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907U -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leg of desk - Google Patents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leg of de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907U KR20130006907U KR2020120004306U KR20120004306U KR20130006907U KR 20130006907 U KR20130006907 U KR 20130006907U KR 2020120004306 U KR2020120004306 U KR 2020120004306U KR 20120004306 U KR20120004306 U KR 20120004306U KR 20130006907 U KR20130006907 U KR 2013000690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sk
- bracket
- legs
- bolt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책상 연결용 브라켓(100)은 사각형상으로 된 외관 상부판(115)의 내측으로 내측커버(110a)(110b)에 횡간(300)과 지지간(400)과 결합되는 측면부재 연결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책상용 브라켓(100)의 저면에는 ‘ㄱ’자 형으로 전후방끼움확장부(120)(130)가 간극부(125)를 형성하면서 전후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끼움확장부(120)에는 볼트받침부(121)가 안쪽으로 끼움확장부(120)를 보강하면서 평면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후방끼움확장부(130)도 ‘ㄱ’자 형으로 마주보면서 형성되어 있되, 그 외부에서는 체결볼트(1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131)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양쪽 지주를 보강하면서 체결볼트(1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한 나선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Desk connection bracket 100 has a side member connecting portion 140 coupled to the transverse 300 and the support 400 to the inner cover (110a) (110b) to the inner side of the top plate 115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front and rear fitting extensions 120 and 130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desk bracket 100 in front and rear portions while forming the gap portion 125. The bolt support part 121 is formed while forming a plane while reinforcing the fitting extension part 120 inward, and the rear fitting extension part 130 is also formed facing the 'b' shape, but from outside of the fastening bolt A bolt through hole 131 is formed so that the 170 can be fitted therein, and a spiral portion 133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fastening bolt 170 can be fastened while reinforcing both pillars. .
Description
본 고안은 탁자나 식탁 및 책상으로 사용되는 책상 다리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리를 구성하는 한쌍의 좌측 다리프레임과 우측 다리프레임 그리고 지지간을 금속재질로 제작하더라도 이들을 서로 연결하고자 할 때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또는 많은 나사를 체결하지 않고서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책상 다리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connecting desk legs used as a table, a table, and a desk, and more particularly, even if a pair of left leg frames, right leg frames, and supports made of metal are used to connect them. It can be connected without welding, or without fastening many screws, so that the legs can be removed and assembled quickly and easily, which improves workability and can be carried separately. It's about structure.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제 다리구조를 사용하는 가구로는 탁자, 식탁, 책상 등이 있는데, 탁자는 가정에서 차를 마시거나 과일 등을 먹으면서 대화를 나눌 때 사용되는 크기가 작은 탁자부터 회의나 사무용도로 사용되는 비교적 크기가 큰 탁자 등으로 구분된다.Generally, furniture using plastic or metal legs is a table, a dining table, or a desk. The table is used for meetings or offices, from small tables used for conversations while drinking tea or eating fruit at home. It is divided into relatively large tables and the like.
이러한 가구들은 상판 저면에 다수의 다리를 설치하여 상판을 받쳐주는 것으로 즉, 횡간으로 연결된 한쌍의 좌측 다리프레임과 횡간으로 연결된 한쌍의 우측 다리프레임을 서로 지지간으로 연결되게 하므로서 다리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면서도 상판을 견고하게 받칠수 있게 한다These furniture supports the top plate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legs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hat is, a pair of left leg frames connected transversely and a pair of right leg frames connected transversely to each other supporting the legs stably on the ground. While standing, it can firmly support the tops
철제로 다리를 제작할 경우에는 횡간으로 연결된 한쌍의 좌측 다리프레임과 한쌍의 우측 다리프레임을 지지간으로 연결시 일일이 용접작업을 통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많은 나사를 사용하여 결합하던지 아니면 별도의 코너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iron bridge manufacturing, when connecting a pair of left leg frames and a pair of right leg frames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s by welding, join them by welding or by using a large number of screws, or by using separate corner connectors. To combine.
그러나 용접작업을 통하여 결합게 되면 운반시 분리할 수가 없어 다리의 부피가 커서 차량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그만큼 운반하는 다리의 양이 적어지는 것이다.However, when combined through the welding operation can not be separated during transportation, the volume of the bridge is large, occupies a lot of space of the vehicle, so the amount of the bridge is reduced by that much.
