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15844A -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844A
KR20130015844A KR1020110078121A KR20110078121A KR20130015844A KR 20130015844 A KR20130015844 A KR 20130015844A KR 1020110078121 A KR1020110078121 A KR 1020110078121A KR 20110078121 A KR20110078121 A KR 20110078121A KR 20130015844 A KR20130015844 A KR 20130015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container
vacuum sealed
air
vacuum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순장
Original Assignee
이순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장 filed Critical 이순장
Priority to KR102011007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5844A/en
Publication of KR2013001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8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식 및 다른 대상물들을 위한 진공 밀봉 용기의 구조는 진공 밀봉 용기 안에 있는 내용물과 수분을 보존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진공 밀봉 용기는 진공상태를 만들 수 있어서 진공 밀봉용기 안에 들어 있는 음식이나 약품들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진공 밀봉 용기는 조절 밸브가 있어서 진공 밀봉용기 안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계속적으로 진공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으며, 재밀봉 지퍼는 진공 밀봉용기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조절 밸브는 공기가 외부에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얇은 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공 밀봉용기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침투 방수재질을 사용한다. The construc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preserves the contents and moisture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while preventing the ingress of air from the outside. A vacuum sealed container can create a vacuum, which allows long-term storage of food or drugs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Vacuum sealed container and can continue to create the vacuum to be able to control valve in the exhaust air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o the outside, reclosable zipper may completely seal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e regulating valve is made of a thin film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outside and the penetration waterproof material is used because it prevents the inside of the vacuum seal contain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Description

음식 또는 다른 대상물을 위한 진공 밀봉 용기와 조절밸브의 구조{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본 발명은 조절 밸브와 진공 밀봉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 또는 다른 대상물들을 보관하는 진공 밀봉 용기에 실용적인 조절 밸브를 사용하여 액체가 진공 밀봉용기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물론 반대로 공기가 진공 밀봉용기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게 하며 공기를 완전 봉합할 수 있는 재밀봉 지퍼가 있어서 음식물 같은 것을 진공 밀봉용기에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valve and a vacuum sealed container, in which a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o the outside using a practical control valve in a vacuum sealed container for storing food or other objects, as well as air flowing into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kept in a vacuum state and has a resealable zipper that can completely seal the air so that foods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the vacuum container for a long time.

재밀봉 지퍼백은 야채, 고기, 해산물, 의류, 약품등을 보관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식이나 대상물들을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넣고 그 개구부를 닫는다. 특히 음식물을 넣어둔 용기는 음식을 보관하기 위해 냉장고나 냉동실에 넣어 두며 나중에 사용할 수 있다.Resealable zipper bags are widely used to store vegetables, meat, seafood, clothing and medicines. Generally, food or objects are put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the opening is closed. Food containers, especially, can be stored in refrigerators or freezers for later storage.

도 1a와 1b는 “Ziploc과 같은 재밀봉이 가능한 지퍼를 갖는 밀봉 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는 재밀봉 지퍼(11)가 열린 밀봉 백(9)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소비자들은 음식이나, 의류, 약품 등을 개구부를 통해 밀봉 백(9)에 넣을 수 있다.1A and 1B show an example of a sealing bag having a resealable zipper such as Ziploc. FIG. 1A shows the state of the sealing bag 9 with the resealing zipper 11 open. In this state, consumers can put food, clothing, medicine, and the like into the sealing bag 9 through the opening.

도 1b는 동일한 밀봉 백(9)을 나타내지만, 재밀봉 지퍼(11)가 닫혀 있다. 재밀봉 지퍼(11)는 밀봉 백에 있는 신축성 있는 홈과 그 홈에 맞는 돌출부, 이 두 부분에서 봉합이다. 돌출부를 홈안으로 밀어 누르면 지퍼(11)가 닫힌다. 지퍼(11)의 홈으로부터 돌출부가 분리되도록 적절한 힘이 가해지면, 밀봉 백(9) 개구부를 만들도록 지퍼(11)가 분리되어, 밀봉 백(9) 내부의 대상물들을 꺼낼 수 있다.1B shows the same sealing bag 9 but with the resealing zipper 11 closed. The resealable zipper 11 is sutured in two parts: an elastic groove in the sealing bag and a protrusion that fits into the groove. Pushing the protrusion into the groove closes the zipper 11. When an appropriate force is applied to separate the projection from the groove of the zipper 11, the zipper 11 is detached to make the opening of the sealing bag 9, and the objects inside the sealing bag 9 can be taken out.

진공 밀봉은 광범위한 여러 대상 물질들의 저장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한 잘 알려진 기술이다. 이 기술은 밀봉 백 안에 있는 공기를 제거하여 밀봉 백을 납작하게 만들어 진공상태로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밀봉 백 안의 공기가 적기 때문에 대상물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화학작용으로부터 음식물 같은 물질이 보호될 수 있다.Vacuum sealing is a well known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shelf life of a wide variety of target materials. This technique removes the air in the sealed bag and flattens the sealed bag into a vacuum. Due to the low amount of air in the sealed bag, food-like substances can be protected from chemical reactions that can degrade the quality of the object.

진공 밀봉법은 사업장은 물론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특수한 플라스틱 천과 그 플라스틱 천을 열 봉합하여, 플라스틱 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공기를 밖으로 빨아들이는 장치를 요구하는 “FoodSaver”와 같은 많은 종류의 생산품들이 음식을 저장하는 진공 밀봉을 위해 상업적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고, 공기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전기가 요구되며, 플라스틱 천들은 손쉽게 재사용할 수 없다.Vacuum sealing is widely used at home as well as at work. Many types of products, such as “FoodSaver”, which require a special plastic cloth and a device to heat seal the plastic cloth and draw air out to vacuum the inside of the plastic cloth,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vacuum sealing to store food. It is possible. However, these devices occupy a relatively large space, require electricity to pump air outward, and plastic fabrics cannot be easily reused.

더욱이 조절 밸브가 있는 밀봉용기는 그 안에 들어있는 대상물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절 밸브는 공기가 외부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가 앞으로 흐르도록(안에서 밖으로) 하게 되어 있으므로 밀봉 백 안에 있는 공기를 빼주는 것을 촉진한다. 특별한 음식, 예를 들어, 커피 원두 또는 다른 곡물, 음식은 때때로 가스를 분출한다, 따라서, 용기 내의 그러한 가스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배출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조절 밸브로서 일방 밸브가 커피 원두 백에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Furthermore, a sealed container with a control valve is used to store the objects contained therein. The regulating valve is designed to allow air to flow forward (inside out) while preventing air from entering in from the outside, thus facilitating the evacuation of the air in the sealing bag. Special foods, such as coffee beans or other grains, food sometimes give off gas, so an effective discharge is needed to prevent the increase of such gas in the container. Recently, as a control valve as mentioned above, a one-way valve is provided for degassing the coffee bean bag.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절 밸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밀봉 백에 부착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밀봉 백은 비싼 생산비용과 구조의 복합성 등의 단점이 있다. 그래서 위에 서술한 문제를 풀고자 하는 요구가 있으며. 또한 진공 밀봉용기 사용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되어 져야 하는 요구도 있다. 더욱이 진공 밀봉용기는 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Typically these control valves are made of plastic and attached to a sealing bag. However, such a sealing bag has disadvantages such as high production cost and complex structure. So there is a deman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that a vacuum seal container should be used easily and conveniently. Moreover, the vacuum seal container has the charm of being easily reusable.

이 발명품의 목적은 재밀봉지퍼와 조절 밸브를 사용하여 진공 밀봉 기로부터 공기 또는 가스를 쉽게 제거하여 주는 진공 밀봉용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is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of a vacuum seal container that facilitates the removal of air or gas from the vacuum sealer using resealing zippers and control valves.

이 발명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을 밖으로 나가지 않게 하면서 공기나 가스가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진공 밀봉용기를 위해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regulating valve for a vacuum sealed container which can prevent the inflow of air or gas while keeping moisture out.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용기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는 제1 외부 필름, 제 2 외부 필름, 공기와 수분 투과는 되지만 액체의 침수는 방지할 수 있는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을 포함하며, 조절밸브 필름은 제1 외부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놓이며, 조절 밸브와 상부 필름 또는 하부 필름 사이에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데, 밀봉 부분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공기 통로에 제공된다.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공기 흐름을 통해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형성한다.The control valve used in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outer film, a second outer film, a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ing material that is permeable to air but prevents the ingress of liquid, and the control valve film comprises a first An air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film and the second film, and an air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control valve and the upper film or the lower film, and a seal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air passage that prevents a smooth flow of air. The moisture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 forms part of the air passage to prevent the flow of liquid through the air stream.

