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975A - Standing wheel device for the motorcycles - Google Patents
Standing wheel device for the motorcy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7975A KR20130017975A KR1020110080745A KR20110080745A KR20130017975A KR 20130017975 A KR20130017975 A KR 20130017975A KR 1020110080745 A KR1020110080745 A KR 1020110080745A KR 20110080745 A KR20110080745 A KR 20110080745A KR 20130017975 A KR20130017975 A KR 201300179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ss
- wheel
- shaft
- motorcycle
- sta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제1 보스(11)와 제2 보스(12)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10); 제1 보스(11)에 제3보스(21)가 선회되도록 제1축(A1)으로 축 결합되고, 제3 보스(21)와 이격된 위치에 제4보스(22)가 형성된 링크 프레임(20); 제2보스(11)에 실린더(61)의 제10보스(612)가 선회되도록 제2축(A2)으로 축 결합되고, 제4보스(22)에 피스톤 로드(62)의 로드 단부(622)가 선회되도록 제3축(A3)으로 축 결합되며, 공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62)를 구동하여휠(50)을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60); 링크 프레임(20)에 설치되는 휠 프레임(30); 및 휠 프레임(30)의 일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휠(50);을 포함하고, 휠(50)이 상승 위치일 때에 제1축(A1)과 제2축(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제1축(A1)과 제3축(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1 각도(a)는 8°내지 24°이며, 휠(50)이 하강 위치일 때에 제1축(A1)과 제2축(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제1축(A1)과 제3축(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2각도(b)는 80°내지 110°인 것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10 having a first boss 11 and a second boss 12 formed therein; The link frame 20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A1 so that the third boss 21 is pivoted on the first boss 11 and the fourth boss 2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ird boss 21. ); The rod end 622 of the piston rod 62 is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A2 so that the tenth boss 612 of the cylinder 61 is pivoted to the second boss 11. An actuator (60) coupled to the third shaft (A3) so as to pivot and driving the piston rod (62) by pneumatic to lift and lower the wheel (50); A wheel frame 30 installed on the link frame 20; And a wheel 50 installed to rotate on one side of the wheel frame 30, wherein the first line formed by the first axis A1 and the second axis A2 when the wheel 50 is in an up position. The first angle a formed by the second line L2 formed by the first axis A1 and the third axis A3 based on L1) is 8 ° to 24 °, and the wheel 50 is in the lowered position. The second line formed by the second line L2 formed by the first axis A1 and the third axis A3 based on the first line L1 formed by the first axis A1 and the second axis A2 Angle b includes from 80 ° to 110 °.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사이클이 서행 또는 정지 중에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to maintain the posture so that the motorcycle does not fall during slow motion or stop.
일반적으로 모터사이클은 서행하거나 정지 중에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여야 한다.In general, motorcycles should be kept in a stable position so that they do not fall down or fall down while stopped.
모터사이클이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는 방안으로는 탑승자의 하체를 이용하여 자신의 다리로 버티는 경우가 있지만, 신체적인 조건이 불리한 탑승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다리로 버티기에 버거운 문제점이 있다.As a way of maintaining the posture so that the motorcycle does not fall, but may be sustained by his leg using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in the case of an unfavorable physical con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dure with his leg.
특히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비해 모터사이클의 차고가 높을 경우에 자세가 모터사이클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우러져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garage height of the motorcycle is higher tha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ture of the motorcycle is inclined to either side.
또한, 주행 중에 신호대기의 이유로 빈번하게 정지가 반복될 경우에 탑승자 자신의 다리를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op is frequently repeated for reasons of signal waiting while driving, the operation of raising or lowering the passenger's own legs is repeated, which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모터사이클의 양측에 보조의 휠(wheel)을 장착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고, 이는 후술한 특허문헌에 나타나 있다.As a technique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que for mounting an auxiliary wheel on both sides of the motorcycle has been proposed, which is shown in the patent document described below.
특허문헌에 의하면, 휠을 상시적으로 지면에 닿도록 배치하는 기술이 있는데, 이는 일반 주행에서는 주행저항으로 작용하여 오히려 모터사이클 운행에 방해되는 경향이 있다.According to the patent literature, there is a technique for arranging the wheel to constantly contact the ground, which acts as a driving resistance in general driving, and tends to be hindered in motorcycle driving.
또한 다른 특허문헌에 의하면, 휠이 암 프레임에 설치되고 암 프레임의 한쪽 끝은 축 결합되어 휠이 선회되는 구성이며, 일반 주행일 때에 휠을 들어 올리고 서행 또는 정지 중에 휠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patent document, the wheel is installed in the arm frame and one end of the arm frame is axially coupled so that the wheel is pivoted and lifts the wheel during normal driving and lowers the wheel during slow motion or stop.
