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11994A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994A
KR20130011994A KR1020120079562A KR20120079562A KR20130011994A KR 20130011994 A KR20130011994 A KR 20130011994A KR 1020120079562 A KR1020120079562 A KR 1020120079562A KR 20120079562 A KR20120079562 A KR 20120079562A KR 20130011994 A KR20130011994 A KR 2013001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ye image
content
multimedia
transmiss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석
김용제
김희진
주성신
이대종
이재준
장용석
주유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452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JP6095659B2/ja
Priority to EP12817699.7A priority patent/EP2736251A4/en
Priority to BR112014001549A priority patent/BR112014001549A2/pt
Priority to US14/234,289 priority patent/US20140226710A1/en
Priority to PCT/KR2012/005859 priority patent/WO2013015585A1/ko
Priority to CN201280036418.7A priority patent/CN103703765B/zh
Priority to MX2014000852A priority patent/MX2014000852A/es
Publication of KR2013001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with arrangements for assigning different transmission priorities to video input data or to video cod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장치가 개시된다. 본 송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1 전송부,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원 데이터 생성부,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 및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TRANSMITTER, RECEIVE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스트림을 제공하는 송신 장치, 복수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의 경우 3D 컨텐츠나 보다 높은 해상도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방송 기술에 있어서도 3D 컨텐츠,멀티 앵글 컨텐츠, Depth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등과 같이 다수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나 UHD급 화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방송망에서 사용되는 채널 대역폭은 제한적임에 반해 멀티 앵글 컨텐츠, 3D 컨텐츠, UHD급 화질의 컨텐츠 등은 기존의 컨텐츠보다 큰 데이터 사이즈를 가지므로 기존의 방송망에서 데이터 사이즈가 큰 컨텐츠를 그대로 전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편,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설비를 투자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무리가 있으며, 기존 방송 설비 및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복수의 스트림을 제공하는 송신 장치, 복수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1 전송부,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원 데이터 생성부, 상기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 및 상기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송 망은 RF 망이며, 상기 제2 전송 망은 IP(인터넷) 망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1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업스케일러,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2 디코더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송 망은 RF 망이며, 상기 제2 전송 망은 IP(인터넷) 망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방법은,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단계,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컨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컨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복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원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 설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다른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송 대역 폭 제한을 극복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송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나, 제2 전송망의 수신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제1 전송망 및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서로 다른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송신 장치(100)는 제1 전송 망을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전송 망을 통해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D 컨텐츠인 경우에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데이터가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송 망은 RF 망이 될 수 있으며, 제2 전송 망은 IP(인터넷) 망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제1 전송망이 IP 망이고 제2 전송망이 RF 망이거나, 제1 전송망과 제2 전송망이 동일한 형태의 망이 될 수도 있다.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100)는 데이터 처리부(110), 제1 전송부(120) 및 제2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신호처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복원 데이터를 제1 전송부(120) 및 제2 전송부(130)로 전송한다. 제1 전송부(120)는 신호 처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 망을 통해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1 전송부는 신호 처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망의 전송 규격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전송부(130)는 신호 처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복원 데이터를 제2 전송 망을 통해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2 전송부는 신호 처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복원 데이터를 제2 전송망의 전송 규격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데이터가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이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영상이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D 컨텐츠인 경우에는 다운스케일링된 2D 컨텐츠가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고, 원본 2D 컨텐츠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데이터가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일부가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각각 제1 전송망 및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제2 전송망으로 전송되는 우안 영상의 일부 영상 프레임을 제1 전송망을 통해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송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지연, 손실 등이 발생하더라도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컨텐츠를 재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200)는 제1 수신부(210), 제2 수신부(220) 및 데이터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제1 전송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수신부(21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제2 전송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복원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부(230)는 원본 컨텐츠를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제1 수신부(210) 및 제2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복원 데이터를 신호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별로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D 컨텐츠 및 복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예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2D 컨텐츠 및 복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2D 컨텐츠는 UHD 화질의 2D 영상, 멀티 앵글 영상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다운 스케일러(111), 제1 인코더(112), 디코더(113), 업스케일러(114),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 제2 인코더(116), 제1 전송부(120) 및 제2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다운 스케일러(111)는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한다. UHD 화질과 같은 대용량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다운 스케일링을 통해 데이터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제1 인코더(112)는 다운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코더(112)는 다운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기존 수신 장치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인코더(112)에서 인코딩할 수 있는 영상 포맷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H.264, HEVC 등 현재 이용가능한 영상 포맷 및 추후 개발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포맷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송부(120)는 제1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1 전송부(120)는 인코딩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망에 적합하도록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송망이 RF 망인 경우 제1 전송부(120)는 변조기(미도시) 및 업컨버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변조, 업컨버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코더(113)는 제1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디코더(113)는 제1 인코더(112)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2D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업 스케일러(114)는 디코딩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업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업 스케일러(114)는 원래의 2D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로 되돌릴 수 있다.