나아가,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는 제1 외부 필름, 제2 외부 필름, 액체의 침투를 방지하되 공기와 습기의 침투는 허락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침투 방수 물질을 포함하며, 조절 밸브의 한 쌍이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의 사이에 위치하며, 밀봉 부분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공기 통로에 제공된다.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공기 흐름을 통해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형성한다.Further, the regulating valve us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ncludes a first waterproofing film, a second outer film, a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liquid and allowing the penetration of air and moisture. A pai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and a seal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air passage that prevents the smooth flow of the air. The moisture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 forms part of the air passage to prevent the flow of liquid through the air stream.

조절 밸브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공기의 통로를 점차 좁히는 V-형상의 좁은 하향 부분을 포함하는 밀봉 부분을 가질 수 있다.The regulating valve may have a sealing portion comprising a V-shaped narrow downward portion which gradually narrows the passage of air in the direction of air flow.

다른 관점에서의 진공 밀봉 용기는 그 안에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고, 제1 외부 필름, 제2 외부 필름을 갖는 백(bag) 부분과, 상기 백 부분을 열거나 닫기 위해 백 부분의 한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재밀봉가능한 지퍼와 조절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 밸브는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조절 밸브 필름, 상기 조절 밸브 필름과 상부 또는 하부 필름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로와, 액체의 침투를 방지하되 공기와 습기의 침투는 허락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침투 방수 물질을 포함하는데, 상기 밀봉 부분은 공기의 밀봉 부분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공기 통로에 제공되며, 상기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공기 흐름을 통해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형성한다.In another aspect, a vacuum sealed container can receive an object therein and is provided at a bag portion having a first outer film, a second outer film, and at one edge of the bag portion to open or close the bag portion. Which comprises a resealable zipper and a regulating valve. The control valve includes a control valve film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an air passage formed between the control valve film and the upper or lower film, and prevents penetration of liquid but permits penetration of air and moisture. A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having properties capable of sealing, wherein the sealed portion is provided in an air passageway where the sealed portion of the air prevents a smooth flow of the air, and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prevents the flow of liquid through the air stream. To form part of the air passage.

상기 백 부분(bag portion)의 내부 부분은 액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지하는 돌기를 구비하여, 액체가 조절 밸브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백 부분(bag poriton)의 저항 부분(resistance portion)은 상징적 표시를 만들 수 있다.The inn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has protrusions to prevent the smooth flow of the liquid, preventing the liquid from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valve. The resistance portion of the bag poriton can make a symbolic mark.

조절 밸브는 조절 밸브의 끝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열린 빨대-모양을 가질 수 있다. 조절 밸브는 빨대-모양으로 열려 돌출된 부분에 알맞은 뚜껑을 가질 수 있다.The regulating valve may have an open straw-shap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regulating valve. The control valve may have a lid that is straw-shaped and suitable for the protruding portion.

진공 밀봉 용기의 다른 관점에서, 재밀봉 지퍼는 슬라이딩 지퍼 밀봉을 열거나 닫기 위한 슬라이딩 지퍼 사이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손잡이를 갖는 슬라이딩 지퍼이다. 진공 밀봉 용기는 서로 나란한 다수의 재밀봉 지퍼와, 슬라이딩 지퍼 밀봉을 열거나 닫기 위한 재밀봉 지퍼들 사이를 슬라이딩하는 하나의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a vacuum sealed container, the resealed zipper is a sliding zipper having a sliding handle that slides between the sliding zippers for opening or closing the sliding zipper seal. The vacuum sealed container may have a plurality of resealable zippers next to each other and one handle that slides between the resealable zippers for opening or closing the sliding zipper seal.

진공 밀봉 음식 용기는 상기 재밀봉 지퍼의 외부면보다 더 밖에 위치한 외부 재밀봉 지퍼를 더 구비하며, 조절밸브의 개구부는 두 재밀봉 지퍼들 사이에 위치한다.The vacuum sealed food container further has an outer resealing zipper located fur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resealing zipper, wherein the opening of the control valve is located between the two resealing zippers.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밀봉 용기는 재밀봉 지퍼와 조절밸브를 구비하여, 진공 밀봉 용기로부터 공기나 다른 가스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진공 밀봉 용기는 진공 밀봉 용기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는 동안 공기의 정방향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동시에 진공 밀봉 용기는 진공 밀봉 용기로부터 액체가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진공 밀봉 용기 내의 고기와 같은 대상물이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보존될 수 있다. 왜냐하면, 내부의 액체는 조절 밸브에 의해 밖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고, 진공 밀봉 용기는 진공 밀봉 용기 내의 고기의 육즙과 같은 액체를 오랫동안 맛과 신선함을 변함없이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resealing zipper and a control valve, so that air or other gas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e vacuum sealed container may allow forward flow of air while preventing reverse flow of air to maintain the vacuum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t the same tim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prevents liquid from flowing out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us, objects such as meat in a vacuum sealed container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atmosphere. Because the liquid inside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by the control valv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can keep the liquid such as meat juicy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for a long time taste and freshness invariably.

도 1a 및 도 1b는 대상물을 저장하기 위한 재밀봉 지퍼를 갖는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용기가 닫힌 상태, 도 1b는 용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에 활용될 수 있는 재밀봉 지퍼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a는 지퍼가 열린 상태, 도 2b는 지퍼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3a는 재밀봉 지퍼가 열린 상태에서 음식이 그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도 3b는 재밀봉 지퍼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 공기가 진공 조건을 만들기 위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지퍼를 닫은 후에 조절 밸브를 통해 진공 밀봉 용기 내부로부터 공기나 가스가 제거되는 상황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5c는 다른 하나와 다른 위치에 조절 밸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조절 밸브는 재밀봉 지퍼로부터 분리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도 5a에, 조절 밸브가 재밀봉 지퍼의 측단에 제공되는 것을 도 5b에, 조절 밸브가 재밀봉 지퍼의 중간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도 5c에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백 부분, 재밀봉 지퍼, 조절 밸브를 서로 분리시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밸브의 본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7a는 평 단면도이고, 도 7b는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역방향 흐름이 발생할 때 두 조절 밸브 필름이 쌍을 이루어 단단히 닫히는 조절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절 밸브의 도 7b의 상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는 조절 밸브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조절 밸브의 다른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10d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를 위한 조절 밸브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 단순한 측면도로서,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나타낸 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실린더형 입구가 조절 밸브의 끝 부분에 제공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를 위한 백 부분 용지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백 부분 용지 내부 표면은 진공 밀봉 용기 내부 액체에 저항성을 만들기 위한 돌출성과 불균일성을 갖는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의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재밀봉 지퍼가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3a는 단일 지퍼, 도 13b는 더블 지퍼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절밸브와 하부 지퍼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는 상부 지퍼를 나타낸다.
1A and 1B show a container having a resealable zipper for storing an object, in which FIG. 1A shows a closed state, and FIG. 1B shows a opened state.
Figures 2a and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sealable zipper that can be used in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zipper open state, Figure 2b is a zipper closed state.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3A shows that food is inserted therein with the resealed zipper open, and FIG. 3B shows that the internal air is vacuumed when the resealed zipper is closed. Indicates outflow to create conditions.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in which air or gas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through the control valve after closing the zipper.
5A-5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ntrol valve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other, in which the control valv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sealable zipper. 5b shows what is provided at the side end of the sealing zipper and FIG. 5c shows that the control valve is provided at the middle part of the resealing zipper.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bag portion, the resealing zipper, the control valve from each other to show the structure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flat cross-sectional view, and FIG. 7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8 is a corresponding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7B of the control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ontrol valve in which two control valve films are tightly closed when a reverse flow occurs.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other structures of the control valve for explaining the basic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for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air.
10A-10D are simple sid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regulating valve for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positions of the moisture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s are differen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cylindrical inlet is provided at the end of a control valve.
12A and 12B are side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structure of the bag portion paper for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ag portion inner surface has protrusions and nonuniformities for making resistance to the liquid insid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13A and 13B are views of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liding resealable zipper is provided on top of the container, FIG. 13A shows a single zipper, and FIG. 13B shows a double zipper.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upper zipp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valve and the lower zipper.