이때 휠이 내려진 상태에서 휠에 모터사이클의 하중이 작용하고 이러한 하중에 견디어야만 모터사이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암 프레임의 세워진 상태에서 모터사이클의 하중에 견디기에는 강성이 약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load of the motorcycle is applied to the wheel while the wheel is lowered, and the vehicle must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motorcycle only when it bears the load. However,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of weak rigidity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motorcycle in the standing state of the arm frame.
한편, 모터사이클의 하중에 안정적으로 견딜 정도로 제안된 종래의 기술이 있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휠과 암 프레임과 암 프레임을 구동시키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전체적인 구성의 부피가 크고 이로써 모터사이클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모터사이클에 부가장치를 추가 장착한 느낌을 가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re is a conventional technique proposed to stably withstand the load of the motorcycle, such a prior 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ctuator for driving the wheel, the arm frame and the arm frame,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large and thereby the motor Not harmonized with the cycle, there is a problem that makes the motorcycle feel the additional attach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휠을 올린 상태를 유지하고, 서행 또는 정지 중에는 휠을 내려서 모터사이클이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which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wheel is raised during normal driving and maintains a posture so that the motorcycle does not fall by lowering the wheel during slow motion or stop.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을 내려서 세웠을 때에 모터사이클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높은 강성이 가지도록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cycle standing wheel device that has a high rigidity so as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motorcycle when the wheel is lowe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휠을 올렸을 때에 휠을 모터사이클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스탠딩 휠 장치와 모터사이클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in which the standing wheel device and the motorcycle have a sense of unity by bringing the wheel into harmony with the motorcycle when the wheel is rais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제1 보스(11)와 제2 보스(12)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10); 상기 제1 보스(11)에 제3보스(21)가 선회되도록 제1축(A1)으로 축 결합되고, 상기 제3 보스(21)와 이격된 위치에 제4보스(22)가 형성된 링크 프레임(20); 상기 제2보스(11)에 실린더(61)의 제10보스(612)가 선회되도록 제2축(A2)으로 축 결합되고, 상기 제4보스(22)에 피스톤 로드(62)의 로드 단부(622)가 선회되도록 제3축(A3)으로 축 결합되며,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62)를 구동하여 상기 휠(50)을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60); 상기 링크 프레임(20)에 설치되는 휠 프레임(30); 및 상기 휠 프레임(30)의 일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휠(50);을 포함하고, 상기 휠(50)이 상승 위치일 때에 상기 제1, 제2축(A1)(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3축(A1)(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1 각도(a)는 8°내지 24°이며, 상기 휠(50)이 하강 위치일 때에 상기 제1, 제2축(A1)(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3축(A1)(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2각도(b)는 80°내지 11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including: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상기 제1, 제2축(A1)(A2)간의 제1 거리와 상기 제2축(A2)와 제3축(A3)간의 제2 거리의 비율은 1: 4 내지 8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cond axis (A1) (A2) and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xis (A2) and the third axis (A3). The ratio of 1: may be 4 to 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상기 링크 프레임(20)과 상기 휠 프레임(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휠(50)에 작용되는 충격 또는 하중을 흡수하도록 하는 댐퍼 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퍼 유닛(40)은, 상기 링크 프레임(20)에는 상기 제3 보스(21)와 상기 제4보스(22)의 사이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제5보스(23)와 제6보스(24)가 형성되고, 상기 휠 프레임(30)에는 상기 제5보스(23)에 제7보스(31)이 선회되도록 제4축(A4)으로 축 결합되고, 상기 제7보스(31)와 이격된 위치에 제8보스(32)가 형성되며, 상기 제6보스(24)에 제5축(A5)으로 축 결합되는 제1 스프링 샤프트(41); 상기 제8보스(32)에 제6축(A6)으로 축 결합되는 제2 스프링 샤프트(42); 상기 제1 스프링 샤프트(41)와 상기 제2 스프링 샤프트(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휠(50)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 스프링(43); 및 상기 제1 스프링 샤프트(4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고 일측은 상기 댐핑 스프링(43)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 스프링(43)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장력 조절 볼트(4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er unit disposed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상기 휠(50)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4축(A4)은 제1, 제3 축(A1)(A3)을 잇는 제2선(L2)과 제2, 제3축(A2)(A3)을 잇는 제3선(L3)의 사이에서 상기 제2선(L2)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상기 실린더(61)의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62)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팽창 스프링(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상기 바디 