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 및 업 스케일러(114)에 의해 업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원 데이터를 생성한다.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는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다운 스케일러(111) 및 제1 인코더(112)에서 다운 스케일링 및 인코딩과정을 거치며, 디코딩 및 업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더라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 및 업 스케일러(114)에서 업 스케일링되어 입력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복원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원 데이터는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및 업 스케일링 과정을 수행하여 발생한 오차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감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에 업 스케일러(114)에서 입력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감산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인코더(116)는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에서 생성된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인코더는 복원 데이터를 HEVC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2 인코더(116)에서 인코딩할 수 있는 영상 포맷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MPEG-2, H.264 등 현재 이용가능한 영상 포맷 및 추후 개발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포맷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송부(130)는 제2 인코더(115)에 의해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 제1 전송부(1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수신 장치(200)는 제1 수신부(210), 제2 수신부(220), 제1 디코더(231), 업스케일러(232), 제2 디코더(233) 및 데이터 복원부(234)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0)는 제1 전송망을 통해 2D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전송망이 RF 망인 경우 제1 수신부(210)는 안테나, 튜너부, 복조부, 등화부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튜너부, 복조부, 등화부 등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공지된 여러 방송 규격에서 기재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디코더(231)는 제1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코더(231)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1 인코더(112)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2D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D 컨텐츠 데이터가 MPEG-2 인코딩된 경우 MPEG-2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업 스케일러(232)는 디코딩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업 스케일링한다. 업 스케일러(232)는 송신 장치(100)에서 다운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 사이즈로 되돌릴 수 있다.
제2 수신부(220)는 제2 전송망을 통해 복원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 제2 수신부는 복원 데이터를 IP 스트림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코더(233)는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2 디코더(233)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2 인코더(116)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D 컨텐츠 데이터가 HEVC 인코딩된 경우 HEVC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234)는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복원부(234)는 업 스케일러(232)에 의해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제2 디코더(233)에 의해 디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적용하여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를 수정하여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복원부(234)는 가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복원부(234)는 업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실시 예로서 제1 인코더(112)가 MPEG-2 코덱과 같이 In-loop de-blocking filter가 적용되지 않는 코덱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는 업 스케일링된 데이터에 Block Artifact Filtering을 위한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송신 장치(100)의 업 스케일러(1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디블록킹 필터(미도시)에서 Block Artifact Filtering 된 후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로 입력되며, 수신 장치(200)의 업 스케일러(2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디블록킹 필터(미도시)에서 Block Artifact Filtering 된 후 데이터 복원부(234)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PEG-2의 블록 노이즈로 인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복원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다운 스케일링 없이도 기존 전송 채널의 대역폭만으로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에는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에서 다운 스케일러(111) 및 업 스케일러(114, 232)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 및 복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3D 컨텐츠 및 복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D 컨텐츠 및 복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는 2D 컨텐츠 및 복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나 송수신하는 데이터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다운 스케일러(111), 제1 인코더(112), 디코더(113), 업스케일러(114),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 제2 인코더(116), 제1 전송부(120) 및 제2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다운 스케일러(111)는 3D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가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한다.
제1 인코더(112)는 다운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코더(112)는 다운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기존 수신 장치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송부(120)는 제1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디코더(113)는 제1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업 스케일러(114)는 디코딩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대해 업 스케일링을 수행하여 원래의 데이터 사이즈로 되돌릴 수 있다.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업 스케일러(114)에 의해 업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 및 3D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다른 하나를 입력받아 복원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업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 및 3D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다른 하나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복원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감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3D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원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업 스케일러(114)로부터 입력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다른 하나를 감산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업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는 원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110)의 디코더(113) 및 업 스케일러(114)는 생략할 수 있다.
