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00713A -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713A
KR20130000713A KR1020110061409A KR20110061409A KR20130000713A KR 20130000713 A KR20130000713 A KR 20130000713A KR 1020110061409 A KR1020110061409 A KR 1020110061409A KR 20110061409 A KR20110061409 A KR 20110061409A KR 20130000713 A KR20130000713 A KR 2013000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generation
regeneration water
raw water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주
권태성
문형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713A/ko
Publication of KR2013000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1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는 격막에 의해 재생수 챔버와 원수 챔버로 구획되는 중공 형상의 본체, 및 재생제를 공급하는 재생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제 배출구의 하단은 상기 격막의 상단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본체를 원수 챔버 및 상기 원수 챔버와 소정 높이의 격벽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재생수 챔버로 구성하고, 재생수 챔버에서 포화된 상태의 재생수를 원수 챔버의 원수와 희석하여 공급하도록 하여 일정한 농도의 재생수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Apparatus for producing regeneration water and method for producing regeneration w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생제를 수용하는 브라켓과 원수를 공급받는 본체의 구조를 통해 일정한 농도의 재생수를 연수 탱크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연수기는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수성 이온을 화학적으로 변환시켜 연수화된 물로 만들어 주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후된 관 또는 수질오염 등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철, 아연, 납, 수은 등 각종 중금속도 함유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미량의 중금속 물질 등을 함유한 수돗물은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피부를 세척할 때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속에 포함된 금속이온과 비누의 지방산이 결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만들게 되고, 이러한 금속성 이물질이 피부에 접촉하여 알레르기와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돗물을 Na+형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경도 성분인 Ca2+와 Mg2+을 수지중의 Na+와 교환하여 단물인 연수(soft water)로 만드는 연수기가 개발되어 주로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수기는 경수에 함유된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부드럽게 하는 원리를 갖는데, 이를 위해 보통 나트륨이온이 함유된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물에 용해될 경우에 나트륨이온을 생성하는 소금 등의 이온교환수지 재생물질이 들어있는 재생통을 포함하고 있다. 즉, 연수기는 연수통 내에 미세한 알갱이(ball) 형상의 이온교환수지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돗물을 상기 연수통 내로 계속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연수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수돗물과의 계속적인 접촉에 의해 Na+성분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해 NaCl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금물을 연수통 내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의 재생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 수압식 자동재생 연수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 수압식 자동재생 연수장치는 재생단계에서 수압에 따라 재생되는 유량이 달라지므로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시간을 제어해서 재생을 진행해야 한다. 상기에서처럼 수압에 따라 재생통에 입수되는 원수의 유량이 실시간으로 그 입수유량이 달라진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재생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맞추기 어렵게 된다.
한편, 일정치 않은 농도의 재생액을 투입하여 일정수준의 재생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재생되는 시간을 늘이는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재생을 실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의 경우에는 재생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재생제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재생시간을 충분히 설정함으로써 재생수 내에 재생제가 포화된 상태로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상기의 경우와 같이 NaCl과 같은 재생제가 물에 포화된 상태로(일반적으로 30% 정도의 포화도를 유지한다) 재생을 하게 되면 재생 효율 증가 대비 재생제의 낭비 요인이 되므로 보통 15% 전후의 농도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재생을 한다.