프레임(10)과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한쪽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거동 무제한, 상기 휠(50)의 상승위치 고정 및 상기 휠(20)의 하강위치 고정하도록 하는 록킹 유닛(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의 상기 록킹 유닛(13)은,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키 보스(144); 상기 키 보스(144)의 개구부 일측에 상호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1, 제2, 제3 키 홈(131)(132)(133);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제1축(A1)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4, 제5 키 홈(134) (135); 및 상기 키 보스(144)에 키 샤프트(143)가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키 샤프트(413)의 외경부에 각각 제1, 제2 키(141)(142)가 형성된 키 유닛(14);을 포함하여,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거동 무제한일 때에는 상기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1 키 홈(131)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2 키 홈(132)에 삽입되고, 상기 휠(50)의 상승위치 고정일 때에는 상기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3 키 홈(133)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4 키 홈(134)에 삽입되며, 상기 휠(50)의 하강위치 고정일 때에는 상기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3 키 홈(133)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5 키 홈(135)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제1 스텝(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상기 제1 스텝(70)의 한쪽에 피봇 유닛(7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제1 스텝(70)보다 높은 위치에서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제2 스텝(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apparatus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휠을 올린 상태를 유지하고, 서행 또는 정지 중에는 휠을 내려서 모터사이클이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e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wheel is raised during normal driving, and maintain the posture so that the motorcycle does not fall by lowering the wheel during slow motion or sto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휠을 내려서 세웠을 때에 모터사이클의 대부분의 하중이 링크 프레임에 집중되고, 일부의 하중이 액추에이터에 분산되어 지지되는 구조로써 하중에 강한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모터사이클의 하중에 견딜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most of the load of the motorcycle is concentrated in the link frame when the wheel is pulled down, and some of the load is distributed and supported by the actuator, and thus has high rigidity. It can withstand the load of the motorcy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휠을 올렸을 때에 시야에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링크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전체적인 구성이 부피가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소형화되어 제공되므로 모터사이클과 조화를 이루어 스탠딩 휠 장치와 모터사이클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armonized with the motorcycle because the link frame which is most prominent in the field of view when the wheel is raised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smaller volume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can be seen that the standing wheel device and the motorcycle have a sense of unity.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가 적용된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스탠딩 휠 장치가 세워진 상태에서 부하가 작용될 때와 부하가 작용되지 않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스탠딩 휠 장치가 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의 결합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스탠딩 휠 장치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록킹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굴절되는 각각의 축을 도식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내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when a load is applied and a load is not applied in a standing wheel device in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tanding wheel device is raised i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standing wheel device i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each axis refracted by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첨부도면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가 적용된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스탠딩 휠 장치가 세워진 상태에서 부하가 작용될 때와 부하가 작용되지 않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스탠딩 휠 장치가 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standing wheel apparatus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nding wheel apparatus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when a load is applied and when a load is not applied in a standing wheel device in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diagram for describing a state in which a standing wheel device is raised in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D)는 바디 프레임(10)과 링크 프레임(20)이 제1축(A1)으로 축 결합되고, 바디 프레임(10)과 액추에이터(60)가 제2축(A2)으로 축 결합되며, 액추에이터(60)의 피스톤 로드(62)는 로드 단부(622)가 링크 프레임(20)과 제3축(A3)으로 축 결합된다.In the standing wheel device D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술한 액추에이터(60)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62)를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동하게 하고, 공압은 모터사이클(8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또한, 링크 프레임(20)의 타측에는 휠 프레임(30)이 거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휠 프레임(30)에는 휠(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링크프레임(20)과 휠 프레임(30)의 사이에는 댐퍼 유닛(4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프레임(20)이 펼쳐지면 휠(50)이 지면(G, G2)에 휠(50)이 닿게 되는데, 이때 휠(50)에 압력이 작용되어 밀리고, 밀리는 변위는 상술한 댐퍼 유닛(40)에서 수용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and 3, when the
