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35809A -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 - Google Patents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809A
KR20120135809A KR1020110054731A KR20110054731A KR20120135809A KR 20120135809 A KR20120135809 A KR 20120135809A KR 1020110054731 A KR1020110054731 A KR 1020110054731A KR 20110054731 A KR20110054731 A KR 20110054731A KR 20120135809 A KR20120135809 A KR 2012013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mage forming
application
billing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남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5809A/ko
Priority to US13/332,963 priority patent/US20120317002A1/en
Publication of KR2012013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2Counting the number of copies; Bi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에 마련된 과금 매니저가,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개시 코맨드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전체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하면,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 및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과금 정책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ACCOUNTING APPARATUS, IMAGE FORMING DEVICE AND ACCOUNT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과금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그 과금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과금할 수 있는 과금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그 과금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휴대 기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이러한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각종 이미지 등을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인쇄는 사용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지만, 인쇄 용지나 토너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진 인쇄를 전문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찾아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정도에 따라 적절한 과금을 수행한다.
그 밖에, 최근에는 공공 장소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 마련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도, 사용 정도에 따라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과금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과금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인쇄를 완료하고 나면 그 인쇄 옵션이나 인쇄 매수 등에 따라, 자신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금 프로그램은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플랫폼 자체를 변경하지 않고서는 새로운 과금 정책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과금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그 과금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에 마련된 과금 매니저가, 상기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개시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체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과금 매니저는,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과금 매니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과금 매니저로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면서 출력물 카운트 정보를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과금이 불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내장된 플랫폼의 외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보 중에서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 실행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고, 상기 과금이 불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값을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 실행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고, 상기 과금이 불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재선택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파라미터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을 저장하며, 상기 플랫폼과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에서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부 및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개시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해 과금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면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과금 장치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이 저장된 제2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은,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새로이 설치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하고,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개시 코맨드가 입력되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과금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었을 때 출력물 카운트 정보를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은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통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금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과 별도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잡이 개시되면, 기 저장된 전체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에 내장된 과금 매니저가,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다양한 과금 정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과금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과금 매니저 내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5는 과금 매니저 및 과금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과금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메모리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화상형성부(14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10)는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을 저장한다. 그리고, 플랫폼과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은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OSGi는 자바 VM(Virtual Machine) 기반하에서 작동하도록 만들어진 표준이다. OSGi 플랫폼의 프레임워크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OSGi 서비스를 하나의 번들로 묶어서 관리한다. 프레임워크는 서비스 레지스트리(service registry)를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에 대한 등록/조회/실행/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OSGi 번들에 대응하는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OSG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성 정보란, OSGi 프레임워크에 OSGi 번들을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환경 설정 값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특성정보에는, 서비스 명칭, 서비스 버전 등과 같은 OSGi 번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OSGi 번들에 대한 서비스 엔진이 구현된 URL 정보, OSGi 번들과 관련된 U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I 정보는 해당 서비스의 명칭 또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식으로 알리기 위한 정보로, 아이콘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특성정보는 종래 OSGi 번들을 배포하기 위해 생성된 JAR 파일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OSGi 서비스란, OSGi 기반의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OSGi 기반의 플랫폼을 가진 경우라면, FAX, 복사, 프린팅과 같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이 서비스에 해당한다. 그 밖에, 스캔 이미지나 팩스 문서를 바로 메일로 전송하는 기능 등이 OSGi 번들 설치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지원될 수도 있다.
상술한 특성 정보는 단말장치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특성 정보는 TXT 파일 형태 또는 HTML과 같은 웹페이지의 URL로 제공될 수 있다.
