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02156U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56U
KR20130002156U KR2020110008705U KR20110008705U KR20130002156U KR 20130002156 U KR20130002156 U KR 20130002156U KR 2020110008705 U KR2020110008705 U KR 2020110008705U KR 20110008705 U KR20110008705 U KR 20110008705U KR 20130002156 U KR20130002156 U KR 20130002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collector
container
cyclon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7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경서글로텍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서글로텍, 김재홍 filed Critical (주)경서글로텍
Priority to KR2020110008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156U/en
Publication of KR20130002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56U/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와 함께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흡입하고,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로, 지면에 세워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되는 필터집진부, 상기 필터집진부의 개방된 하단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가 사이클론을 형성하며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는 사이클론집진부,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담기며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와 분리 가능한 수거통 및 상기 필터집진부의 측면과 이격되게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집진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that inhales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together with air and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the mounting frame erected on the ground,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and the filter dust collector is provided with a filter inside there, connected 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and the sucked air forms a cyclon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foreign matters falling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detachable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and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ortion to suction force Provided i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riving unit.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공기와 함께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흡입하고,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that inhales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together with air and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먼지를 청소기본체로 흡입한다. 이때, 청소기본체의 내부에는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이 구비된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generates suction power by a motor operated by a power source, and uses the same to suck dust from the outside into the cleaning body. At this time, the cleaning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sucked foreign matter and air.

알려진 분리수단 중 하나는 필터이다. 재질은 이물질은 통과시키지 아니하고 공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종이나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필터는 사용에 의해 공기 투과성이 나빠지므로 교체나 세척이 필요한 것이다. One known separation means is a filter. The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paper or nonwoven fabric that selectively passes air without passing foreign substances. Filters need to be replaced or cleaned because of their poor air permeability.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링용 천은 먼지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향하여 돌출된 종 형상을 가진다. 이로써 흡입된 먼지는 필터링용 천의 둘레부터 쌓이며 여전히 필터링용 천의 중앙부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오랜 기간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 형상의 필터링용 천은 진공청소기의 작동 시에 모터쪽으로 빨려지면서 오히려 필터링 면적을 줄이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먼지를 모으는 수거함이 다 차기도 전에 필터링용 천의 막힘에 의하여 흡입력이 저하되어 진공청소기의 분해 청소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링용 천은 대략 종 형상을 가짐으로써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내부 공간의 단면적 크기에 지나치게 의존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즉, 필터링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공간의 단면적을 크게 확보하여야 하고, 그러다 보니 청소기본체의 체적을 크게 할 수 밖에 없는 기술상 문제점이 있다.The filtering cloth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longitudinal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inlet through which dust and air are sucked in. In this way, the sucked dust accumulates from the periphery of the filtering cloth and still preven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tering cloth from being blocked,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suction power for a long time. However, the bell-shaped filtering cloth is sucked toward the mot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but rather has a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filtering area.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ction force is lowered due to the clogging of the filtering cloth before the dust collecting bin is full, so that the vacuum cleaner needs to be disassembled and cleaned. In addition, the filtering cloth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n approximate longitudinal shape,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rea for filtering is excessively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nal space. 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filtering area, it is necessary to secure a lar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and thus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cleaning main body must be increased.

공기에서 먼지 등을 분리하는 기술 중 하나는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 공기로 사이클론을 형성하여 물리적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이다. 사이클론이 효과적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청소기본체 내부에 적절한 형상의 공동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분리를 위해서는 흡입력이 커야 한다. One technique for separating dust and the like from the air is to physically separate foreign substances by forming a cyclone with air sucked into the cleaner body. In order for the cyclone to form effectively, a cavity of appropriate shape is required inside the cleaning body, and the suction force must be large for effective separation.

아래의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공장이나 전문 청소업체에서 사용하는 대형 청소기는 이러한 사이클론이 적용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대형 청소기에는 특허문헌1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전용 트레이를 별도로 구비하여 본체통의 적재가 용이하게 하며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As set forth in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below, large vacuum cleaners used in factories and specialized cleaning companies have good conditions for applying such cyclones. In addition, the large size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tray as shown in Patent Literature 1 to facilitate the loading of the main body and to be easily moved.

한편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는 청소기 전체의 무게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고, 주된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대형 모터를 장착한 구동장치가 청소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작동소음이 내부가 빈 청소기 본체에서 울려 매우 커지는 단점도 갖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the suction force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weight of the entire vacuum cleaner,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noise and vibration. In the prior art, as the driving device equipped with a large motor has a structur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noise is very loud by the interior of the empty cleaner body.

[특허문헌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05115호 (2010.09.29)[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5115 (2010.09.29) [특허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00254호 (2011.01.03)[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0254 (2011.01.03) [특허문헌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00248호 (2011.01.03)[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0248 (2011.01.03)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동모터의 작동소음이나 진동이 청소기 본체로 전이됨을 저감하여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has the purpose of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by reducing the operation noise or vibration of the drive motor is transferred to the cleaner body.

또한 필터 구조를 개선하여 필터링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목적도 갖는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내부의 공기 흐름에 따라 필터링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It also has the purpose to improve the filter structure to increase the filtering efficiency. In more detail, the filtering area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ir flow inside the cleaner.

또한 청소기를 분해하지 아니하고도 필터에 낀 먼지의 털어 낼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It also has the purpose of being able to shake off the dust on the filter without disassembling the cleaner.

또한 흡입한 공기로 사이클론의 형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It also has the purpose of naturally forming the cyclone with the inhaled air.

또한 청소기 내부에 모인 이물질을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며, 특히 많이 쌓인 이물질의 제거가 수월해지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gathered inside the cleaner, and in particular, has the purpose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 lot of accumulated foreign matter.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지면에 세워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되는 필터집진부, 상기 필터집진부의 개방된 하단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가 사이클론을 형성하며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는 사이클론집진부,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담기며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와 분리 가능한 수거통 및 상기 필터집진부의 측면과 이격되게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집진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yclone frame mounted on the ground, a filter dust collector mounted on the holder frame and having a filter inside therein, and connected to an open lower end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and sucked air cyclone. A cyclone dust collector configured to form and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foreign matter falling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is contain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and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and is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and is located above the filter dust collector.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rive unit connected to provide suction power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기 필터집진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frame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the driving unit may be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한편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집진부의 하우징 내측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및 상기 관통홀에 외주면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공기 흐름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있는 필터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lter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through hole in which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and in the air flow direction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It extends along and may contain an empty filter post.