한편, 휠(50)에 압력 또는 부하가 작용되지 않았을 때에는 지면(G, G2)보다 낮은 위치(G1)에 위치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no pressure or load is applied to the
특히, 주행도로는 단면을 살펴보면 중앙선에서 도로 가장자리 쪽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므로 모터사이클(80)을 균형을 잡고 주행하더라도 좌우측에 배치되는 스탠딩 휠 장치(D)의 휠(50)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driving road is inclined toward the edge of the road from the center line, even if the
또한, 바디 프레임(10)과 링크 프레임(20)의 한쪽에는 록킹 유닛(13)이 더 구비될 수 있고, 록킹 유닛(13)은 링크 프레임(20)의 거동을 제한하지 않는 무제한 상태, 휠(50)위 상승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승위치 고정, 휠(50)의 하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하강위치 고정 작용을 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또한, 바디 프레임(10)의 상측에는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제1 스텝(70)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스텝(70)의 한쪽에는 제2 스텝(7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스텝(71)은 피봇 유닛(72)에 의해 선회가 가능하도록 구서되며, 제2 스텝(71)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제1스텝(7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 스텝(71)에 발을 디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휠 장치(D)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ing wheel device (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바디 프레임(10)은 하측에 제1 보스(11)와 제2 보스(12)가 이격된 위치로 형성된다.The
링크 프레임(20)은 제1 보스(11)에 제3보스(21)가 선회되도록 제1축(A1)으로 축 결합되고, 제3 보스(21)와 이격된 위치에 제4보스(22)가 형성된다.The
한편, 링크 프레임(20)은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제1, 제2 링크프레임(20L)(20R)으로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상술한 액추에이터(60)는 링크 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액추에이터(60)이 보호될 수 있다.Meanwhile, the
액추에이터(60)는 제2보스(11)에 실린더(61)의 제10보스(612)가 선회되도록 제2축(A2)으로 축 결합되고, 제4보스(22)에 피스톤 로드(62)의 로드 단부(622)가 선회되도록 제3축(A3)으로 축 결합되며, 공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62)를 구동하여 휠(50)을 승강시킨다.The
한편, 실린더(61)의 내에 팽창 스프링(63)이 더 배치될 수 있고, 팽창 스프링(63)은 피스톤 로드(62)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며, 링크 프레임(20)이 상승위치에서 하강을 시작할 때에 실린더(61)에 작용되는 공압의 부하를 경감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휠(50)이 하강위치일 때에 휠(50)은 지면과 닿고 있으므로 모터사이클(80)의 하중이 휠(50)에 작용되고, 그 하중은 링크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지만, 일부의 하중은 액추에이터(60)에 작용되는데 이때 팽창 스프링(63)은 복원력에 의해 액추에이터(60)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In addition, since the
댐퍼 유닛(40)은 첨부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의 결합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프레임(20)에는 제3 보스(21)와 제4보스(22)의 사이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제5보스(23)와 제6보스(24)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휠 프레임(30)에는 제5보스(23)에 제7보스(31)이 선회되도록 제4축(A4)으로 축 결합되고, 제7보스(31)와 이격된 위치에 제8보스(32)가 형성된다.The
제6보스(24)에 제5축(A5)으로 제1 스프링 샤프트(41)가 축 결합된다.The
제8보스(32)에 제6축(A6)으로 제2 스프링 샤프트(42)가 축 결합된다.The
제1 스프링 샤프트(41)와 제2 스프링 샤프트(42)의 사이에 댐핑 스프링(43)이 배치되고, 댐핑 스프링(43)은 휠(50)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한다.A damping
한편, 제1 스프링 샤프트(41)에 암나사(44)가 형성되고, 그 암나사(44)에는 장력 조절 볼트(45)가 체결될 수 있으며, 장력 조절 볼트(45)의 한쪽에는 상술한 댐핑 스프링(43)과 맞닿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장력 조절 볼트(45)를 조절함으로써 댐핑 스프링(4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tension of the damping
한편, 상술한 제2 스프링 샤프트(42)에는 스프링 시트(46)가 형성되어 댐핑 스프링(43)을 정렬시키고 댐핑 스프링(43)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한편, 휠 프레임(30)은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제1, 제2 휠 프레임(30L)(30R)으로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상술한 휠(50)는 휠 프레임(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휠(50)이 보호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술한 록킹 유닛(13)은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locking
첨부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스탠딩 휠 장치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록킹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unit for fixing a standing wheel device in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록킹 유닛(13)은 링크 프레임(20)의 거동 무제한, 휠(50)의 상승위치 고정 및 휠(20)의 하강위치 고정하도록 한다.The locking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유닛(13)은 바디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키 보스(144)가 형성되고, 키 보스(144)의 개구부 일측에 상호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제1, 제2, 제3 키 홈(131)(132)(133)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또한, 링크 프레임(20)의 제1축(A1)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4, 제5 키 홈(134) (135)이 형성된다.In addition, fourth and fifth