제2 인코더(116)는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에서 생성된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제2 전송부(130)는 제2 인코더(115)에 의해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수신 장치(200)는 제1 수신부(210), 제2 수신부(220), 제1 디코더(231), 업스케일러(232), 제2 디코더(233) 및 데이터 복원부(234)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0)는 제1 전송망을 통해 3D 컨텐츠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
제1 디코더(231)는 제1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코더(231)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1 인코더(112)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업 스케일러(232)는 디코딩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업 스케일링하여 송신 장치(100)에서 다운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 사이즈로 되돌릴 수 있다.
제2 수신부(220)는 제2 전송망을 통해 복원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 제2 수신부는 복원 데이터를 IP 스트림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코더(233)는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2 디코더(233)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2 인코더(116)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234)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복원부(234)는 업 스케일러(232)에 의해 업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제2 디코더(233)에 의해 디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적용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복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복원부(234)는 가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복원부(234)는 업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에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업 스케일러(232) 및 데이터 복원부(234)에서 출력되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실시 예로서 제1 인코더(112)가 MPEG-2 코덱과 같이 In-loop de-blocking filter가 적용되지 않는 코덱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는 업 스케일링된 데이터에 Block Artifact Filtering을 위한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송신 장치(100)의 업 스케일러(1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디블록킹 필터(미도시)에서 Block Artifact Filtering 된 후 복원 데이터 생성부(115)로 입력되며, 수신 장치(200)의 업 스케일러(2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디블록킹 필터(미도시)에서 Block Artifact Filtering 된 후 데이터 복원부(234)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PEG-2의 블록 노이즈로 인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복원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다운 스케일링 없이도 기존 전송 채널의 대역폭만으로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에는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에서 다운 스케일러(111) 및 업 스케일러(114, 232)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예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는 다운 스케일러(111), 제1 인코더(112), 제2 인코더(116), 제1 전송부(120) 및 제2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다운 스케일러(111)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가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한다. UHD 화질과 같은 대용량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다운 스케일링을 통해 데이터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제1 인코더(112)는 다운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코더(112)는 다운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기존 수신 장치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인코더(112)에서 인코딩할 수 있는 영상 포맷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H.264, HEVC 등 현재 이용가능한 영상 포맷 및 추후 개발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포맷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송부(120)는 제1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1 전송부(120)는 인코딩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전송망에 적합하도록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송망이 RF 망인 경우 제1 전송부(120)는 변조기(미도시) 및 업컨버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변조 업컨버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인코더(116)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입력받아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인코더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HEVC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2 인코더(116)에서 인코딩할 수 있는 영상 포맷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MPEG-2, H.264 등 현재 이용가능한 영상 포맷 및 추후 개발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포맷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송부(130)는 제2 인코더(119)에 의해 인코딩된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 제2 전송부(13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의 수신 장치는 도 4의 수신 장치와 데이터 복원부(234) 유무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따르면 수신 장치(200)는 제1 수신부(210), 제2 수신부(220) 제1 디코더(231), 업 스케일러(232) 및 제2 디코더(233)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0)는 제1 전송망을 통해 3D 컨텐츠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
제1 디코더(231)는 제1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코더(231)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1 인코더(112)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업 스케일러(232)는 디코딩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업 스케일링하여 송신 장치(100)에서 다운 스케일링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 사이즈로 되돌릴 수 있다.
제2 수신부(220)는 제2 전송망을 통해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수신한다.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 제2 수신부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IP 스트림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코더(233)는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2 디코더(233)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2 인코더(116)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업 스케일러(232) 및 제2 디코더(233)에서 출력되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는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다운 스케일링 없이도 기존 전송 채널의 대역폭만으로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에는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에서 다운 스케일러(111) 및 업 스케일러(232)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전송망으로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전송망으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예 >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1 전송망으로 하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고, 제2 전송망으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멀티 앵글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2D 데이터 및 Depth 영상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는 제1 인코더(112), 제2 인코더(116), 멀티플렉서(117), 제1 전송부(120) 및 제2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제1 인코더(112)는 하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제1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인코더(112)는 제1 데이터에 대해 기존 수신 장치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인코더(112)에서 인코딩할 수 있는 영상 포맷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H.264, HEVC 등 현재 이용가능한 영상 포맷 및 추후 개발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포맷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인코더(116)는 하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제2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인코더(116)는 제2 데이터에 대해 HEVC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2 인코더(116)에서 인코딩할 수 있는 영상 포맷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케일러블 속성을 가지는 H.264 등 현재 이용가능한 영상 포맷 및 추후 개발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포맷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17)는 제1 인코더(112)에서 인코딩된 제1 데이터 및 제2 인코더(116)에서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여 하나의 데이터를 구성한다.