재밀봉 지퍼를 구비한 진공 밀봉 용기는 진공 밀봉 용기의 내부로부터 공기나 가스를 쉽게 제거하고 공기가 용기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절 밸브를 갖는다. 진공 밀봉 용기 내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손으로 진공 밀봉 용기를 누르면, 진공 밀봉 용기는 그 내부를 진공 포장 조건을 만들어낸다. 비록 본 발명은 진공 밀봉 용기 내에 음식을 포장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지만, 다양한 다른 대상물 예를 들어, 의류, 화학품, 화장품, 섬유 등이 본 발명의 진공 밀봉 용기 내에 저장될 수 있다.The vacuum sealed container with a resealing zipper has a regulating valve to increase the ease of removing air or gas from the interior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nd preventing the air from entering the container. When the vacuum seal container is pressed by hand to evacuate air in the vacuum seal container, the vacuum seal container creates a vacuum packing condition therei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describes the packaging of food in a vacuum sealed container, various other objects such as clothing, chemicals, cosmetics, fibers,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조절 밸브는 공기의 흐름이 한 방향(정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고 반대방향(역방향)으로의 흐름을 방지하기 때문에, 조절 밸브가 열릴 때, 외부의 공기는 진공 밀봉 용기 내로 들어오지 못하고 진공 밀봉 용기 내의 공기는 쉽게 빠질 수 있다. 그래서, 음식과 같은 대상물이 대기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진공 밀봉 용기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진공 밀봉 용기 내에 포장된 의류는 최소 크기로 옷장이나 의류보관함에 저장될 수 있다.Since the control valve allows the flow of air to flow in one direction (forward direction) and prevents the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reverse direction), when the control valve is opened, the outside air does not enter the vacuum sealed container but the air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Can fall out easily. Thus, objects such as food can be stored in a vacuum sealed container for a long time because they are not exposed to the atmosphere. Furthermore, clothing packaged in a vacuum sealed container may be stored in a closet or garment storage in a minimum size.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재밀봉 지퍼(11)의 부분 측 단면도이다. 도 2a는 (진공 밀봉 용기가 열려 있을 때) 재밀봉 지퍼(11)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진공 밀봉 용기가 닫혀있을 때) 재밀봉 지퍼(11)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밀봉 지퍼(11)는 홈 부분(12)와 돌출 부분(13)에 의해 구성된다.2A and 2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resealable zipper 11 that can be used in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hows the resealed zipper 11 (whe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s opened) and the resealed zipper 11 (whe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s closed). As shown, the resealable zipper 11 is constituted by the groove portion 12 and the protruding portion 13.

홈 부분(12)와 돌출 부분(13)가 각자를 향해 눌리면, 돌출 부분(13)이 홈 부분(12)에 편안하게 맞아 지퍼(11)가 닫힌다. 홈 부분(12)와 돌출 부분(13)은 재밀봉 지퍼(11)가 단단히 잠가질 수 있도록 알맞은 탄성과 견고성을 가지고 있다. 재밀봉 지퍼(11)가 닫히면 공기와 물이 용기로부터 쉽게 누출되지 않는다.When the groove portion 12 and the projection portion 13 are pressed toward each other, the projection portion 13 comfortably fits the groove portion 12 and the zipper 11 is closed. The groove portion 12 and the protruding portion 13 have a suitable elasticity and firmness so that the resealing zipper 11 can be securely locked. When the resealing zipper 11 is closed, air and water do not leak easily from the container.

용기 백을 밀봉하기 위한 이러한 타입의 지퍼는 오늘날 널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재밀봉 지퍼는 위의 도 2a와 도 2b에 언급된 것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관련 분야의 기술자라면 사용될 수 있는 많은 다른 타입의 재밀봉 지퍼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절 밸브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재밀봉 지퍼와 조합되어 용기에 형성된다.This type of zipper for sealing container bags is widely used today. The resealable zippers that can be us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ose mentioned in FIGS. 2A and 2B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many other types of resealing zippers that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valve is formed in the container in combination with the resealing zipper described below.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진공 밀봉 용기(80)가 조절 밸브(38)과 재밀봉 지퍼(88)를 가진 것을 나타내며, 음식과 같은 대상물(91)이 진공 밀봉 용기(80) 내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는 재밀봉 지퍼(88)가 열린 상태를 도 3b는 재밀봉 지퍼(88)가 닫혀있고 진공 밀봉 용기(80) 내부의 공기가 조절 밸브(38)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 것을 제외하면 도 3a와 유사하다.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shows that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has a control valve 38 and a resealing zipper 88, and that an object 91 such as food is inserted into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FIG. 3A shows the resealing zipper 88 open. FIG. 3B shows the resealing zipper 88 closed and the air inside the vacuum seal container 80 is vented out through the control valve 38. Similar to

따라서, 진공 밀봉 용기의 내부는 기본적으로 공기가 없어 결국 진공 상태가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는 고기와 같은 대상물(91)이 오래 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80)는 예를 들어, 고기, 치즈, 채소, 차, 커피 원두, 물고기 등의 많은 음식을 오랜 시간 동안 보존할 수 있다. 더욱이,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80)는 음식 생산물뿐만 아니라, 약품, 화학제품, 의류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us, the interior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s basically free of air and eventually becomes a vacuum state. As mentioned above, this allows objects 91 such as meat to live longer. The vacuum-sealed contain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 example, store many foods such as meat, cheese, vegetables, tea, coffee beans, fish and the like for a long time. Moreover, as mentioned abov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not only food products but also drugs, chemicals, clothes, and the lik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는 예를 들어, 커피 원두, 콩 등의 가스를 배출하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커피 원두와 같은 곡물은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비교적 오랫동안 가스를 발생한다. 그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접어지지 않고, 진공 밀봉 용기에서 커피 원두에 의해 생성된 가스가 조절 밸브를 통해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Furthermor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toring grains which discharge gas, for example, coffee beans, beans and the like. As is known in the art, grains, such as coffee beans, generate gases for a relatively long time due to chemical reactions. In such a cas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lded to discharge the gas, and the gas produced by the coffee beans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rol valve.

도 4는 사용자가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 밀봉 용기(80)를 눌러서 진공 밀봉 용기(80) 내부의 공기가 외부를 향기 흐르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도 3a와 도 3b에서 보여준 바와 같은 진공 밀봉 용기(80)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대상물을 진공 밀봉 용기(80)에 삽입하고 재밀봉 지퍼(88)를 닫으면, 진공 밀봉 용기(80)는 물이나 액체가 밀봉되어 제품이 내부에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다.FIG. 4 shows a vacuum sealed container 80 as shown in FIGS. 3A and 3B to show that the user presses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to remove air and the air insid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flows outward. ). When the user inserts the object into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80 and closes the resealing zipper 88,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80 may be sealed in water or liquid so that the product may be safely stored therein.

이번 예에서, 조절 밸브(38)가 진공 밀봉 용기(80)의 재밀봉 지퍼(88)의 측단에 제공된다. 화살표는 진공 밀봉 용기(80)가 눌리거나 압착될 때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조절 밸브(38)가 흐름을 방지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진공 밀봉 용기(80)로 들어오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절 밸브(38)의 구조와 동작은 이후의 도 7a와 7b 및 도 8을 통해 상세히 기술된다.In this example, a control valve 38 is provided at the side end of the resealable zipper 88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The arrows indicate the flow of air whe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is pressed or compressed. Since the regulating valve 38 prevents flow, air from the outside does not enter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gulating valve 38,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A, 7B and 8.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a와 도 3b에 보여준 진공 밀봉 용기와 다른 구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에서, 진공 밀봉 용기(80)는 재밀봉 지퍼(88)로부터 분리되는 백의 일 측에 위치하는 조절 밸브(38a)를 갖는다. 비록 조절 밸브(38a)가 재밀봉 지퍼(88)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지만, 재밀봉 지퍼(88)가 형성된 위치에 반대되게 진공 밀봉 용기(80)의 한 끝과 같이 재밀봉 지퍼(88)로부터 멀리 떨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5A to 5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shown in FIGS. 3A and 3B. In FIG. 5A,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has a control valve 38a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g that is separated from the resealable zipper 88. Although the control valve 38a is located proximate to the resealing zipper 88, it is located away from the resealing zipper 88, such as one end of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80, as opposed to the position where the resealing zipper 88 is formed. It may be formed apart.

도 5b는 진공 밀봉 용기(80)로부터 조절 밸브(38b)의 일부가 돌출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의 모든 경우들에서, 진공 밀봉 용기(8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비슷한 방법처럼, 진공 밀봉 용기(80)를 누르거나 압착하거나 내부 공기를 빨아들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므로써 수축할 수 있다. 비록 각 진공 밀봉 용기(80)에 하나의 조절 밸브가 제공되지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쉽게 배출시키기 위해 각 진공 밀봉 용기(80)에 다수의 조절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5B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ortion of the regulating valve 38b protrudes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In all cases of FIGS. 5A-5C,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may contract by pressing or squeezing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or sucking the internal air to remove the air therein, as in a similar manner as mentioned above. Can be. Although one regulating valve is provided in each vacuum sealed container 80, a plurality of regulating valves may be provided in each vacuum sealed container 80 to easily discharge the air inside.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밀봉 지퍼(88)의 중간 위치에 조절 밸브(38C)가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부가적인 공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절 밸브(3C)를 위치시키기 위한 필요한 공간이 절약된다. 진공 밀봉 음식 용기를 위한 조절 밸브의 수는 하나에 제한되지 않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쉽게 배출시키기 위해 각 진공 밀봉 용기(80)에 다수의 작은 조절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ntrol valve 38C to be locate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resealed zipper 88 as shown in FIG. 5C. This configuration saves the necessary space for positioning the control valve 3C because no additional space is required. The number of control valves for the vacuum-sealed food container is not limited to one, and a number of small control valves may be installed in each vacuum-sealed container 80 to easily discharge the air insi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각 구성요소 사이의 구성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백 부분(39), 조절 밸브(38), 재밀봉 지퍼(88)를 서로 분리시켜 나타낸 것이다. 백 부분(bag portion)(39)은 음식, 의류, 약품 등의 포장 대상물을 담을 백 용기(bag container)이고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탄성 필름으로 만들어진다. 백 부분(bag portion)(39)는 대상물이 들어갈 수 있는 입구를 갖는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g portion 39, the control valve 38, and the resealable zipper 88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show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 The bag portion 39 is a bag container for holding a package object such as food, clothing, medicine, etc., and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film such as a thermoplastic film. The bag portion 39 h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object can enter.

