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323U - Chest expander - Google Patents
Chest expan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0323U KR20130000323U KR2020110006111U KR20110006111U KR20130000323U KR 20130000323 U KR20130000323 U KR 20130000323U KR 2020110006111 U KR2020110006111 U KR 2020110006111U KR 20110006111 U KR20110006111 U KR 20110006111U KR 20130000323 U KR20130000323 U KR 2013000032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er
- rod
- coil spring
- frame
- operating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976 pectoralis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력기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을 이동이 되게 구성하고, 지지봉과 작동봉이 중첩되도록 절첩되는 구조로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힘에 알맞게 완력기의 힘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완력기의 보관시에도 보관 공간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ve the coil spring mounted on the tensioner, and the structure is folded so that the support rod and the operating rod is overlapped, the force of the tensioner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ower, as well as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tensioner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sp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슴 근육이나 팔 근육의 단련하도록 스프링이 구비된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을 간단히 이동시켜 완력기의 힘을 사용자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er equipped with a spring to strengthen the chest muscles or arm mus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sioner that can adjust the force of the tensioner to a user by simply moving the spring.
일반적으로 완력기는 중앙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상측의 지지봉과 중앙프레임의 하부에 소정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봉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위치되고, 이 코일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지지봉과 작동봉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In general, the coil spring is positioned between an upper support ro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enter frame and an actuating ro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frame to be rotatable at an angle, and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are supported to the support rod and the actuation rod. Are fixed to each.
완력기의 작동봉을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잡아서 오무림으로서 사용자의 가슴 근육이나 팔 근육의 단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As the user grasps the operating rod of the tensioner with both hands, the training of the user's chest and arm muscles is achieved.
그러나 이와 같은 완력기는 사용자의 근육이 잘 발달되어 힘이 센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힘이 약한 사람의 경우 완력기의 스프링 힘보다 작아서 완력기를 이용하여 근육의 단련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However, such a vibrator can be used without problems for those who have strong muscles because of the well-developed muscles of the user, but the weaker ones are less than the spring force of the vibrator, so that the exercise of the muscles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using the vibrator. Is generated.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4289호의 '완력기의 운동 강도 조절구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에 2003년 8월 25일자로 공고되어 있다.To compensate for this, the exercise intensity control structure of the armature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4289 was announced in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Y1) on August 25, 2003.
상기 실용신안등록의 완력기는 코일 스프링(3)이 장착된 완력기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의 지지봉(1)과 하부의 작동봉(2)을 지지하는 중앙 프레임(4)에 별도의 스토퍼봉(5)으로 작동봉(2)의 벌림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6은 작동봉(2)의 '손잡이'이다.The tensioner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separate stopper rods on the central frame (4) for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rod (1) and the lower operating rod (2)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coil spring (3) mounted tensioner ( 5) is made of a structure that allows the opening angle of the operating rod (2) is made.
그러나 이와 같이 스토퍼봉(5)의 조절에 의해 작동봉(2)의 벌림각도 조절이 이루어는 완력기는 통상의 완력기 보다 부품수가 증가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is way, the tension of the operating angle of the
또한 작동봉(2)의 벌림각도 조절이 될 뿐 사용자가 코일 스프링(3)을 이동시킬 수 없거나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angle of the operating rod (2) is adjusted only, the user can not move the coil spring (3) o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tool must be used.
본 고안은 종래의 완력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코일 스프링을 이동시킴으로써 완력기의 장력을 조절하는 완력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ensioner, and the user is to provide a tensioner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er by simply moving the coil spring.
본 고안은 완력기의 보관시 간편하게 그리고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절첩이 가능한 완력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folding force that can be folded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and minimize the storage of the force.
본 고안은 완력기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과 작동봉의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 스프링의 양단부가 수용되도록 공간부로 형성되되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지지봉과 작동봉에 코일스프링용 나사공을 형성하고, 코일 스프링을 나사공에 나비 볼트로 고정함으로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space for receiving both ends of the spring on each side of the support rod and the operating rod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mounted on the tensioner, but the coil spring screw hole in the support rod and the operating rod to support the coil spring By forming a coil spring in the threaded hole with a butterfly bolt.
또한 본 고안의 완력기는 지지봉과 작동봉을 지지하는 중앙의 프레임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되 분리된 프레임을 힌지로 연결함으로서 프레임의 힌지를 중심으로 절첩되게 하고, 완력기의 사용시에는 절첩되지 않도록 걸쇠로 양 프레임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ens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center frame supporting the support rod and the operating rod into two parts, but by connecting the separated frame with a hinge to be folded around the hinge of the frame, when using the tensioner with both latches By fixing the frame.
본 고안은 완력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힘(근력)에 따라 코일 스프링을 간단히 착탈시키거나 이동시켜 완력기의 힘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to adjust the force of the tensioner by simply detaching or moving the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user's power (muscle strength) when using the tensioner.
도 1은 종래 완력기의 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완력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완력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완력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완력기에서 코일 스프링을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완력기의 절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대향 측에서 본 완력기의 절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tension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armatur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armature.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armat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il spring is moved in the tensioner of FI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ubject innovation armat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armature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of FIG.