나아가 상기 필터기둥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가요성 필터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lter pillar may be made of a flexible filter cloth through which air can pass.

추가적인 구성으로 상기 필터집진부에는 상기 필터기둥을 털어내는 털이부가 포함되고, 여기서 털이부는 상기 필터집진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필터기둥에 연결되어 있는 털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hair part to shake off the filter pillar, wherein the hair part is coupled to the gripping part and the gripping part protruding through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pillar. It may include.

한편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의 내주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공기 흡입되는 유입관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을 통과한 공기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let pipe is sucked in the air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is mount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may be introduced in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inclined downward.

나아가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하방향의 장공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가 각 상기 장공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연장편과, 각 상기 연장편들을 잇는 가로바를 구비하여, 상기 장공에 구속되며 회전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장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로바의 하강시에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가 상기 장공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 및 상기 연장편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수거통에 형성된 거치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ounting frame has a pair of pillars formed to face up and down long hole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extension piec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each of the long holes and a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extension pieces.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bar, which is constrained and rotated to the long hol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when the horizontal bar is lowered It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link portion and the extension piece to ride in the long hole, the cradle formed in the container is detachably coupled.

더하여 상기 걸림부는 외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돌기이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거통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편은 상기 거치홈 위에 올려지는 가로편, 상기 가로편의 일단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이 고정 위치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편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is a cylindrical projection having a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older includes a mounting piec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mounting piece is a horizontal piece that is placed on the mounting groove, the horizontal It may include a stopper piece which is formed concavely from one end to the upper part of the biasing and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and stops the movement of the cylindrical projection.

또한 상기 수거통의 하부에는 구름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an be equipped with a rolling member.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가 먼지를 필터링하는 본체부분과 분리되어 설치됨에 따라 구동부에서 유발된 소음이나 진동이 본체에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고 그에 따라 작동 소음이나 진동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filtering dust, the noise or vibration caused by the driving un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and thus the operation noise or vibration is reduced.

더하여 청소기의 후방측에 구동부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청소기의 전방에 주로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s the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the noise transmitted to an operator mainly located in front of the cleaner may be reduced.

또한 청소기본체를 크게 제작하지 아니하더라도 필터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필터링 효과 크게 볼 수 있다. 또 작동 중에 필터링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먼지 등 이물질 제거의 효과가 커진다. In addition, the filter area can be secured even if the cleaning main body is not made large, so that the filtering effect can be seen. In addition, as the filtering area increases during operation, the effect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creases.

더하여 털이부가 더 포함됨에 따라 진공청소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필터기둥에 낀 먼지를 털어낼 수 있어 먼지 비산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hair part is further included, it is possible to shake off the dust caught on the filter pillar without disassembling the vacuum cleaner,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dust scattering.

사이클론필터부의 유입관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사이클론이 보다 확실하게 형성되게 하고, 사이클론의 선회력이 상승되어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By forming the inlet pipe of the cyclone filter part inclined, the cyclone is more reliably formed,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yclone is increased to effectively separate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ir.

수거통은 클램프나 클립 등이 필요 없이 레버의 승강 작동만으로 손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진공청소기의 취급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대용량의 진공청소기에서 이물질이 가득 찬 수거통을 분리한 후 지상에서 굴림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어 취급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The container can be easily installed or detached only by lifting and lowering the lever without the need for a clamp or a clip, which makes it easy to handle the vacuum cleaner. In addition, the large-capacity vacuum cleaner can remove the container full of foreign matter and then move on the ground in a rolling manner, which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handling.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채용된 사이클론집진부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채용된 필터부를 일부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필터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거치프레임의 주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거치프레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수거통이 내려진 상태의 거치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수거통이 올려진 상태의 거치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 (a), (b), (c)순서로 손잡이부가 하강하며 수거통이 상승됨을 나타낸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employed in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employed in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hin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
(a)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unting frame in the down state,
(b)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unting frame with the container raised.
Figure 10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a), (b), (c) the side of the handle portion is lowered in the order and the container is rai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도시되어 있다. 1 to 2 show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거치프레임(1), 필터집진부(2), 사이클론집진부(3), 수거통(4) 및 구동부(5)를 포함한다.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frame (1), filter dust collector (2), cyclone dust collector (3), container (4) and the driving unit (5).

거치프레임(1)은 지면에 세워지는 것으로 필터집진부 등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부재이다. 거치프레임은 프레임으로 짜져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는 캐스터 등의 구름수단(11)이 장착된다. Mounting frame (1) is a member that is mounted on the ground is the remaining components, such as filter dust collection unit. The mounting frame may be composed of a frame, and as shown, a cloud 11 such as a caster is mounted on the bottom.

또한 거치프레임(1)의 전방에는 진공청소기(100)에 연결되는 유연호스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2)이 더 장착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잡고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핸들프레임(13)이 장착된다. 도 2에서 전방과 후방 각각에 핸들프레임(13)을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핸들프레임의 형상과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storage box 12 for storing a flexible hose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100, the handle frame 13 is mounted to facilitate the operator to carry and carry. . In FIG. 2, the handle frame 13 is mounted on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such a handle frame may vary as needed.

진공청소기(100)는 크게 집진이 이루어지는 청소기본체(100a)와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 청소기본체(100a)는 지면에서부터 수거통(4), 사이클론집진부(3), 필터집진부(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The vacuum cleaner 100 may be divided into a cleaning main body 100a in which dust is largely collected, and a driving unit 5 providing suction force. Here, the cleaning main body 100a includes a container 4, a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a filter dust collector 2 from the ground.

