변기 본체(100)에 기밀 유지될 수 있는데, 오링(O-Ring, 240)이 위치되는 상부 캡(210)의 외벽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스커트부(214)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캡(210)의 하단 영역에는 상부로 돌출부(215)가 더 형성된다.The
하부 캡(220)은 상부 캡(210)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그릇 형태의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는 상부 캡(210)의 하단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홈(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캡(220)의 내부는 항시 물로 꽉 채워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로 인해서도 악취의 역류는 방지된다.The
악취 역류 방지막(230)은 일단부는 상부 캡(2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 캡(220) 내의 물의 양에 따라 상부 캡(210)과 하부 캡(220) 간의 공간을 차폐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악취 역류 방지막(230)은 탄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Odor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lushing female-only ur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변기가 사용되지 않고 있을 때는 도 3처럼 악취 역류 방지막(230)이 상부 캡(210)과 하부 캡(220) 간의 공간을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 캡(220) 내의 물과 함께 악취의 역류가 방지된다.When the toilet is not in use, the odor
하지만, 변기를 사용할 때는 즉 소변을 배출시키는 동작이 진행될 때는 도 4처럼 소변과 세척수가 상부 캡(210)의 공간(212) 및 다수의 물 배출홀(211)을 통해 하부 캡(220) 내로 향한 후, 하부 캡(220) 내의 물과 함께 하부 캡(220) 내의 공간을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물의 흐름에 따라 발생된 수압에 의해 악취 역류 방지막(230)이 도 4처럼 들리면서 물이 배출된다.However, when using the toilet, 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urine proceeds to the
일정량의 물이 배출되고 나면 자중에 의해 악취 역류 방지막(230)은 도 3처럼 제자리로 배치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After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the malodor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에 따르면, 특히, 사무 빌딩이나 공중 화장실처럼 변기의 개수에 비해 여성 사용자가 많은 장소에서 특히 여성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lush female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and action,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suitable for women, especially in places where there are a lot of female users compared to the number of toilets, such as office buildings or public toilets.
또한 고정관념으로 취부되어 왔던 여성들의 대소변 겸용 변기를 남성 전용 소변기처럼 소변 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막대한 물자원의 낭비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와 더불어 여성의 소변 시 앞서 사용한 대변 사용자로 인해 불쾌감이 수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the feces combined with the urine as a urine-only urine for women, which has been fixed as a male urinal, solves the waste of the enormous source of resources and also causes the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 use of feces users previously used in women's urin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대기 모드 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의 사용 모드 시의 측면도이다.FIG. 9 is a side view in the standby mode of the flush female ur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ide view in the use mode of the flush female urinal shown in FIG. 9.
이들 도면의 경우, 소변기 본체(100a)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소 상이할 뿐 그 동작 및 역할, 세부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se drawings, the shape of the urinal
도 9 및 도 10에도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200)이 소변기 본체(100a)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음은 동일하다.9 and 10 is the same tha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00a : 소변기 본체 110 : 소변공간
111 : 바닥 112 : 배출구
113 : 배수관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30 : 탱크 141 : 세척수 공급부
142 : 감지센서 143 : 제어부
200 :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 210 : 상부 캡
211 : 물 배출홀 212 : 공간
213 : 방지막 끼움홈부 214 : 스커트부
215 : 돌출부 220 : 하부 캡
221 : 안착홈 230 : 악취 역류 방지막
240 : 오링100,100a: urinal body 110: urine space
111: floor 112: outlet
113: drain pipe 120: base plate
130
142: detection sensor 143: control unit
200: water discharge unit for preventing odor backflow 210: upper cap
211: water discharge hole 212: space
213: prevention film fitting groove 214: skirt
215: protrusion 220: lower cap
221: seating groove 230: odor backflow prevention film
240: O-ring
Claims (10)
상기 배출구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소변과 상기 소변의 배출을 위해 제공되는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되 악취의 역류를 저지시키는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A urinal body having a urine space for containing the female urine therein and having an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thereof, the urine body having a bottom formed in an inclined shape such that the height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Flushable female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discharge unit for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area and the effluent reflux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odor while the washing water provided for the discharge of the urine and the urine is discharged.
상기 소변기 본체의 소변공간은 통상의 대변기의 대변공간 용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rine space of the urinal main body is a flushing female-only ur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than the stool space volume of a conventional toilet.
상기 소변기 본체는 도자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Flushable female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urinal body is made of porcelain.