이하 첨부도면 도 2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완력기를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2 to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ns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완력기는 종래의 완력기와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3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중앙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봉(10)과, 손잡이(23)가 구비되고 코일 스프링(3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중앙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작동봉(20)과, 지지봉(10)과 작동봉(20)을 지지하는 중앙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The tens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그러나 종래와 달리 지지봉(10)과 작동봉(20)은 코일 스프링(30)이 장착됐을 때 서로 마주보는 면이 공간부(12, 22)로 구성된다. 예컨대 지지봉(10)과 작동봉(20)은 U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공간부(12, 23)가 형성된 지지봉(10)과 작동봉(20)은 코일 스프링(30)을 나비 볼트(NB)로 지지하도록 나비 볼트(NB)가 관통되게 볼트구멍(11, 21)이 각각 형성된다. 즉 코일 스프링(30)은 일단부가 지지봉(10)에 타단부가 작동봉(20)에 나비 볼트(NB)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However, unlike the prior art, the
그리고 지지봉(10)과 작동봉(20)을 지지하는 중앙의 프레임은 힌지(41)로 연결된 후방 프레임(42)과, 후방 프레임(42)의 형태에 대응되게 분리 형성된 전방 프레임(43)으로 구성된다. 후방 프레임(42)은 지지봉(10)과 작동봉(20)을 힌지(41) 양측의 프레임에 각각 지지하도록 상,하에 탭 구멍(H)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 탭 구멍(H) 사이에 걸쇠(50) 고정용 볼트구멍(H1)이 더 형성된다. 전방 프레임(43)은 후방 프레임(42)의 탭 구멍(H)의 위치에 대응되게 볼트구멍(H1)이 형성된다. And the center frame for supporting the
상,하 탭 구멍(H)은 지지봉(10)과 작동봉(20)을 볼트(B)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이고, 이들 상,하 탭 구멍(H) 사이의 볼트 구멍(H1)은 걸쇠(50)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The upper and lower tab holes H are holes for fixing the
걸쇠(50)는 편평한 막대 형태로 구성되되 일측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구멍(H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비 볼트(NB)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U형 홈(51)이 형성되고, 걸쇠(50)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U형 홈(51) 하방에 돌출된 손잡이(52)가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W는 와셔이고, N은 너트이고, B는 볼트이고, NB는 나비 너트이다.Reference numeral W is a washer, N is a nut, B is a bolt, and NB is a butterfly nu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완력기는 후방 프레임(42)에 지지봉(10)과 작동봉(20)의 구멍을 정렬하여 볼트(B)를 관통되게 한 후 전방 프레임(43)의 구멍을 끼워서 너트(N)로 가고정한다.The tens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igns the holes of the supporting
이후 지지봉(10)과 작동봉(20)의 마주보는 공간부(12, 22)에 코일 스프링(30)의 단부를 각각 수용되게 하여 나비 볼트(NB)와, 와셔(W)와 너트(N)를 이용하여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봉(10)과 작동봉(20)에 고정한다. Thereafter, the ends of the
이와 같이 지지봉(10)과 작동봉(20)이 전,후방 프레임(42, 43)에 고정이 완료되었을 때 전,후방 프레임(42, 43)은 힌지(41)를 중심으로 절첩되므로 완력기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걸쇠(50)를 나비 너트(NN)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후 작동봉(20)의 손잡이(23)를 잡아서 완력기를 사용할 수 있다.Thus, when the
그리고 완력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알맞게 코일 스프링(30)을 장착한다. 완력기의 힘은 나비 볼트(NB)를 풀어서 코일 스프링(3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이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 참조).And the
완력기의 사용 후 보관할 때 완력기의 보관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걸쇠(50)를 가고정하는 나비너트(NN)를 풀어서 걸쇠(50)의 고정을 해제하면 후방 프레임(42)의 힌지(41)를 중심으로 지지봉(10)과 작동봉(2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절첩이 이루어진다(도 6 및 도 7 참조).When storing after use of the tensioner, release the butterfly nut (NN) to temporarily fix the
본 고안은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는 완력기에 이용가능하고, 특히 완력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힘에 알맞게 간단히 코일 스프링을 이동시켜 완력기의 힘을 조절하는데 이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tensioner equipped with the coil spring, and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to adjust the force of the tensioner by simply moving the coil spring to suit the force of the user using the tensioner.