2003년 4월에 OSGi 서비스 플랫폼 릴리즈 3(OSGi R3)가 발표되었는 바, 본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된 OSGi 플랫폼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부(110)에는 플랫폼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플랫폼과 별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제작자 또는 과금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제작자가 새로운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였다면, 이러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 인스톨, 즉,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이 OSGi 기반으로 마련된 경우,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자바(JAVA)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OSGi 프레임워크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리소스, 동작을 위한 자바 클래스, 번들 정보를 담고 잇는 Manifest file, service를 포함하는 JAR 파일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OSGi 프레임워크에 등록되면 번들 컨텍스트가 생성되는데, 이는 OSGi 프레임워크, 즉, 플랫폼과 과금 어플리케이션, 즉, 번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가능한 상태로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플랫폼 내의 과금 매니저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도 1에서 메모리부(110)는 하나의 블럭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종류의 메모리로 구현되어 플랫폼 및 각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메모리 내에서 복수의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10)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O/S(Operating System)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의 스펙, 사용 상태, 인쇄 데이터, 스캔 데이터, 기 처리된 데이터, 인쇄 이력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10)는 휘발성 메모리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동작에 필요한 임시 저장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호스트 PC에서 전송된 인쇄 데이터나, 프리 스캔 데이터, 복사를 위해 스캐닝한 데이터 등을 임시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해당 작업을 완료한 후 폐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이 비휘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이나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또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잡을 수행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잡에는 스캐닝, 복사, 프린팅, 팩시밀리 송수신 등의 작업이 포함된다. 즉, 화상형성부(140)는 화상형성장치의 종류에 따라 스캐너 모듈, 프린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잡이 인쇄 잡인 경우를 예로 들면, 호스트 PC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쇄 명령이 실행되면, 호스트 PC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해당 문서를 소정의 프린터 언어로 변환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호스트 PC란 화상형성장치와 로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PC일 수도 있고, 기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휴대폰과 같은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인쇄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10)로부터 독출되면, 하프톤 테이블(Halftone Table)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0"과 "1"로 구성된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한 후, 이를 화상형성부(140) 내의 프린터 모듈로 제공하여 용지 상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프린터 모듈은 프린트 엔진 컨트롤러 및 인쇄 작업에 작용하는 복수 개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프린트 방식인 경우, 유닛은 급지부, 대전부, 노광부, 현상부, 전사부, 정착부, 배지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트 방식인 경우, 유닛은 급지부, 잉크젯 프린트 헤드, 잉크 카트리지, 배지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린트 엔진 컨트롤러는 각 유닛을 제어하여,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된 비트맵 이미지 대로 인쇄를 수행한다.
한편, 스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스캐너 모듈(미도시)을 제어하여 스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스캐너 모듈은 스캐너 엔진 컨트롤러, 스캐닝 유닛, 스캔 모터부, 화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엔진 컨트롤러는 제어부(120)와 통신하여, 스캔 작업을 수행하도록 스캐너 모듈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스캐닝 유닛은 대상물을 스캐닝하는 역할을 한다. 스캐닝 유닛은 이미지 독취센서, 렌즈,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미지 독취센서로는 CCD 또는 CIS 이미지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이미지 독취센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대상물에 조사된 빛의 반사광을 흡수하여 전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에서 발생한 전하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검출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화상 처리부로 제공된다. 화상처리부는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shading) 및 감마 정정(gamma correction), DPI(Dot Per Inch) 변환, 엣지 강조(edge emphasis), 에러 확산(error diffusion), 스케일링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기 지정된 해상도, 스캔 모드, 스캔 영역, 확대 및 축소 비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처리한다.