또한, 많은 나사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경우에는 분리할 수는 있으나 많은 나사를 하나하나 풀어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운반 이후에 조립하는데에도 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운반하는 경우가 많아 이 역시 차량에 많은 양의 다리를 실어 운반할 수 없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fastening using a large number of screws, it can be removed, but it takes a lot of time because many screws need to be removed one by one. In many cases, the vehicle can not be carried with a large amount of legs.
그리고 코너연결구를 사용하는 다리의 경우에는 쉽게 분리 및 조립할 수는 있으나 코너연결구가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있어 즉, 알루미늄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강도는 강하나 금형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는 것이고,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금형비는 저렴하나 강도가 약하여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And in the case of the bridge using the corner connector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but the corner connector is made of aluminum or plastic, that is, if the aluminum is strong strength, but the mold cost is disadvantageous, in the case of plastic The mold cost is low but the strength is weak, so there is a short lif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12-0003323호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재나 유리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판의 사방을 받쳐주는 다리 로 구성되는 가구에 있어서, 횡간(300)으로 연결되어 상판의 좌측부 앞뒤 및 우측부 앞뒤를 받쳐주며, 상단부 내측벽에 삽입홈부(210)와 걸림단(220)이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고, 상단부 외측벽에 나사공이 형성된 한쌍의 금속제 좌측 다리프레임(200a) 및 우측 다리프레임(200b)과 양단 저면에는 일정간격 이격시킨 좌측 다리프레임(200a)과 우측 다리프레임(200b)의 서로 마주보는 삽입홈부(210)를 통해 걸림단(220)에 끼워지는 절결홈(410)이 일정 깊이 형성되고, 양 끝단면에는 나사공과 일치되는 체결공(420)이 형성되어 좌측 다리프레임(200a)과 우측 다리프레임(200b)을 연결하는 지지간(400)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다리프레임(200a)과 우측 다리프레임(200b)의 상단에는 상판(100)을 폭넓게 받쳐주는 판상의 브라켓(500)을 부착하여 설치하고, 브라켓(500)의 내측에는 개구부(510)를 형성하여 개구부(510)를 통해 지지간(400)이 걸림단(220)에 끼워지도록 하며, 개구부(510)는 양쪽 접촉부(520a)(520b) 간의 간격을 지지간(400)의 양쪽면에 밀착되는 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금속제 다리구조가 개발이 되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 in the Korean Utility Model 20-2012-0003323, in the furniture consisting of a top plate formed of wood or glass and the legs supporting the four sides of the cros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체결구조가 복잡하고, 결합 및 분리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astening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coupling and separation are cumbersome, and the structure is inconvenient to us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체결구조가 간편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사용하는 가운데 책상 다리가 헐거울 경우에는 그 조임이 용이한 고안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 to tighten the fastening structure, easy to combine and detac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sk legs are loose in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판과 횡간 및 지지간을 연결하는 책상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있어서, 상기 책상 연결용 브라켓(100)은 사각형상으로 된 외관 상부판(115)의 내측으로 내측커버(110a)(110b)에 횡간(300)과 지지간(400)과 결합되는 측면부재 연결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책상용 브라켓(100)의 저면에는 ‘ㄱ’자 형으로 전후방끼움확장부(120)(130)가 간극부(125)를 형성하면서 전후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끼움확장부(120)에는 볼트받침부(121)가 안쪽으로 끼움확장부(120)를 보강하면서 평면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후방끼움확장부(130)도 ‘ㄱ’자 형으로 마주보면서 형성되어 있되, 그 외부에서는 체결볼트(1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131)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양쪽 지주를 보강하면서 체결볼트(1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한 나선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또한 책상다리(160)는 사각틀(180)로 형성되면서 모서리부(161)에는 볼트관통공(163)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70)가 관통하여 나선부(133)에 끼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책상용 브라켓(100)의 모서리부에는 측면외관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결용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k connection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top plate and the transverse and support,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체결구조가 간편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사용하는 가운데 책상 다리가 헐거울 경우에는 그 조임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stening structure is simple, as described above, easy to combine and detach, when the desk legs are loose in use, the fastening is effective.
