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469A - Apparatus of inputting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inputting 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8469A KR20120138469A KR1020110057959A KR20110057959A KR20120138469A KR 20120138469 A KR20120138469 A KR 20120138469A KR 1020110057959 A KR1020110057959 A KR 1020110057959A KR 20110057959 A KR20110057959 A KR 20110057959A KR 20120138469 A KR20120138469 A KR 201201384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signal
- button
- load
- sel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06 function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정보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중의 작용에 의해 방향 정보를 입력 받는 방향 버튼, 및 방향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작용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방향 스위치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An information input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formation including a direction button for receiving direction information by the action of the load, and a direction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direction button, to generate a different kind of dir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load An input devic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 device.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발달 및 텔레비전의 고기능화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직접 장착되거나 리모콘 등과 같은 장치에 장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portable multimedia devices and the high functionality of televisions, there is a demand for an input device that can be mounted directly on a portable device or mounted on a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즉, 휴대용 기기 및 텔레비전 등의 고기능화에 따라 단순히 4 방향키 방식을 벗어나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이 포인터(pointer)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트랙볼(tack ball)식 소형 마우스 등을 이용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high functionalization of portable devices and televisions, an input device capable of freely moving a pointer like a mouse of a computer is needed, instead of simply using a four-way key method. (touch screen), tack ball (small) mouse, and the lik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들 방식의 경우, 비교적 고가이며 정확한 포인팅이 어렵거나 손가락에 스크린이 가려져 전체의 스크린을 보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these methods, a problem is that it is relatively expensive and difficult to accurately point, or the screen is covered by a finger,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e entire screen.
본 발명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input device that can be manufactured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that can input various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중의 작용에 의해 방향 정보를 입력 받는 방향 버튼, 및 방향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작용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방향 스위치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formation including a direction button for receiving direction information by the action of the load, and a direction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direction button, to generate a different kind of dir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load An input device is provided.
방향 스위치는 방향 버튼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direction switch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edge of the direction button.
방향 스위치는 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The direction switch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방향 스위치는 복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돔 스위치(dome switch)일 수 있다.The direction switch may be a dome switch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cts.
복수의 접점은, 제1 하중의 작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display image)에서의 포인터(pointer) 이동을 위한 포인터 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접점, 및 제1 하중보다 큰 제2 하중의 작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에서의 활성화 영역 이동을 위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acts may be operated by a first load to generate a pointer direction signal for pointer movement in a display image, and a second load greater than the first load by the action of the first load. Thereby, a second contact for generating an activation area direction signal for movement of the activation area in the display image.
제1 접점은 방향 스위치 상에서 양측에 형성되며, 제2 접점은 방향 스위치 상에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n the dir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ntact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n the direction switch.
정보 입력 장치는, 하중의 작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의 아이콘(icon) 또는 메뉴 항목에 해당되는 컨텐츠(contents)의 실행을 위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 선택 버튼, 및 선택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device is pressed by a selection button for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for execution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an icon or a menu item of a display image by the action of a load, and a selection button to execute the contents. It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switch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for.
상기 선택 버튼은 상기 방향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방향 버튼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lection butt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rection button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button.
선택 스위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제3 하중의 작용에 의해, 포인터 및 활성화 영역 중 어느 하나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lection switch may generate a switching signal for moving only one of the pointer and the activation area by the action of the third load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정보 입력 장치는, 방향 스위치로부터 포인터 방향 신호 또는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각각 입력 받아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 신호 또는 활성화 영역을 이동시키는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선택 스위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 받아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실행 신호를 출력하며, 선택 스위치로부터 전환 신호를 입력 받아 포인터 이동 신호 및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device receives a pointer direction signal or an activation area direction signal from the direction switch, respectively, and outputs a pointer movement signal for moving the pointer or an activation area movement signal for moving the activation area, respectively, and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rom the selection switch.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execution signal for executing the content, and output only one of the pointer movement signal and the activation area movement signal by receiving the switching signal from the selection switch.