또한, 키 보스(144)에 키 샤프트(143)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키 유닛(14)이 구비되며, 키 유닛(14)읜 키 샤프트(143)의 외경부에 각각 제1, 제2 키(141)(14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링크 프레임(20)은 제1 축(A1)으로 선회 거동되는데, 이때 링크 프레임(20)의 거동을 제한하지 않을 때에는,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1 키 홈(131)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2 키 홈(132)에 삽입되도록 키 보스(144)에 키 유닛(14)을 삽입하며, 이로써 키 유닛(14)은 링크 프레임(20)의 선회거동에 방해되지 않고, 이는 스탠딩 휠 장치(D)를 상승/하강 작용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때이다.The
한편, 휠(50)의 상승위치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3 키 홈(133)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4 키 홈(134)에 삽입되며, 이로써 링크프레임(20)이 상승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이는 스탠딩 휠 장치(D)를 이용하지 않을 때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ising position of the
한편, 휠(50)의 하강위치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3 키 홈(133)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5 키 홈(135)에 삽입되며, 이로써 링크프레임(20)이 하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이는 모터사이클(80)을 장시간 세워둘 때에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D)의 구조적인 특징을 첨부도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tructural features of the standing wheel device D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첨부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에서 굴절되는 각각의 축을 도식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내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each axis refracted by a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축(A1)과 제2축(A2)간의 제1 거리(L1 참조)와 제1, 제3축(A1)(A3)간의 제2 거리(L2 참조)의 비율은 1: 4 내지 8일 수 있다. 이때 제2 거리가 제1 거리보다 4배 이상이면 모터사이클(80)에 스탠딩 휠 장치(D)에서 지면까지의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2 거리가 제1 거리보다 8배 이하이면 휠(50)이 상승위치에서 하강위치로 작용될 때에 액추에이터(60)의 작용되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The ratio of the first distance (see L1) between the first axis A1 and the second axis A2 and the second distance (see L2) between the first and third axes A1 (A3) is 1: 4 to 8 Can be.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distance is four times or more than the first distance, the distance from the standing wheel device D to the ground may be secured to the
한편, 휠(50)이 상승 위치일 때에, 제1축(A1)과 제2축(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제1축(A1)과 제3축(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1 각도(a)는 8°내지 24°일 수 있다. 이때 제1각도(a)가 8°이상이면 휠(50)이 상승위치에서 하강위치로 작용할 때에 액추에이터(60)에 작용하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각도(a)가 24°이하이면 링크 프레임(20)의 크기를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고 이로써 스탠딩 휠 장치(D)를 소형화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휠(50)이 하강 위치일 때에, 제1축(A1)과 제2축(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제1축(A1)과 제3축(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2각도(b)는 80°내지 110°일 수 있다. 이때 제2각도(b)가 80°내지 110°이면 링크 프레임(20)이 최대한 펼쳐져 휠(50)이 지면에 압력을 작용하면서 닿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다른 한편으로, 휠(50)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 제4축(A4)은 제1, 제3 축(A1)(A3)을 잇는 제2선(L2)과 제2, 제3축(A2)(A3)을 잇는 제3선(L3)의 사이에서 제2선(L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휠(50)에 작용되는 하중은 휠 프레임(30)을 매개로 링크 프레임(20)과 액추에이터(60)에 전달되어 작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때 휠(50)에 작용되는 하중이 액추에이터(60)에 비교하여 링크 프레임(20)에 더 크게 작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ad applied to the
한편, 링크 프레임(20)은 수축작용이 되지 않는 기구 구조물이고, 액추에이터(6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정도의 수축이 가능한 특정이 있는 것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중이 링크 프레임(20)과 액추에이터(60)에 작용될 때에 그 하중의 대부분은 링크 프레임(20)에서 감당하면서 모터사이클(80)을 지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다른 한편으로, 액추에이터(60)의 내부에 배치된 팽창 스프링(63)은 액추에이터(60)에 압축 응력이 작용되면, 팽창 스프링(63)의 복원력은 압축 응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액추에이터(60)가 수축하는 것에 대한 강성이 작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D)는,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휠(50)을 올린 상태를 유지하고, 서행 또는 정지 중에는 휠(50)을 내려서 모터사이클(80)이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e standing wheel device D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D)는, 휠(50)을 내려서 세웠을 때에 모터사이클(80)의 대부분의 하중이 링크 프레임(20)에 집중되고, 일부의 하중이 액추에이터(60)에 분산되어 지지되는 구조로써 하중에 강한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모터사이클(80)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anding wheel device D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D)는, 휠(50)을 올렸을 때에 시야에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링크 프레임(2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전체적인 구성이 부피가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소형화되어 제공되므로 모터사이클(80)과 조화를 이루어 스탠딩 휠 장치(D)와 모터사이클(80)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보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anding wheel device D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which come ou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는 모터사이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standing wheel arrangement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to balance the motorcycle.