그 밖에, 스캔 모터부는 스캐닝 유닛 또는 용지를 이동시켜, 대상물 전체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스캔 모터부는, 스캐너의 작동방식이 시트피드 방식인지 플랫베드 방식인지에 따라 이동시키는 매체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스캔 모터부는, 시트피트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용지를 이동시키게 되며, 플랫베드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스캐닝 유닛 자체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캔 모터부는 캐리지 리턴 모터(Carriage Return Mo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캐너 엔진 컨트롤러는 스캔 커맨드가 전달되면, 스캐닝 유닛 및 스캔 모터부를 구동하여 대상물을 스캔하고, 화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화상 형성 잡은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잡을 요청하는 개시 코맨드가 입력되면,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화상형성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과금이 가능하면 화상 형성 부(140)를 제어하여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실시한다.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부(110)에는 각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과금 정책은 인쇄 속성이나 작업 매수, 작업 종류 별로 정해질 수 있다. 즉, 컬러 인쇄시나 양면 인쇄시에는 일반 인쇄시보다 높은 요금이 책정되도록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컬러 인쇄시에 대한 과금 정책을 설정해두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20)는 과금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반면, 과금 정책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라면 과금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각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화상형성잡에 대하여 설정된 속성에 대하여 과금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수시로 신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관리자 또는 제3자로부터 새로운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면, 제어부(120)는 그 과금 어플리케이션 내의 설치 실행 파일을 오픈하여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가 구동하는 플랫폼 내에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과금 매니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과금 매니저는 설치될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검증하여, 검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는, 과금 매니저는 그 때까지 설치되어 있는 전체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과금 정책으로 화상 형성 잡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과금 매니저는 그 자체로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도 있고,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2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상에는 과금 방식을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는 창(131)과 선택 완료를 지시하는 메뉴(133)가 표시될 수 있다. 창(131)에는 다양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각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132)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명칭만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각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과금 정책의 간단한 예를 들면 다음 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물 속성 제1 과금 어플리케이션 제2 과금 어플리케이션
A4 a b
A3 a b*2
color 출력 a*2 b*3
Duplex 출력 a*2 b
표 1에서 a, b는 A4 용지의 일반 인쇄에 대한 기본 요금을 의미한다. 표 1에 따르면 제1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A3/Color/Duplex 출력을 수행하면 기본 요금 a의 4배로 과금되고, 동일 조건에서 제2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기본 요금 b의 5배로 과금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과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과금 장치는 제1 저장부(300), 제2 저장부(200)를 포함한다.
제1 저장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금 어플리케이션(310-1 ~ 310-n)이 저장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하나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저장부(300)에 저장된 과금 어플리케이션 중 최소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디폴트로 마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제2 저장부(200)에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과금 매니저(210)가 저장될 수 있다. 과금 매니저(210)는 플랫폼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과금 매니저(210)는 등록 모듈(211), 저장 모듈(212), 선택 모듈(213), 제어 모듈(214)을 포함한다.
등록 모듈(211)은 새로이 설치될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검증하여 검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저장 모듈(212)에 요청한다.
저장 모듈(212)은 요청받은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저장 모듈(212)은 선택 모듈(213)의 요청이 있으면, 저장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선택 모듈(213)로 제공한다.
선택 모듈(213)은 화상형성잡이 개시될 때 또는 별도의 사용자 코맨드가 입력되었을 때 저장 모듈(212)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정보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하여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선택 모듈(213)은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어 모듈(214)로 제공한다.
제어 모듈(214)은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로 화상 형성 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인터페이스란 과금 매니저가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다. 인터페이스에는 복수 개의 파라미터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interface parameter description return

Start

isColoer Color/Mono 정보
Counts
PlexUsed Simplex/Duplex 정보
JobType Print or Copy job
Size 출력물 페이퍼 사이즈
표 2에 따르면, 인터페이스에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전체 파라미터가 모두 통지될 수도 있고, 일부 파라미터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잡을 개시하기 전에 과금 매니저는 상술한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고 있는 4개의 파라미터의 값을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공된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출력 가능한 Counts 값을 리턴한다. 즉, 과금이 가능한지 여부를 통지한다. 출력 가능한 카운트 값이 0이면 과금이 불가능한 경우이고, 카운트 값이 1이상이면 과금이 가능한 경우로 판단하여, 카운트 값만큼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과금 가능 또는 불가능 상태임을 직접 알리는 신호를 리턴할 수도 있다.
과금 매니저에서는 화상형성잡이 수행되면 출력물의 장수, 이미지 개수 등을 포함하는 출력물 카운트 정보를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이 경우,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정의된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interface Parameter Description Return
PaperOut Count 출력물의 장수 N/A
표 3에 기재된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여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과금 정책에 맞게 과금을 수행한다. 출력물 카운트 정보는 매 페이지 인쇄가 완료될 때마다 제공될 수도 있고, 전체 페이지가 모두 인쇄 완료되었을 때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화상형성잡이 완료되면 과금 매니저는 화상형성잡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알리는 인터페이스는 다음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nterface Parameter Description Return
JobComplete N/A N/A N/A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잡이 완료되었음을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한다. 이와 달리,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과금이 불가능한 상태라면, JobCancel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지하여 줄 수도 있다.