수거통(4), 사이클론집진부(3) 및 필터집진부(2)의 각 내부 공간은 지면과 수직된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사이클론집진부(3)로 유입되고, 사이클론에 의해 이물질과 공기가 1차 분리된다. 이물질은 낙하하여 수거통(4)에 모이고, 사이클론에 상승류를 이루는 공기는 필터집진부(2)를 통과하면서 여분의 이물질과 공기가 2차 분리된다. 2차 분리를 거친 공기는 구동부(5)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된다(도 3 참고). 흡입한 공기 중에서 사이클론에 의한 1차 분리를 거침으로써 중량이 큰 입자물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1차 분리에서 미처 분리되지 못하는 미세한 먼지 등은 필터 방식의 2차 분리에서 마저 걸러내어 먼지 분리 효율이 증대된다. 나아가 체적이 큰 입자물을 1차 분리에서 걸러내므로 2차 분리가 이루어지는 필터가 막히는 문제가 줄어들고 오랜 기간에 걸쳐 필터의 일정 수준의 필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inner spaces of the container 4,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filter dust collector 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s is introduced in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nd the foreign matters and air are first separated by the cyclone. Foreign matter falls and collects in the container (4), and the air that rises in the cyclone passes through the filter dust collecting section (2), the extra foreign matter and air are separated secondarily. The air after the secondary separation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drive unit 5 (see FIG. 3). The heavy particles can be separated quickly by undergoing primary separation by cyclone in the inhaled air. Fine dust, which cannot be separated in the primary separation, is filtered out in the secondary separation of the filter method, thereby increasing the dust separation efficiency. Furthermore, the large volume of particles are filtered out in the primary separation, thereby reducing the problem of clogging the secondary separation filter and achieving a certain level of filtering effect over a long period of tim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1)을 살펴보면, 도 1과 도 2에서 지면에 놓이는 바닥프레임(15)과 상기 바닥프레임(15)에서 나란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기둥부(16)를 포함한다. 바닥프레임(15)에는 캐스터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쉽게 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Looking at the mounting fram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frame 15 and the pair of pillars 16 which are erected side by side in the floor frame 15 placed on the ground in Figures 1 and 2 Include. The bottom frame 15 is equipped with a caster,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vacuum cleaner.

기둥부(16)의 상단에는 전방으로 연결되는 핸들프레임(13)이 장착되어 있다. 기둥부의 중간 높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14)이 장착되어 있다. 가로프레임(14)의 끝단부는 다른 핸들프레임(13)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upper end of the pillar portion 16 is mounted to the handle frame 13 is connected to the front. A horizontal frame 14 extending rearward is mounted at the middle height of the pillar.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4 is connected to the other handle frame (13).

특히, 가로프레임(14)은 진공청소기(1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가로프레임(14)에는 구동부(5)가 장착된다.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frame 14 is extended toward the rear of the vacuum cleaner (100). The drive unit 5 is mounted to the horizontal frame 14.

구동부(5)는 전기 모터와 감속기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력을 팬으로 전달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흡입력을 발휘하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과 작용은 공지된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구동부(5)의 흡입구는 필터집진부(2) 상부의 파이프와 유연관(F)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유연관을 대체하여 강관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drive unit 5 includes an electric motor, a reduction gear, and the like, and transmits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to the fan to provide suction power.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the drive unit for exerting a suction force may be the same as the known configuration. The suction port of the driving unit 5 is connected to the pip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2 through the flexible pipe (F). At this time, the steel pipe may be used in place of the flexible pipe.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유연관과 연결되는 필터집진부의 상단부에는 필터 카트리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필터 카트리지는 필터집진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구동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공지된 구성의 필터로 이루어진다. 필터 카트리지는, 일례로 필터집진부의 상단에서 분리 가능한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거나, 유연관과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엘보관의 내부에 장착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a filter cartridge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connected to the flexible pipe. The filter cartridge is composed of a filter of a known configuration, which can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tha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and moves to the driving part. The filter cartridge, for example, may be mounted inside the lid detachabl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or may be mounted inside the elbow pipe connecting the flexible pipe and the lid.

도 2에서 구동부(5)는 대략 육면체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다. 케이스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홀(511)이 청소기본체(도 2에서는 필터집진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구동부(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청소기본체(100a)와 구동부(5)의 사이 공간으로 배출된다(도 3 참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부(5)가 거치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구동부(5)는 작업자의 얼굴이나 상체의 높이로 위치된다. 본 고안에서 구동부(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진공청소기 주변에 있는 작업자에게 직접 닿지 아니하고, 청소기본체(100a)에 먼저 닿고 주변 대기로 분산된다. 따라서 청소 작업 중에 작업자에게 구동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직접 닿아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In FIG. 2, the driving part 5 is mounted inside the case of the cube. In the case, an exhaust hole 511 for discharging air is opened toward the cleaning main body (filter collecting part in FIG. 2).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ive unit 5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leaning base 100a and the drive unit 5 (see FIG. 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the driving unit 5 is positioned above the mounting frame 1, the driving unit 5 is positioned at the height of the face or upper body of the work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iving unit 5 does not directly touch the worker around the vacuum cleaner, but first touches the cleaning main body 100a and is dispersed into the surrounding atmosphere.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iving unit direct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orke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so that there is no discomfort.

또한 가로프레임(14)이 필터집진부(2)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 가로프레임(14)에 구동부(5)가 결합됨에 따라 구동부(5)가 청소기본체(100a)의 후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구동부(5)는 필터집진부(2)의 후방에 위치되어, 전방에서 바라볼 때에 구동부(5)는 필터집진부(2)에 의하여 가려진다. 작업자는 진공청소기에서 인출된 흡입호스를 당기면서 청소하게 되는데, 구동부가 청소기본체의 후방에 위치됨에 따라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청소기본체에 가려져 작업자에게 바로 전달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다 정숙한 환경에서 청소작업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4 extends to the rear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2, and as the driving unit 5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4, the driving unit 5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cleaning base 100a. Specifically, in FIG. 1, the driving unit 5 is located behind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2, and the driving unit 5 is covered by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2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worker cleans while pulling the suction hose drawn out from the vacuum cleaner. As the driving uni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leaning main body, the nois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is hidden by the cleaning main body and is not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worker. Therefore, the worker can clean in a quieter environment.

사이클론집진부는 필터집진부의 개방된 하단에 연결되는 통부재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사이클론집진부(3)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필터집진부(2)의 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달리 사이클론집진부는 필터집진부와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거나, 필터집진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The cyclone dust collector is a cylinder member connected 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2 to 4,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2 using a clamp. However, unlike shown, the cyclone dust collector may be fixed by screw coupling with the filter dust collector or may be fixed to the filter dust collector.

한편 사이클론집진부(3)의 내부에는 사이클론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공간은 대략 뒤집혀진 원뿔대의 형상을 갖는다. 내부공간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줄어든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pace in which the cyclone is formed is formed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his inner space has the shape of an inverted truncated cone.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gradually toward the bottom.