재밀봉 지퍼(88)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봉투 또는 잠그는 것이다. 재밀봉 지퍼(88)는 백 부분(39)의 입구에 붙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조절 밸브(38) 또한 백 부분(39)의 입구에 붙어 있다. 재밀봉 지퍼(88)와 조절 밸브(38)를 붙이기 위한 수단은 열 봉합(heat bonding), 접착제(adhes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공 밀봉 용기(80)는 도 3a 내지 도 3b와 도 5a 내지 도 5C에 보여진 바와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The resealable zipper 88 is an envelope or lock that can be used repeatedly as mentioned above. The resealable zipper 88 is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bag portion 39. The control valve 38,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also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bag portion 39. Means for attaching the resealable zipper 88 and control valve 38 may include heat bonding, adhesives, and the like. As a result,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can be made as shown in FIGS. 3A-3B and 5A-5C.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80)에 사용된 조절 밸브(38)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밸브(38)의 구조는 진공 밀봉 용기(80)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좀 더 자유로움이 달성되어 조절 밸브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진공 밀봉 용기(80)의 적용에 있어서, 조절 밸브(38)는 공기(가스 또는 습기)가 통과하고 액체(물)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의 일부를 포함한다.The control valve 38 us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regulating valve 3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ore freedom in designing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regulating valve. In the applica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the regulating valve 38 comprises a portion of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such that air (gas or moisture) passes through and liquid (water) does not pass through.

이름하여, 그 안의 제품을 안전하게 포장하기 위해 압축된 공기로 부풀어진 일반적인 공기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에 더해, 본 발명에서의 조절 밸브는 습기 방수 물질로 만들어진 부가 요소를 가진다. 조절 밸브의 일부에 사용되는 습기 방수 물질로 인하여, 조절 밸브는 조절 밸브를 통해 액체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증가된 용적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의 공기가 그 안에서 제거되는 동안에도 고기의 육즙 등과 같은 액체는 진공 밀봉 용기(80) 내에 유지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밸브(38)는 어느 위치에서도 진공 밀봉 용기(80)에 유연하게 붙을 수 있다.Namely, in addition to the regulating valves used in common air packaging devices inflated with compressed air to safely package the products therein, the regulating valves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ditional element made of a moisture resistant material. Due to the moisture repellent material used in some of the regulating valves, the regulating valve has an increased volume to prevent liquid from escaping through the regulating valve. Therefore, a liquid such as meat gravy or the like is retain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while the air therein is removed therein. Furthermore, the control valve 38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flexibly attached to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at any posi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조절 밸브의 내부 구조의 예를 를 좀 더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는 조절 밸브의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7b-7b 라인에 따른 조절 밸브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에서, 진공 밀봉 용기(80)의 두 플라스틱 필름과 조절 밸브(38)의 두 플라스틱 필름이 하나씩 중첩된다.7A and 7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in more detail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rol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rol valve, and FIG. 7B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rol valve along line 7b-7b of FIG. 7A. 7A and 7B, two plastic films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and two plastic films of the control valve 38 overlap one by one.

도 7a 및 도 7b에 보여준 구성을 갖는 진공 밀봉 용기(80) 안에는 조절 밸브(38)가 재밀봉 지퍼(88)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참조번호 31a와 31b는 진공 밀봉 용기(80)의 백 부분(39)을 만드는 플라스틱 필름들 또는 시트들(제1 및 제2 외부 필름)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32a 및 32b는 조절 밸브(38)를 만드는 플라스틱 필름들 또는 시트를 나타낸다. 플라스틱 필름들 31a, 31b, 32a, 32b는 적절한 열이 제공될 때 서로 봉합 또는 열밀봉되는 열가소성 필름들이다.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7A and 7B, a control valve 38 is located adjacent to the resealing zipper 88, and reference numerals 31 a and 31 b denote the bag por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 Plastic films or sheets (first and second outer films) making 39). Reference numerals 32a and 32b denote plastic films or seats making the control valve 38. Plastic films 31a, 31b, 32a, 32b are thermoplastic films that are sealed or heat sealed to each other when adequate heat is provided.

도 7a 및 도 7b에서 조절 밸브(38)의 상부는 진공 밀봉 용기(80)의 외부면(34)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도 7a 및 도 7b에서 조절 밸브(38)의 하부는 진공 밀봉 용기(80)의 안쪽 면(33)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밸브(38)에는 공기 통로(48)가 형성되어 백색 화살표 47a, 47b 및 47c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표시된다.In FIGS. 7A and 7B,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valve 38 is arranged to abut the outer surface 34 of the vacuum seal vessel 80. In FIGS. 7A and 7B,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valve 38 is arranged to abut the inner face 33 of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80. As shown in FIG. 7A, an air passage 48 is formed in the control valve 38 to indicate the flow of air by white arrows 47a, 47b and 47c.

이 예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밸브 필름(32b)에 습기 침투 방수 물질층(90)이 제공된다. 습기 침투 방수 물질층(90)은 물과 같은 액체가 그것을 통과하는 것은 방지하지만 공기, 습기 등과 같은 가스의 침투를 허용하는 공간을 갖는다.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실제적으로 짜거나 직조되지 않은 다공성 시트로서 직물로 직조된 것이 아니다.In this example,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layer 90 is provided to the regulating valve film 32b as shown in FIG. 7B. The moisture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 layer 90 has a space that prevents liquids such as water from passing therethrough but allows the penetration of gases such as air, moisture, and the like. The moisture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 is not a woven or woven porous sheet that is actually woven or not woven.

간단히 살펴보면, 도 7a에서 습기 침투 방수 물질층(90)은 나타나지 않지만, 도 7b에 해칭된 층으로 나타난다. 도 7a 및 도 7b에서, 밀봉 부분 35, 37, 41-42는 조절 밸브의 특별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밀봉 부분들에, 조절 밸브 필름(32a, 32b)이 용기 필름들(제1 및 제2 외부 필름)(31a, 31b)의 하나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서의 조절 밸브에는 몇몇 밀봉 부분이 기본적인 것이 아니어서 생략될 수 있다.In brief,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layer 90 does not appear in FIG. 7A, but appears as a hatched layer in FIG. 7B. In FIGS. 7A and 7B, the sealing parts 35, 37, 41-42 are configured to form a special structure of the regulating valve. To these sealing portions, control valve films 32a and 32b are attached to one of the container films (first and second outer films) 31a and 31b. Some sealing parts are not basic to the control valv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omitted.

진공 밀봉 용기(80)에, 두 조절 밸브 필름들(32a, 32b)은 두 용기 필름(제1 및 제2 외부 필름)(31a, 31b) 사이에 끼인다. 밀봉 부분(41)과 강화 밀봉 부분(42)은 방출구 부분으로 속하고, 밀봉 부분(35)은 확장된 부분에 속하고, 밀봉 부분(47)은 좁은 하향 부분에 속한다. 이러한 밀봉 부분들은 또한 조절 밸브(38)의 구조를 형성하고, 용기 필름들(31a, 31b)의 하나에 조절 밸브(38)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본딩(밀봉 부분)의 결과, 조절 밸브(38)은 진공 밀봉 용기(80) 내에 형성된다.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two regulating valve films 32a, 32b are sandwiched between two container films (first and second outer films) 31a, 31b. The sealing portion 41 and the reinforcing sealing portion 42 belong to the discharge port portion, the sealing portion 35 belongs to the expanded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47 belongs to the narrow downward portion. These sealing parts also form the structure of the regulating valve 38 and secure the regulating valve 38 to one of the container films 31 a, 31 b. As a result of this bonding (sealing portion), the regulating valve 38 is formed in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80.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 밸브(38)는 두 가요 가소성 용기 필름들(31a, 31b)과 조절 밸브 필름들(32a, 32b)로 만들어지고, 공기 통로(48)는 제1 조절 밸브 필름(32b)와 제2 조절 밸브 필름(32a) 사이에 만들어진다. 백색 화살표에 의해 보여지는 조절 밸브(38)를 통한 공기의 흐름은 47a, 47b 및 47c에 의해 표시된다. 사용자가 진공 밀봉 용기(80)를 누르거나 압축시키거나 또는 내부 공기를 인위적으로 또는 흡입 도구를 사용하여 빨아 들이면, 진공 밀봉 용기(80)의 내부 공기는 조절 밸브(38)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As described, the control valve 38 is made of two flexible plastic container films 31a and 31b and control valve films 32a and 32b, and the air passage 48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valve film 32b. It is made between the second regulating valve films 32a. The flow of air through the control valve 38 shown by the white arrows is indicated by 47a, 47b and 47c. When the user presses or compresses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or sucks the internal air artificially or using a suction tool, the internal air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is discharged out through the control valve 38.