정보 입력 장치는, 일면에 방향 스위치가 설치되며, 방향 스위치를 커버하도록 방향 버튼이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direction switch install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direction button coupled thereto to cover the direction switch.
정보 입력 장치는, 방향 버튼과 방향 스위치 사이에 개재되어 방향 버튼에 의해 작용되는 하중을 방향 스위치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directional button and the directional switch to transmit a load acting by the directional button to the directional switch.
전달 부재의 하부에는 방향 스위치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switch.
정보 입력 장치는, 전달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transmission member.
정보 입력 장치는, 전달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홀더(hol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to support the transfer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formation input device manufactured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capable of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도 1의 AA선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방향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방향 스위치의 접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방향 스위치의 메탈돔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방향 스위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한 포인터 및 활성화 영역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rection switch of a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ct point of the direction switch of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metal dome of the direction switch of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direction switch of a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ovement state of a pointer and an activation area by a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n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I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를 도 1의 AA선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버튼(110), 방향 버튼(110) 중앙에 위치한 선택 버튼(120),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20) 하부에 결합된 전달 부재(160), 전달 부재(160) 하부에 배치된 방향 스위치(130) 및 선택 스위치(140), 방향 스위치(130)와 선택 스위치(140)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50), 전달 부재(1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170), 인쇄회로기판(150)에 전달 부재(160)를 일부 커버하도록 결합된 홀더(180)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100)가 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트랙볼 등과 비교하여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이들과 유사하게 다양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즉, 본 실시예의 정보 입력 장치(100)의 경우, 돔 스위치 방식의 방향 스위치(130)를 이용하여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방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트랙볼 등에 비해 제작에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그들과 유사하게,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16) 이동 기능 및 방향키와 같은 활성화 영역(18) 이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방향 버튼(110)은 외부 하중의 작용에 의해 방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는 외부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달 부재(160)의 하부에는 방향 스위치(130) 및 선택 스위치(140)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방향 스위치(130)가 설치될 수 있고, 중앙에는 선택 스위치(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50)의 상면에는 방향 스위치(130)와 선택 스위치(140)를 커버하도록 전달 부재(160) 및 그에 결합된 방향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rinted
전달 부재(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버튼(110) 및 그와 일체로 형성된 선택 버튼(120)과, 방향 스위치(130) 및 선택 스위치(140) 사이에 개재되어 방향 버튼(110) 및 선택 버튼(140)에 의해 작용되는 하중을 방향 스위치(130) 및 선택 스위치(140)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그리고 이러한 전달 부재(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7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50)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 부재(160)가 탄성 부재(1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방향 버튼(130) 또는 선택 버튼(140)은 그에 작용된 외부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탄성 부재(17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홀더(18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160)의 적어도 일부, 즉,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전달 부재(16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홀더(180)는 전달 부재(16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면서 인쇄회로기판(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달 부재(160) 및 그에 결합된 방향 버튼(110)과 선택 버튼(120)은 인쇄회로기판(1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방향 스위치(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160) 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향 버튼(110) 및 그에 결합된 전달 부재(160)에 의해 가압되어, 작용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즉, 방향 스위치(130)는 작용된 하중의 크기에 상응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향 스위치(130)를 이용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스위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16) 이동 기능 및 컴퓨터의 4 방향키와 같은 활성화 영역(18) 이동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은 방향 스위치(13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방향 스위치(130)의 세부 구성을 제시하는 부분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에 의한 포인터(16) 및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Regar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방향 스위치(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버튼(1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로, 예를 들어 4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방향 스위치(130)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각각 상, 하, 좌, 우에 해당되는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 plurality of