사이클론집진부(3)의 내부공간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가이드(32)가 장착된다. 가이드(32)의 상단부는 필터집진부(2)와 사이클론집진부(3) 사이에 결합되거나, 사이클론집진부(3)의 하부에 걸리는 필터부(6)의 지지판(61)에 결합된다. 사이클론집진부(3)의 내면과 가이드(32)의 외면 사이에는 유입된 공기가 선회하면서 하강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가이드(32)의 중앙은 상하로 개방되어 있어, 사이클론(3)의 중앙에서 형성되는 상승류가 필터집진부(2)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The inner sp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is equipped with a guide 32 which decreases in diameter downward. The upper end of the guide 32 is coupled between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and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3, or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61 of the filter part 6 which is caught under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3.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32 is formed a space in which the introduced air descends while turning. The center of the guide 32 is opened up and down so that the upward f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yclone 3 can move toward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사이클론집진부(3)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단은 필터집진부(2)와 연통되고, 하단은 수거통(4)과 연통된다.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re open. Accordingly, the upp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ainer (4).

사이클론집진부(3)에는 유입관(31)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관(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집진부(3)의 내주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는 원형 내주면을 타고 선회하여(도 4의 화살표 방향 참고) 사이클론이 쉽게 생성되게 한다. An inflow pipe 31 is formed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As shown in FIG. 4, the inflow pipe 31 is connecte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herefore, the introduced air is swiveled along the circul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ee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4) to easily generate the cyclone.

더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31)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유입관(31)을 통과한 공기는 하향 경사지게 사이클론집진부(3)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향 경사지게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사이클론집진부의 내부에서 하향하는 선회류(사이클론)의 생성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고, 강력한 선회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공기 중에 흡입된 이물질은 사이클론집진부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inlet pipe 31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31 is inclined downward and flows in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In this way, as the air is injected obliquely downward, generation of a swirl flow (cyclone) downward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is made easier, and a powerful swing force can be obtained. As a result, foreign matter sucked in the air is more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사이클론집진부(3)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된다. 낙하된 이물질은 수거통(4)의 내부에 모인다. 수거통(4)은 사이클론집진부(3)의 하부에 밀폐된 저장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사이클론의 형성 중이라도 공기의 유동이 크게 발생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따라서 낙하되어 모인 이물질은 잦은 구동부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사이클론에 섞여 상승하지 아니하게 된다.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falls by its own weight. Dropped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side the container (4). The container 4 forms a sealed storage spa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so that the flow of air does not occur significantly even during the formation of the cyclone.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rop is not mixed with the cyclone and rises despite the frequent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5 내지 도 6에는 필터집진부 및 그에 장착되는 필터부가 도시되어 있다. 2 to 3 and 5 to 6 illustrate a filter dust collector and a filter unit mounted thereto.

사이클론집진부(3)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상승류는 필터집진부(2)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흐른 후 구동부(5)로 이동된다. 필터부(6)는 이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공기 중에서 먼지 등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The upward flow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flows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2, and then moves to the driving unit 5. The filter unit 6 filters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from the air flowing from the bottom up in this way.

필터부(6)는 필터집진부(2)의 하우징 내측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61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61) 및 각 관통홀(611)에 결합되는 필터기둥(62)을 포함한다. The filter part 6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and has a support plate 61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611 formed therein and a filter column 62 coupled to each through hole 611. Include.

지지판(61)은 필터집진부(2)의 내부 단면에 해당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판재이다. 도면에서 지지판(61)은 필터집진부(2)의 원통형 하우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필터집진부의 하우징 하단에 단턱을 형성하고 이에 지지판이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61 is a circular or polygonal plat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In the figure, the support plate 61 is formed of a disc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ylindrical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a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and the support plate may be caught therein.

필터기둥(62)은 공기는 통과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 이물질은 걸러내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은 종이, 부직포, 마 등 공극이 있는 필터천일 수 있다. 또한 필터천은 부드럽게 접히거나 휘어지는 가요성을 갖는다. The filter column 62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h a material may be a filter cloth having pores such as paper, nonwoven fabric, and hemp. The filter cloth also has the flexibility to bend or flex gently.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각 필터기둥(62)은 관통홀(611)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이다. 일례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필터기둥의 전체 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necessarily so, each filter column 62 has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611. Although not shown as an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total area of the filter pillar,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increased toward the top.

필터기둥(62)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단부는 막혀 있다. 상승하는 공기는 필터기둥(62)의 내부에서 둘레 또는 상단을 통과하여 필터기둥(62)의 외부로 이동된다. 상승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필터기둥(62)은 필터집진부(2)의 내부에서 세워진다. The lower end of the filter post 62 is open and the upper end is blocked. The rising air passes through the circumference or the top of the inside of the filter column 62 and moves out of the filter column 62. The filter column 62 is erected inside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2 as the rising air flows.

도 6을 참고하면, 공기의 상승에 의하여 필터기둥(62)을 통과하는 상태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판(61)의 관통홀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기둥(62)의 내주면과 상면을 통과한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filter pillar 62 by the rise of air is shown by the arrow.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late 61 passes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column 62.

이때, 필터기둥(62)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필터천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필터기둥(62)의 내주면과 상면에서 이물질의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터기둥(62)의 상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면, 이물질이 필터링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단일한 필터링 천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각 필터기둥의 측면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링 가능한 면적에 크게 확보되는 장점을 갖는다. At this time, as the filter pillar 62 is made of a filter cloth through which air can pass, foreign matter is filter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illar 62. Therefore, if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filter columns 62 is sufficiently long, the area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can be largely secured. Compared with the use of a single filtering cloth in the prior art, since the side of each filter pillar can be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erable area is largely secured.

더하여 필터기둥(62)의 연장방향은 공기의 유동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In additi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lter column 62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refore

내부공간의 상단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면 필터기둥(62)의 측면은 필터기둥(62)의 외부를 향하여 부풀게 된다. 도 5에서 진공청소기가 작동하지 아니하였을 때의 필터기둥(62)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작동 중에 필터기둥(62)의 측면이 부풀게 됨으로써 필터링 면적이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먼지와 이물질의 유입구를 향하여 돌출되게 필터링 천이 부착되어 작동 중에 오히려 필터링 면적이 줄어드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본 고안은 작동 중에 필터링 면적이 더 증대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필터링부재의 막힘이 저감되는 것이다. When the air is sucked in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space, the side of the filter pillar 62 is infla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lter pillar 62. In FIG. 5, the filter column 62 when the vacuum cleaner is not operated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The side of the filter pillar 62 is inflated during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filtering area. Theref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which the filtering cloth is attached to protrude toward the inlet of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prior art, and thus the filtering area is reduced during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filtering area during operation, so that clogging of the filtering member by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It is reduced.

