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38859A - 그물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그물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859A
KR20120138859A KR1020110058256A KR20110058256A KR20120138859A KR 20120138859 A KR20120138859 A KR 20120138859A KR 1020110058256 A KR1020110058256 A KR 1020110058256A KR 20110058256 A KR20110058256 A KR 20110058256A KR 20120138859 A KR20120138859 A KR 2012013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guide
guide roller
fixed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조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호 filed Critical 조동호
Priority to KR102011005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859A/ko
Publication of KR2012013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85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그물을 처짐 없이 긴장된 상태로 견인함과 동시에 그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며, 세척하고자 하는 그물을 당겨 이송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그물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크게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물 세척장치{net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그물을 처짐 없이 긴장된 상태로 견인함과 동시에 그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물망은 바다 속에 일정기간 고정설치되어 어류를 유도 및 포획하는 어구로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건져 내어진다.
상기 그물이 바다 속에 잠겨져 있을 때에는 어류를 포획될 뿐만 아니라 각종 해초류 및 기타 이물질들이 달라붙게 되는데, 상기 그물을 건져내고 나서 상기 해초류 및 이물질들을 제거하지 않으면 재사용시에 어류의 포획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그물이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바다에서 회수된 그물을 지면에 펼쳐 일광이나 자연 바람을 통해 말린 후, 작업자가 도리개 등으로 그물을 타격하여 그물에 부착된 해초류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경운기나 트랙터를 개조하여 회전축에 다수의 고무로프 또는 고무호스가 부착된 이물질 털이개를 장착하고, 그물 위를 경운기나 트랙터가 지나다니면서 이물질 털이개가 그물을 연속으로 타격하여 해초류와 기타 이물질이 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은 모든 과정에 인력이 소요되고, 그물을 건조하는 과정과 이물질을 털어내는 과정에서 악취와 다량의 먼지가 발생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위생과 건강에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제공하며, 해초류 및 이물질이 그물에 견고하게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해초류 및 이물질을 그물에서 떨어지게 하는 작업이 오래 걸리고 어렵다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척하고자 하는 그물을 당겨 이송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그물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그물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을 하고 있는 함체; 상기 함체를 경유하는 그물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함체의 양측벽에 각각 장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고정프레임으로서, 상기 함체의 양측벽 상류단과 하류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제1 및 제2경사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경사프레임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제1경사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프레임의 제2경사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그물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되는 제2가이드롤러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의 상기 제2가이드롤러와 탄성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을 당기는 상기 탄성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의 상부에서 각각 상기 제3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이송관;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의 저면에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3가이드롤러의 하류방향 상단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을 각각 상기 제3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세척장치에 의하면,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 부위가 제3가이드롤러의 상단에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노즐에 의해 물의 가압을 받기 때문에, 상기 그물 부위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해초류가 상기 그물에서 잘 떨어진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탄성가압수단에 의해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을 긴장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물이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가압력에 의해 하향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 그물 세척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그물 세척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 세척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 세척장치의 구동수단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 세척장치가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그물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하고자 하는 그물(1)을 당겨 이송시키는 가이드부(100)와, 상기 가이드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00)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그물(1)을 세척하는 세척부(200)를 크게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을 하고 있는 함체(110); 상기 함체(110)를 경유하는 그물(1)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함체(110)의 양측벽(111)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1)을 가이드하는 롤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함체(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을 하고 있으며, 양측벽(111)과 전.후벽(112) 및 바닥벽(11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S)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바닥벽(113)에는 배수구(113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그물(1)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측벽(111)의 상류단과 하류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제1 및 제2경사프레임(121, 122)과 상기 제1 및 제2경사프레임(121, 12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130)는,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제1경사프레임(121)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가이드롤러(131)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의 제2경사프레임(122)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가이드롤러(132) 및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프레임(120)의 수평프레임(123)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133, 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날개편(131a)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의 방사 바깥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날개편(131a)은,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1)이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를 경유할 때, 상기 그물(1)에 붙은 이물질을 1차적으로 상기 그물(1)에서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그물(1)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와 탄성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롤러(13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1)을 당기는 상기 탄성가압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가압수단(140)은,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의 상부에서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축(141); 상기 고정축(14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는 가압롤러(142); 상기 고정축(141)의 양단에 각각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의 제2경사프레임(122) 상류단에서 각각 수직상향으로 뻗은 기립프레임(122a)에 각각 링크연결되는 선회바(143); 상기 선회바(143)의 일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립프레임(122a)에 고정되어 상기 선회바(143)를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스프링(144)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롤러(142)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폐타이어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타이어의 외주면에는 마찰력을 최대화해주는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가 회전될 때 그물(1)을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상부에서 각각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의 저면에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하류방향 상단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220);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을 각각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은, 도시되지 않은 물탱크와 유통가능하게 연결된 물공급관(7)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은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230)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된다.