조절 밸브(38)에서 내부(33)로부터의 공기는 공기 통로(48)를 상대적으로 쉽게 통과하여 외부(34)를 향해 정방향으로 흐른다. 밀봉 부분(35, 37, 41-42)가 존재하더라도 공기가 화살표 47a, 47b 및 47c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흐를때, 그러한 밀봉 부분은 공기의 정방향 흐름을 차단하지 않는다. 하지만, 공기의 역방향 흐름(외부(34)로부터 내부(33)로)은 조절 밸브(38)의 공기 통로(48)를 통해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Air from the interior 33 in the regulating valve 38 flows relatively easily through the air passages 48 toward the exterior 34. Even if the sealing portions 35, 37, 41-42 are present, when the air flow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s 47a, 47b and 47c, such sealing portion does not block the forward flow of air. However, the reverse flow of air (from outside 34 to inside 33) does not easily pass through the air passage 48 of the regulating valve 38.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a 및 도 7b에서, 밀봉 부분(35, 37, 41-42)은 조절 밸브(38)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기 위해 동작한다. 도 7b의 측면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밀봉 부분들은 부분 41a, 42a, 35a 및 37a로 구성되며 두 조절 밸브 필름(31a, 32b)(또한 습기 침투 방수 물질 (90))을 함께 본딩하며, 부분 41b, 42b, 35b 및 37b는 제1 용기 필름(31a)과 제1 조절 밸브 필름(32b)을 함께 본딩한다. 따라서, 조절 밸브(38) 내의 공기 경로(48)는 두 조절 밸브 필름들(31a, 32b)과 도 7a에 나타난 밀봉 부분들 (41, 42, 35 및 37)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만들어진다.As described, in FIGS. 7A and 7B, the sealing portions 35, 37, 41-42 operate to guide the flow of air in the control valve 38. 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7B, the sealing portions consist of portions 41a, 42a, 35a and 37a and bond together two control valve films 31a and 32b (also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90), and portions 41b, 42b, 35b, and 37b bond the first container film 31a and the first regulating valve film 32b together. Thus, the air path 48 in the regulating valve 38 is made 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regulating valve films 31a and 32b and the sealing portions 41, 42, 35 and 37 shown in FIG. 7A.

더 나아가 도 7a에서, 밀봉 부분들(37)은 도면에서 위 방향(흐름 방향)에 확장되어 두 대칭적 선 세그먼트들(좁은 하향부분)로 구성되며, 공기 경로(48)의 폭은 이러한 부분들(37)에 의해 아래로 좁아진다. 다시 말해, 일반적 흐름은 좁게 하향된 부분(37)에 의해 형성된 좁은 공간으로 넓은 공간을 통해 통과할 때 유체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쉽게 통과한다. 반대로, 좁게 하향된 부분들(37)은 가스가 좁게 하향된 부분들(37)에 의해 형성된 좁은 공간을 통해 공기가 되돌아 갈 때 외부로부터 역방향 흐름을 막는 경향이 있다.7a, the sealing parts 37 extend in the upward direction (flow direction) in the figure and consist of two symmetrical line segments (narrow downwards), the width of the air path 48 being these parts. It narrows down by 37. In other words, the general flow easily passes out through the fluid pipe when passing through the large space into the narrow space formed by the narrowly downward portion 37. Conversely, the narrowly downward portions 37 tend to block reverse flow from the outside when the air returns through the narrow space formed by the narrowly downward portions 37.

확장된 부분(35)은 그 상단부 가까이 좁게 하향된 부분들(37)에 가까이 형성된다. 확장된 부분(35)의 모양은 공기 흐름을 우회하기 위해 심장 모양에 가깝다. 확장된 부분(35)을 통과하는 공기는 확장된 부분(35)(화살표 47b로 표시되는)의 가장자리 둘레를 우회하여 흐른다. 공기가 진공 밀봉 용기(80)로부터 외부(34)로 배출될 때, 공기는 자연적으로 확장된 부분(35) 내를 흐른다. 반대로, 역방향 흐름은 좁게 하향된 부분들(37)을 통과하여 직접 흐르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역방향 흐름은 확장된 부분(35)에 부딪히고 그 방향을 우회하기 때문이다.The expanded portion 35 is formed close to the narrowly downward portions 37 near its upper end. The shape of the expanded portion 35 is close to the heart shape to bypass the air flow. Air passing through the expanded portion 35 flows around the edge of the expanded portion 35 (indicated by arrow 47b). When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to the outside 34, the air naturally flows in the expanded portion 35. In contrast, the reverse flow does not flow directly through the narrowly downward portions 37 because the reverse flow impinges on and bypasses the expanded portion 35.

배출구 부분들(41, 42)은 외부면(34) 가까이 확장된 부분(35)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 예에서, 배출구 부분(41)은 조절 밸브(38)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두 배출구 부분들(42)은 배출구 부분(41)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한다. 배출구 부분들(41, 42)은 서로 수직인 방향에 형성된다.The outlet portions 41, 42 are formed adjacent the portion 35 which extends near the outer surface 34. In this example, the outlet portion 41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ontrol valve 38, and the two outlet portions 42 are loca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let portion 41. The outlet portions 41, 42 are form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러한 배출구 부분들(41, 42) 사이에 약간의 공간들이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공기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공기가 화살표 47c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34)로 통과한다. 내부 공기가 용기 부분(34)으로 배출되고 공기가 배출구 부분들(41, 42)을 통해 네 갈래로 우회하여 통과할 때, 배출구 부분들(41, 42)은 조절 밸브(38)의 최종 통과 부분으로 형성된다.There are some spaces between these outlet portions 41, 42. These spaces form part of the air path through which air passes outward 34 as indicated by arrow 47c. When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to the container part 34 and the air passes four-bypass through the outlet parts 41 and 42, the outlet parts 41 and 42 are the final passage part of the regulating valve 38. Is formed.

따라서, 외부(34)로부터 역방향 흐름은 공기 경로(48)를 통해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 그래서, 역방향 흐름은 배출구 부분들 (41, 42)에 의해 어느 정도에서 정지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 밀봉 용기(80)의 내부(33)로부터 외부(34)로의 공기 흐름은 조절 밸브(38)를 통해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전파된다. 더 나아가, 조절 밸브(38) 내에 형성된 좁게 하향된 부분들(37), 확장된 부분들(35) 및 배출구 부분들(41, 42)은 역방향 흐름(외부(34)로부터 내부(33)로)을 방지하는 동작을 한다.Thus, reverse flow from the outside 34 does not easily pass through the air path 48. Thus, the reverse flow is stopped to some extent by the outlet portions 41, 42. As described, the air flow from the interior 33 to the exterior 34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propagates relatively smoothly through the control valve 38. Furthermore, the narrowly downward portions 37, the expanded portions 35 and the outlet portions 41, 42 formed in the regulating valve 38 flow in reverse flow (from the outer 34 to the inner 33). To prevent the operation.

도 8은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밸브의 동작과 효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 예는 조절 밸브(38)에서 역방향 흐름이 발생할 때 조절 밸브(38)의 조건을 보여준다. 먼저, 공기는 공기 경로(48)로 거의 유입하지 못하는데 배출구 부분들(41, 42)이 역방향 공기 흐름은 조절 밸브(38)로 유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reventing the reverse flow. This embodiment shows the condition of the control valve 38 when reverse flow occurs in the control valve 38. First, air rarely enters the air path 48 because the outlet portions 41, 42 do not allow reverse air flow to enter the control valve 38.

