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34005A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005A
KR20120134005A KR1020120049654A KR20120049654A KR20120134005A KR 20120134005 A KR20120134005 A KR 20120134005A KR 1020120049654 A KR1020120049654 A KR 1020120049654A KR 20120049654 A KR20120049654 A KR 20120049654A KR 20120134005 A KR20120134005 A KR 2012013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fitting
electrical connecto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7990B1 (en
Inventor
요시토모 마스타니
도시히로 데라시마
미츠히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99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고,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함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염가로 한다.
<해결수단> 전기커넥터(9)는 선상 또는 축상의 제1 컨택트(11)와, 제2 컨택트(12)와, 이들 컨택트(11, 12)를 유지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하우징(10)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 측에 배치되고, 또한 회로기판(2)에 실장된다. 제2 컨택트(12)의 제2 접속부(12g)는 높이방향(Z1)에 관해서, 제1 컨택트(11)의 제1 접속부(11b)에 대해서 실장면(2a) 측에 배치된다.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제2 접속부(12g)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회로기판(2)에 실장된다.
<Problem> An electrical connector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fitted with a plug of a mating connector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while ensuring that the housing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Cost is cheap.
Solu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cludes a linear or axial first contact 11, a second contact 12, and a housing 10 holding these contacts 11, 12. The first substrate-side mounting portion 11e of the first contact 11 is disposed on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nd is also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of the second contact 12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of the first contact 11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Z1. The second substrate-side mounting portion 12d of the second contact 12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a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Figure P1020120049654
Figure P1020120049654

Description

전기커넥터 {ELECTRIC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실장(實裝)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의 전기회로와 전선을 접속하는, 보드·투·와이어(board to wire) 타입의 전기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선에 접속된 암커넥터와, 이 암커넥터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회로기판에 고정된 수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수커넥터는 하우징과, 침상(針狀)의 수단자금구(雄端子金具)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가로방향(회로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 가운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반대 측의 벽(상하로 연장하는 세로벽)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은 하우징에서 상하 2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폭방향(회로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늘어서 있다. 각 구멍에 침상의 수단자금구가 삽입하여 통과되어 있다.As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a board-to-wire type electrical connector is known which connects electric circuits and electric wires of a circuit board.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emale connector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and a male connect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emale connector and fixed to a circuit board. The male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and a needle tool slot. The housing has a box shape op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In the housing,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wall (vertical wall extending vertically)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These holes are formed in the housing in two stages up and down, and are arranged in a plural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 needle-like tool slot is inserted through each hole.

각 수단자금구의 일단 측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에 삽입되는 암커넥터의 암단자금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수단자금구의 타단 측은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로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단자금구는 하우징 내에서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외측에서는 각 수단자금구가 가로 일렬로 늘어서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다.One end side of each means tool is arranged in the housing and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female end tool of the femal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other end side of each means tool is arranged outside the housing, and constitut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By such a configuration, the means tool brackets are arranged in two stages up and down in the housing, an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means tool bracket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line and fixed to the circuit board.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197035호 공보([0011] 단락, 도 8)[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197035 (paragraph, FIG. 8)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구성에서는, 모든 수단자금구는 하우징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하우징의 1변 측에서만 수단자금구를 통하여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수커넥터에 암커넥터를 삽입할 때, 또는, 수커넥터로부터 암커넥터를 당겨 뺄 때, 수커넥터의 각 부에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각 수단자금구 중 회로기판과의 고정부 및 회로기판에서 받게 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의 변위가 억제된다.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ll the means tool tools protrude from the housing in the same direction. Therefore, the housing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means tool bracket only on one side of the housing. In such a fixed structure, a force acts on each part of the male connector when the femal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male connector or when the female connector is pulled out of the male connector, for example. This force is applied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fixing part with each circuit board. As a result, displacement of the housing is suppressed.

