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21099A -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099A
KR20130021099A KR1020110083419A KR20110083419A KR20130021099A KR 20130021099 A KR20130021099 A KR 20130021099A KR 1020110083419 A KR1020110083419 A KR 1020110083419A KR 20110083419 A KR20110083419 A KR 20110083419A KR 20130021099 A KR20130021099 A KR 20130021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harging
frequency
operating frequenc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엽
오승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1099A/ko
Priority to US13/584,171 priority patent/US9065536B2/en
Priority to EP12180504.8A priority patent/EP2562939B1/en
Publication of KR2013002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introduction of puls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05Reducing noise, e.g. humm, from th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능을 달리하는 적어도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이 제1동작 주파수로 구동하는 과정; 상기 제1모듈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2모듈의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듈의 제1동작 주파수를 제2동작 주파수로 변경하는 과정; 및 상기 제2동작 주파수로 상기 제1모듈을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 구동 시 발생하는 전자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제품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F ELECTROMAGNETIC WAVE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 감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다수의 모듈 구동 시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통화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카메라 기능, 음악 감상 기능,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능, 이메일(E-mail) 서비스 기능, 위치 기반 서비스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구동 시 전자파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전자파는 인체에 좋지않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도록 규제되고 있다. 하지만, 각 모듈이 구동할 때 상기 휴대 단말기가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더라도 상기 다수의 모듈이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 각 모듈의 동작 주파수들이 서로 믹싱(Mixing)되거나 간섭(Interference)되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충전 모드에서 카메라가 구동되는 경우 종래 휴대 단말기는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모듈 동작 시 휴대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달리하는 적어도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은 상기 제1모듈이 제1동작 주파수로 구동하는 과정; 상기 제1모듈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2모듈의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듈의 제1동작 주파수를 제2동작 주파수로 변경하는 과정; 및 상기 제2동작 주파수로 상기 제1모듈을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을 위한 충전부 및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은 상기 충전부가 기 설정된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카메라 모드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카메라 모드가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의 상기 제1충전 주파수를 제2충전 주파수로 변경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장치는 기능을 달리하는 적어도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이 제1동작 주파수로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2모듈의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듈의 제1동작 주파수를 제2동작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1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모듈 구동 시 발생하는 전자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제품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부의 충전 주파수 변경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종래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다수의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다수의 모듈이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각 모듈의 구동 주파수가 믹싱(Mixing) 또는 간섭(Interference)되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모듈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제2모듈이 구동되는 경우 제1모듈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여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제1모듈은 충전부이며, 상기 제2모듈은 카메라부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부의 충전 주파수 변경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페이스부(170), 배터리(160), 카메라부(150), 충전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배터리(160) 충전 중 카메라부(150)가 구동되는 경우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가 변경되었음을 통지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배터리 잔량, 수신 강도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에 기 설정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130)는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팝업창을 일정 시간 (예컨대 1초)동안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미도시)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USB 데이터 케이블, USB 충전 케이블, 여행용 충전기(Travel Adaptor : TA), 이어폰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배터리(16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예컨대 TA, USB 충전 케이블 등)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40)는 인터페이스부(170)에 연결된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전부(140)는 배터리(160) 충전을 위한 충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전부(140)는 노멀 상태에서는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상기 카메라부(150)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140)는 제2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카메라부(15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충전 주파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부(140)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 PWM) 방식인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140)는 펄스 폭을 변경하여 충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전부(140)는 노멀 상태에서 폭 T를 가지는 펄스에 따라 배터리(160)를 충전하고, 카메라부(150) 구동 시 폭 T+α를 가지는 펄스에 따라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카메라 구동 시 펄스 폭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상기 카메라 구동 시 펄스 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160)는 휴대 단말기(100) 및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이러한 상기 배터리(160)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용 2차 전지로써, 니켈 전지, 카드뮴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화학 전지, 리튬-이온 전지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60)는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160)는 노멀 상태에서는 제1충전 주파수로 충전되고, 상기 카메라부(140) 구동시 제2충전 주파수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5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일반적으로 12 Mhz ~ 48 Mhz의 동작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주파수는 MCLK(Main CLocK) 및 PCLK(Peripheral C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과 같은 피사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리사이즈(Resize), 메모리간 이동, RGB 신호 변환, A/D 변환, 잡음 제거, 디지털 줌(Digital Zoom), 회전(Rotation), 인코딩(Encoding) 등의 이미지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처리부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충전 중 상기 카메라부(15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충전 모드에서 카메라부(15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70)에 충전 장치(예컨대 USB 충전 케이블, TA 등)가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장치 연결 인식 시 상기 