도 1은 종래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상부의 대각선에서 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하부의 대각선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하부에서 본 저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의 다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결합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직선으로 결합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책상 앞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앞으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책상 앞뒤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앞뒤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책상 앞뒤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좌우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책상 앞뒤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대각선으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for connecting a desk bridge of the conventional desig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agonal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agonal below
4 is a plan view from above of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gs for connecting the desk leg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bracket for desk leg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combining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raight lin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egs in front of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by about 15 degrees
Figure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and rear leg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opening the front and rear about 15 degrees
Figure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egs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opening the left and right about 15 degrees
Figure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egs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opening the legs about 15 degrees diagonally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은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상부의 대각선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하부의 대각선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하부에서 본 저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의 다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결합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agonal,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agonal below, Figure 4 is a desk leg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p view of the bracket from the top, Figure 5 is a bottom view of the bracket for connecting the desk leg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gs for connecting the desk leg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for connecting the desk leg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도 2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책상용 브라켓(100)은 상판(200)의 측부 모서리에서 횡간(300)과 지지간(400)에 결합되어 상판과는 볼트로 체결되어 있고, 하부로 통상의 다리(160a)(160b)(160c)(160d)와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2 to 7, the
상기 책상 연결용 브라켓(100)은 사각형상으로 된 외관 상부판(115)에 횡간(300)과 지지간(400)과 결합될 수 있는 측면부재 연결부(140)가 기역자로 형성되어 상부판(115)과 체결될 수 있는 볼트공(115a)(140a)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책상 연결용 브라켓(100)은 모서리부에 측면외관부(110)가 ‘ㄱ’자 형으로 형성되어 커버 역할을 하고 있고, 그 내측으로는 측면지지부재(140)가 형성되어 연결할 수 있는 내측커버(110a)(110b)가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측면외관부(110) 안쪽으로는 ‘ㄱ’자 형으로 전후방끼움확장부(120)(130)가 전후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끼움확장부(120)에는 볼트받침부(121)가 안쪽으로 끼움확장부(120)를 보강하면서 평면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후방끼움확장부(130)도 ‘ㄱ’자 형으로 마주보면서 형성되어 있되, 그 외부에서는 체결볼트(1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131)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양쪽 지주를 보강하면서 체결볼트(1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한 나선부(133)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볼트가 끼워지는 볼트공(133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또한, 책상다리(160)는 사각틀(180)로 형성되면서 모서리부(161)에는 볼트관통공(163)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70)를 관통하여 나선부(133)에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전후방끼움확장부(120)(130) 사이에는 간극부(125)가 형성되어 체결볼트(170)가 볼트공(133a)에 끼워져 나선부(133)에서 회전하게 되면 전후방끼움확장부(120)(130)의 간격이 생기면서 확장되므로, 책상다리(160)에 형성된 사각틀(180)을 벌이게 되면서 책상다리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n, the
미설명부호 111은 다단부이고, 141은 리브이다.
상기와 같은 책상 연결용 브라켓은 전후방끼움확장부(120)(1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생산함으로써, 다리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가능하다.The desk connection bracket as described above is produc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ront and rear
그 실시예로서, 도 8은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을 직선으로 결합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책상 앞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앞으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책상 앞뒤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앞뒤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책상 앞뒤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좌우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책상 앞뒤의 다리를 모두 15도 정도 대각선으로 벌려 제작한 상태의 개략사시도이다.As an embodiment,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in a straight line,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legs of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opening about 15 degrees, Figure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and rear legs of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opening the front and back about 15 degrees, Figure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and back legs of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opening the left and right by about 15 degrees,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and rear le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egs opened at a diagonal of about 15 degrees.