상기 제1 및 제 2이송관(210, 211)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성은 해당 기술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원발명의 명세서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노즐(220)은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의 저면에서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상류 상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00)의 함체(110)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모터(231); 상기 구동모터(231)의 출력축(231a)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제1스프로킷(232); 상기 제1스프로킷(232)과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233)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바(234); 상기 회전바(234)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회전바(234)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판(235); 상기 회전바(234)의 타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회전바(234)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판(236); 상기 제1회전판(235)에 제1핀(P1)을 개재하여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이송관(210)의 일단에 링크연결되는 제1로드(237); 상기 제2회전판(236)에 제2핀(P2)을 개재하여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송관(211)의 일단에 링크연결되는 제2로드(23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핀(P1)과 제2핀(P2)은 제1 및 제2회전판(237, 238)에서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그물 세척장치의 사용예가 설명된다.
먼저,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1)을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장착된 롤러부(130)에 펼쳐진 상태로 얹혀놓되, 상기 그물(1)의 일단을 상기 롤러부(130)의 제2가이드롤러(132)와 상기 탄성가압수단(140)의 가압롤러(142) 사이로 인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와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가 회전되면서 상기 그물(1)을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하류방향 상단에 얹혀진 그물(1) 부위는 상기 세척부(200)의 복수개의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물의 가압을 받아 세척된다.
이때,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의 하류방향 상단에 얹혀진 그물(1) 부위가 상기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물의 가압력에 의해 하향으로 처지는 것이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그물(1) 부위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상기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져 나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의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은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제1회전판(235)과 제2회전판(236)에 각각 연결된 제1로드(237)와 제2로드(238)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전.후진 왕복운동 된다.
따라서,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에 얹혀진 그물(1)은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에 의해 그 폭방향으로 고루 세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그물 100 : 가이드부
110 : 함체 120 : 고정프레임
130 : 롤러부 140 : 탄성가압수단
200 : 세척부 210 : 제1이송관
211 : 제2이송관 220 : 노즐
230 : 구동수단

Claims (5)

  1. 세척하고자 하는 그물(1)을 당겨 이송시키는 가이드부(100)와, 상기 가이드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00)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그물(1)을 세척하는 세척부(200)를 포함하는 그물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을 하고 있는 함체(110);
    상기 함체(110)를 경유하는 그물(1)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함체(110)의 양측벽(111)에 각각 장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고정프레임으로서, 상기 함체(110)의 양측벽(111) 상류단과 하류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제1 및 제2경사프레임(121, 122)과, 상기 제1 및 제2경사프레임(121, 12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3)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120);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제1경사프레임(121)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가이드롤러(131)와,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프레임(120)의 제2경사프레임(122)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그물(1)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되는 제2가이드롤러(132)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의 수평프레임(123)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133, 133)를 포함하는 롤러부(130); 및