대신에, 제2 용기 필름(31b)과 화살표 51에 의해 표시되는 제2 밸브 필름(32a) 사이에 공기가 흐르는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기 때문에 부풀게 된다. 그래서 제2 조절 밸브 필름(32a)이 오른쪽으로 눌리고, 동시에, 제1 조절 밸브(32b)는 왼쪽으로 눌린다. 그 결과, 두 조절 밸브 필름(32a, 32b)은 화살표 5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그리하여 조절 밸브(38)를 닫는다.Instead, air flows between the second container film 31b and the second valve film 32a indicated by the arrow 51, which swells due to the atmosphere as shown in FIG. Thus, the second control valve film 32a is pressed to the r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trol valve 32b is pressed to the left. As a result, the two regulating valve films 32a, 32b are tightly coupled, as indicated by arrow 52, thereby closing the regulating valve 38.

따라서, 공기의 역방향 흐름이 방해되는 동안 공기의 정방향 흐름은 쉽게 수행된다.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로 인하여, 진공 밀봉 용기 안의 패킹된 제품 내의 액체 또는 물은 조절 밸브(38)를 통해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내부의 공기가 진공 밀봉 용기(80)로부터 제거되지만 내부의 액체는 내부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조절 밸브(38) 안의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 때문이다.Thus, the forward flow of air is easily performed while the backward flow of air is interrupted. Due to the moisture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 90, liquid or water in the product pack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s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control valve 38. In other words, the air inside is removed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but the liquid inside is not discharged from the inside because of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 material 90 in the regulating valve 38.

도 9a와 도 9b는 공기의 역방향을 방지하고 정방향을 촉진하는 기본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조절 밸브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 조절 밸브 부분은 도 7a, 7b 및 도 8에 나타난 것과 유사하지만, 조절 밸브 필름이 단 한 장만 사용된다. 도 9a는 진공 밀봉 용기로부터 조절 밸브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9b는 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다.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 valve for explaining th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air and to promote the forward direction. In this example, the regulating valve portion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7A, 7B and 8, but only one regulating valve film is used. 9A shows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rough the control valve. 9B illustrates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air.

쉬트 131a 및 131b는 진공 밀봉 용기의 백부분을 위한 플라스틱 필름이거나 백 부분을 위한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는 조절 밸브에 제공되는 필름들이 될 수 있다. 습기 침투 방수 물질(190)은 조절 밸브 쉬트(132) 위에 위치한다. 조절 밸브 쉬트(132)는 대기압으로 인해 조절 밸브를 밀봉하기 위해 반대 쉬트에 닿도록 조절 밸브 쉬트(132)가 휘는 점에서 도 7a, 7b 및 도 8에 나타난 조절 밸브 쉬트(32b)와 유사하다.The sheets 131a and 131b may be plastic films for the bag por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r films provided on a control valv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lastic film for the bag portion. Moisture ingress waterproof material 190 is positioned over control valve sheet 132. The regulating valve sheet 132 is similar to the regulating valve sheet 32b shown in FIGS. 7A, 7B and 8 in that the regulating valve sheet 132 bends so as to contact the opposite sheet to seal the regulating valve due to atmospheric pressure.

도 9a에서 화살표(195)로 표시된 것처럼, 진공 밀봉 용기를 누르거나 압착하면 공기가 밖으로 배출된다. 공기는 조절 밸브 내의 방수 물질(190)과 쉬트(131a) 사이에 형성된 공기 경로를 통해 밖으로 배출될 것이다. 진공 밀봉 용기를 파괴할 힘이 제공되지 않으면, 조절 밸브 필름(132)과 습기 침투 방수 물질(190)은 필름(131a)에 닿기 위해 대기압에 의해 휜다. 그래서, 도 9b의 상태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조절 밸브가 닫힌다. 위에서 언급한 조절 밸브의 구조로 인하여, 공기의 역방향 흐름은 역방향의 공기 개방이 금지된 것과 같이 발생하지 않는다.As indicated by arrow 195 in FIG. 9A, the air is vented out when the vacuum seal container is pressed or compressed. The air will be exhausted out through an air path formed between the waterproof material 190 and the sheet 131a in the regulating valve. If no force was provided to break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e regulating valve film 132 and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190 were pulled by atmospheric pressure to reach the film 131a. Thus, as shown in the state of FIG. 9B, the control valve is clos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regulating valve mentioned above, the reverse flow of air does not occur as the opening of the reverse air is prohibited.

도 10a 내지 도 10D는 조절 밸브 부분에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예들, 특히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의 구성에 관하여 조절 밸브 부분을 단순히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a는 위의 예와 동일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그것은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이 조절 밸브 필름(32b)의 하나에 위치하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을 다른 조절 밸브 쉬트(32a) 위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10A-10D are simply side views illustrating the control valv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arious examples that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valve portion,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90. 10A shows a configuration that is the same as the above example. That is, the moisture penetration waterproofing material 90 is located in one of the regulating valve films 32b. It is also possible to position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90 over the other regulating valve sheet 32a.

도 10b는 조절 밸브 부분의 단순한 측면도로서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a)이 조절 밸브 쉬트(32a, 32b) 위에 조절 밸브의 배출구를 감싸도록 위치한다. 이 구성에서,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a)의 작은 부분이 물과 같은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 밸브 쉬트(32a, 32b)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를 감싸도록 위치한다. 조절 밸브 쉬트의 전체 표면 위에 위치하는 것보다,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a)은 조절 밸브 쉬트(32a, 32b)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그래서, 조절 밸브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a)의 양이 줄어든다.FIG. 10B is a simple side view of the regulating valve portion, with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90a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outlet of the regulating valve over the regulating valve sheet 32a, 32b. In this configuration, a small portion of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90a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let formed by the edges of the regulating valve sheets 32a and 32b to prevent the flow of liquids such as water. Rather than being loca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regulating valve sheet,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90a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regulating valve sheet 32a, 32b. Thus, the amount of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90a required to form the regulating valve is reduced.

도 10C는 조절 밸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데,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a)이 조절 밸브 쉬트 위 다수의 장소에 위치한다. 특히,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a)의 두 부분들이 조절 밸브 쉬트(32b) 위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b)의 두 조각이 액체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각각 조절 밸브의 인입구와 배출구에 근접하여 위치한다.10C shows another example of a regulating valve, in which a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90a is located at multiple locations on the regulating valve sheet. In particular, two portions of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 material 90a are positioned above the regulating valve sheet 32b. In this example, two pieces of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90b are located close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ntrol valve, respectively, to effectively prevent the flow of liquid.

도 10D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데, 습기 침투 방수 물질(90c)이 각 조절 밸브 쉬트(32a, 32b)에 점착된다. 원칙적으로, 도 10D에 나타낸 구성은 도 10b의 것과 유사하며,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이 조절 밸브 쉬트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위치한다. 하지만,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조절 밸브 필름들(32a, 32b)의 내부 표면 위에 제공된다.10D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90c is adhered to each regulating valve sheet 32a, 32b. In principl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0D is similar to that of Fig. 10B, wherein a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is located between the openings formed between the regulating valve sheets. However, the moisture penetrating waterproofing material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gulating valve films 32a and 32b.

도 10a 내지 도 10D에 보여준 어느 예에서도, 조절 밸브의 기능은 도 7a, 도 7b 및 도 8의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그래서, 조절 밸브는 진공 밀봉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진공 밀봉 용기 내에 역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방지하는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조절 밸브는 진공 밀봉 용기 내부의 고기의 육즙과 같은 액체를 유지하기 위해 정방향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ny of the examples shown in FIGS. 10A-10D, the function of the regulating valv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7B and 8. Thus, the control valve can effectively perform the operation of preventing the flow of air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vacuum seal container to keep the inside of the vacuum seal container in a vacuum state. At the same time, the regulating valve can effectively perform the operation of preventing the flow of the forward liquid in order to maintain a liquid such as meat juice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비록 위에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고 보여준 예들에서 조절 밸브들은 순수 플라스틱 필름들로 만들어졌지만, 조절 밸브는 도 11의 도면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조절 밸브로부터 돌출된 스트로우 형상(실린더형) 개구부를 가질 수도 있다. 개구부(65)는 진공 밀봉 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진공 장치를 허용할 수 있는 원형 개구부이다. 개구부(65)는 또한 사용자의 입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regulating valves in the examples described and show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bove are made of pure plastic films, the regulating valve may have a straw shaped (cylindrical) opening protruding from the regulating valve as shown in the figure of FIG. 11. The opening 65 is a circular opening that can allow a vacuum device to be inserted to suck air insid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e opening 65 may also suck air into the mouth of the user.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구부(65)를 덮는 덮개가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도 11에서 개구부(65)는 원형 형상을 가지지만 삼각형 도는 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개구부의 크기는 진공 밀봉 용기의 용기에 맞도록 다양하게 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lid covering the opening 65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Although the opening 65 in FIG. 11 has a circular shape, other shapes such as triangular or square may be used. The size of the opening can be varied to fit the container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백 부분(39)은 그 표면 위에 액체가 쉽게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하게 구성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용기 내의 공기를 빼내기 위해 진공 밀봉 용기가 눌리거나 압축되면, 진공 밀봉 용기(80) 내의 물은 조절 밸브(38)를 향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의 백 부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쉬트 들의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The bag portion 39 as shown in FIG. 6 may use a specially constructed film to prevent liquid from easily flowing over its surface. Thus, whe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s pressed or compressed to withdraw air in the container, the water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 is prevented from moving toward the control valve 38. 12A and 12B are side views showing examples of sheets that may be used for the bag portion of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는 진공 밀봉 용기의 백 부분(bag portion)의 측면도로서, 쉬트(32d)는 진공 밀봉 용기의 액체의 부드러운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 및 불규칙성을 갖는다. 이 예에서, 쉬트(32d) 만이 내부 표면에 돌기를 가지는데, 쉬트(32d)에 반대되는 쉬트(32c)는 부드러운 쉬트이다. 돌기는 액체를 위채 백 쉬트의 표면 위에 미로를 만들기 위해 형성된다.12A is a side view of a bag por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wherein the sheet 32d has protrusions and irregularities to prevent a smooth flow of liqui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In this example, only the sheet 32d has protrusions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sheet 32c opposite the sheet 32d is a soft sheet. Protuberances are formed to create a labyrinth of liquid on the surface of the backsheet.