D: 스탠딩 휠 장치
A1, A2, A3, A4, A5, A6: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축
10: 바디 프레임 11, 12: 제1, 제2 보스
13: 록킹 유닛
131, 132, 133, 134, 135: 제1, 제2, 제3, 제4, 제5 키 홈
14: 키 유닛 141, 142: 제1, 제2 키
143: 키 샤프트 144: 키 보스
20: 링크 프레임 20L, 20R: 제1, 제2 링크 프레임
21, 22, 23, 24: 제3, 제4, 제5, 제6 보스
30: 휠 프레임 30L, 30R: 제1, 제2 휠 프레임
31, 32, 330: 제7, 제8, 제9 보스
40: 댐퍼 유닛 41, 42: 제1, 제2 스프링 샤프트
44: 암나사
45: 장력 조절 볼트 46: 스프링 시트
43: 댐핑 스프링 50: 휠
60: 액추에이터 61: 실린더
612: 제10 보스 62: 피스톤 로드
622: 로드 단부 63: 팽창 스프링
70, 71: 제1, 제2 스텝 80: 모터사이클D: standing wheel device
A1, A2, A3, A4, A5, A6: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axis
10:
13: locking unit
131, 132, 133, 134, 135: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key groove
14:
143: key shaft 144: key boss
20:
21, 22, 23, 24: 3rd, 4th, 5th, 6th boss
30:
31, 32, 330: 7th, 8th, 9th boss
40:
44: female thread
45: tension adjusting bolt 46: spring seat
43: damping spring 50: wheel
60: actuator 61: cylinder
612: 10th boss 62: piston rod
622: rod end 63: expansion spring
70, 71: 1st, 2nd step 80: motorcycle
Claims (9)
상기 제1 보스(11)에 제3보스(21)가 선회되도록 제1축(A1)으로 축 결합되고, 상기 제3 보스(21)와 이격된 위치에 제4보스(22)가 형성된 링크 프레임(20);
상기 제2보스(11)에 실린더(61)의 제10보스(612)가 선회되도록 제2축(A2)으로 축 결합되고, 상기 제4보스(22)에 피스톤 로드(62)의 로드 단부(622)가 선회되도록 제3축(A3)으로 축 결합되며, 공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62)를 구동하여 상기 휠(50)을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60);
상기 링크 프레임(20)에 설치되는 휠 프레임(30); 및
상기 휠 프레임(30)의 일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휠(50);을 포함하고,
상기 휠(50)이 상승 위치일 때에 상기 제1, 제2축(A1)(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3축(A1)(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1 각도(a)는 8°내지 24°이며,
상기 휠(50)이 하강 위치일 때에 상기 제1, 제2축(A1)(A2)이 이루는 제1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3축(A1)(A3)이 이루는 제2선(L2)이 이루는 제2각도(b)는 80°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A body frame 10 having a first boss 11 and a second boss 12 formed therein;
Link frame in which the third boss 21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A1 so that the third boss 21 is pivoted on the first boss 11 and the fourth boss 2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ird boss 21. 20;
A rod end of the piston rod 62 is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A2 such that the tenth boss 612 of the cylinder 61 is pivoted to the second boss 11, and to the fourth boss 22. An actuator (60) axially coupled to the third shaft (A3) to pivot, and driving the piston rod (62) by pneumatic to elevate the wheel (50);
A wheel frame 30 installed on the link frame 20; And
And a wheel 50 installed to rotate on one side of the wheel frame 30.
A first axis formed by the first and third axes A1 and A3 based on the first line L1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when the wheel 50 is in the raised position. The first angle a formed by the two lines L2 is 8 ° to 24 °,
The first and third axes A1 and A3 formed based on the first line L1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when the wheel 50 is in the lowered position. The second angle (b) formed by the two wires (L2) is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characterized in that 80 ° to 110 °.
상기 제1, 제2축(A1)(A2)간의 제1 거리와 상기 제1, 제3축(A1)(A3)간의 제2 거리의 비율은 1: 4 내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tio of the fir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xes A1 and A2 and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axes A1 and A3 is 1: 4 to 8, wherein the motorcycle Standing wheel device.
상기 링크 프레임(20)과 상기 휠 프레임(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휠(50)에 작용되는 충격 또는 하중을 흡수하도록 하는 댐퍼 유닛(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 유닛(40)은,
상기 링크 프레임(20)에는 상기 제3 보스(21)와 상기 제4보스(22)의 사이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제5보스(23)와 제6보스(24)가 형성되고,
상기 휠 프레임(30)에는 상기 제5보스(23)에 제7보스(31)이 선회되도록 제4축(A4)으로 축 결합되고, 상기 제7보스(31)와 이격된 위치에 제8보스(32)가 형성되며,
상기 제6보스(24)에 제5축(A5)으로 축 결합되는 제1 스프링 샤프트(41);
상기 제8보스(32)에 제6축(A6)으로 축 결합되는 제2 스프링 샤프트(42);
상기 제1 스프링 샤프트(41)와 상기 제2 스프링 샤프트(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휠(50)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 스프링(43); 및
상기 제1 스프링 샤프트(4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고 일측은 상기 댐핑 스프링(43)에 설치되어 상기 댐핑 스프링(43)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장력 조절 볼트(45);
를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amper unit 40 disposed between the link frame 20 and the wheel frame 30 to absorb a shock or a load applied to the wheel 50.
The damper unit 40,
A fifth boss 23 and a sixth boss 24 are formed in the link frame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third boss 21 and the fourth boss 22.
The wheel frame 30 is axially coupled to the fourth shaft A4 so that the seventh boss 31 is pivoted on the fifth boss 23, and an eighth boss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boss 31. 32 is formed,
A first spring shaft 41 axially coupled to the sixth boss 24 by a fifth shaft A5;
A second spring shaft 42 axially coupled to the eighth boss 32 by a sixth shaft A6;
A damping spring (43)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ring shaft (41) and the second spring shaft (42) to absorb shocks from the wheel (50); And
A tension adjusting bolt 45 fastened to the first spring shaft 41 by screwing and having one side installed at the damping spring 43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damping spring 43;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comprising a.