그리고 전달 부재(160)의 하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스위치(13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4개의 가압 돌기(16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향 버튼(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 하, 좌, 우 4 방향을 나타내는 영역에는 각 방향에 해당되는 방향 정보가 각각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 정보의 입력에 따라 방향 버튼(110) 및 그에 결합된 전달 부재(160)의 하부에 위치한 방향 스위치(130)는 각 방향에 해당되는 방향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four
선택 버튼(120)은, 수직 방향 하중의 작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10)의 아이콘(12)(icon) 또는 항목(14)에 해당되는 컨텐츠(contents)의 실행을 위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버튼(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방향 버튼(1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The
선택 스위치(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1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선택 버튼(120) 및 그에 결합된 전달 부재(160)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선택 스위치(140)로는 돔 스위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스위치(140)는 디스플레이 화상(10)의 아이콘(12) 또는 메뉴 항목(14)에 해당되는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전달 부재(160)의 하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14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중앙에 가압 돌기(16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택 버튼(120)에 하중을 가하면, 그 하부의 전달 부재(160)의 중앙에 형성된 가압 돌기(166)에 의해 선택 스위치(140)가 가압될 수 있다.그리고, 선택 스위치(1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선택 신호 이외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제3 하중의 작용에 의해, 포인터(16) 및 활성화 영역(18) 중 어느 하나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2 and 3, a
이와 같은 선택 스위치(140)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에 의한 포인터(16) 및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Regarding the function of the
제어 유닛은, 상술한 방향 스위치(130) 및 선택 스위치(140)로부터 방향 신호, 선택 신호를 입력 받아, 그에 각각 대응되는 이동 신호, 실행 신호를 출력하고, 선택 스위치(140)로부터 전환 신호를 입력 받아 포인터(16) 및 활성화 영역(18) 중 어느 하나만 이동되도록 신호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정보 입력 장치(100) 내에 장착되거나, 정보 입력 장치(100) 외부의 장치, 즉, 리모콘 또는 휴대용 기기 등에 장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irection signal and the selection signal from the above-described
이하, 제어 유닛의 각 기능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방향 스위치(130)는 작용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포인터(16)의 이동을 위한 포인터 방향 신호를 생성하거나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을 위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 유닛은 방향 스위치(130)로부터 포인터 방향 신호 또는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각각 입력 받아 포인터(16)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 신호 또는 활성화 영역(18)를 이동시키는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그리고, 선택 스위치(140)는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10)의 아이콘(12) 또는 메뉴 항목(14)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 유닛은 선택 스위치(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 받아 각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실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선택 스위치(1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제3 하중에 의해 포인터(16)와 활성화 영역(18) 중 어느 하나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 유닛은 선택 스위치(140)로부터 이러한 전환 신호를 입력 받아 포인터 이동 신호 및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만 출력되도록 상술한 포인터 이동 신호 및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와 같은 제어 유닛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에 의한 포인터(16) 및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The function of such a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again in the following section referring to FIGS. 8 and 9 in the movement of the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향 스위치(130)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detailed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의 방향 스위치(1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의 방향 스위치(130)의 접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의 방향 스위치(130)의 메탈돔(132)을 나타낸 평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방향 스위치(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돔 스위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향 스위치(130)는 컴퓨터의 마우스와 유사하게 포인터(16)의 이동을 위한 포인터 방향 신호, 및 컴퓨터의 4 방향키와 유사하게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을 위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모두 생성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방향 스위치(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접점(135), 