한편 지지판(61)에 형성되는 관통홀(611)의 형상, 수, 배열 패턴은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지지판의 아래의 사이클론집진부에서 사이클론이 안정되게 형성되도록, 지지판의 원형 테두리로부터 일정폭은 남겨두고, 지지판의 중앙부분에만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클론집진부의 내주면을 타고 공기가 회전하면서 초기 사이클론의 발생이 쉽게 이루어지며, 사이클론 중앙에서 강하게 발생되는 상승류가 관통홀을 타고 상승하도록 유도하여 사이클론에 의한 1차 분리와, 필터부에 의한 2차 분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rough holes 611 formed in the support plate 61 can be changed.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le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circular edge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cyclone is stably formed at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ortion below the support plate. In this case, the initial cyclone is easily generated as the air rotates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and the upstream generated strongly in the center of the cyclone is induced to rise through the through hole, thereby separating the primary by the cyclone and the filter part. Secondary separation is achieved efficiently.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지만, 필터집진부(2)에는 필터기둥(62)을 털어내는 털이부(63)가 포함된다. 털이부(63)는 청소기본체를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필터기둥(62)의 내측면에 낀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털어내는 것이다. Although not necessarily necessary,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includes a hair part 63 to shake off the filter pillar 62. Hair portion 63 is to physically shake off the foreign matter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illar 62 without removing the cleaning base.

도 5에는 털이부(63)가 도시되어 있다. 털이부(63)는 필터집진부(2)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된 파지부(631) 및 파지부(631)에 결합되어 있고 필터기둥(62)에 연결되어 있는 털이프레임(632)을 포함한다. 5, the hair part 63 is shown. The hair part 63 includes a grip part 631 protruding through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and a hair frame 632 coupled to the grip part 631 and connected to the filter pillar 62. .

파지부(631)는 필터집진부(2)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봉재이다. 하우징과 파지부(631)의 사이에는 하우징 내부를 기밀하기 위한 연질의 패킹(636)이 결합된다. 파지부(631)는 사용자가 잡고 흔들 수 있을 정도로 느슨하게 하우징을 관통하고 있다. 파지부의 형상은 달리 변경될 수 있다. The gripping portion 631 is a bar that penetrates through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A soft packing 636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coup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grip portion 631. The grip part 631 penetrates through the housing loosely so that a user can hold and shake. The shape of the gripping portion can vary otherwise.

필터집진부(2)의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파지부(631)에는 털이프레임(632)이 결합된다. 도면에서 털이프레임(632)은 대략 원판 형태로 짜인 프레임들이다. 그러나 털이프레임은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의 구조물로 변경 가능하다. 털이프레임(632)에는 필터기둥(62)의 상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집진부(2)의 외부로 돌출된 파지부(631)를 잡고 흔들면 털이프레임(632)과 함께 필터기둥(62)이 흔들리게 되고, 그에 따라 필터기둥의 내주면에 낀 이물질리 털리게 된다. A hair frame 632 is coupled to the gripping portion 631 extending into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2. In the figure, the hair frame 632 is a frame woven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However, the hair frame can be changed to other types of structures as long as it does not resist the flow of air.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pillar 62 is connected to the hair frame 632. Accordingly, when the grab portion 63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2 is grabbed and shaken, the filter pillar 62 is shaken together with the hair frame 632, and thus the foreign matter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pillar is shaken off.

생략 가능한 추가적인 구성으로 털이프레임(632)에는 필터기둥들 사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털이봉(633)이 구비된다. 털이봉(633)은 상하방향의 수직봉(634)과, 수직봉 사이를 연결하며 필터기둥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수평봉(635)을 포함할 수 있다. 털이봉(633)은 필터기둥(62)을 물리적으로 타격하여 필터기둥의 내주면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털어 줄 수 있게 된다. In a further optional configuration, the hair frame 63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hair rod 633 extending between the filter pillars. The hair bar 633 may include a vertical bar 63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bar 635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bars and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filter pillars. The hair rod 633 can physically strike the filter pillar 62 to more effectively shake off the foreign matter stuck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pillar.

필터기둥에서 떨어진 이물질은 지지판의 관통홀에서 낙하여 사이클론집진부의 경사진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려 수거통에 적재된다. 이로써 청소기본체를 분해하지 아니하고도 필터기둥의 내주면에 들러붙은 이물질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Foreign materials falling from the filter column fall from the through-hole of the support plate and flow down the incline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to be loaded into the container. This makes it possible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pillar without disassembling the cleaning main body.

도 2 및 도 7 내지 도 10은 수거통을 사이클론집진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2 and 7 to 10 are views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ntainer i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수거통(4)은 원통형 부재로 개방된 상부에는 커버판(33)이 접하게 된다. 커버판(33)에는 사이클론집진부(3)의 개방된 하단과 연결되는 구멍(331)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판(33)의 하단 둘레에는 수거통(4)의 상단 테두리가 접하게 된다. 이때, 수거통(4)의 상단과 접하는 커버판의 하단 둘레에는 수거통(4)과 커버판(33)의 기밀을 위한 실링부재(도시 생략)가 개재된다. 이때, 실링부재는 수거통(4)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며 압축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일례로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ainer 4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33 in the upper portion opened to the cylindrical member. The cover plate 33 is formed with a hole 331 connected to the open lower end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he upper edge of the cover 4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circumference of the cover plate 33. At this time, a sealing member (not shown) for airtightness of the container 4 and the cover plate 33 is interpos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plate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container 4. At this time, the seal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4). The sealing member has an elastic force and is capable of compressive deformation.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may be made of rubber.

커버판(33)은 사이클론집진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수거통(4)이 하부로 탈거되더라도, 커버판은 사이클론집진부에 여전히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The cover plate 33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Thus, even if the container 4 is removed to the bottom, the cover plate is still attached 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수거통(4)에는 캐스터 등 구름부재(41)가 결합되어 있다. 구름부재(41)는 수거통(4)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가 구비된다. 수거통(4)이 사이클론집진부(3)와 분리되면 구름수단(11)을 통하여 지면에서 굴림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수거통(4)이 사이클론집진부(3)와 접하게 되면 지상에서 상승함에 따라 구름부재도 지면과 떨어지게 된다. The container 4 is coupled with a rolling member 41 such as a caster. Cloud member 4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ly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4). When the container 4 is separat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3, the rolling movement is possible on the ground through the rolling means 11.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yclone dust collector 3, the cloud member also falls from the ground as it rises from the ground.