그렇지만, 하우징이 수단자금구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1면 측에서만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구성에서는, 하우징의 변위를 억제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착탈시킬 때 등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수단자금구 중 회로기판 측의 고정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수단자금구가 변형하며, 이것에 의해, 수단자금구에 연결된 하우징이 변위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using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only on one side of the housing by means of the means tool, it is not sufficient to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Specifically, the means tool is deformed by a force acting wh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attached or detached, with the fixing part on the side of the circuit board as the point, and thereby the means fund.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sphere may be displaced.

따라서, 하우징에 큰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수단자금구가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반대 측의 위치에 보강금구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보강금구는 회로기판에 고정된다. 보강금구를 마련하면, 각 단자금구와 보강금구와의 협동에 의해서, 하우징을 강고하게 회로기판에 고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보강금구가 필요하여, 부품비용의 증가와, 단자금구와는 별도로 보강금구를 하우징에 조립하는 공정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부품비용의 증대 및 조립효율의 저하에 수반하는 조립비용의 증대를 통해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증대해 버린다.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housing from being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even 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housing, it is necessary to fix the reinforcing tool at a position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 means tool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The reinforcement bracket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If the reinforcing bracket is provided, the housing can be firmly fixed to the circuit board by the cooperation of the terminal bracket and the reinforcing bracket. However, in this case, a reinforcing bracket is requir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omponent cost and an increas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reinforcing bracket in the housing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bracket. For this reason, the manufacturing cost of a connector will increase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ssembly cost accompanying an increase in component cost and a fall of assembly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함으로써,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can reliably suppress displacement of a housing with respect to a circuit board and which is low in manufacturing cost.

전기커넥터의 단자(컨택트)는 상기한 침상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판금(板金)을 프레스 가공한 판금인 것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판금의 컨택트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용이하게 변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판금의 컨택트의 장착위치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 하우징에 상대 측 커넥터를 삽입하려고 하면, 상대 측 커넥터와 접촉한 판금의 컨택트는 휘어질 수 없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에 상대 측 커넥터를 접속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판금의 컨택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컨택트를 하우징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하우징에 조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컨택트를 하우징에 조립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제조효율이 나쁘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의 제조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특히, 하우징의 상단 측에 배치되는 판금의 컨택트는 상하로 긴 형상이다. 그 결과, 하우징의 상단 측에 배치되는 판금의 컨택트는 하우징과의 사이의 위치차이가 크게 되기 쉽고, 이 위치차이에 기인하는 상대 측 커넥터와의 접촉불량이 생기기 쉬워져 버린다. 게다가, 전기커넥터의 단자를 모두 판금부재로 하면, 제조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본원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의 지견(知見)을 얻어, 본원 발명을 생각해 내기에 이르렀다.The terminal (contac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eedle shape, but there is also a sheet metal obtained by pressing a sheet metal. However, since the sheet metal contact has high rigidity, it cannot be easily deformed. For this reason, whe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cont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shifted from the normal position,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cannot be bent. As a result, there is a fear that the mating connector cannot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this reason, when using the sheet metal contact,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contact in the housing in a state of accurately positioning th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us, it takes time to assemble the contacts into the housing. Therefor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poor.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of an electrical connector becomes high. In particular, the contacts of the sheet meta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re long vertically long. As a result,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dispos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housing tends to have a large position difference with the housing, and a poor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due to the position difference tends to occur. In addition, if all the terminals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re made of sheet metal members,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s a result of intensive research,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obtained the above findings and came up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장면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선상(線狀) 또는 축상(軸狀)의 제1 컨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2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끼워맞춤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당해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실장면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관하여, 상기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실장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반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2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고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is arrang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the plug of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along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nd a housing forming a fitting space into which the plug is fitted, a first linear or axial contact held in the housing, and a second contact held in the housing. The first contact includes a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disposed in the fitt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fit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direction side and mountable on the circuit board. Further, the second contact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and to the mating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able, and a second substrate-side mounting portion that is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is mountable on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워맞춤공간 내에서, 회로기판으로부터의 제1 컨택트의 거리는 회로기판으로부터의 제2 컨택트의 거리보다도 길다. 또, 제1 컨택트는 끼워맞춤공간 내에서 상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컨택트는 선상 또는 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과, 휘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는 플러그와의 접촉시에, 플러그와의 접촉에 의해서 휘어져, 플러그에 대해서 위치맞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를 플러그의 도전부재에 대해서 확실히 접촉시켜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의 제조시에, 제1 컨택트를 하우징에 조립할 때에, 제1 컨택트를 하우징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맞춤하는 작업이 필요없다. 따라서, 하우징으로의 제1 컨택트의 장착작업의 속도(효율)를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시간당의 전기커넥터의 조립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선상의 제1 컨택트는 고가의 프레스 성형이 아니어도 선재(線材) 등에 의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또, 제1 기판 측 실장부와 제2 기판 측 실장부를 끼워맞춤공간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양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은 제1 및 제2 컨택트를 통하여 하우징을 끼워맞춤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와 회로기판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힘이 하우징을 회로기판에 대해서 넘어뜨리는 힘으로서 하우징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하우징이 회로기판상에서 넘어지는 것을 제1 및 제2 기판 측 실장부의 협동에 의해서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의 상기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보강금구 등)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저감을 통해서 제조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tting space, the distance of the first contact from the circuit board is longer than the distance of the second contact from the circuit board. Moreover, the 1st contac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end side in the fitting space. As the first contact is formed linearly or axially, it is likely to bend. For this reason, the 1st contact can be bent by contact with a plug at the time of contact with a plug, and can be aligned with respect to a plug. For this reason,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achieved by reliably making a 1st contact contact with the electrically-conductive member of a plug. As a result, in the manufactur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when assembling the first contact to the housing, there is no need to strictly position the first cont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refore, the speed (efficiency) of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first contact to the housing can be increased.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s per unit tim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reduced. Moreover, even if it is not expensive press molding, a linear 1st contac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by a wire rod etc.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further. Moreover,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and the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are arrange | positioned at both sides of a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tting space. As a result, the circuit board can support the housing from both sides in the fitt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Therefor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circuit board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a force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may act on the housing as a force that knocks the housing against the circuit board. At this time, the fall of the housing on the circuit board can be more surely suppressed by the co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s.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member (reinforcing bracket or the like)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housing.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is inexpensive to manufacture.

