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102A -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for measuring wear condition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for measuring wear condition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3102A KR20130013102A KR1020110074523A KR20110074523A KR20130013102A KR 20130013102 A KR20130013102 A KR 20130013102A KR 1020110074523 A KR1020110074523 A KR 1020110074523A KR 20110074523 A KR20110074523 A KR 20110074523A KR 20130013102 A KR20130013102 A KR 201300131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re
- distance
- wear
- value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6—Tread wear monito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와 센서까지의 거리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확인한다. 따라서,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타이어의 마모 관리가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wear state of the tire using the distance 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 tire and the sensor. Therefore, it is easy to manage the wear of the tire by automatically measur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without checking with the naked eye to inform the dri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이어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 마모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지않고 측정할 수 있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승차감 및 조향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트레드 면에 다수의 그루브로 구획된 다수의 블럭이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a tir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tread surface for improving ride comfort and steering performan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드는 주행시 지면과 접촉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으로 상기 블럭이 마모되고, 상기 블럭이 마모됨에 따라 상기 그루브의 깊이가 얕아져 승차감 및 조향 성능이 하락되고, 심지어는 마모로 인해 타이어가 파손된다. The trea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ears the block due to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while driving, and as the block wears, the depth of the groove becomes shallow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ride comfort and steering performance. It is broken.
따라서, 타이어의 마모 정도로 그 타이어의 수명을 판단하게 되는데, 그 판단 기준이 모호하여 타이어의 마모 한계 이상까지 사용하게 됨으로써, 타이어의 파손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Therefore, the tire life is judged to the extent of the wear of the tire, the ambiguous criterion of the tire used to exceed the wear limit of the tire, frequent accidents due to damage to the ti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타이어 마모시기와 교체시기를 육안으로도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마모 표시구가 구비된 타이어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nventionally, a tire having a wear indicator is disclosed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tire wear time and replacement time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e naked eye.
종래의 마모표시구가 형성된 타이어는 타이어의 그루브(4) 기저에 마모 한계 표시부(2)를 구비하고 측벽부(5)에 마모표시구(1)를 구비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의 측벽부(5) 상방의 블럭(3)상에 원주방향으로 동심원을 이루고, 마모 한계 깊이(h)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분할 설치되며, 그 단면이 삼각형상을 구비하도록 하는 마모 표시용의 돌출라인(6)을 구비하여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판단하고자 하였다.A tire having a conventional wear indicator has a wear limit indicator (2) at the base of the groove (4) of the tire and a wear indicator (1) at the side wall (5). Protruding line for abrasion indication that forms a concentric circ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모표시구(1)가 형성된 타이어는 타이어가 마모됨에 따라 타이어 측면에 형성된 돌출라인(6)이 마모되어 없어져, 운전자가 육안으로 타이어의 상기 마모표시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마모한계까지 타이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마모한계 이상으로 타이어를 사용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The tire having the
하지만, 상기와 같이 마모표시구(1)를 구비한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육안을 이용한 판단 방법으로서, 그 정확성이 떨어지고, 또한 매번 타이어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judg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provided with the wear indicator (1) as described above is basically a visual judgment method, the accuracy is poor, and each time the tire is removed from the vehicle and visually confirmed There is discomfor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 타이어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여, 타이어의 교체 시점을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주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wear state of a tire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and to measure the wear state of the tire without removing the tire from the vehicle, thereby informing the driver of the tire wear state accurately. To provide a vehicle electrical system for measur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easuring the wear state of a ti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시스템은,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 상부에 배치되도록 차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중 상기 트레드 표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거리의 변동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거리의 변동값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분석한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마모 관리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electrical system for measur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disposed on the tread surface of the tire, the distance to the tread surface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A tire that analyzes a wear state of the tire based on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real time, a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change value of a distanc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n real time, and a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unit. It includes a tire wear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the wear state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본 발명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타이어의 마모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초기 