제2 접점(136) 및 지지점(137), 이들을 커버하는 메탈돔(132), 메탈돔(132)을 커버하는 탑 테이프(131), 이를 지지하는 베이스 테이프(133), 및 베이스 테이프(133)를 커버하는 EMI 차폐층(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은, 방향 스위치(130) 상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접점(135) 및 방향 스위치(130) 상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 접점(13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지지점(137)이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plurality of contacts may include 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돔(132)은 제2 접점(136)의 위치와 대응되는 중앙부(132c), 그 가장자리에 제1 접점(135)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날개부(132b), 및 중앙부(132c) 가장자리에 지지점(137)의 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된 지지부(131a_)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에 제1 하중을 가하여 메탈돔(132)이 가압되면, 메탈돔(132)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132b)가 먼저 제1 접점(135)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접점(135)에 날개부(132b)가 접하게 되는 제1 하중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은 터치하는 정도의 하중, 예를 들어 10 내지 50gf로 설정되어, 사용자는 별도의 누름 동작이 필요하다고 인식함이 없이 제1 접점(135)과 날개부(132b)가 접하도록 하여 포인터(16)의 이동을 위한 포인터 방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applies the first load to the
사용자가 방향 버튼(110)에 제1 하중보다 큰 제2 하중의 하중을 가하여 메탈돔(132)을 더욱 가압하면, 메탈돔(132)의 중앙부(132c)가 제2 접점(136)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메탈돔(132)의 중앙부(132c)가 제2 접점(136)과 접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하중은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정도의 하중, 예를 들어 220gf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와 같이 중앙부(132c)와 제2 접점(136)이 접하도록 하중을 가하게 되면, 메뉴 항목(14) 간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을 위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user applies the load of the second load greater than the first loa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점(135)은 제1 하중의 작용에 의해 메탈돔(132)의 날개부(132b)와 접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의 포인터(16) 이동을 위한 포인터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즉, 사용자가 터치하는 정도의 제1 하중이 방향 버튼(110)에 가해지면, 그 하부의 방향 스위치(130)가 가압되어, 컴퓨터의 마우스와 유사하게 포인터(16)를 이동시킬 수 있는 포인터 방향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That is, when a first load as much as a user touches is applied to the
그리고 제2 접점(136)은 제1 하중보다 큰 제2 하중의 작용에 의해 메탈돔(132)의 중앙부(132c)와 접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의 활성화 영역(18) 이동을 위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즉, 사용자가 클릭하는 정도의 제2 하중이 방향 버튼(110)에 가해지면, 그 하부의 방향 스위치(130)가 더욱 가압되어, 컴퓨터의 4 방향키와 유사하게 메뉴 항목(14) 간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을 위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econd load of the degree that the user clicks is applied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의 방향 스위치(130)를 나타낸 회로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스위치(130)는 서로 다른 2 개의 입력을 받아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접점(135)(SW1-1)과 제2 접점(136)(SW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향 스위치(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방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단일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정보 입력 장치(10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에 의한 포인터(16) 및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movement of 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100)에 의한 포인터(16) 및 활성화 영역(18)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ovement state of the
사용자가 터치하는 정도에 해당되는 제1 하중을 방향 버튼(110)에 가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포인터(16)가 해당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first load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touch by the user is applied to the
여기서, 포인터(16)란,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위치 결정이 가능한 점을 지정하거나 선택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살표 등으로 표시된 기호를 의미한다.Here, the
즉, 사용자가 가하는 제1 하중에 의해 방향 버튼(110) 하부의 방향 스위치(130)가 가압되어 제1 접점(135)과 메탈돔(132)의 날개부(132b)가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향 스위치(130)에서는 포인터(16) 이동을 위한 방향 신호인 포인터 방향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다.That is, the
이 경우, 상, 하, 좌, 우에 해당되는 4개의 방향 스위치(130)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각 방향 스위치(130)에 대응되는 방향 버튼(110)의 일부분을 가압하면 상, 하, 좌, 우 각 방향에 해당되는 포인터 방향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방향 버튼(110) 중 각 방향 스위치(130) 사이 영역에 해당되는 일부분을 가압하면 대각선 방향에 해당되는 포인터 방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four
이와 같이 생성된 포인터 방향 신호는 제어 유닛으로 전달되며, 제어 유닛은 이러한 포인터 방향 신호에 상응하는 포인터 이동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포인터(16)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pointer direction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pointer mov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direction signal to move the