제어부(110)는 디폴트 충전 주파수인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부(150)가 구동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부(150)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를 제2충전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충전부(14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제1충전 주파수와 카메라부(150)의 동작 주파수가 믹싱(Mixing) 또는 간섭(Interference)되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예컨대 복사성 방출(Radiated Emission : RE))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2충전 주파수는 카메라부(150)의 동작 주파수와 믹싱 또는 간섭되지 않거나, 믹싱 또는 간섭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부(150)의 구동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140)가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150)의 구동이 종료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충전부(140)의 제2충전 주파수를 제1충전 주파수로 복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이후, 3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 모드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드는 인터페이스부(170)에 충전 장치(TA, USB 충전 케이블 등) 연결 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 장치 연결을 감지하기 위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단자 또는 인터럽트(Interrup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305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 통화 기능, 메시지 작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충전 모드가 활성화되면, 307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기본 충전 주파수인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하도록 충전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하도록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충전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I2C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I2C 방식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309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드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31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카메라 모드가 활성화되면, 311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를 제2충전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 주파수는 카메라부(140)의 동작 주파수와 믹싱 또는 간섭되지 않거나, 믹싱 또는 간섭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부(150)가 24MHz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2충전 주파수는 22 MHz 또는 26 MHz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충전 주파수는 22 MHz 또는 26 MHz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2충전 주파수는 설계자가 실험을 통해 카메라부(150)와 충전부(140)이 동시에 구동될 때 전자파 발생이 가장 적은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주파수의 변경이 완료되면, 313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제2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하도록 충전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315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315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카메라 모드가 종료되면, 317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160)를 충전하도록 충전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부(140)의 제2충전 주파수를 제1충전 주파수로 복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319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충전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상기 309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충전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110)는 충전부(140)를 비활성화 시키고,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충전 모드 중 카메라부(150)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부(150)가 구동되는 경우 충전부(140)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종래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그래프(a)는 종래 휴대 단말기와 같이 충전부(140)와 카메라부(150)가 함께 구동되었을 때 상기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전자파(예컨대 복사성 방출(Radiated Emission : RE))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제2그래프(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충전부(140)와 카메라부(150)가 함께 구동되었을 때, 충전부(140)의 충전 주파수를 변경한 후 전자파(예컨대 복사성 방출(Radiated Emission : RE))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기 제1그래프(a) 및 제2그래프(b)에서 식별 부호 410은 복사성 방출(RE)의 허용 기준치를 나타낸다. 상기 제1그래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40)와 카메라부(150)가 함께 구동되는 경우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기준치 이상의 복사성 방출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그래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40)와 카메라부(150)가 함께 구동되더라도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기준치 이상의 복사성 방출(RE)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메라부와 충전부가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 적어도 제1모듈 및 제2모듈이 함께 구동되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모듈이 제1동작 주파수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모듈의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제1모듈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여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예컨대 복사성 방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40 : 충전부 150 : 카메라부
160: 배터리 170 : 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기능을 달리하는 적어도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이 제1동작 주파수로 구동하는 과정;
    상기 제1모듈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2모듈의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듈의 제1동작 주파수를 제2동작 주파수로 변경하는 과정; 및
    상기 제2동작 주파수로 상기 제1모듈을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이 상기 제2동작 주파수로 구동하는 도중 상기 제2모듈의 구동이 종료되면, 상기 제1모듈을 제1동작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의 제2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2모듈의 동작 주파수와 믹싱 또는 간섭되지 않거나, 믹싱 또는 간섭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4. 적어도 충전을 위한 충전부와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가 기 설정된 제1충전 주파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
    상기 배터리 충전 중 카메라 모드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카메라 모드가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의 상기 제1충전 주파수를 제2충전 주파수로 변경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전 주파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 상기 카메라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충전부가 상기 제2충전 주파수를 상기 제1충전 주파수로 변경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파수로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충전부를 상기 제2모듈의 구동이 종료될 때까지 비활성화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7. 기능을 달리하는 적어도 제1모듈 및 제2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이 제1동작 주파수로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2모듈의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듈의 제1동작 주파수를 제2동작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1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듈이 상기 제2동작 주파수로 구동하는 도중 상기 제2모듈의 구동이 종료되면, 상기 제1모듈의 제2동작 주파수를 상기 제1동작 주파수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2모듈의 동작 주파수와 믹싱 또는 간섭되지 않거나, 믹싱 또는 간섭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부이고, 상기 제2모듈은 피사체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펄스 폭 변조 방식이고, 펄스 폭을 변경하여 충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상기 카메라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장치.