수거통(4)의 높이는 사이클론집진부(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론집진부의 하단에 연결된 커버판)의 하단보다는 낮은 것이다. 거치프레임(1)과 수거통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수거통을 들어올려 높이를 고정하면 사이클론집진부(3)와 수거통(4)은 서로 접하면서 빈틈 없이 결합된다. The height of the container 4 is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specifically, a cover plat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When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s fixed by lifting the container through the coupling means provided in the holding frame 1 and the container, the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3 and the container 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ny gap.

이러한 결합수단은 기둥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7), 링크부(8), 걸림부(9) 및 수거통(4)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거치대(43)를 포함한다. Such coupling means includes a handle portion 7, a link portion 8, a locking portion 9, and a holder 43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4 provided in the pillar portion.

먼저, 거치대(43)는 수거통(4)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거치대(43)의 위치는 기둥부(16)에 대응되는 것이다. 거치대(43)는 수거통(4)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일 수 있다.First, the cradle 4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4). The position of the cradle 43 corresponds to the column 16. Cradle 43 may be a plate-shaped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4).

한편, 손잡이부(7)는 가로바(71)와, 상기 가로바의 양 끝단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편(72)을 포함한다. 연장편(72)의 이격 간격은 기둥부(16)의 내측면의 이격 간격과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손잡이부(7)는 작업자가 가로바(71)를 잡고 작동시키는 부재로, 결합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이 된다. Meanwhile, the handle portion 7 includes a horizontal bar 71 and a pair of extension pieces 72 extending side by side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The spacing of the extension piece 7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pacing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16. The handle portion 7 is a member for the operator to hold the horizontal bar 71 to act as a means for operating the coupling means.

가로바(71)는 봉의 형상을 가지며, 잡기 용이하도록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장편(72)은 평면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부는 하나의 봉체를 적당히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나란한 양 끝단부는 압착하여 서로 평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Horizontal bar 71 has the shape of a rod, it may be formed in a gentle bend to be easy to grab. In addition, the extension piece 72 is formed so that the planes face each other. Such a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by properly bending one rod body,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handle portion may be compressed to form surfaces parallel to each other.

각 연장편(72)은 기둥부(16)의 내측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장공(161)에 구속되어 승강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연장편(72)은 장공(161)에서 자유 회전도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장편(72)과 장공(161)의 연결은 볼트, 와셔, 너트 등 일반적인 결합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장공을 타고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부분의 마모를 저감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Each extension piece 72 is coupled to the elevating and restrained by the long hole 161 formed to face each other inside the pillar portion 16. The extension piece 72 is also free to rotate in the long hole 161. To this end, the connection of the extension piece 72 and the long hole 161 may be used a general coupling member such as bolts, washers, nuts.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bearing may be used to reduce wear of a portion moving or rotating in a long hole.

한편, 링크부(8)는 그 일단(81)이 상기 기둥부(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82)은 연장편(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로바(71)의 하강시 연장편(72)의 끝단부가 장공(161)을 타고 상승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ink portion 8 is one end 8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6, the other end 8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72, horizontal bar 71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is to be raised by riding the long hole (161).

구체적으로 링크부(8)의 일단(81)은 장공(161)의 수직 하부 방향에 형성된 관통공(162)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링크부(8)의 타단(82)은 연장편(72)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링크부(8)의 타단(82)은 장공(161)과 결합된 연장편(72)의 끝단부 위치보다, 가로바(71)에 가까운 중간부분에서 힌지결합된다. 이때, 링크부 양 끝단의 힌지결합은 전술된 바와 같이 볼트, 너트, 와셔, 베어링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one end 81 of the link portion 8 is hinged to the through-hole 162 formed in the vertical lower direction of the long hole 161. In addition, the other end 82 of the link portion 8 is hinged to the extension piece 72. At this time, the other end 82 of the link portion 8 is hinged at the middle portion closer to the horizontal bar 71 than the end position of the extension piece 72 coupled with the long hole 161. At this time, the hinge coupling of both ends of the link portion is made through a bolt, nut, washer, bearing,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이로써, 가로바(71)의 하강시 연장편(72)의 끝단부가 장공(161)을 타고 상승하며, 반대로 가로바(71)의 상승시에는 연장편(72)의 끝단부가 장공(161)을 타고 하강하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horizontal bar 71 descends,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rides through the long hole 161, and conversely, when the horizontal bar 71 rises,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rides through the long hole 161. Will descend.

한편, 걸림부(9)는 연장편(72)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수거통(4)에 형성된 거치대(4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 일례로, 걸림부는 장공에 결합되는 연장편의 각 끝단부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하여 거치대에는 돌기에 대응하여 상부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거치대에 돌기가 구비되고, 연장편의 끝단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portion 9 is a member protrud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nsion piece 72, the holder 43 formed in the container 4 is detachably coupled. For example,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protrusion projecting to face each other inside each end of the extension piece coupled to the long hole. In addition, the cradle is formed with a recessed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Alternatively, a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holder, and a concave groov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이러한 걸림부와 거치대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걸림부(9)는 외주면에 거치홈(911)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편(72)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돌기(91)일 수 있다. 더하여, 거치대(43)는 상기 수거통(4)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431)을 포함하면서, 이 거치편(431)은 하측 일부분이 절개되어 가로편(432), 삽입홈(433), 스톱퍼편(434)을 차례로 형성할 수 있다. Looking specifically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portion and the cradle, the locking portion 9 may be a cylindrical projection 9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otatable groove 911 is rotatably coupl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have. In addition, while the cradle 43 includes a cradle 431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4, the cradle 431 has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iece 432, the insertion groove ( 433), the stopper piece 434 can be formed in order.

원통돌기(91)는 연장편(72)이 장공(161)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므로,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지면에 놓이는 수거통을 기둥부 사이로 밀어 넣으면 가로편(432)은 원통돌기(91)의 거치홈(911)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Since the cylindrical projection 91 is movable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iece 72 is restrained by the long hole 161, the cylindrical protrusion 91 is movabl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iner placed on the ground is pushed between the pillars, the horizontal piece 432 moves through the mounting groove 911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91.