거리값과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 거리값 간의 차이값을 상기 거리의 변동값으로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거리값은 상기 타이어의 전체 둘레를 대상으로 측정된 복수의 측정 거리값을 평균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ng unit chang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before the wear of the tire starts and the measured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while driving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as a value. The measurement distance value may be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a plurality of measurement distance values measured fo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ir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의 센싱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부의 센싱 샘플링 주기를 조절하는 샘플링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sensing error of the sens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ampling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sensing sampling period of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어 마모 관리부는 상기 거리의 변동값과 기설정된 기준값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타이어의 정상 상태 정보, 상기 타이어 교체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상기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wear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tire wear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ady state information of the tire, the tire replacement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the driver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는 중심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 거리 센서와 상기 중심 둘레 표면에 인접한 제1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감지하는 제2 거리 센서 및 상기 중심 둘레 표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주변 둘레 표면과 마주하는 제2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3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거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중심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과, 상기 제2 거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 및 상기 제3 거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2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타이어 마모 관리부는 상기 연산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1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과 상기 제2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편마모 상태를 분석한 타이어 편마모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상기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is a first distance sensor for sensing the distance to the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and the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sensing the distance to the first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And a third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the second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first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calculation unit is a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center peripheral surface detected by the first distance sensor, a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first peripheral peripheral surface detected by the second distance sensor and the first value; And calculating a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second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sensed by the third distance sensor. In this case, the tire wear management unit compares the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first peripheral peripheral surface and the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second peripheral peripheral surface received through the calculating unit, and wear-resistant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providing the tire wear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tire single wear state information in which the state is analyzed.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 상부에 배치된 거리 센서를 통해 상기 트레드 표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된 거리의 변동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거리의 변동값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분석한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easuring a wear state of a tire includes measuring a distance to a tread surface in real time through a distance sensor disposed on a tread surface of a tire, and measuring the distance measured in real time. Calculating a variation value and providing tire wear state information analyz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based on the calculated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의하면,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타이어의 마모 관리가 용이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manage the wear of the tire by automatically measur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without checking with the naked eye to inform the driver.
도 1은 종래의 마모 표시구가 형성된 타이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상태 측정 시스템의 전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tire having a conventional wear indicator.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ire wear stat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wear amount of the tire by using the system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타이어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measuring a tire wear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wear amount of the tire.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시스템(300)은 크게, 거리 센서에서 타이어(10)의 트레드 표면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타이어 마모 측정부(100) 및 타이어 마모량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타이어(10)의 마모 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마모 관리부(2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우선, 타이어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타이어 마모 측정부(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tire
상기 타이어 마모 측정부(100)는 센서부(110), 연산부(120), 샘플링 조절부(130), 메모리(140) 및 송신부(150)를 포함한다.The tire