상기 휠(50)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4축(A4)은 제1, 제3 축(A1)(A3)을 잇는 제2선(L2)과 제2, 제3축(A2)(A3)을 잇는 제3선(L3)의 사이에서 상기 제2선(L2)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wheel 50 is in the lowered position, the fourth axis A4 has a second line L2 connecting the first and third axes A1 and A3 and the second and third axes A2 ( A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closer to the second line (L2) between the third line (L3) connecting A3).
상기 실린더(61)의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62)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팽창 스프링(63);
을 더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xpansion spring (63) disposed in the cylinder (61) to exert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pushing the piston rod (62);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further comprising.
상기 바디 프레임(10)과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한쪽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거동 무제한, 상기 휠(50)의 상승위치 고정 및 상기 휠(20)의 하강위치 고정하도록 하는 록킹 유닛(13);
을 더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ocking to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 and the link frame 20 to the unlimited movement of the link frame 20, the fixed position of the wheel 50 fixed and the lowered position of the wheel 20 Unit 13;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further comprising.
상기 록킹 유닛(13)은,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키 보스(144);
상기 키 보스(144)의 개구부 일측에 상호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1, 제2, 제3 키 홈(131)(132)(133);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제1축(A1)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4, 제5 키 홈(134) (135); 및
상기 키 보스(144)에 키 샤프트(143)가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키 샤프트(413)의 외경부에 각각 제1, 제2 키(141)(142)가 형성된 키 유닛(14);을 포함하여,
상기 링크 프레임(20)의 거동 무제한일 때에는 상기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1 키 홈(131)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2 키 홈(132)에 삽입되고,
상기 휠(50)의 상승위치 고정일 때에는 상기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3 키 홈(133)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4 키 홈(134)에 삽입되며,
상기 휠(50)의 하강위치 고정일 때에는 상기 제1, 제2 키(141)(142) 중에 어느 하나는 제3 키 홈(133)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5 키 홈(13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cking unit 13,
A key boss 144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
First, second, and third key grooves (131, 132, 133) formed to b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key boss (144);
Fourth and fifth key grooves 134 and 135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a first axis A1 of the link frame 20; And
And a key unit 14 having a key shaft 143 inserted into the key boss 144 and assembled, and having first and second keys 141 and 142 formed at outer diameter portions of the key shaft 413, respectively. So,
When the motion of the link frame 20 is unlimite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keys 141 and 142 is inserted into the first key groove 131, and the oth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key groove 132. Inserted,
When the wheel 50 is fixed in the rising positi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keys 141 and 142 is inserted into the third key groove 133, and the other is inserted into the fourth key groove 134. Inserted,
When the wheel 50 is fixed in the lowered positi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keys 141 and 142 is inserted into the third key groove 133, and the other is inserted into the fifth key groove 135. Standing wheel device of a motorcycl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상기 바디 프레임(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제1 스텝(70);을 더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step (70) disposed above the body frame (10) to allow the user to step on the foot.
상기 제1 스텝(70)의 한쪽에 피봇 유닛(7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세워진 위치에서 상기 제1 스텝(70)보다 높은 위치에서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제2 스텝(71);을 더 포함하는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The method of claim 8,
A second step 71 is pivot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ep 70 so as to be able to tread a foo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tep 70 in an upright position. The standing wheel device of the motorcycle further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0745A KR101311890B1 (en) | 2011-08-12 | 2011-08-12 | Standing wheel device for the motorcycles |
PCT/KR2012/006431 WO2013025028A1 (en) | 2011-08-12 | 2012-08-13 | Standing wheel device for a motorcy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0745A KR101311890B1 (en) | 2011-08-12 | 2011-08-12 | Standing wheel device for the motorcy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7975A true KR20130017975A (en) | 2013-02-20 |
KR101311890B1 KR101311890B1 (en) | 2013-09-27 |
Family