상술한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포인터(16)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포인터(16)가 아이콘(12) 상에 위치된 후, 사용자가 선택 버튼(120)을 가압하게 되면, 그 하부의 선택 스위치(140)가 하중을 받아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러한 선택 신호를 받아 그 아이콘(12)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컨텐츠,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한편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1 내지 2초간 선택 버튼(120)에 제3 하중을 가하는 경우, 선택 버튼(120) 하부의 선택 스위치(140)게 제3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포인터(16) 이동에서 활성화 영역(18) 이동으로 모드 전환을 위한 전환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전환 신호를 받아 포인터(16)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 신호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더 이상의 포인터(16)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pplies a third load to the
그리고 이러한 모드 전환은 활성화 영역(18) 이동에서 포인터(16) 이동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This mode switching may be applied in the same principle even when switching from the
선택 스위치(140)에 의해 활성화 영역(18) 이동으로 전환된 이후, 사용자는 제1 하중보다 큰 제2 하중을 방향 버튼(110)에 가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메뉴 항목(14) 간 활성화 영역(18)를 이동시킬 수 있다.After switching to the
여기서, 활성화 영역(18)이란 상술한 포인터(16)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활성화되어 문자 등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 영역, 및 활성화되어 그에 해당되는 메뉴 항목(14)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 영역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후자의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Here,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하는 제2 하중에 의해 방향 버튼(110) 하부의 방향 스위치(130)가 가압되어 제2 접점(136)과 메탈돔(132)의 중앙부(132c)가 접촉하게 되면, 이에 따라 방향 스위치(130)에서는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메뉴 항목(14) 간 활성화 영역(18)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 신호인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이와 같이 생성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는 제어 유닛으로 전달되며, 제어 유닛은 이러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에 상응하는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활성화 영역(18)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activation area direction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activation area mov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tivation area direction signal to move the
상술한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10)에서 활성화 영역(18)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활성화 영역(18)이 해당 메뉴 항목(14)에 위치된 후, 사용자가 선택 버튼(120)을 가압하게 되면, 그 하부의 선택 스위치(140)가 하중을 받아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러한 선택 신호를 받아 그 메뉴 항목(14)에 컨텐츠를 실행하는 실행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다.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디스플레이 화상
12: 아이콘
14: 메뉴 항목
16: 포인터
18: 활성화 영역
100: 정보 입력 장치
110: 방향 버튼
166120: 선택 버튼
130: 방향 스위치
131: 탑 테이프
132: 메탈돔
132a: 지지부
132b: 날개부
132c: 중앙부
133: 베이스 테이프
134: EMI 차폐층
135: 제1 접점
136: 제2 접점
137: 지지점
140: 선택 스위치
150: 인쇄회로기판
160: 전달 부재
166: 가압 돌기
170: 탄성 부재
180: 홀더10: display image
12: icon
14: Menu item
16: pointer
18: active area
100: information input device
110: direction button
166120: Select button
130: direction switch
131: top tape
132: metal dome
132a: support
132b: wing section
132c: center
133: base tape
134: EMI shielding layer
135: first contact
136: second contact
137: support
140: selection switch
150: printed circuit board
160: delivery member
166: pressing projection
170: elastic member
180: holder
Claims (15)
상기 방향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작용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방향 스위치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Direction button for receiving direction information by the action of the load; And
And a direction switch pressed by the direction button to generate different kinds of direc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load.
상기 방향 스위치는 상기 방향 버튼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rection switch is an informatio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plurality along the edge of the direction button.
상기 방향 스위치는 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direction switch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방향 스위치는 복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돔 스위치(dome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rection switch is a dome switch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cts.
상기 복수의 접점은,
제1 하중의 작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display image)에서의 포인터(pointer) 이동을 위한 포인터 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접점; 및
상기 제1 하중보다 큰 제2 하중의 작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상에서의 활성화 영역 이동을 위한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contacts,
A first contact for generating a pointer direction signal for pointer movement in a display image by the action of the first load; And
And a second contact for generating an activation area direction signal for moving the activation area in the display image by the action of a second load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load.