센서부(110)는 타이어(10)의 트레드 표면 상부에 배치되도록 차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차량의 주행 중 센서로부터 상기 트레드 표면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타이어 트레드 표면에는 마모 이전에도 굴곡이 존재하며, 차량 주행중 편마모 등 굴곡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거리 센서를 포함한다. 즉, 센서부(110)는 타이어(10)의 트레드 표면 중 중심 둘레 표면(R1)까지의 거리를 감지한 제1 측정 거리값(y1)을 출력하는 제1 거리 센서(S1)와, 상기 중심 둘레 표면(R1)에 인접한 제1 주변 둘레 표면(R2)까지의 거리를 감지한 제2 측정 거리값(y2)을 출력하는 제2 거리 센서(S2) 및 상기 중심 둘레 표면(R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주변 둘레 표면(R2)과 마주하는 제2 주변 둘레 표면(R3)까지의 거리를 감지한 제3 측정 거리값(y3)을 출력하는 제3 거리 센서(S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및 제3 거리 센서(S2, S3)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를 통해 타이어(10)의 편마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거리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의 예를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밀하고 정확한 타이어 마모 상태가 요구되는 경우, 또는 타이어 사양(예컨대, 사이즈)에 따라 구획된 각 표면(R1, R2, R3) 마다 적어도 2개 이상의 거리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 거리 센서(S1, S2, S3)의 센싱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 거리 센서(S1, S2, S3)의 센싱 샘플링 주기를 조절하는 샘플링 조절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타이어가 N(여기서, N은 자연수)번 회전하는 동안 증가된 센싱 샘플링 주기만큼 촘촘히 측정하여 타이어 전체 둘레에 대한 평균 측정 거리값을 계산하여 센싱 오차를 줄여나갈 수 있다.The
연산부(120)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거리의 변동값을 연산한다. 즉, 연산부(120)는 메모리(140)에 기저장된 초기 거리값(x1, x2, x3)을 제공받고, 이 초기 거리값과 상기 센싱부(110)에 의해 현재 측정된 측정 거리값(y1, y2, y3) 간의 차이값들(w1, w2, w3)을 타이어의 마모량으로서 연산한다. 여기서, 초기 거리값은 상기 타이어의 마모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센싱부(110)에 의해 측정된 초기 거리값으로 예컨대, 공장 출하된 타이어(10)의 트레드 표면에서 센서까지의 거리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calculating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중심 둘레 표면(R1)의 마모량(w1)은 제1 거리 센서(S1)로부터 타이어(10)의 중심 둘레 표면까지의 초기 거리값(x1)과 현재 측정된 측정 거리값(y1)의 차이값(w1 = x1 - y1)으로 계산된다. 타이어의 제1 주변 둘레 표면(R2)의 마모량은 제2 거리 센서(S2)로부터 타이어(10)의 제1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초기 거리값(x2)과 현재 측정된 측정 거리값(y2)의 차이값(w2 = x2 - y3)으로 계산되며, 유사한 방식으로 타이어의 제2 주변 둘레 표면(R2)의 마모량(w3)은 x3 - y3로 계산된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wear amount w1 of the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R1 of the tire is equal to the initial distance value x1 from the first distance sensor S1 to the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아래의 표 1은 일례로서 타이어 트레드 표면의 마모량을 연산한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Table 1 below is an example showing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wear on the surface of the tire trea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송신부(150)는 상기 연산부(120)로부터 상기 차이값들(w1, w2, w3)을 전달받고, 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타이어 마모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이하, 상기 타이어 마모 관리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ire
상기 타이어 마모 관리부(200)는 상기 연산부(120)에 의해 연산된 상기 거리의 변동값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수신부(210), 타이어 상태 분석부(220) 및 표시부(230)를 포함한다. The tire
수신부(210)는 상기 송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차이값들을 내부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타이어 상태 분석부(220)로 전달한다.The
타이어 상태 분석부(220)는 상기 거리의 변동값인 차이값들(w1, w2, w3)과 기설정된 기준값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타이어의 정상 상태 정보, 상기 타이어 교체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마모 상태를 분석한다. 예컨대, 차이값(w1)과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는 경우, 이 제1 기준값보다 차이값(w1)이 작으면, 타이어 중심 둘레 표면(R1)의 마모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타이어(10)가 교체 시기임을 결정한다. 또는 차이값(w2)과 기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는 경우, 이 제2 기준값보다 차이값(w2)이 작으면, 타이어의 제2 주변 둘레 표면의 마모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타이어(10)가 교체 시기임을 결정한다. 또는 차이값(w2)과 차이값(w3) 간의 비교를 통해 타이어의 편마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차이값(w2)과 차이값(w3)이 동일하면, 타이어의 편마모 상태는 정상으로 판단하고, 만일 차이값(w2)과 차이값(w3)이 서로 다르면, 타이어의 편마모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타이어가 교체시기임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타이어 상태 분석부(220)에 분석된 타이어 상태 정보들은 표시부(230)로 전달된다. The tire
표시부(230)는 이러한 타이어의 교체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타이어 마모 상태를 운전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케 한다. The display unit 230 provides the driver with a tire wear state including the tire replacement time information, visually or acoustically, to promote the driver's safe driving.
Claims (9)
상기 센싱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거리의 변동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거리의 변동값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분석한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마모 관리부
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a tread of a tire and detecting a distance to the tread surface in real time while the vehicle is driven;
A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change value of a distance sensed in real time by the sensing unit; And
A tire wear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tire wear state information to a driver of the vehicle, which analyzes a wear state of the tire based on the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Vehicle electrical system for measur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comprising a.
상기 타이어의 마모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초기 거리값과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 거리값 간의 차이값을 상기 거리의 변동값으로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 전장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itial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before the wear of the tire starts and the measured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calculated as the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to measure the wear of the tires.
상기 타이어의 전체 둘레를 대상으로 측정된 복수의 측정 거리값을 평균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asurement distance value,
And a plurality of measurement distance values measured fo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ire as an average value.
The vehicle electrical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ampling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sensing sampling period of the sensor unit to minimize sensing error of the sensor unit.