제2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단면이 일정한 형상의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is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is formed by using a portion of a wire rod having a uniform cross s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컨택트는 선재를 기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 선재로 하면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관해서 제1 컨택트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컨택트와 하우징이 전체로서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차지하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the 1st contact is formed based on a wire rod, manufacturing cost can be made cheap. In addition, since the wire can be made thin, the first contact can be made shorte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Thereby, the length which the 1st contact and a housing occupy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a fitting direction as a whole can be shortened. Therefore,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achieved.

제3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중간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중간부는 일부가 굴곡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부 측으로부터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 측을 향하여 상기 높이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당해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의 위치와 겹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is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has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ben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side towar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side, and the width of the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the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art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기판 측 실장부와 제1 기판 측 실장부는 끼워맞춤방향으로 이격(離隔)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기판 측 실장부는 제1 기판 측 실장부의 배치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하우징의 보다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간부도 하우징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의 근방에 제1 중간부 및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기판 측 실장부의 협동에 의한 전기커넥터의 넘어짐 방지효과를 높이면서,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관해서 전기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다른 효과를 상승(相乘)하여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and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are arrange | positioned and spaced apart in the fitting direction. Thereby, the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a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Therefore,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can be arrange | positioned closer to the housing. Therefore, a 1st intermediate part can also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a housing. By arranging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 of preventing fal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due to the co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s, The other effect that a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can be raised and exhibited.