상기 제1 접점은 상기 방향 스위치 상에서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점은 상기 방향 스위치 상에서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tact is formed on both sides on the dir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is formed centrally on the direction switch.
하중의 작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상의 아이콘(icon) 또는 메뉴 항목에 해당되는 컨텐츠(contents)의 실행을 위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 선택 버튼; 및
상기 선택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election button for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for execut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an icon or a menu item of the display image by the action of a load; And
And a selection switch pressed by the selection button to generate a selection signal for executing the content.
상기 선택 버튼은 상기 방향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방향 버튼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lection butt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rection button and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irection button.
상기 선택 스위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제3 하중의 작용에 의해, 상기 포인터 및 상기 활성화 영역 중 어느 하나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selection switch generates a switching signal for moving only one of the pointer and the activation area by the action of a third load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상기 방향 스위치로부터 상기 포인터 방향 신호 또는 상기 활성화 영역 방향 신호를 각각 입력 받아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 신호 또는 상기 활성화 영역을 이동시키는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로부터 상기 선택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실행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로부터 상기 전환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포인터 이동 신호 및 상기 활성화 영역 이동 신호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the pointer direction signal or the activation area direction signal from the direction switch, respectively, and outputting a pointer movement signal for moving the pointer or an activation area movement signal for moving the activation area, respectively,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from the selection switch and outputting an execution signal for executing the content;
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switching signal from the selection switch and outputs only one of the pointer movement signal and the activation area movement signal.
일면에 상기 방향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방향 스위치를 커버하도록 상기 방향 버튼이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one side switch is installed and the one direction button is coupled to cover the direction switch.
상기 방향 버튼과 상기 방향 스위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향 버튼에 의해 작용되는 하중을 상기 방향 스위치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ransmiss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directional button and the directional switch to transfer a load applied by the directional button to the directional switch.
상기 전달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방향 스위치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 informatio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switch.
상기 전달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delivery member.
상기 전달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홀더(holder)를 더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And a holder fo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to support the transfer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959A KR20120138469A (en) | 2011-06-15 | 2011-06-15 | Apparatus of inputting 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959A KR20120138469A (en) | 2011-06-15 | 2011-06-15 | Apparatus of inputting dat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469A true KR20120138469A (en) | 2012-12-26 |
Family
ID=4790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7959A KR20120138469A (en) | 2011-06-15 | 2011-06-15 | Apparatus of inputting dat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38469A (en) |
-
2011
- 2011-06-15 KR KR1020110057959A patent/KR2012013846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1996B1 (en) | Input device having touch pad | |
USRE41443E1 (en) |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the same operation plane | |
EP1691263B2 (en) | Display actuator | |
EP2449447B1 (en) | Tactile feedback display screen overlay | |
US7312790B2 (en) | Input apparatus for performing input operation corresponding to indication marks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on the same operational plane | |
JP4799655B2 (en) | Small equipment | |
US20140049481A1 (en) | Tactile Interface System For Manipulation Of A Touch Screen | |
KR101073218B1 (en) | Touch pad module | |
KR20140129812A (en) | Touch pad having force sensor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 |
CN107209619B (en) | Clickable control panel | |
US9299517B2 (en) | Operation keys having individual and cooperative functions | |
US7465896B2 (en) | Electronic device | |
KR20120138469A (en) | Apparatus of inputting data | |
US5912667A (en) | Curso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op-up menu | |
US10884517B2 (en) |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same | |
JP4837143B1 (en) | Broadcast receiv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424271B1 (en) | The touch-pad equipment of a portable computer | |
US20110187575A1 (en) | Remote control transmitter | |
TW201629708A (en) | Keyboard | |
EP2735939A2 (en) | Key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