도 12b는 진공 밀봉 용기의 백 부분의 측면을 나타내는데 두 쉬트(32f, 32e)가 돌기와 불규칙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돌기의 형상들은 그것들이 진공 밀봉 용기의 액체의 부드러운 흐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할 수 있다. 돌기는 액체를 위채 백 쉬트의 표면 위에 미로를 만들기 위해 형성된다.12B shows the side of the bag por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showing that the two sheets 32f and 32e have protrusions and irregularities. The shapes of the projections can vary as long as they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mooth flow of liqui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Protuberances are formed to create a labyrinth of liquid on the surface of the backsheet.

도 12a 및 도 12b의 예들에서, 쉬트(32f, 32e)가 투명할 때, 심미직 효과를 성취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액체의 부드러운 흐름을 방지하는 백 부분의 내부에 심미적 도면, 평면도 작업 또는 글씨와 같은 상징적 표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체의 부드러운 흐름을 방지하고 의도된 정보나 로고 등과 같은 것을 제공하면서 돌기의 기능을 갖는 백 부분의 위에 회사 로고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체의 것으로, 쉬트는 액체의 부드러운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거친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In the examples of FIGS. 12A and 12B, when the sheets 32f and 32e are transparent, they are symbolic such as an aesthetic drawing, plan view work or writing inside the bag portion that prevents a smooth flow of liquid as well as achieving an aesthetic eff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pression. For example, company logos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bag portion that functions as a protrusion while preventing a smooth flow of liquid and providing such as the intended information or logo. Alternatively, the sheet may be made of a coarse material to prevent the smooth flow of liquid.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되는 재밀봉 지퍼는 슬라이딩 지퍼를 활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 지퍼는 위에서 언급한 재밀봉 지퍼의 구조로 유사한 구조일 수 있고, 진공 밀봉 용기를 열고 닫는 재밀봉 지퍼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손잡이를 가진다. 이러한 예들은 도 13a 및 도 13b의 사시도에 나타난다.The resealable zipper us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a sliding zipper. The sliding zipper may be similar in structure to the resealable zipper mentioned above, and has a sliding handle that slides along the resealed zip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ese examples are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S. 13A and 13B.

도 13a는 슬라이딩 지퍼를 나타낸 것으로 한 겹의 재밀봉 지퍼(188)가 사용된다. 슬라이딩 손잡이(158)를 재밀봉 지퍼(188)를 따라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진공 밀봉 용기가 닫힌다. 슬라이딩 손잡이(158)를 재밀봉 지퍼(188)를 따라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진공 밀봉 용기가 열린다. 도 13b는 두 겹의 재밀봉 지퍼(188a, 188b)가 서로 나란히 형성된 슬라이딩 지퍼를 나타낸 것이다. 슬라이딩 손잡이(158b)는 재밀봉 지퍼들(188a, 188b)을 동시에 열고 닫을 수 있다. 슬라이딩 지퍼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13A shows a sliding zipper, in which a layer of resealing zipper 188 is used. Sliding the sliding handle 158 in one direction along the resealing zipper 188 closes the vacuum seal container. Sliding the sliding handle 158 in the other direction along the resealing zipper 188 opens the vacuum seal container. 13B shows a sliding zipper in which two layers of resealed zippers 188a, 188b are formed next to each other. Sliding handle 158b may open and close resealable zippers 188a, 188b simultaneously. Sliding zippers are generally well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밸브는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고 용기의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개선된 공간을 갖는다. 하지만, 진공 밀봉 음식 용기로부터 액체가 누출되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보조 밀봉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4는 내부 재밀봉 지퍼(88j)와 함께 보조 외부 재밀봉 지퍼(88k)를 성취하기 위한 진공 밀봉 용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재밀봉 지퍼(88k, 88j)의 구성은 위에서 언급한 재밀봉 지퍼와 동일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an improved space for preventing the flow of liquid and for maintaining the vacuum of the container. However, it would be desirable to provide an auxiliary sealing effect to ensure that no liquid leaks from the vacuum sealed food container. 14 shows an example of a vacuum sealed container to achieve an auxiliary outer resealing zipper 88k with an inner resealing zipper 88j. The configuration of the resealable zippers 88k and 88j may be the same as the resealable zippers mentioned above.

이 실시 예에서, 조절 밸브(38h)는 위에서 언급한 구성과 비슷하며, 내부 재밀봉 지퍼(88j)와 조합되어 위치한다. 외부 재밀봉 지퍼(88k)는 진공 밀봉 용기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근접한 곳에 위치한다. 내부 재밀봉 지퍼(88j)와 외부 재밀봉 지퍼(88k)는 동작에서 각자로부터 독립적이다.In this embodiment, the regulating valve 38h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mentioned above and is located in combination with the internal resealing zipper 88j. The outer resealable zipper 88k is located near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e inner resealable zippers 88j and the outer resealable zippers 88k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operation.

대상물이 진공 밀봉 용기(80J)에 위치할 때, 두 내부 재밀봉 지퍼(88j)와 외부 재밀봉 지퍼(88k)는 열린다. 내부 재밀봉 지퍼(88j)가 닫힌 후에 내부 공기는 진공 상태를 만들기 위해 조절 밸브(38h)를 통해 진공 밀봉 용기(80J)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면, 외부 재밀봉 지퍼(88k)가 닫힌다. 만약 액체기 조절 밸브(38h)로부터 누출되어도, 액체는 외부 재밀봉 지퍼(88k)가 단단히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 밀봉 용기(80J)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When the object is placed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J, the two inner resealing zippers 88j and the outer resealing zippers 88k are opened. After the inner resealable zipper 88j is closed,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80J through the regulating valve 38h to create a vacuum state. The outer resealable zipper 88k is then closed. Even if it leaks from the liquid control valve 38h, the liquid does not leak from the vacuum seal container 80J because the outer resealing zipper 88k is tightly sealed.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밀봉 용기의 구조는 재밀봉 지퍼와 조절 밸브를 가지고 있어 진공 밀봉 용기로부터 공기나 다른 가스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진공 밀봉 용기는 진공 밀봉 용기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역방향의 공기 흐름을 방지하면서, 정방향의 공기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그래서, 고기와 같은 대상물인 진공 밀봉 용기 내에서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다. 내부의 액체가 조절 밸브에 의해 박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진공 밀봉 용기는 진공 밀봉 용기 내의 고기 육즙과 같은 액체를 유지할 수 있어서 고기의 맛과 신선도가 오랫동안 변하지 않게 된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has a resealing zipper and a control valve so that air or other gas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e vacuum sealed container may allow forward air flow while preventing reverse air flow to maintain the vacuum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Thus, i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atmosphere in a vacuum sealed container that is an object such as meat. Since the liquid inside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foil by the control valve, the vacuum sealed container can hold a liquid such as meat gravy in the vacuum sealed container so that the taste and freshness of the meat do not change for a long time.

비록 본 발명이 여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에를 참조하고 있지만, 관련분야의 기술자는 다양한 변화와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사고와 범위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변형과 변화는 그 동일성과 수정된 함께 내에서 고려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various changes are not separate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considered within the same identity and modification.

