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577A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7577A KR20120137577A KR1020110041859A KR20110041859A KR20120137577A KR 20120137577 A KR20120137577 A KR 20120137577A KR 1020110041859 A KR1020110041859 A KR 1020110041859A KR 20110041859 A KR20110041859 A KR 20110041859A KR 20120137577 A KR20120137577 A KR 201201375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unit
- terminal
- home network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전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측의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110: 교류 전원부, 111: 직류 변환부
120: 전원 제어부, 130: 센서부
140: 컨버터부, 150: 제어부
151: 데이터 관리부, 153: 시계부
160: 통신부, 161: 무선통신부, 163: 직렬통신부
20: 단말기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21: 배터리부, 223: 시각 정보부, 225: 저장부
230: 전력사용량 정보 관리부
240: 요금 정보 관리부
250: 탄소 배출량 정보 관리부
260: 화면 표시부, 270: 음성 출력부, 280: 입력부
Claims (14)
-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 받는 교류 전원부;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에 따라 전압 레벨 및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며, 상기 전압 레벨 및 상기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원 제어신호에 상기 교류 전원을 상기 외부 기기에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측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이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아도 동작 되며, 실시간 시각을 제공하는 시계부; 및
상기 전압 레벨 및 상기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 및 상기 실시간 시각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측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단말기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단말기들에 각각 대응되는 식별 주소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 주소에 대응되는 전원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
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측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일정한 전압 레벨을 가지는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직류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측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출력되는 상기 측정값을 이진 부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측정값을 제어부에 제공하는 컨버터부
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측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RS-485의 통신 방식에 따라 직렬 통신을 수행하는 직렬 통신부; 및
Zigbee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측정 장치. - 측정 장치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 중 적어도 하나를 하도록 상기 측정 장치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측정 장치로 상기 전원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전압 레벨 및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 데이터 및 전원 제어정보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압 레벨 및 상기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기초로하여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의 결과에 따라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전원 제어정보 및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단말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고, 요금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요금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단말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고, 탄소 배출량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탄소 배출량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단말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RS-485의 통신 방식에 따라 직렬 통신을 수행하는 직렬 통신부; 및
Zigbee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단말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전력 사용량, 요금 및 탄소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로의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
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의 단말기. -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 받는 교류 전원부와,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에 따라 전압 레벨 및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교류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공급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공급 전원을 공급 및 차단 중 적어도 하나를 하도록 상기 전원 제어부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압 레벨 및 상기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기초로하여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의 결과에 따라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전력 사용량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 -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분전 및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력 분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가 상기 교류 전원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측정 장치가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에 따른 전압 레벨 및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정값과 실시간 시각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전력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를 화면 표시 수단 및 음성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단말기가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며,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측정 장치에서 외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기가 상기 전원 제어신호를 상기 측정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전원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력 사용량에 따른 요금 및 상기 전력 사용량에 따른 탄소 배출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요금 정보 및 탄소 배출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상기 요금 정보 및 상기 탄소 배출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1859A KR20120137577A (ko) | 2011-05-03 | 2011-05-03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1859A KR20120137577A (ko) | 2011-05-03 | 2011-05-03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7577A true KR20120137577A (ko) | 2012-12-24 |
Family
ID=4790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1859A Ceased KR20120137577A (ko) | 2011-05-03 | 2011-05-03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37577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18677A (zh) * | 2014-09-10 | 2014-12-17 | 广西电网公司电力科学研究院 | 配电主站与配电终端时钟同步方法 |
KR20160084916A (ko) * | 2015-01-06 | 2016-07-15 | (주) 솔루윈스 | 분배전반에 적용하는 디지털 전력계측모듈을 포함한 노이즈 저감 전력분배장치 |
CN108132379A (zh) * | 2017-12-11 | 2018-06-08 | 武汉大学 | 基于云平台的非侵入式负荷监测系统及识别方法 |
KR20190067604A (ko) | 2017-12-07 | 2019-06-17 | 제일이엔지(주) | 홈 허브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분전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
-
2011
- 2011-05-03 KR KR1020110041859A patent/KR20120137577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18677A (zh) * | 2014-09-10 | 2014-12-17 | 广西电网公司电力科学研究院 | 配电主站与配电终端时钟同步方法 |
KR20160084916A (ko) * | 2015-01-06 | 2016-07-15 | (주) 솔루윈스 | 분배전반에 적용하는 디지털 전력계측모듈을 포함한 노이즈 저감 전력분배장치 |
KR20190067604A (ko) | 2017-12-07 | 2019-06-17 | 제일이엔지(주) | 홈 허브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분전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
CN108132379A (zh) * | 2017-12-11 | 2018-06-08 | 武汉大学 | 基于云平台的非侵入式负荷监测系统及识别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0256278B2 (en) | Power monitoring system | |
JP5126308B2 (ja) | 電力コントロール装置 | |
AU2012100135A4 (en) | Power sensor | |
KR20120070903A (ko) | 스마트그리드 전력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 |
AU2012100197B4 (en) | Power sensor | |
GB2465638A (en) | Current measuring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energy usage | |
US20120116597A1 (en) | Gateway mirroring of metering data between zigbee networks | |
EP2976823A2 (en) |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system | |
US20120203390A1 (en) |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20137577A (ko)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분전 시스템 및 방법 | |
KR20130114953A (ko) | 산업용 분전반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 |
KR20120000026A (ko) | 네트워크 시스템 | |
KR200432760Y1 (ko) | 가정용 최대수요전력 감시 장치 | |
KR102127731B1 (ko) | 지능형 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 |
AU2011101409A4 (en) |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 |
AU2011101388A4 (en) |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 |
Rajalingam et al. | Enhancing Energy Efficiency with a Smart Metering System | |
KR101313657B1 (ko) | 에너지 관리 장치 및 이의 에너지 관리 방법 | |
Gallo et al. | Smart metering | |
KR101648224B1 (ko) | 네트워크 시스템 | |
AU2011101408B4 (en) |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 |
AU2011100848B4 (en) | Power monitoring system | |
KR20110138811A (ko) | 네트워크 시스템 | |
KR20120000019A (ko) | 네트워크 시스템 | |
KR20120029566A (ko) | 네트워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