제1 전송부(120)는 멀티플렉서(117)에 의해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1 전송부(120)는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전송망에 적합하도록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송망이 RF 망인 경우 제1 전송부(120)는 변조기(미도시) 및 업컨버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변조 업컨버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송부(130)는 제2 인코더(116)에 의해 인코딩된 제2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 제2 전송부(13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수신 장치가 제2 전송망을 통한 데이터 수신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제2 전송망을 통한 데이터 수신이 원할하지 않은 경우에도, 수신 장치는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제1 전송망 및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전송망이 RF 망이고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를 예로 들면, 기존 RF 방송 채널은 19.83 M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가 MPEG-2 포맷으로, 제2 데이터가 H.264 포맷으로 압축된 경우 H.264는 MPEG-2 포맷에 비해 2배의 압축 효율을 가지며, 이에 따라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는 약 12 Mbps의 속도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약 6 Mbps의 속도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데이터가 H.264 포맷으로 인코딩된 경우 6 Mbps의 속도로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수신 장치(200)는 제1 수신부(210), 제2 수신부(220), 디멀티플렉서(235), 제1 디코더(231) 및 제2 디코더(233)를 포함한다.
제1 수신부(210)는 제1 전송망을 통해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수신부(220)는 제2 전송망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전송망이 IP 망인 경우 제2 데이터를 IP 스트림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235)는 제1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로 분리하여, 제1 데이터를 제1 디코더(231)로, 제2 데이터를 제2 디코더(232)로 출력한다.
제1 디코더(231)는 멀티플렉서(235)에서 입력되는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코더(231)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1 인코더(112)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제1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2 디코더(233)는 멀티플렉서(235)에서 입력되는 제2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제2 디코더(233)는 압축 영상 포맷에 따라 송신 장치(100)의 제2 인코더(116)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2 데이터와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2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사이즈는 한정적이며(예를 들어, 제1 전송망이 RF 망인 경우 최대 19.38 Mbps의 전송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2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제1 데이터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2 데이터는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2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송망은 제1 데이터를 약 16 Mbps의 전송 속도로, 제2 데이터를 2 Mbps의 전송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인코더(116)는 제2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 전송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저화질의 데이터(이하, 베이스 데이터라고 한다.) 및 제2 전송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고 화질의 데이터(이하, 인헨스먼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한 후 멀티플렉서(117) 및 제2 전송부(130)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2 인코더(116)는 베이스 데이터와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플렉서(117)는 제1 데이터와 베이스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멀티플렉싱하고, 제2 전송부(130)는 베이스 데이터 및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2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제2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일부 영상 프레임만을 전송하는 방법(예를 들어, 30 fps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컨텐츠를 15 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전송),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를 줄이는 방법(예를 들어, HD 화질을 SD 화질로,또는 SD 화질을 CIF 화질로 변환), 영상 프레임의 비트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방법(예를 들어, 2 Mbps를 512 kbps로 변환) 등이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 장치(200)는 데이터 처리부(230)에 의해 신호 처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미도시)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미도시)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30)의 영상 처리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데이터 처리부(230)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및 부가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부가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자막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와 렌더링하여 화면을 구성한 후,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수신 시스템(20)은 도 1 및 도 2의 송수신 시스템(10)과 동작이 동일하나, 도 1 및 도 2의 송수신 시스템(10)의 송신 장치(100)가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으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0에 따르면 송수신 시스템(20)은 컨텐츠 처리 장치(300), 제1 송신 장치(400), 제2 송신 장치(500) 및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컨텐츠 처리 장치(300)는 송신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부(110)에, 제1 송신 장치(400)는 송신 장치(100)의 제1 전송부(120)에, 제2 송신 장치(500)는 송신 장치(100)의 제2 전송부(130)에 대응하는 구성이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한다(S1110).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한다(S1120). 구체적으로,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기존 수신 장치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망을 통해 전송한다(S1130). 여기서, 제1 전송망은 RF 망일 수 있다.
또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S1140),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 스케일링한다(S1150). 그리고, 업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한다(S1160).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D 컨텐츠 데이터인 경우 2D 컨텐츠 데이터 및 업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복원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인 경우에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의 업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복원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S1170), 제2 전송망을 통해 전송한다(S1180). 제2 전송망은 IP(인터넷) 망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제1 전송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S1210). 제1 전송망은 RF 망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1220).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후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 스케일링한다(S1230).