KR1020110083419A 2011-08-22 2011-08-22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30021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19A KR20130021099A (ko) 2011-08-22 2011-08-22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US13/584,171 US9065536B2 (en) 2011-08-22 2012-08-13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waves in mobile device
EP12180504.8A EP2562939B1 (en) 2011-08-22 2012-08-15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waves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19A KR20130021099A (ko) 2011-08-22 2011-08-22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99A true KR20130021099A (ko) 2013-03-05

Family

ID=4679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19A KR20130021099A (ko) 2011-08-22 2011-08-22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65536B2 (ko)
EP (1) EP2562939B1 (ko)
KR (1) KR201300210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721A (ko) * 2018-03-26 2020-11-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8039A (zh) * 2013-05-20 2014-11-2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辐射转换方法、装置和终端
US10014705B2 (en) 2015-04-02 2018-07-03 Apple Inc. Signal quality dependent throttling of device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10749368B2 (en) * 2017-06-01 2020-08-18 Logitech Europe S.A. Computer mouse clock tuning to reduce electromagnetic induced noise in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11329507B2 (en) * 2018-06-29 2022-05-10 Google Llc Camera with reduced image noise resulting from wireless 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076B2 (en) * 2002-06-05 2005-05-10 Nokia Corporation 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DVB-T) receiver interoperable with a GSM transmitter in a non-interfering manner using classmark change procedure
US7157886B2 (en) * 2002-10-21 2007-01-02 Microsemi Corp. —Power Products Group Power converter method and apparatus having high input power factor and low harmonic distortion
WO2007099411A1 (en) * 2006-02-28 2007-09-07 Nokia Corporation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US7327121B2 (en) 2006-05-12 2008-02-05 Goodti Industrial Co., Ltd. Charger having output voltage regulating function
EP2302756A1 (en) 2009-09-24 2011-03-30 ConvenientPower HK Limited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US20110199045A1 (en) * 2010-02-15 2011-08-18 Convenientpower Hk Ltd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721A (ko) * 2018-03-26 2020-11-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5005A1 (en) 2013-02-28
US9065536B2 (en) 2015-06-23
EP2562939B1 (en) 2019-04-24
EP2562939A2 (en) 2013-02-27
EP2562939A3 (en)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589B1 (ko) 전자장치에서 급속충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82511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683761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US95839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ath of mobile terminal
US201200712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mart Phone Charger
KR20100072857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럽트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140137848A (ko)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CN110225167B (zh) 终端及处理方法
KR20130021099A (ko)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US20130117552A1 (en) Method for changing receiving mod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6786961A (zh) 充电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9842755A (zh) 一种马达的控制方法、控制电路及电子设备
JP5464658B2 (ja) 端末装置及び無接点型電子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50123437A (ko) 이동 단말기
US95091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current in portable terminal
CN115065128A (zh) 电子设备及充电控制方法
CN106973138A (zh)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0022527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US103407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CN104182156A (zh) 触屏设备及其批量选择方法与装置
KR20150042066A (ko) 부팅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16999B2 (en) Audible signal attenuating printed circuit board
CN110784001A (zh) 充电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5808133A (zh) 控制电子装置音频播放的方法及其设备
CN111984107B (zh) 一种终端设备供电异常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