상기 소변기 본체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소변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 본체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통한 상기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 washing water supply unit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urinal body;
A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urinal main body to detect whether the urinal main body is used; And
A flushing female-only urinal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based on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sensor.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감지거리에 접근하여 일정 지연시간이 지나면 1차 소량의 물이 상기 소변기 본체 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소변을 마치고 상기 감지거리를 벗어나면 2차 소량의 물로 상기 소변기 본체 내면을 세척하도록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sensing distance passes a certain amount of water after a certain delay time, the urine main body is supplied into the urinal body, when the user finishes urine and the second small amount of water inside the urinal main body Flushing female-only ur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supply to wash.
상기 악취 역류 저지용 물 배출유닛은,
상기 배출부에 인접된 상기 소변기 본체에 결합되며, 하단에서 상부로 이격된 측벽에 다수의 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상부 캡;
상기 상부 캡의 하단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그릇 형태의 하부 캡;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캡 내의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상부 캡과 상기 하부 캡 간의 공간을 차폐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 역류 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dor countercurrent water discharge unit,
An upper cap coupled to the urinal body adjacent to the discharge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formed on sidewalls spac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 lower cap having a bowl shape in which a lower recess of the upper cap is seated, and a water filled therein;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cap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odor backflow prevention film to prevent the backflow of odor by shielding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lower cap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water in the lower cap urinal.
상기 악취 역류 방지막은 탄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dor backflow prevention membrane is a flushing female-only ur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elastic silicone material.
상기 상부 캡의 외벽에는 상기 악취 역류 방지막이 끼워지는 방지막 끼움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lushing female-only ur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wall of the upper cap is further formed with a prevention film fitting groove for the malodor backflow prevention film is fitted.
상기 상부 캡은 오링(O-Ring)에 의해 상기 소변기 본체에 기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pper cap is flush female feminine ur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tight is maintained in the urinal body by O-Ring (O-Ring).
상기 상부 캡의 하단 영역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오링이 위치되는 상기 상부 캡의 외벽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스커트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여성 전용 소변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p is further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s,
Flushable female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ap is located in the outer wall of the skirt further extending downw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3532A KR20130021167A (en) | 2011-08-22 | 2011-08-22 | Urinal system for wom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3532A KR20130021167A (en) | 2011-08-22 | 2011-08-22 | Urinal system for wom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1167A true KR20130021167A (en) | 2013-03-05 |
Family
ID=4817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3532A KR20130021167A (en) | 2011-08-22 | 2011-08-22 | Urinal system for wom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2116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9284B1 (en) * | 2013-08-06 | 2014-02-05 | 정운진 | A urinal for women only |
-
2011
- 2011-08-22 KR KR1020110083532A patent/KR20130021167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9284B1 (en) * | 2013-08-06 | 2014-02-05 | 정운진 | A urinal for women on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283292A1 (en) | System for minimizing water usage and splash during urination | |
CN104088347B (en) | Fully automatic water-saving splashproof stern Crouching and sitting dual-purpose closet | |
WO2014035339A1 (en) | Sitting and squatting water closet with seat inner wall flushing | |
CN204715498U (en) | A kind of urinal | |
CN105507403A (en) | Full-automatic oil sealing type toilet bowl | |
KR20230127329A (en) | Urinals, toilet bowls and toilet seats | |
KR20130021167A (en) | Urinal system for women | |
US3490080A (en) | Bidet | |
CN209799461U (en) | Integral toilet system | |
KR100989201B1 (en) | Flush toilet | |
CN203924287U (en) | A kind of closet of anti-peculiar smell splash-proof | |
CN104032819A (en) | Toilet bowl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dor and splashing | |
CN2910082Y (en) | Sanitary toilet utensil | |
CN2515296Y (en) | Foaming deodorization device for bowl of lavatory | |
KR101865881B1 (en) | Toilet | |
CN219374205U (en) | Plastic stool with hole in middle | |
CN205421476U (en) | Shit and urine toilet | |
WO2019155449A1 (en) | Healthy modern elevated squatting toilet seat with easy installation | |
CN221577570U (en) | Closestool with sterilization function | |
KR20130014667A (en) | An egg- type urinal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rine flick controlled using a pedal | |
CN210621861U (en) | Integrated closestool | |
CN203878699U (en) | Splashing-preventing pedestal pan with sofa type fixing chair | |
US11149424B2 (en) | Restroom system | |
CN210315881U (en) | Portable urinal | |
CN212452960U (en) | Public disabled person's stool 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21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4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1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