그리고, 제2 전송망을 통해 복원 데이터를 수신한다(S1250). 제2 전송망은 IP 망일 수 있다. 여기서, 복원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 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2D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복원 데이터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후, 수신된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고(S1250), 업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복원 데이터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복원한다(S1260).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2D 컨텐츠 데이터인 경우 업 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인 경우, 업 스케일링된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복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비휘발성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송신 장치 110 : 데이터 처리부
120 : 제1 전송부 130 : 제2 전송부
200 : 수신 장치

Claims (15)

  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1 전송부;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원 데이터 생성부;
    상기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 및
    상기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망은 RF 망이며,
    상기 제2 전송 망은 IP(인터넷)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1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업스케일러;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2 디코더;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원본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망은 RF 망이며,
    상기 제2 전송 망은 IP(인터넷)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9.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복원 데이터를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복원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2.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단계;
    제2 전송 망을 통해 전송되는 복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D 컨텐츠 데이터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컨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2D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2D 컨텐츠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이며,
    상기 복원 데이터는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 인코딩, 디코딩, 업스케일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로부터 감산하여 추출한 데이터이며,
    상기 컨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업스케일링된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상기 복원 데이터를 가산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다른 하나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5.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 스케일링하는 다운 스케일러;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업 스케일러;
    상기 업스케일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원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복원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
KR1020120079562A 2011-07-22 2012-07-20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KR20130011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21571A JP6095659B2 (ja) 2011-07-22 2012-07-23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その送受信方法
EP12817699.7A EP2736251A4 (en) 2011-07-22 2012-07-23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THEREOF
BR112014001549A BR112014001549A2 (pt) 2011-07-22 2012-07-23 aparelho de transmissão, aparelho de recepção e método de transmissão associado
US14/234,289 US20140226710A1 (en) 2011-07-22 2012-07-23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ceiving method therefor
PCT/KR2012/005859 WO2013015585A1 (ko) 2011-07-22 2012-07-23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CN201280036418.7A CN103703765B (zh) 2011-07-22 2012-07-23 发送装置、接收装置及收发方法
MX2014000852A MX2014000852A (es) 2011-07-22 2012-07-23 Aparato transmisor, aparato receptor, y metodo transceptor para los mismo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10658P 2011-07-22 2011-07-22
US61/510,658 2011-07-22
US201161513044P 2011-07-29 2011-07-29
US61/513,044 2011-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994A true KR20130011994A (ko) 2013-01-30

Family

ID=4784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562A KR20130011994A (ko) 2011-07-22 2012-07-20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226710A1 (ko)
EP (1) EP2736251A4 (ko)
JP (1) JP6095659B2 (ko)
KR (1) KR20130011994A (ko)
CN (1) CN103703765B (ko)
BR (1) BR112014001549A2 (ko)
MX (1) MX2014000852A (ko)
WO (1) WO201301558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200A (ko) * 2013-09-30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스트림 송/수신 장치 및 비디오 스트림 송/수신 방법
WO2016027979A1 (ko) * 2014-08-20 2016-02-25 전자부품연구원 Shvc 기반의 uhd 영상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WO2017074057A1 (ko) * 2015-10-27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70118463A (ko) * 2016-04-15 201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코딩 장치, 디코딩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647B1 (ko) 2014-09-02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265595B2 (en) 2015-10-06 2022-03-0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422702B1 (en) * 2016-02-22 2022-12-28 Sony Group Corporation File generation device, file generation method,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GB2574575A (en) 2018-04-27 2019-12-18 V Nova Int Ltd Video decoder chipse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8272A (en) * 1991-02-27 1992-09-15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mbining prioritized video data
JPH07226022A (ja) * 1994-02-15 1995-08-22 Sony Corp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EP1802133A3 (en) * 1995-03-15 2008-11-12 Kabushiki Kaisha Toshiba Moving picture coding and/or decoding systems
JP2000308089A (ja) * 1999-04-16 2000-11-02 Nippon Hoso Kyokai <Nhk> 立体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JP2002010251A (ja) * 2000-06-19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符号化装置および映像信号復号化装置
