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338A - 구근 형성 연결재를 구비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구근 형성 연결재를 구비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40338A KR20120140338A KR1020110060007A KR20110060007A KR20120140338A KR 20120140338 A KR20120140338 A KR 20120140338A KR 1020110060007 A KR1020110060007 A KR 1020110060007A KR 20110060007 A KR20110060007 A KR 20110060007A KR 20120140338 A KR20120140338 A KR 20120140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precast
- precast panel
- bulb
- bridge
- s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거더(2)를 배치하는 단계; 교폭방향 측면 외부에는 연결재가 돌출되어 있되, 상기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연결재의 단부에는 연결재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의 구근(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근(11)은 교폭방향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을, 서로 이웃하는 거더(2)의 상부에 걸쳐서 설치하되, 이웃하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간격에서 구근(11)이 서로 겹쳐져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 사이의 간격에 연속부 콘크리트(20)를 타설하여, 구근(11)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매립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이 서로 일체화되어 연속되게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상부와 연속부 콘크리트(20)의 상부에 바닥판 구축용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교량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에서 구근 형성 연결재로서 사용되는 강봉으로 이루어진 구근형성 긴장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복수개의 거더 사이에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이 배치되어 있되, 바닥판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의 교폭방향 간격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속화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의 상부에 바닥판 구축용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판이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에 대한 교축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대응되는 사시도로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 간의 교폭방향 간격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속화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0: 구근 나선이형강봉
11: 구근
Claims (5)
- 교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거더(2)를 교각(3)과 교각 사이 또는 교각(3)과 교대 사이에 거치하되, 교각(3) 위에서 상기 거더(2)를 교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콘크리트에 의해 교량의 바닥판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슬래브 형태로 제작되며 교폭방향 측면 외부에는 연결재가 돌출되어 있되, 상기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연결재의 단부에는 연결재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단면직경이 확장되어 있는 구근(11)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을 사전 제작하여, 상기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교폭방향 양단부가 각각 서로 이웃하는 거더(2)의 상면에 놓이도록 설치하되, 교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이웃하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에 구비된 연결재의 구근(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을 거더(2)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구근(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도록 교폭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 사이의 간격에 연속부 콘크리트(20)를 타설하여, 상기 구근(11)이 상기 연속부 콘크리트(20) 내에 매립됨과 동시에 상기 연속부 콘크리트(20)에 의해 이웃하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이 서로 일체화되어 연속되게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상부와 연속부 콘크리트(20)의 상부에 바닥판 구축용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교량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내부에서 교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교폭방향으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게 되는 구근형성 긴장재(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형성 긴장재(10)는, 표면에 나선형의 홈(12)이 형성되어 있는 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근(11)은 강봉의 단부를 가열하여 무르게 만든 후, 무른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형성 긴장재(10)는, 강연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근(11)은, 상기 강연선의 꼬여 있는 상태를 풀은 후, 풀어진 부분을 압축함으로써 강연선의 외부 돌출 단부에 강연선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너트형 고정부재(50)와, 상기 너트형 고정부재(6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60)로 구성되는데;
상기 너트형 고정부재(50)는 삽입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공이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교폭방향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 입구가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교폭방향 측면에 노출되도록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내부에 매립되어 구비되며;
상기 볼트부재(60)는 그 내측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단부와 반대되는 방향의 외측단부에는 볼트부재(60)의 몸체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확대된 구근(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부재(60)의 내측단부가 상기 너트형 고정부재(50)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너트형 고정부재(50)와 결합되면 상기 구근(11)이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1)의 교폭방향 측면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0007A KR101283542B1 (ko) | 2011-06-21 | 2011-06-21 | 구근 형성 연결재를 구비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0007A KR101283542B1 (ko) | 2011-06-21 | 2011-06-21 | 구근 형성 연결재를 구비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40338A true KR20120140338A (ko) | 2012-12-31 |
KR101283542B1 KR101283542B1 (ko) | 2013-07-15 |
Family
ID=4790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0007A Active KR101283542B1 (ko) | 2011-06-21 | 2011-06-21 | 구근 형성 연결재를 구비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354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3256B1 (ko) * | 2016-08-04 | 2017-01-05 | 주식회사 노빌테크 |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
KR20200025292A (ko) * | 2018-08-30 | 2020-03-10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한 교대 설치방법 |
KR20220163688A (ko) * | 2021-06-03 | 2022-12-12 | (주)한맥기술 | 외부로 돌출된 봉강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반단면데크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0060U (ja) * | 2002-05-17 | 2002-11-22 | 極東工業株式会社 | 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目部の継ぎ手構造 |
JP4390494B2 (ja) * | 2003-07-01 | 2009-12-24 | 大成建設株式会社 | 桁と床版の接合構造及び桁と床版の接合方法 |
KR100938876B1 (ko) * | 2007-11-08 | 2010-01-27 | (주)대우건설 | 반단면 피씨 패널 |
-
2011
- 2011-06-21 KR KR1020110060007A patent/KR101283542B1/ko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3256B1 (ko) * | 2016-08-04 | 2017-01-05 | 주식회사 노빌테크 |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
KR20200025292A (ko) * | 2018-08-30 | 2020-03-10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한 교대 설치방법 |
KR20220163688A (ko) * | 2021-06-03 | 2022-12-12 | (주)한맥기술 | 외부로 돌출된 봉강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반단면데크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3542B1 (ko) | 2013-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9285B1 (ko) | 상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브라켓으로 캔틸레버부가 형성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를 갖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83535B1 (ko) | 완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64731B1 (ko) |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1074751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합성 거더의 단블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 및 단블록 개량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1043239B1 (ko) |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 |
CN109881777B (zh) | 一种装配式高韧性水泥基复合材料梁柱节点 | |
KR10070405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
KR20100007300A (ko) | 콘크리트 크로스 빔을 이용하여 강 주형을 연결한 강 합성교량 및 시공방법 | |
KR101283542B1 (ko) | 구근 형성 연결재를 구비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013009B1 (ko) |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 |
JP2008266910A (ja) |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389044B1 (ko) | 교량용 강재거더 및 그 제작 방법과, 강재거더를 교각에 강결 설치하는 시공방법 | |
KR101181160B1 (ko) | 프리스트레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긴장 및 정착 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 |
KR100583671B1 (ko) |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413974B1 (ko) | 피에스씨 빔 시공방법 | |
KR102077385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 |
KR101067717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060017949A (ko) |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1397131B1 (ko)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27978B1 (ko) | 구근 단부의 거더 긴장재와 볼트 헤드 단부의 보강철근에 의한 모서리 결합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라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44469B1 (ko) | 돌출보가 부착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
KR102249063B1 (ko) | 정착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및 빔단부의 결합성을 향상시킨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라멘교 및 그의 시공 방법 | |
JP7144341B2 (ja) |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方法 | |
KR20140059941A (ko) | 지점부에 강봉을 이용한 압축력이 도입된 거더 연속화 시공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교량 | |
KR100793158B1 (ko) | 후긴장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설치되는 거더교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