ID=4771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0745A KR101311890B1 (en) | 2011-08-12 | 2011-08-12 | Standing wheel device for the motorcycle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1890B1 (en) |
WO (1) | WO2013025028A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885B1 (en) * | 2019-01-08 | 2019-05-31 | 김몽룡 | Landing Apparatus for Motocycle having Vertical Arranged Sub-Wheel |
KR102088336B1 (en) * | 2019-11-29 | 2020-03-12 | 김몽룡 | Landing Apparatus for Motocycle having Vertical Arranged Sub-Wheel |
KR102578949B1 (en) * | 2023-04-27 | 2023-09-14 | 최대홍 | Assembly Structure for Assist Apparatus of Motorcycle |
KR102582774B1 (en) * | 2022-10-12 | 2023-09-26 | 최대홍 | Assist System of Speed Down, Parking and Stopping for Motorcycle |
KR102700623B1 (en) * | 2023-11-01 | 2024-08-28 | 최대홍 | Auxiliary wheel device and motor cycle auxiliary system compri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17492A (en) * | 2013-08-23 | 2015-02-25 | Alexandar Campion | Motorcycle hydraulic stabilising system 0.1 |
KR101541775B1 (en) | 2014-04-28 | 2015-08-19 | 김몽룡 | A landing gear |
KR101959996B1 (en) | 2018-01-03 | 2019-03-20 | 김몽룡 | Planetary Reduction Module and the Same for Landing Apparatus of Motor Cycle |
KR101915091B1 (en) * | 2018-01-03 | 2018-11-05 | 김몽룡 | Landing Apparatus for Motor Cycle |
KR102085015B1 (en) | 2018-12-26 | 2020-03-05 | 김몽룡 | System for Conrolling Activating Landing Device using Magnetic Sensor |
KR102182836B1 (en) * | 2019-06-04 | 2020-11-27 | 여태순 | Landing Wheel For Bike |
KR102174597B1 (en) * | 2020-04-23 | 2020-11-05 | (주)골드이엔지 | Buffer system of modul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904430D0 (en) * | 1989-02-27 | 1989-04-12 | Shepherd Donald W | Stabiliser system for vehicles |
KR970034197A (en) * | 1995-12-27 | 1997-07-22 | 김태구 | Car shop over |
JP2004306752A (en) * | 2003-04-04 | 2004-11-04 | Honda Motor Co Ltd | Motorcycle |
JP4961527B2 (en) * | 2007-02-14 | 2012-06-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Motorized stand device for motorcycle |
-
2011
- 2011-08-12 KR KR1020110080745A patent/KR10131189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
- 2012-08-13 WO PCT/KR2012/006431 patent/WO201302502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885B1 (en) * | 2019-01-08 | 2019-05-31 | 김몽룡 | Landing Apparatus for Motocycle having Vertical Arranged Sub-Wheel |
KR102088336B1 (en) * | 2019-11-29 | 2020-03-12 | 김몽룡 | Landing Apparatus for Motocycle having Vertical Arranged Sub-Wheel |
US20210163091A1 (en) * | 2019-11-29 | 2021-06-03 | Mong Ryong KIM | Landing apparatus for motorcycle having vertical arranged sub-wheel |
CN114728678A (en) * | 2019-11-29 | 2022-07-08 | 金梦龙 | Motorcycle landing device with vertically-arranged auxiliary wheels |
US11518461B2 (en) * | 2019-11-29 | 2022-12-06 | Mong Ryong KIM | Landing apparatus for motorcycle having vertical arranged sub-wheel |
CN114728678B (en) * | 2019-11-29 | 2023-10-10 | 金梦龙 | Motorcycle landing gear with vertically arranged auxiliary wheels |
KR102582774B1 (en) * | 2022-10-12 | 2023-09-26 | 최대홍 | Assist System of Speed Down, Parking and Stopping for Motorcycle |
KR102578949B1 (en) * | 2023-04-27 | 2023-09-14 | 최대홍 | Assembly Structure for Assist Apparatus of Motorcycle |
WO2024225544A1 (en) * | 2023-04-27 | 2024-10-31 | 최대홍 | Coupling structure for assist device of motorcycle |
KR102700623B1 (en) * | 2023-11-01 | 2024-08-28 | 최대홍 | Auxiliary wheel device and motor cycle auxiliary system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1890B1 (en) | 2013-09-27 |
WO2013025028A1 (en) | 2013-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1890B1 (en) | Standing wheel device for the motorcycles | |
US20090120016A1 (en) | Solar Panel Supporting System | |
US20110193313A1 (en) | Foldable bicycle | |
CN114728678B (en) | Motorcycle landing gear with vertically arranged auxiliary wheels | |
JP2009174916A (en) | Suspension device | |
CN102612391A (en) | Twist board | |
KR101541775B1 (en) | A landing gear | |
CN202879720U (en) | Rear shock absorber structure of scooter | |
CN105584573B (en) | A kind of folding stand with vibration absorber | |
US20140239607A1 (en) | Vehicle wheel axle lifting device | |
CN202449149U (en) | Front wheel shock-proof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 |
KR20180135307A (en) | Two foot electromotion wheel | |
CN210822580U (en) | Three-wheel scooter | |
TWI496711B (en) | Straddle type vehicle having mechanism for retrieving foot bar | |
CN206871267U (en) | A kind of folded bicycle front fork structure and folded bicycle | |
KR200418958Y1 (en) | Bicycle shock absorber and bicycle with same | |
JP2010208575A (en) | Caster | |
CN218890136U (en) | Steady slide and bogie thereof | |
CN105501360A (en) | Handlebar folding mechanism | |
CN222271739U (en) | A rear independent suspension shock absorbing device | |
CN204821945U (en) | Take device that turns to of damping | |
CN218258547U (en) | A shock-absorbing stem and handlebar | |
CN216887089U (en) | Shock absorber of scooter | |
CN220262528U (en) | Damping device | |
CN207536040U (en) | A kind of pupil's sad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