CN1509081A (zh) * 2002-12-20 2004-06-30 �ʼҷ����ֵ��ӹɷ����޹�˾ 通过广播和网络流传送双层hdtv信号的方法和系统
CN1843039B (zh) * 2003-08-29 2011-02-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使用描述性模型参数来编码并解码增强层数据的系统和方法
KR100658222B1 (ko) * 2004-08-09 2006-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US8879635B2 (en) * 2005-09-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 for data alignment with time domain boundary
JP2007174634A (ja) * 2005-11-28 2007-07-05 Victor Co Of Japan Ltd 階層符号化装置、階層復号化装置、階層符号化方法、階層復号方法、階層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階層復号プログラム
US20070133899A1 (en) * 2005-12-09 2007-06-14 Rai Barinder S Triggering an image processing function
JP4565392B2 (ja) * 2005-12-22 2010-10-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信号階層復号化装置、映像信号階層復号化方法、及び映像信号階層復号化プログラム
US7864219B2 (en) * 2006-06-15 2011-01-0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Video-signal layered coding and decoding methods, apparatuses, and programs with spatial-resolution enhancement
US8250618B2 (en) * 2006-09-18 2012-08-21 Elemental Technologies, Inc. Real-time network adaptive digital video encoding/decoding
KR100800653B1 (ko) * 2006-12-01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입체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243798B2 (en) * 2006-12-20 2012-08-1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able video bitstreams
US8804845B2 (en) * 2007-07-31 2014-08-12 Cisco Technology, Inc. Non-enhancing media redundancy coding for mitigating transmission impairments
KR20090030126A (ko) * 2007-09-19 2009-03-24 주식회사 엘앤피아너스 스케일러블 비디오 트랜스코딩 및 멀티채널 송신장치 및 그방법
MY162861A (en) * 2007-09-24 2017-07-31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a video data signal, encoded video data signal, method and system for decoding a video data signal
KR101385884B1 (ko) * 2008-01-30 2014-04-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점 동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00440B1 (ko) * 2008-10-17 2015-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N105025312A (zh) * 2008-12-30 2015-11-04 Lg电子株式会社 提供2d图像和3d图像集成业务的数字广播接收方法及装置
KR101683119B1 (ko) * 2009-06-16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10020694A (ko) *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JP5932666B2 (ja) * 2011-07-19 2016-06-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画像符号化装置とその集積回路、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200A (ko) * 2013-09-30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스트림 송/수신 장치 및 비디오 스트림 송/수신 방법
WO2016027979A1 (ko) * 2014-08-20 2016-02-25 전자부품연구원 Shvc 기반의 uhd 영상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160022661A (ko) * 2014-08-20 2016-03-02 전자부품연구원 Shvc 기반의 uhd 영상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US10284890B2 (en) 2014-08-20 2019-05-07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HVC-based UHD ima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WO2017074057A1 (ko) * 2015-10-27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70118463A (ko) * 2016-04-15 201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코딩 장치, 디코딩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26710A1 (en) 2014-08-14
EP2736251A1 (en) 2014-05-28
BR112014001549A2 (pt) 2017-06-13
CN103703765A (zh) 2014-04-02
JP6095659B2 (ja) 2017-03-15
CN103703765B (zh) 2017-05-17
MX2014000852A (es) 2014-04-30
WO2013015585A1 (ko) 2013-01-31
EP2736251A4 (en) 2015-03-11
JP2014523721A (ja)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5659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その送受信方法
US12184902B2 (en) Use of embedded signaling to correct signal impairments
JP4920110B2 (ja) 画質の改善
US79296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 using block prediction information
US200701601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calability support in mpeg-2 systems
US200901688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 Using Block Prediction Information
JP2012523804A (ja) 向上した解像度の立体ビデオのエンコード、デコード、および配信
US201402118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igh definition (hd) broadcasting service and ultra high definition (uhd) broadcasting service
US84832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3D video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US20160295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encoding/decoding of different multilayer video codec
KR20160098974A (ko)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EP2312859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3D video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EP3203741B1 (en) Video coding
US20170230676A1 (en) System for efficient video transcoding based on encoder decisions extraction
WO2023118851A1 (en) Synchronising frame decoding in a multi-layer video stream
KR101700821B1 (ko) 스케일러블 원격화면 전송방법 및 그 장치
WO2016098280A1 (ja) 映像符号化装置、映像復号装置および映像配信システム
US20250008130A1 (en) Processing a multi-layer video stream
KR101827607B1 (ko)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한 동영상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동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95948A (ko) Hd 방송 서비스 및 uh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7074306A (ja) 補足画素生成装置及び復号化システム及び復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通信システム及び復号化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GB2613015A (en) Decoding a multi-layer video stream using a joint packet stream
KR20120120619A (ko) 쓰리디 티브이 방송을 지원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KR20130063603A (ko) 부가 영상 부복호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40095936A (ko) 실감방송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