9: 밀봉 백 11: 지퍼
12: 홈부 13: 돌출부
31: 플라스틱 필름 33: 안쪽면
38: 조절 밸브 39: 백 부분
41: 밀봉 부분 42: 강화 밀봉 부분
48: 공기 통로 65: 개구부
80: 용기 88, 188: 재밀봉 지퍼
90: 습기 침투 방수 물질층 91: 대상물
158: 슬라이딩 손잡이
9: sealing bag 11: zipper
12: groove 13: protrusion
31: plastic film 33: inside
38: control valve 39: bag portion
41: sealing portion 42: reinforced sealing portion
48: air passage 65: opening
80: container 88, 188: resealing zipper
90: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layer 91: object
158: sliding knob

Claims (16)

진공 밀봉 용기를 형성하는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
조절 밸브가 진공 밀봉 용기를 닫기 위해 지퍼와 함께 접하거나 겹치는 진공 밀봉 용기의 개구부에 위치할 때,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 사이에 끼인 조절 밸브 필름;
상기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 중 어느 하나와 조절 밸브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경로를 구비하되 공기 경로를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밀봉 부분들이 공기의 원활한 흐름에 대하여 저항성을 만들며;
공기와 습기의 통과는 허용하되 액체의 통과는 방지하는 능력을 갖는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을 구비하되 상기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공기 경로를 통해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경로의 일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
A first outer film and a second outer film forming a vacuum sealed container;
A control valve film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when the control valve is positioned in an opening of the vacuum seal container that abuts or overlaps with the zipper to close the vacuum seal container;
An air path formed between one of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and a control valve film, wherein the sealing portions provided to make the air path make resistance to smooth flow of air;
A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is provided that has the ability to allow air and moisture to pass through, but prevents the passage of liquid, wherein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 path to prevent the ingress of liquid through the air path. Control valves used in vacuum sealed contain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분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향해 공기 경로를 점차 좁히는 V-형상의 좁은 하향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2. The control valve of claim 1, wherein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narrow V-shaped downward portion that gradually narrows the air path towards the direction of flow of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직조된 섬유 물질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2. The control valve of claim 1 wherein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ing material is not a woven fibrous material. 진공 밀봉 용기를 형성하는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
조절 밸브가 진공 밀봉 용기를 닫기 위해 지퍼와 함께 접하거나 겹치는 진공 밀봉 용기의 개구부에 위치할 때,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 사이에 끼인 한 쌍의 조절 밸브 필름;
상기 조절 밸브 필름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경로를 구비하되 공기 경로를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밀봉 부분들이 공기의 원활한 흐름에 대하여 저항성을 만들며;
공기와 습기의 통과는 허용하되 액체의 통과는 방지하는 능력을 갖는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을 구비하되 상기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공기 경로를 통해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경로의 일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
A first outer film and a second outer film forming a vacuum sealed container;
A pair of regulating valve film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when the regulating valve is positioned in an opening of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that abuts or overlaps with the zipper to close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An air path formed between the control valve films, wherein the sealing portions provided to make the air path make resistance to smooth flow of air;
A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is provided that has the ability to allow air and moisture to pass through, but prevents the passage of liquid, wherein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 path to prevent the ingress of liquid through the air path. Control valves used in vacuum sealed containe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분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향해 공기 경로를 점차 좁히는 V-형상의 좁은 하향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에 사용되는 조절 밸브.5. The control valve of claim 4, wherein the sealing portion comprises a narrow V-shaped narrow downward portion that gradually narrows the air path towards the direction of flow of air.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으로 구성되어 그 안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백 부분(bag portion);
진공 밀봉 용기 내부로 물건을 넣기 위해 인입부를 갖는 백 부분의 한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백 부분의 인입부를 열거나 닫는 재밀봉 지퍼;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 사이에 끼인 조절 밸브 필름과, 상기 제1 외부 필름과 제2 외부 필름 중 어느 하나와 조절 밸브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경로를 구비하되 공기 경로를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밀봉 부분들이 공기의 원활한 흐름에 대하여 저항성을 만들며, 공기와 습기의 통과는 허용하되 액체의 통과는 방지하는 능력을 갖는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을 구비하되 상기 습기 침투 방수 물질은 공기 경로를 통해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경로의 일부에 형성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밀봉 용기.
A bag portion composed of a first outer film and a second outer film to receive an object therein;
A resealable zipper formed at one edge of the bag portion having an inlet to insert an object into the vacuum seal container, the resealable zipper opening or closing the inlet of the bag portion;
A control valve film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and an air path formed between any one of the first outer film and the second outer film and the control valve film provided to make the air path. Sealing parts are provided with a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that is resistant to the smooth flow of air and that has the ability to allow the passage of air and moisture but prevent the passage of liquid,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being capable of introducing liquid through the air path. A vacuum sealed container comprising a control valve formed in a portion of the air path to prevent th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부분(bag portion)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액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 또는 불규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g portion has protrusions or irregularities to prevent smooth flow of liqui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부분(bag portion)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한 부분은 액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 또는 불규칙성을 가지며 상기 돌기 또는 불규칙성은 로고(logo)와 심미적 효과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g portion has protrusions or irregularities to prevent the smooth flow of liquid and the protrusions or irregularities symbolically represent logos and aesthetic effects. Vacuum seal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필름은 백 부분(bag portion)의 한 필름이고 제2 외부 필름은 상기 백 부분의 필름의 다른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outer film is one film of a bag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film is another portion of the film of the bag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필름은 백 부분(bag portion)의 한 필름이고 제2 외부 필름은 재밀봉 지퍼의 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outer film is one film of a bag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film is a portion of a resealable zipp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밸브는 조절 밸브의 끝으로부터 돌출된 스토로우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gulating valve has a straw shaped opening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regulating valv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밸브는 돌출된 스토로우 형상의 개구부에 맞는 덮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12.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11, wherein the regulating valve has a lid adapted to a protruding stole-shaped open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밀봉 지퍼는 슬라이딩 손잡이로 밀봉되는 슬라이딩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6, wherein said resealed zipper is a sliding zipper sealed with a sliding hand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밀봉 지퍼는 진공 밀봉 용기의 백 부분을 열거나 닫기 위한 슬라이딩 손잡이로 밀봉되는 슬라이딩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6, wherein the resealable zipper is a sliding zipper sealed with a sliding handle for opening or closing the bag por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제 6 항에 있어서, 다수의 재밀봉 지퍼들이 서로 나란히 평행하고, 하나의 슬라이딩 손잡이는 진공 밀봉 용기의 백 부분을 열거나 닫는 다수의 재밀봉 지퍼들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resealable zipper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one sliding handle slides along the plurality of resealed zippers that open or close the bag portion of the vacuum sealed contai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밀봉 지퍼의 더 바깥쪽에 위치한 외부 재밀봉 지퍼를 더 포함하고 조절 밸브의 개구부들이 두 재밀봉 지퍼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봉 용기.7. The vacuum sealed container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outer resealing zipper located further outward of the resealing zipper, wherein the openings of the control valve are positioned between the two resealing zippers.
KR1020110078121A 2011-08-05 2011-08-05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KR201300158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21A KR20130015844A (en) 2011-08-05 2011-08-05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21A KR20130015844A (en) 2011-08-05 2011-08-05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844A true KR20130015844A (en) 2013-02-14

Family

ID=4789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121A KR20130015844A (en) 2011-08-05 2011-08-05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58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789A (en) * 2018-02-07 2020-10-16 씨제이제일제당 (주) pouch for packaging fermented food and fermented food packaging method using it, and pouch for packag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789A (en) * 2018-02-07 2020-10-16 씨제이제일제당 (주) pouch for packaging fermented food and fermented food packaging method using it, and pouch for packa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7738B2 (en) Recloseable storage bag with porous evacuation portal
US6983845B2 (en) Recloseable storage bag with user-deformable air vent
US7674041B2 (en) Packag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085906A (en) Vacuum sealing system
KR101026614B1 (en) Storage cover with multiple exhaust vents
US8640430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the controlled change of the gas content inside a package
US20080011752A1 (en) Structure of check valve and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US6403174B1 (en) Element for the formation of bags for packing food products and not under vacuum
US20070110340A1 (en) Tamper evident polymeric package with zipper closure and valve, and methods
US20120224792A1 (en) Valve And Valve Strip For A Reclosable Container
JP2005531471A (en) Openable and closable storage bag having a second closing member
KR200800065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nd sealing containers
CA2755105C (en) Vacuum compression storage bags
RU2007140883A (en) FOOD CONTAINER
JP5894362B2 (en) Package with fluid filled chamber closure device
KR20130015844A (en)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use in a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US20080304771A1 (en) Vacuum storage bag with zipper
KR101358124B1 (en) Vacuum bag
KR20180002522U (en) Portable pouch for liquid storage
KR101561128B1 (en) Check valve and vacuum packing envelope having the same
JP2005153974A (en) Side gusset packaging bag with air-permeable chuck
KR100615064B1 (en) Thermally Bonded Zipper Bag with Exhaust Aid
KR200328917Y1 (en) Vacuum packing valve
JPH024900Y2 (en)
KR100415393B1 (en) Vacuum packing bag and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