    상기 롤러부(130)의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와 탄성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롤러(13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세척되고자 하는 그물(1)을 당기는 상기 탄성가압수단(14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한 쌍의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상부에서 각각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의 저면에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하류방향 상단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220);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을 각각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이송관(210, 21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 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되도록 하는 구동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140)은,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의 상부에서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축(141)과, 상기 고정축(14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는 가압롤러(142)와, 상기 고정축(141)의 양단에 각각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의 제2경사프레임(122) 상류단에서 각각 수직상향으로 뻗은 기립프레임(122a)에 각각 링크연결되는 선회바(143)와, 상기 선회바(143)의 일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립프레임(122a)에 고정되어 상기 선회바(143)를 상기 제2가이드롤러(132)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스프링(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세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함체(110)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모터(231), 상기 구동모터(231)의 출력축(231a)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제1스프로킷(232), 상기 제1스프로킷(232)과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233)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프레임에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바(234), 상기 회전바(234)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회전바(234)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판(235), 상기 회전바(234)의 타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회전바(234)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판(236), 상기 제1회전판(235)에 제1핀(P1)을 개재하여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이송관(210)의 일단에 링크연결되는 제1로드(237), 상기 제2회전판(236)에 제2핀(P2)을 개재하여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송관(211)의 일단에 링크연결되는 제2로드(238)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핀(P1)과 제2핀(P2)은 제1 및 제2회전판(237, 238)에서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세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날개편(131a)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의 방사 바깥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세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142)는 폐타이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세척장치.
KR1020110058256A 2011-06-16 2011-06-16 그물 세척장치 Ceased KR20120138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256A KR20120138859A (ko) 2011-06-16 2011-06-16 그물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256A KR20120138859A (ko) 2011-06-16 2011-06-16 그물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859A true KR20120138859A (ko) 2012-12-27

Family

ID=4790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256A Ceased KR20120138859A (ko) 2011-06-16 2011-06-16 그물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8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1684A (zh) * 2014-05-12 2014-08-27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安全网清洗机及其使用方法
KR20200097567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종패분리장치
KR102410448B1 (ko) * 2021-12-15 2022-06-22 (주)해양수산정책기술연구소 새꼬막 종패분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1684A (zh) * 2014-05-12 2014-08-27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安全网清洗机及其使用方法
CN104001684B (zh) * 2014-05-12 2016-09-14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安全网清洗机及其使用方法
KR20200097567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종패분리장치
KR102410448B1 (ko) * 2021-12-15 2022-06-22 (주)해양수산정책기술연구소 새꼬막 종패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090B1 (ko) 정치어망 청소장치
KR10092699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KR20100033709A (ko) 벨트 컨베이어 청소장치
KR101352613B1 (ko) 농산물 세척장치
JP2012249601A (ja) 茶生葉洗浄装置
CN204015030U (zh) 一种新型的山药清洗去皮设备
KR20130065347A (ko) 김 건조용 발장 처리장치
CN105381971A (zh) 鸭蛋清洗筛选风干设备
CN109261566A (zh) 一种机械链条表面油污清洁设备
JP2019017300A (ja) 洗浄装置
KR20120138859A (ko) 그물 세척장치
CN107986474B (zh) 一种具有废物回收功能的屠宰污水处理系统
CN107297367A (zh) 一种天然气管道清理装置
KR20110003059A (ko) 폐비닐 재생을 위한 세절기
CN108185467B (zh) 一种猕猴桃清洗装置
KR100990235B1 (ko) 부착물 분쇄수단을 갖는 정치망 세척장치
KR100926998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KR20100104289A (ko) 정치망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N211569463U (zh) 一种花生输送装置
KR101268339B1 (ko) 전복양식구 세척장치
JP2012249602A (ja) 茶生葉脱水装置
CN209038484U (zh) 具有回收功能的传送机
KR20120130448A (ko) 어업용 그물 세척 장치
JP3133277U (ja) 養殖網洗浄装置
CN214207019U (zh) 一种贝类分选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2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