상기 거리의 변동값과 기설정된 기준값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타이어의 정상 상태 정보, 상기 타이어 교체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상기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wear management unit,
Measur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wherein the tire wear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normal state information of the tire and the tire replacement tim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river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and a preset reference value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중심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 거리 센서;
상기 중심 둘레 표면에 인접한 제1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감지하는 제2 거리 센서; 및
상기 중심 둘레 표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주변 둘레 표면과 마주하는 제2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3 거리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to a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distance sensor each sensing a distance to a first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central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hird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to the second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first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the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between;
Vehicle electrical system for measur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comprising a.
상기 제1 거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중심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과, 상기 제2 거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 및 상기 제3 거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2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
7.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The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center circumferential surface detected by the first distance sensor, the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first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detected by the second distance sensor, and the third distance sensor And calculate a change value of the detected distance to the second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연산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1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과 상기 제2 주변 둘레 표면까지의 거리의 변동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편마모 상태를 분석한 타이어 편마모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상기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차량용 전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tire wear management unit,
The tire side wear state of comparing the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first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variation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second peripheral circumferential surface transmitted through the calculating unit, and analyzing the state of wear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provide the driver with the tire wear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된 거리의 변동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거리의 변동값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분석한 타이어 마모 상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Measuring in real time the distance to the tread surface through a distance sensor disposed above the tread surface of the tire;
Calculating a change value of the distance measured in real time; And
Providing tire wear state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alyzing the wear state of the tire based on the calculated variation of the distance;
How to measure the wear state of the tir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4523A KR20130013102A (en) | 2011-07-27 | 2011-07-27 |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for measuring wear condition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4523A KR20130013102A (en) | 2011-07-27 | 2011-07-27 |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for measuring wear condition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3102A true KR20130013102A (en) | 2013-02-06 |
Family
ID=4789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4523A Ceased KR20130013102A (en) | 2011-07-27 | 2011-07-27 |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for measuring wear condition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1310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26991A (en) * | 2015-10-29 | 2017-05-10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Vehicle tire wearing detection equipment and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
KR102247479B1 (en) * | 2019-11-18 | 2021-05-03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Method of detecting a tire abnormal wear of a vehicle |
-
2011
- 2011-07-27 KR KR1020110074523A patent/KR2013001310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26991A (en) * | 2015-10-29 | 2017-05-10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Vehicle tire wearing detection equipment and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
CN106626991B (en) * | 2015-10-29 | 2018-08-03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vehicle tyre wear sensing equipment and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
KR102247479B1 (en) * | 2019-11-18 | 2021-05-03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Method of detecting a tire abnormal wear of a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2418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tire tread wear | |
EP3428597B1 (en) | Tire load estimation method and tire load estimation device | |
US7404318B2 (en) | Measurement of adherence between a vehicle wheel and the roadway | |
US20100060443A1 (en) | apparatus for estimating tire wear amount and a vehicle on which the apparatus for estimating tire wear is mounted | |
CN112590465B (en) | Tire wear measuring device and tire wear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 |
WO201103070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shape of a tyre contact patch | |
KR102002450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tire wear of a vehicle | |
WO2020250517A1 (en) | Tire degradation estimating device, and tire degradation estimating method | |
CN115335676A (en) | Tire information sensing device | |
KR20130013102A (en) |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for measuring wear condition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 |
JP2019069671A (en) | Tire deterioration diagnosing device and tire deterioration diagnosing system | |
KR10131016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ire wear status | |
KR101965964B1 (en) | Tire & Wheel Contact Pressure Monitoring System | |
KR102247479B1 (en) | Method of detecting a tire abnormal wear of a vehicle | |
US11110755B2 (en) | Tread wear profile tool | |
KR20160091088A (en) | System for Detecting Tire Condition | |
KR10156809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ire inflation pressure | |
CN211390851U (en) | Tire surface wear loss detection structure | |
CN107218905B (en) | Automobile four-wheel positioning service method, device and system | |
KR20200139356A (en) | Tread wear measurement sensor | |
KR20170080809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deformation of tire | |
US2023000937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dius of a wheel of a mobile machine | |
CN105636803A (en) | Method for detecting the wear of the tread band of a tyre and tyre provided with a tread band wear indicator | |
KR20200080522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abration of tooling pin | |
US2023001071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of dual whe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7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