상기의 15% 정도의 균일한 재생제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기존에는 관리자가 직접 NaCl의 농도를 맞춰서 연수컬럼에 공급한다던지 자동 재생 연수기의 경우 용해시간 조절 및 밸브 조절을 통해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들은 작업자의 작동 오류 또는 재생제/원수의 공급량 조절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재생수의 정확한 농도를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원수가 유입되는 본체를 원수 챔버 및 상기 원수 챔버와 소정 높이의 격벽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재생수 챔버로 구성하고, 재생수 챔버에서 포화된 상태의 재생수를 원수 챔버의 원수와 희석하여 공급하도록 하여 일정한 농도의 재생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재생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농도의 재생수를 제조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는 격막에 의해 구획되는 재생수 챔버와 원수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및 재생제가 내측에 구비된 재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부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격막의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재생수 챔버와 연통하는 재생수 출수구, 상기 원수 챔버 및 상기 재생수 출수구와 연통하는 원수 출수구, 및 상기 원수 챔버와 연통하는 원수 입수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재생수 출수구에 배치되는 제 1 조절 밸브 및 상기 원수 출수구에 배치되는 제 2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조절 밸브 및 상기 제 2 조절 밸브의 개폐를 조정하여 재생수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재생수 제조 장치는 상기 원수 입수구에 배치되는 입수 조절 밸브; 및 상기 재생수 챔버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입수 조절 밸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재생수 챔버의 수위에 따라 상기 입수 조절 밸브의 개폐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재생수 챔버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의 하단에 메쉬망이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메쉬망은 상기 재생수 챔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의 일측에 경사진 슬라이딩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재생제는 상기 메쉬망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고형 블럭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재생수 제조 방법은 (a) 상기 원수 입수구를 개방하여 원수를 상기 본체에 공급하는 단계, (b) 기 설정된 재생수 제조 시간 이후, 상기 재생수 출수구를 개방하는 단계, (c) 상기 원수 출수구를 개방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생수 출수구로부터의 재생수와 상기 원수 출수구로부터의 원수가 혼합되어 희석된 재생수로서 출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 이후, (a1)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상기 재생수 챔버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a2) 상기 본체로의 원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 이후, (e) 기 설정된 양의 상기 희석된 재생수가 출수된 후, 상기 원수 출수구를 폐쇄하는 단계, 및 (d) 기 설정된 린스 시간 이후, 상기 원수 유입구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는 원수가 유입되는 본체를 원수 챔버 및 상기 원수 챔버와 소정 높이의 격벽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재생수 챔버로 구성하고, 재생수 챔버에서 포화된 상태의 재생수를 원수 챔버의 원수와 희석하여 공급하도록 하여 일정한 농도의 재생수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재생수 제조 장치의 구성은 기존에서처럼 적정 농도의 재생수를 제조하기 위해 유량 및 재생 시간을 미세하게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일정한 농도의 재생수를 연수 컬럼에 공급하는 과정을 통해 연수 컬럼의 재생 효율 향상 및 재생제의 낭비를 최소화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재생수 제조 장치를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재생수 제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 제조 공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재생수 제조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재생수 제조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 설명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핀다.
재생수 제조 장치(100)는 중공 형상의 본체(110), 본체(110) 내의 공간을 나누도록 배치되는 격막(120), 본체(110) 내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130), 본체(110) 상에 결합되는 브라켓(140), 및 수위감지센서(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트롤러(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격막(120)에 의해 재생수 챔버(116)와 원수 챔버(118)로 구획된다. 본 발명은 재생수 챔버(116)와 원수 챔버(118)에 각각 수용되는 유체를 혼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농도의 재생수를 얻고자 하는 것이므로 상기 재생수 챔버(116)와 원수 챔버(118)는 동일 범위의 용적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체(110)는 그 하단에 복수의 입수구 내지 출수구가 외부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재생수 챔버(116)와 연통하는 재생수 출수구(114), 원수 챔버(118) 및 재생수 출수구(114)와 연통하는 원수 출수구(113), 및 원수 챔버(118)와 연통하는 원수 입수구(115)를 포함한다.
재생수 제조 장치(100)는 원수 입수구(115)에 배치되는 입수 조절 밸브(115a), 원수 출수구(113)에 배치되는 제 1 조절 밸브(113a), 및 재생수 출수구(114)에 배치되는 제 2 조절 밸브(114a)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조절 밸브들(113a,114a,115a)은 입수구(115) 또는 출수구(113,114)에 직접 배치되거나 입수구(115) 또는 출수구(113,114)로부터 연장되는 관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40)은 재생제(141)를 공급하는 재생제 배출구(142)가 하단에 형성된다. 재생제 배출구(142)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메쉬망 안착부(144) 및 메쉬망 안착부(144)의 상단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46)를 포함한다. 메쉬망 안착부(144)는 브라켓(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최하단에는 메쉬망(145)이 결합된다. 상기 메쉬망(145)은 용융되기 전의 재생제(14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재생제(141)로 사용되는 염화나트륨의 입자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의 격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6)는 메쉬망 안착부(144)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유지한 채 연장되는데, 이는 재생제 배출구(142)에 수용되는 가루 형태의 재생제가 중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원활히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메쉬망 안착부(144)는 재생제의 재생수 챔버(116) 내로의 공급을 위해서 재생수 챔버(116) 상에 배치되어야 하지만, 재생제(141)의 수용량을 늘리는 동시에 브라켓(140)이 본체(110) 상부를 덮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146)의 상기와 같은 형태가 요구된다.
한편, 브라켓(140) 내에 구비되는 재생제(141)는 직사각 형상의 고형 블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메쉬망 안착부(144)의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직사각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고체 형상의 재생제(141) 블럭을 수용할 수 있다.