이후, 수거통(4)을 더욱 밀어 넣으면, 원통돌기(91)의 거치홈(911)이 수직으로 형성된 스톱퍼편(434)에 걸리므로, 수거통이 더 이상 진입할 수 없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container 4 is pushed further, since the mounting groove 911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91 is caught by the stopper piece 434 formed vertically, the container can no longer enter.

이후, 손잡이부(7)를 조작하여 가로바(71)를 내리면, 원통돌기(91)가 상승하며 삽입홈(433)에 파지된다. 더하여 원통돌기(91)의 추가 상승으로 수거통(4)을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된다. 즉, 원통돌기(91)가 삽입홈(433)에 끼워짐에 따라 수거통(4)은 기둥부 사이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연결통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horizontal bar 71 is lowered by manipulating the handle part 7, the cylindrical protrusion 91 is lifted up and gripped by the insertion groove 433.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crease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91 will lift the container 4 upwards. That is, as the cylindrical projection 9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33, the collecting container 4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cylinder without being separated between the pillars.

거치대(43)는 거치편(431)을 포함하는 브래킷으로 제작되어, 양측은 수거통에 고정되고, 거치편(431)은 수거통(4)의 외벽과 이격된다. 이때, 거치편(431)과 수거통(4)의 외벽과의 공간에 원통돌기(91)의 일부가 삽입된다. Cradle 43 is made of a bracket including a cradle 431, both sides are fixed to the container, the cradle 431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4).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projection 91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mounting piece 431 and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4.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결합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oupling mea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도 9의 (a)는 손잡이부가 들려진 상태로, 수거통을 진공청소기에서 외부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이다(도 10의 (a) 참고).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바가 들림에 따라 링크부(8)는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연장편(72)의 끝단부는 장공(161)을 타고 최대로 내려온 상태이다. 결국, 원통돌기(91)가 삽입홈의 아래로 내려가 있으므로, 수거통을 진공청소기에서 빼낼 수 있다. Figure 9 (a)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lifted,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to the outside (see Fig. 10 (a)). As the horizontal bar is lifted based on the drawing, the link part 8 is rotated to the right side,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is descended to the maximum by riding the long hole 161. As a result, since the cylindrical projection 91 is lowered below the insertion groove, the container can be taken out of the vacuum cleaner.

한편, 도 9의 (b)는 손잡이부(7)가 내려진 상태로, 수거통을 올려 연결통과 밀착시킨 상태이다(도 10의 (c) 참고).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바가 내려감에 따라 링크부(8)는 일단(8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에 연장편(72)의 끝단부는 장공(161)의 상부로 상승되고, 그에 따라 연장편(72)의 끝단에 구비된 원통돌기(91)가 삽입홈에 끼워진 채로 상승하여 수거통이 상승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9 (b)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7 is lowered, the container is rais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cylinder (see (c) of Figure 10). Based on the drawings, as the horizontal bar is lowered, the link portion 8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end 81. Accordingly,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is rai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 hole 161, and as a result, the cylindrical projection 91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is raised in the insertion groove to raise the container.

이때, 가로바는 더욱 하강하며, 링크부(8)의 타단(82)에 형성된 회전축은 장공(161)과 링크부(8) 일단의 회전축이 형성하는 가상 연결선(L)을 통과한다. 구체적으로, 링크부(8)와 연장편(72)이 연결된 회전축 중심(A)은, 장공(161)과 연장편(72) 끝단부의 힌지축 중심(B)과 링크부(8)와 기둥부(16)의 힌지축 중심(C)을 잇는 가상 연결선(L)을 통과하여 더욱 왼쪽으로 치우쳐지게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ar is further lowered, the rotary shaft formed at the other end 82 of the link portion 8 passes through the virtual connecting line (L) formed by the long axis 161 and the rotary shaft of one end of the link portion (8). Specifically, the rotation axis center A to which the link portion 8 and the extension piece 72 are connected includes the hinge axis center B, the link portion 8, and the pillar part of the end of the long hole 161 and the extension piece 72. It is positioned further to the left through the virtual connecting line L connecting the hinge axis center C of (16).

이로써, 수거통(4)의 하중이 연장편(72)의 끝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작용할 때에, 수거통(4)의 하중은 왼쪽으로 치우쳐진 링크부(8)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도록 강제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연장편(72)은 장공(161)과 결합된 그 끝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된다. 결국, 수거통의 하중은 링크부와 연장편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손잡이부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수거통의 상승된 위치가 고정된다. Thus, when the load of the container 4 acts vertically downward on the end of the extension piece 72, the load of the container 4 forces the link portion 8 biased to the left to be rotated further counterclockwise. Accordingly, the extension piece 72 is forced to rotate clockwise with its end coupled to the long hole 161 as the axis of rotation. As a result, the load of the container is transmitted to the link portion and the extension, and finally the raised position of the container is fixed while being rotated to an angle where the handle part can no longer rotate.

이때, 손잡이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손잡이부가 바닥부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기둥부에 손잡이부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도록 돌출된 구조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bottom portion. Alternatively, a protruding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column part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part.

본 고안은 상하로 분리된 한 쌍의 집진부를 구비함으로써, 각 집진부마다 서로 다른 필터링 처리가 가능하며, 최종 배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더하여, 하나의 거치프레임에 한 쌍의 집진부를 모두 장착함에 따라 빈번하게 위치를 이동하는 청소 작업이 수월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a pair of dust collectors separated up and down, each of the dust collector is capable of different filtering processing, and has the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inal discharged air. In addition, as a pair of dust collectors are mounted on one mounting frame, the cleaning operation of frequently moving the position may be facilitated.