도 3에서의 과금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과금 매니저와 과금 어플리케이션들이 서로 다른 저장부에 저장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다른 메모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메모리 내의 서로 다른 저장 영역에 각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과금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이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에 따르면, 관리자(10)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 또는 과금 장치로 전송하면서 설치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나, USB, CD 등과 같은 다양한 기록 매체를 장치에 삽입하여 로딩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후,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실행 파일을 선택하여 설치를 할 수 있다.
설치 요청이 입력되면 등록 모듈(211)은 해당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검증하고(S320), 검증이 완료되면 저장 모듈(212)로 전달한다(S330). 여기서 검증이란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 버전 정보 등을 확인하여, 플랫폼의 과금 매니저가 사용 가능한 상태의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저장 모듈(212)은 전달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S340). 따라서,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새로 추가될 수 있다.
선택 모듈(213)은 화상 형성 잡이 개시될 때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사용자 세팅 환경을 변경할 때 등의 경우에, 저장 모듈(212)에 대하여 기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350).
이에 따라, 정보가 제공되면(S360), 선택 모듈(213)은 과금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은 관리자(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잇다. 즉, 선택 모듈(213)은 저장 모듈(212)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 관리자(10)가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S370), 선택된 정보를 제어 모듈(214)로 제공한다(S380).
제어 모듈(214)은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즉, 제어 모듈(214)은 과금 어플리케이션에게 소모품의 소모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그 과금 정책에 맞게 과금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5는 과금 매니저(210) 및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310-x)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에 따르면, 과금 매니저(210)는 "start"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한 파라미터들의 값을 전송한다(S510). 과금 어플리케이션(310-x)은 전송된 파라미터들의 값을 확인하여 화상 형성 잡의 속성을 파악한 후, 자신의 과금 정책에서 해당 속성을 지원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판단 결과에 따라 과금 가능 여부를 알리는 "counts"값을 전송한다(S520).
과금 매니저(210)는 counts 값에 따라 과금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한다(S530). 그리고 나서, 화상 형성 잡의 수행 결과에 따라 출력물 카운트 정보를 제공한다(S540). 이 후,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잡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S550).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잡이 완료되면 과금을 수행한다(S560). 과금 결과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용지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메일을 발송하는 등의 방식으로 과금 결과가 통지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플랫폼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S610),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S620),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고,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과금을 수행한다(S63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S710), 이를 저장한다(S720). 이러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잡이 개시되면(S730),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74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S750),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과금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760).
구체적으로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을 전송하여,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화상 형성 잡에 따른 출력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금이 가능하면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고(S770),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출력물 카운트 정보를 제공하여 과금을 수행한다(S780). 과금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통지될 수 있다.
한편, 과금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형성 잡을 취소할 수 있다(S790).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고자 하면, 다시 화상형성잡에 대한 개시 코맨드를 입력하여,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새로이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과금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화상 형성 잡을 취소하는 대신,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바로 재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미 선택된 이전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에서 제외하여, 사용자가 다시 선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는, 화상형성장치는 해당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한 후, 그 탐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 가능한 과금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바로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 가능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인 경우에는, 그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과금 방법 및 과금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등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각종 전자 장치에 구비된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메모리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화상형성부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에 마련된 과금 매니저가, 상기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개시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체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매니저는,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과금 매니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과금 매니저로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면서 출력물 카운트 정보를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과금이 불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5.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내장된 플랫폼의 외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보 중에서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 실행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고, 상기 과금이 불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값을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의 옵션 실행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고, 상기 과금이 불가능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재선택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
  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을 저장하며, 상기 플랫폼과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에서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부; 및,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개시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해 과금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면서 과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과금 장치에 있어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
    상기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이 저장된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은,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새로이 설치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과금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과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었을 때 출력물 카운트 정보를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은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통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장치.