도 9의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은 책상 다리의 뒤부분다리(171a)(171c)는 일직선으로 하되, 앞부분다리(171b)(171d)는 앞으로 약 15도 경사지게 하여 설치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9 has the
도 10의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은 책상 다리의 뒤부분다리(172a)(172c)과 앞부분다리(172b)(172d)는 앞뒤로 약 15도 경사지게 하여 설치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11의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은 책상 다리의 뒤부분다리(173a)(173c)과 앞부분다리(173b)(173d)는 좌우측으로 약 15도 경사지게 하여 설치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1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12의 본 고안의 책상다리 연결용 브라켓은 책상 다리의 뒤부분다리(174a)(174c)과 앞부분다리(174b)(174d)는 대각선방향으로 약 15도 경사지게 하여 설치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The desk leg connec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2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여 다리의 안정성확보를 위하여 다리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후방끼움확장부(120)(130)의 설치각도를 변경시켜 수월하게 확장시키거나 축소시켜 책상다리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ront and rear
100 : 브라켓
110 : 측면외관부
120, 130 : 전후방끼움확장부
125 : 간극부
133 : 나선부
140 : 측면부재연결부100: bracket
110: side exterior
120, 130: front and rear fitting extension part
125: gap
133: spiral
140: side member connecting portion
Claims (3)
In the desk connection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transverse and the support, the desk connection bracket 100 is transversely between the inner cover (110a) (110b) to the inner side of the top plate 115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side member connection portion 140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400 and 300, and the front and rear fitting extension portions 120 and 130 have a gap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desk bracket 100 in a '-' shape. 125 is formed back and forth while forming, the front fitting extension portion 120 is formed while forming a plane while reinforcing the fitting extension portion 120 inward, the rear fitting extension portion 130 It is formed while facing in the 'b' shape,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bolt 170 to form a bolt through-hole 131 to be fitted, the inside of the fastening bolt 170 while reinforcing both stru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ral portion 133 is formed to form a screw thread to be fastened Bracket structure for a desk connection that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k leg 160 is formed as a rectangular frame 180, the through-hole bolt 163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161, the fastening bolt 170 penetrates to be inserted into the spiral portion 133 to rotate Desk connection bracke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306U KR20130006907U (en) | 2012-05-22 | 2012-05-22 |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leg of de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306U KR20130006907U (en) | 2012-05-22 | 2012-05-22 |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leg of des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907U true KR20130006907U (en) | 2013-12-02 |
Family
ID=5243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4306U Abandoned KR20130006907U (en) | 2012-05-22 | 2012-05-22 |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leg of de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6907U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1927B1 (en) * | 2015-11-17 | 2016-06-20 | (주)앤포즈 | Frame joint device for furniture |
KR20160003159U (en) * | 2015-03-11 | 2016-09-21 | (주)코다스디자인 | Desk assembly |
KR20180001549U (en) * | 2016-11-16 | 2018-05-25 | 김영선 | Table assembly |
CN110881787A (en) * | 2019-12-09 | 2020-03-17 | 浙江斑马家居有限公司 | Corner connector, furniture support frame and furniture |
KR102092858B1 (en) * | 2019-06-11 | 2020-03-24 | 주식회사 주경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for furniture |
KR102506379B1 (en) * | 2022-07-05 | 2023-03-03 | 김두철 | table leg fasteners |
-
2012
- 2012-05-22 KR KR2020120004306U patent/KR20130006907U/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159U (en) * | 2015-03-11 | 2016-09-21 | (주)코다스디자인 | Desk assembly |
KR101631927B1 (en) * | 2015-11-17 | 2016-06-20 | (주)앤포즈 | Frame joint device for furniture |
KR20180001549U (en) * | 2016-11-16 | 2018-05-25 | 김영선 | Table assembly |
KR200486872Y1 (en) * | 2016-11-16 | 2018-07-10 | 김영선 | Table assembly |
KR102092858B1 (en) * | 2019-06-11 | 2020-03-24 | 주식회사 주경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for furniture |
CN110881787A (en) * | 2019-12-09 | 2020-03-17 | 浙江斑马家居有限公司 | Corner connector, furniture support frame and furniture |
KR102506379B1 (en) * | 2022-07-05 | 2023-03-03 | 김두철 | table leg fasten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06907U (en) | Bracket structure for connecting leg of desk | |
US20040222722A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anels | |
JP3194890U (en) | Prefabricated cabinet | |
US20080302748A1 (en) | Expandable modular shelf system | |
US20140259396A1 (en) | Knockdown bed | |
KR200438345Y1 (en) | Versatile table | |
US20170282349A1 (en) | Assembled tool cabinet | |
KR200461772Y1 (en) | Netal leg structure for furniture | |
KR20190000653U (en) | A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 |
KR20180087650A (en) | Skeleton structure for furniture | |
US20200029745A1 (en) | Foldable sink cabinet | |
KR20130005155U (en) | Collapsible legs and frame structure of the table | |
KR200476737Y1 (en) | Corner connecting means of draw table | |
KR101656736B1 (en) | the connect tool for assembly furniture and the assembly furniture therewith | |
KR101933838B1 (en) |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 |
CN211778381U (en) | Fixing structure for combined furniture and table | |
CN202500860U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olid-wood-cabinet-type furniture component | |
KR20190000913U (en) | Prefabricated desk | |
CN204245490U (en) | Desk and supporting construction thereof | |
KR102270346B1 (en) | Desk leg structure based on connection bracket and desk comprising the same | |
KR101929319B1 (en) | Connector module | |
KR20060128674A (en) | Knockdown furniture assembly | |
KR20170001736U (en) | the combine structure for board of table | |
KR101267635B1 (en) | Prefabricated table frame | |
KR101772980B1 (en) | Hybrid frame bed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5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