재생제 배출구(142)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메쉬망(145)은 격막(120)의 상단(122)과 높이가 같거나 그보다 낮은 높이일 수 있다. 이는 수전구(10)로부터 원수 입수구(115)를 통해 원수 챔버(118)에 유입되는 원수가 격막(120)을 통해 재생수 챔버(116)에 채워지는데, 메쉬망(145)이 격막(120)의 상단(122)보다 높은 경우에는 본체(110) 내에 전체적으로 채워지는 물에 의한 재생제의 용융이 가능하지만 재생수 챔버(116)에만 재생액을 제조한다는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는 것이다.
한편, 수위감지센서(130)의 배치는 격막(120)의 상단(122)과 높이가 같거나 그보다 낮은 높이일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재생수 챔버(116)를 초과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수위감지센서(130)는 재생수 챔버(116) 내의 원수가 격막(120)을 타고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50)는 입수 조절 밸브(115a), 제 1 조절 밸브(113a), 및 제 2 조절 밸브(114a)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개폐를 조정한다. 컨트롤러(150)는 원수를 본체(110)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위감지센서(130)를 통해 재생수 챔버(116)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 과정에서 재생수 챔버(116)에 기준 수위로 원수가 공급되었다고 판단되면 입수 조절 밸브(115a)를 폐쇄하여 원수의 유입을 막게 된다. 한편, 본체(110) 내에서 재생수 챔버(116) 내의 원수에 재생제가 충분히 용융될 수 있는 시간인 재생수 제조 시간 동안 방치한 이후에 제 1 조절 밸브(113a) 및 제 2 조절 밸브(114a)를 개방함으로써 희석된 재생수를 제조할 수 있다.
재생수 제조 장치(100)를 이용한 재생수의 공급 과정 설명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100)를 이용한 재생수 공급 과정을 간단히 살핀다.
먼저, 입수 조절 밸브(115a)를 개방하여 수전구(10)로부터 원수를 본체(110)의 원수 챔버(118) 내로 공급한다. 원수 챔버(118)에 수용되는 원수는 격막(120)을 넘어 재생수 챔버(116)로 유입된다. 재생수 챔버(116)에 원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컨트롤러(150)는 수위감지센서(130)로부터 재생수 챔버(116)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데, 기준 수위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입수 조절 밸브(115a)를 작동하여 본체(110)로의 원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본체(110) 내부로 더 이상의 원수의 유입이 없는 동시에 조절 밸브들(113a,114a,115a)이 차단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재생수 챔버(116) 내의 원수에 재생수가 용융될 수 있는 시간을 유지한다. 여기에서, 브라켓(140) 내에 구비되는 재생제(141)가 재생수 챔버(116) 내의 원수에 충분히 용해되어 포화상태에 이르는 최소 시간을 재생수 제조 시간으로 정의한다. 즉, 상기 재생수 제조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는 재생수 챔버(116) 내의 재생수가 포화되어 더 이상의 재생제가 용해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재생수 챔버(116)에 포화된 재생수가 준비되는 경우에 컨트롤러(150)는 제 1 조절 밸브(113a)와 제 2 조절 밸브(114a)를 조정하여 재생수 챔버(116)와 원수 챔버(118)에 저장된 재생수 및 원수가 희석된 상태에서 연수 탱크(20)로 공급되게 한다.
재생수 챔버(116)와 원수 챔버(118)를 통해 기 설정된 양의 희석된 재생수가 연수 탱크(20)로 출수된 후에는 재생수 챔버(116) 내에 잔존할 수 있는 먼지, 불순물 등의 불필요한 물질들을 제거하는 재생수 챔버(116)의 린스 과정을 실시한다. 상기의 린스 과정은 제 1 조절 밸브(113a)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수 조절 밸브(115a) 및 제 2 조절 밸브(114a)를 개방하여 본체(110)로 유입되는 원수가 재생수 챔버(116)를 거쳐 배출되게 한다. 다음으로 기 설정된 린스 시간 이후, 입수 조절 밸브(115a)를 폐쇄함으로써 재생수 챔버(116)로의 원수의 유입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 조절 밸브(113a) 또는 제 2 조절 밸브(114a)를 단독으로 개방하게 함으로써 원수 또는 포화된 재생수를 선택적으로 연수 탱크(20)로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원수의 공급은 연수 탱크(20)의 재생 과정 후 린스 과정 진행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더불어, 포화된 재생수의 공급은 연수 탱크(20) 내의 이온 수지의 신속한 이온 교환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는 원수가 유입되는 본체를 원수 챔버 및 상기 원수 챔버와 소정 높이의 격벽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재생수 챔버로 구성하고, 재생수 챔버에서 포화된 상태의 재생수를 원수 챔버의 원수와 희석하여 공급하도록 하여 일정한 농도의 재생수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재생수 제조 장치의 구성은 기존에서처럼 적정 농도의 재생수를 제조하기 위해 유량 및 재생 시간을 미세하게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전구
20 : 연수 탱크
100 : 재생수 제조 장치
110 : 본체
113 : 원수 출수구
113a : 제 1 조절 밸브
114 : 재생수 출수구
114a : 제 2 조절 밸브
115 : 원수 입수구
115a : 입수 조절 밸브
116 : 재생수 챔버
118 : 원수 챔버
120 : 격막
122 : 격막 상단
130 : 수위감지센서
140 : 브라켓
141 : 재생제
142 : 재생제 배출구
144 : 메쉬망 안착부
145 : 메쉬망
146 : 슬라이딩부
150 : 컨트롤러

Claims (11)

  1. 격막에 의해 구획되는 재생수 챔버와 원수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및