10: 지지봉 11: 볼트구멍
12: 공간부 20: 작동봉
21: 볼트구멍 22: 공간부
23: 손잡이 30: 코일 스프링
41: 힌지 42: 후방 프레임
43: 전방 프레임 50: 걸쇠
NB: 나비 볼트 NN: 나비 너트10: support rod 11: bolt hole
12: space part 20: working rod
21: bolt hole 22: space part
23: handle 30: coil spring
41: hinge 42: rear frame
43: front frame 50: latch
NB: Butterfly Bolt NN: Butterfly Nut
Claims (3)
지지봉(10)과 작동봉(20)은 마주보는 면에 공간부(12, 22)가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30)은 착탈가능하게 공간부(12, 22)에 양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나비 볼트(NB)로 고정되고,
프레임은 지지봉(10)과 작동봉(20)이 중첩되게 힌지(41)로 절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A support rod 10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coil spring in the center frame, an actuating rod 20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a center frame for supporting the support rod 10 and the actuating rod 20, In the tensioner consisting of the coil spring 30 is fixed to the supporting rod 10 and the operating rod 20, the ends of both sides, respectively,
Support rod 10 and the operating rod 20 is formed with spaces (12, 22) on the opposite surface,
The coil spring 30 is detachab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pace portions 12 and 22 and fixed with the butterfly bolt NB,
The frame is a tens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od 10 and the operating rod 20 is configured to be folded with a hinge (41) to overlap.
프레임은 분리된 전방 프레임(43)과 힌지(41)로 연결된 후방프레임(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s a tens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ar frame (42) connected by a separate front frame (43) and a hinge (41).
힌지(41)는 전방 프레임(43)에 결합되는 걸쇠(50)에 의해 절첩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inge 41 is a tens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is prevented by the latch 50 is coupled to the front frame (4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6111U KR200467778Y1 (en) | 2011-07-05 | 2011-07-05 | Chest expan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6111U KR200467778Y1 (en) | 2011-07-05 | 2011-07-05 | Chest expan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0323U true KR20130000323U (en) | 2013-01-15 |
KR200467778Y1 KR200467778Y1 (en) | 2013-07-03 |
Family
ID=5139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611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7778Y1 (en) | 2011-07-05 | 2011-07-05 | Chest expan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7778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90647A (en) * | 2017-12-29 | 2018-04-10 | 西京学院 | A kind of physical culture arm strength training device |
KR200490128Y1 (en) | 2018-03-30 | 2019-09-27 | 주식회사 이고진 | Fitness Equipment |
CN113797499A (en) * | 2021-10-20 | 2021-12-17 | 南阳医学高等专科学校第一附属医院 | Adjustable arm exercise apparatus that department of neurology use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237B1 (en) * | 2013-10-10 | 2014-04-01 | 김기성 | A multi-purposed health sporting equipment |
CN107376239B (en) * | 2017-08-31 | 2019-06-14 | 中山诺顿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 Chest expanding equipment |
CN109794033B (en) * | 2019-01-09 | 2021-05-14 | 江苏康力源体育科技股份有限公司 | Damping counterweigh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3532A (en) * | 1993-11-15 | 1995-06-15 | 홍기상 | Folding portable armchair with safety bar |
KR20100008655A (en) * | 2008-07-16 | 2010-01-26 | 김경천 | Physical training device |
-
2011
- 2011-07-05 KR KR2020110006111U patent/KR20046777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90647A (en) * | 2017-12-29 | 2018-04-10 | 西京学院 | A kind of physical culture arm strength training device |
KR200490128Y1 (en) | 2018-03-30 | 2019-09-27 | 주식회사 이고진 | Fitness Equipment |
CN113797499A (en) * | 2021-10-20 | 2021-12-17 | 南阳医学高等专科学校第一附属医院 | Adjustable arm exercise apparatus that department of neurology us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7778Y1 (en) | 2013-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7778Y1 (en) | Chest expander | |
US7513856B2 (en) | Weight plate retention collar | |
US6926647B1 (en) | Folding collapsible rowing machine | |
US20210121735A1 (en) | Folding rowing machine | |
US7766797B2 (en) | Breakaway or folding elliptical exercise machine | |
US20090192026A1 (en) |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 |
DE202017102059U1 (en) | Exercise bike for riding exercises | |
US7022052B1 (en) | Collapsible boat rowing stimulator | |
CA2844562A1 (en) | Abdomen exercise machine | |
EP3623021B1 (en) | Fitness equipment | |
KR101527910B1 (en) | Health machine | |
JP2009247883A (en) | Collapsible handle and bag with it | |
US20090118106A1 (en) | Exercise machine | |
US5993363A (en) | Exercise machine | |
KR102362287B1 (en) | folding chair exercise equipment | |
CN204956197U (en) | Car seat headrest that can overturn | |
KR200465649Y1 (en) | Fitness equipment | |
KR101876132B1 (en) | Standing health bike | |
CN203370242U (en) | Exercise bicycle with adjustable seat | |
EP2995356B1 (en) | Gymnastic machine with adjusting group | |
DE202006004220U1 (en) | Golf caddy for carrying a golf bag has side rods on base frame converging towards front end, front wheel holder/front wheel, rear wheel holder arrangement/rear wheels, connecting rod, struts and joints, bag holder, locking arrangement | |
KR20110003313U (en) | Swing | |
US9561419B2 (en) | Bicycle trainer with a bicycle wheel holding fixture | |
KR200490128Y1 (en) | Fitness Equipment | |
CN214343347U (en) | Be used for myocardial infarction coronary heart diseas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70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1206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6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7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