  14. 화상형성장치의 과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과금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플랫폼과 별도로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잡이 개시되면, 기 저장된 전체 과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 중 하나의 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과금이 가능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잡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에 내장된 과금 매니저가,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과금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잡에 대한 과금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과금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컬러 모드 또는 모노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1 파라미터, 심플렉스 모드 또는 듀플렉스 모드 인지 여부를 통지하는 제2 파라미터, 잡의 종류를 통지하는 제3 파라미터, 출력물의 사이즈를 통지하는 제4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10054731A 2011-06-07 2011-06-07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 KR20120135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31A KR20120135809A (ko) 2011-06-07 2011-06-07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
US13/332,963 US20120317002A1 (en) 2011-06-07 2011-12-21 Accounting apparatus, image forming device, and accounting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31A KR20120135809A (ko) 2011-06-07 2011-06-07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809A true KR20120135809A (ko) 2012-12-17

Family

ID=4729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31A KR20120135809A (ko) 2011-06-07 2011-06-07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317002A1 (ko)
KR (1) KR201201358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1673A4 (en) * 2013-01-31 2016-10-2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UBWAY AND TRADE-BASED PRINTER SUPPLIES
JP6060731B2 (ja) * 2013-02-27 2017-01-1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6379743B2 (ja) * 2014-06-30 2018-08-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1643A (en) * 1996-06-07 2000-11-21 Networks Associates, Inc. Automatic updating of diverse software products on multiple client computer systems by downloading scanning application to client computer and generating software list on client computer
US6026380A (en) * 1997-10-21 2000-02-15 On-Site Sourcing, Inc. System and methods for tracking copy count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photocopy machines
US6651062B2 (en) * 1998-08-31 2003-11-18 Aprisma Management Technologie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for use by data applications
US7143067B1 (en) * 1999-02-09 2006-11-28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personal computer software
US6738746B1 (en) * 1999-11-22 2004-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ngoing supporting a procurement and accounts payable system
US6477443B2 (en) * 2000-03-29 2002-11-05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for printing mixed sheet sizes o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US20020032664A1 (en) * 2000-04-28 2002-03-14 Tatsuhiko Ikuta Accounting system, accounting method, content executing device, accounting monitoring device, accounting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20020135624A1 (en) * 2000-07-11 2002-09-26 Seiko Epson Corporation Coloring agent amount recording apparatus, coloring agent materials cost processing apparatus, coloring agent cartridge, and collection of the cartridge
JP2002036582A (ja) * 2000-07-19 2002-02-05 Sony Corp 課金装置、課金方法及び課金機能を有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362461B2 (en) * 2001-01-31 2008-04-22 Pharos Systems International, Inc. Computer network and related methods for generating printer usage information
US7203940B2 (en) * 2002-04-29 2007-04-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ed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US7689436B2 (en) * 2002-08-05 2010-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pheral device output job user data processing
JP3970144B2 (ja) * 2002-09-24 2007-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ォトラボ管理システム
JP2005266359A (ja) * 2004-03-18 2005-09-29 Ricoh Co Ltd 課金方法、課金装置及び課金プログラム
US7519307B2 (en) * 2004-10-08 2009-04-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ation-based imaging device accounting
KR100793955B1 (ko) * 2004-12-03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이에 연결된 호스트장치,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7925994B2 (en) * 2005-07-07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Task navigator including a user based navigation interface
US8289536B2 (en) * 2006-09-29 2012-10-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ailed job accounting for thin client rendering
JP5031461B2 (ja) * 2007-06-29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17002A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6055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6611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access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S89228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able to a portable storage mediu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1784211B1 (ko)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US8213028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5382748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周辺装置、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周辺装置の制御方法
JP6515885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40245413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20210008669A (ko) 과금 정보를 이용한 인쇄 잡 재개
US20050275864A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103456A1 (en) Apparatus and system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control program
US8330975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server
US20090244616A1 (en) Print management system using a billing code
KR20120135809A (ko) 과금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과금 방법
CN103002179A (zh) 图像形成系统、图像形成装置及其动作设定方法
CN112015353B (zh) 图像形成装置、控制图像形成装置的方法以及存储介质
KR1020245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큐알코드 삽입 방법 및 시스템
CN104639781B (zh) 图像形成装置、图像形成系统和图像形成方法
US97033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control
US969293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CN1662032A (zh) 多功能装置
US2013015545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4225785A (ja) 画像読取制御装置、画像読取制御方法及び画像読取制御プログラム
JP2011035779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6804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