또한, 청소 중에 무거운 수거통을 비워야 할 때에,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수거통을 올리거나 내려 손쉽게 분리하거나 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리성이 크게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when the heavy container should be emptied during cleaning, it can be easily removed or mount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verag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100 : 진공청소기 100a : 청소기본체
1 : 거치프레임
11 : 구름수단 12 : 보관함 13 : 핸들프레임 14 : 가로프레임
15 : 바닥프레임 16 : 기둥부 161 : 장공 162 : 관통공
2 : 필터집진부
3 : 사이클론집진부 31 : 유입관 32 : 가이드 33 : 커버판 331 : 구멍
4 : 수거통
41 : 구름부재 43 : 거치대
431 : 거치편 432 : 가로편 433 : 삽입홈 434 : 스톱퍼편
5 : 구동부 511 : 배기홀
6 : 필터부
61 : 지지판 611 : 관통홀 62 : 필터기둥 621 : 측면
63 : 털이부 631 : 파지부 632 : 털이프레임 633 : 털이봉
634 : 수직봉 635 : 수평봉 636 : 패킹
7 : 손잡이부 71 : 가로바 72 : 연장편
8 : 링크부 81 : 일단 82 : 타단
9 : 걸림부 91 : 원통돌기 911 : 거치홈
F : 유연관 L : 가상연결선
100: vacuum cleaner 100a: basic cleaning body
1: Mounting frame
11: cloud means 12: locker 13: handle frame 14: horizontal frame
15 floor frame 16 pillar portion 161 long hole 162 through hole
2: filter dust collecting unit
DESCRIPTION OF SYMBOLS 3 Cyclone dust collecting part 31 Inflow pipe 32 Guide 33 Cover plate 331 Hole
4: container
41: rolling member 43: holder
431: mounting piece 432: horizontal piece 433: insertion groove 434: stopper piece
5 driving unit 511 exhaust hole
6: filter part
61 support plate 611 through-hole 62 filter column 621 side
63: hairy part 631: gripping part 632: hairy frame 633: hairy rod
634: vertical bar 635: horizontal bar 636: packing
7 handle portion 71 horizontal bar 72 extension
8 link portion 81 one end 82 the other end
9: hooking portion 91: cylindrical projection 911: mounting groove
F: Flexible pipe L: Virtual connector

Claims (9)

지면에 세워지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되는 필터집진부,
상기 필터집진부의 개방된 하단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가 사이클론을 형성하며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는 사이클론집진부,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담기며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와 분리 가능한 수거통 및
상기 필터집진부의 측면과 이격되게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집진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Mounting frame built on the floor,
A filter dust collecting part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and having a filter part therein;
A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intake air forms a cyclone and discharges foreign substances to the lower portion;
Receiving foreign substances falling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and containing the container separable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and
And a driving unit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to provide suction power.
제1항에서,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기 필터집진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되는 진공청소기.
In claim 1,
The mounting frame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The driving unit is a vacuum cleaner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제1항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집진부의 하우징 내측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및
상기 관통홀에 외주면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공기 흐름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있는 필터기둥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In claim 1,
The filter unit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or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extends according to an air flow direction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includes an empty filter pillar.
제3항에서,
상기 필터기둥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가요성 필터천으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ter pillar is a vacuum cleaner consisting of a flexible filter cloth through which air can pass.
제3항에서,
상기 필터집진부에는
상기 필터기둥을 털어내는 털이부가 포함되고,
상기 털이부는
상기 필터집진부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필터기둥에 연결되어 있는 털이프레임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Hair part to shake off the filter pillar is included,
The hairy part
A gripping part protruding through the housing of the filter dust collecting part;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hair frame coupled to the gripp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lter pillar.
제1항에서,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의 내주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공기 흡입되는 유입관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을 통과한 공기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사이클론집진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In claim 1,
Is equipped with an inlet pipe that sucks air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is introduced into the cyclone dust collector inclined downwardly.
제1항에서,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하방향의 장공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기둥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가 각 상기 장공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연장편과, 각 상기 연장편들을 잇는 가로바를 구비하여, 상기 장공에 구속되며 회전되는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장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로바의 하강시에 상기 연장편의 끝단부가 상기 장공을 타고 상승되게 하는 링크부 및
상기 연장편의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수거통에 형성된 거치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In claim 1,
The mounting frame is formed with a pair of pillars formed to face the lo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andle portion having a pair of extension piec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each of the long holes, and a horizontal bar connecting each of the extension pieces to be constrained and rotated by the long holes,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is raised in the long hole when the horizontal bar descend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atch portion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surface of the extension piece, the cradle formed in the container is detachably coupled.
제7항에서,
상기 걸림부는 외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돌기이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거통의 외벽면과 이격되게 고정되는 거치편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편은
상기 거치홈 위에 올려지는 가로편,
상기 가로편의 일단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이 고정 위치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편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In claim 7,
The engaging portion is a cylindrical protrusion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radle includes a cradl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mounting piece is
A horizontal piece which is placed on the mounting groove,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be concave up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iece to which the mounting groove is fix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topper pie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to prevent movement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제1항에서,
상기 수거통의 하부에는 구름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진공청소기.
In claim 1,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is equipped with a vacuum member vacuum cleaner.
KR2020110008705U 2011-09-28 2011-09-28 Vacuum cleaner Ceased KR2013000215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05U KR20130002156U (en) 2011-09-28 2011-09-28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05U KR20130002156U (en) 2011-09-28 2011-09-28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56U true KR20130002156U (en) 2013-04-05

Family

ID=5242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705U Ceased KR20130002156U (en) 2011-09-28 2011-09-28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156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605B1 (en) * 2020-12-03 2021-07-01 한호철 Vacuum cleaner
KR20220063920A (en) * 2020-11-11 2022-05-18 원은자 Dust Su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20A (en) * 2020-11-11 2022-05-18 원은자 Dust Suction System
KR102271605B1 (en) * 2020-12-03 2021-07-01 한호철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762B1 (en) Vacuum cleaner filter cleaning device
KR102438130B1 (en) air cleaner
KR100880492B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CN100345515C (en) Vacuum cleaner
KR100585692B1 (en) Dust bucket of vacuum cleaner
US20190125153A1 (en) Vacuum with integrated filter cleaning device
KR101524170B1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EP1987753A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20130063655A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automatic filter structure
KR101591700B1 (en) Indurstrial vacuum cleaner
CN101965148A (en) Cyclone separation apparatus
KR101306738B1 (en) Vacuum cleaner
KR20130002156U (en) Vacuum cleaner
CN1989891B (en) Vacuum cleaner
JP5764138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02475523A (en) Dust collecting device with self-cleaning filter
JP514309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214682286U (en) Diversifi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device that shakes
KR101227074B1 (en) Vacuumcleaner
KR20150118934A (en) Indurstrial vacuum cleaner
KR101760885B1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elevating structure of body
KR20120002091U (en) Dust collector coupl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KR100846904B1 (en) Vacuum cleaner
KR20130119284A (en) Vacuum cleaner using water filter
KR102362520B1 (en) Vacuum cleaner detachable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9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3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