    재생제가 내측에 구비된 재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 결합되는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부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격막의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재생수 챔버와 연통하는 재생수 출수구, 상기 원수 챔버 및 상기 재생수 출수구와 연통하는 원수 출수구, 및 상기 원수 챔버와 연통하는 원수 입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재생수 출수구에 배치되는 제 1 조절 밸브 및 상기 원수 출수구에 배치되는 제 2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조절 밸브 및 상기 제 2 조절 밸브의 개폐를 조정하여 재생수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 제조 장치는 상기 원수 입수구에 배치되는 입수 조절 밸브; 및 상기 재생수 챔버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입수 조절 밸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재생수 챔버의 수위에 따라 상기 입수 조절 밸브의 개폐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재생수 챔버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의 하단에 메쉬망이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메쉬망은 상기 재생수 챔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의 일측에 경사진 슬라이딩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는 상기 메쉬망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고형 블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생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원수 입수구를 개방하여 원수를 상기 본체에 공급하는 단계;
    (b) 기 설정된 재생수 제조 시간 이후, 상기 재생수 출수구를 개방하는 단계;
    (c) 상기 원수 출수구를 개방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생수 출수구로부터의 재생수와 상기 원수 출수구로부터의 원수가 혼합되어 희석된 재생수로서 출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a1)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상기 재생수 챔버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a2) 상기 본체로의 원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e) 기 설정된 양의 상기 희석된 재생수가 출수된 후, 상기 원수 출수구를 폐쇄하는 단계; 및
    (d) 기 설정된 린스 시간 이후, 상기 원수 유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 제조 방법.
KR1020110061409A 2011-06-23 2011-06-23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Withdrawn KR20130000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09A KR20130000713A (ko) 2011-06-23 2011-06-23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09A KR20130000713A (ko) 2011-06-23 2011-06-23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13A true KR20130000713A (ko) 2013-01-03

Family

ID=4783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09A Withdrawn KR20130000713A (ko) 2011-06-23 2011-06-23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7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7735S1 (en) 2015-02-27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80121185A (ko) * 2017-04-28 2018-11-07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 탱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KR20190013283A (ko) * 2017-08-01 2019-02-11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7735S1 (en) 2015-02-27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80121185A (ko) * 2017-04-28 2018-11-07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 탱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KR20190013283A (ko) * 2017-08-01 2019-02-11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5728B (zh) 离子交换装置的运转方法以及离子交换装置
JP4844724B2 (ja) イオン交換装置の制御方法
JP5403532B2 (ja) 水路を改善した洗濯機
JPWO2010103640A1 (ja) 軟水化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軟水化装置
KR101918771B1 (ko) 이온 교환 장치
CN112573616A (zh) 软水机
KR20130000713A (ko)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JP2015174074A (ja) イオン交換装置
JP5405291B2 (ja) 再生水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375842B2 (ja) イオン交換装置
JP5375850B2 (ja) イオン交換装置
KR100737926B1 (ko) 연수기
KR101069014B1 (ko) 재생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6538B1 (ko)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JP2011189317A (ja) イオン交換装置
KR20130010365A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수 제조 방법
JP2009285575A (ja) 軟水化システム及び給湯システム
JP2000254641A (ja) 軟水器
JP6660007B2 (ja) イオン交換装置
KR100683843B1 (ko) 전자동 상향식 연수기 및 그 작동 방법
US7004200B1 (en) Constant flow valve for a water softener control assembly
US20020166817A1 (en) Ion exchange media regeneration method for fluid treatment
JP5375851B2 (ja) イオン交換装置
KR200203209Y1 (ko) 연수기
JP2010029778A (ja) イオン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