제4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is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wherein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제2 컨택트는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컨택트와 비교해서 강성이 높고, 회로기판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2 컨택트는 회로기판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으므로 소형이다. 이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제2 컨택트의 위치가 정규인 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나 있어도, 하우징으로의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의 삽입을 제2 컨택트가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조립시에, 제2 컨택트를 하우징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결정하는 수고(시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컨택트를 고속으로 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의 제조효율을 높여 전기커넥터의 제조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contact formed by the press working can increase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the rigid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contact, and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circuit board can be increased. Further, the second contact is compact because the height from the circuit board is low. 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slightly shifted from the normal position, the second contact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insertion of the plug of the mating connector into the housing. Therefore,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trouble (time) of precisely positioning the second cont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unnecessary. Thus, the contact can be assembled to the housing at high spe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increased to further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제5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워맞춤방향과는 반대 측의 단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2 컨택트의 일부가 상기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삽입하여 통과되는 슬릿과, 당해 슬릿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측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 컨택트용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ousing is opened to an en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contact i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fixing part disposed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slit and passing through the slit inserted and fix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릿에 제2 컨택트를 삽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제2 컨택트를 하우징의 제2 컨택트용 고정부를 향해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컨택트의 제2 하우징 측 고정부는 하우징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작업을 생략하면서, 하우징에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 결과, 선상의 제1 컨택트와 비교해서 하우징에의 고정속도를 높이기 어려운 판상의 제2 컨택트에 대해서도 고속으로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can be guided toward the second contact fixing part of the housing by inserting and passing the second contact into the slit. As a result,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to the housing while omitting the correct position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s a result, it can be fixed to a housing at high speed also with respect to the plate-shaped 2nd contact which is hard to raise the fixed speed to a housing compared with a linear 1st contact.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전기커넥터의 평면도이며, (b)는 전기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전기커넥터를 끼워맞춤방향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및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단면도, 상대 측 커넥터의 측면도 및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며, 전기커넥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전기커넥터와 상대 측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대 측 커넥터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상대 측 커넥터를 인발(引拔)방향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b)는 상대 측 커넥터의 저면도로서, 높이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is a plan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b) is a bottom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3 is a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as seen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a side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Fig.6 (a) is a front view which abbreviate | omits a part of the mating connector, and has shown the state which looked at the mating connector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b) is the bottom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The state seen from the height direction is show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보드·투·와이어 타입의 전기커넥터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로 넓게 적용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Moreover, this invention is a board-to-wire type electrical connector which electrically connects an electric wire and a circuit board, and is applicable widely to various u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기적 접속장치(1)는 회로기판(2)과, 제1 및 제2 피복전선(3, 4)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회로기판(2)은,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이다. 회로기판(2)은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으로서의 실장면(2a)에 복수의 도전부(2b) 및 복수의 도전부(2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도전부(2b, 2c)는 금속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등에 전기적에 접속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 is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2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ed wires 3 and 4. The circuit board 2 is, for example, a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circuit board 2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2b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2c are form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serving as one side. Each conductive portion 2b, 2c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miconductor or the like not shown.

전기적 접속장치(1)는 전기커넥터(9)와, 이 전기커넥터(9)에 접속되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 includes an electrical connector 9 and a mating connector 29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전기커넥터(9)는 회로기판(2)의 실장면(2a)상에 실장되어 있으며, 회로기판(2)의 복수의 도전부(2b) 및 복수의 도전부(2c)에 전기적에 접속되어 있다. 상대 측 커넥터(29)는 복수의 제1 피복전선(3)의 전선 및 복수의 제2 피복전선(4)의 전선에 전기적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전기커넥터(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9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of the circuit board 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2b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2c of the circuit board 2. . The mating connector 2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s of the plurality of first covered wires 3 and the wir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vered wires 4,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It is.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접속할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대해서 실장면(2a)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D1)을 향하여 맞춘다. 그리고, 상대 측 커넥터(29)를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전기커넥터(9) 측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플러그(39)는 전기커넥터(9)에 끼워맞춤하고, 이들 커넥터(9, 29)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 및 기계적인 접속이 달성된다.When connecting the mating connector 29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mating connector 29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D1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2a. T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displac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side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reby, the plug 39 mentioned later of the mating connector 29 fits in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electrical connection and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se connectors 9 and 29 are achieved.

한편,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과는 반대의 방향인 인발방향(D2)을 따라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대 측 커넥터(29)는 전기커넥터(9)로부터 떼어내지고, 이들 커넥터(9, 29) 사이에서의 전기적인 접속 및 기계적인 접속이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moving the mating connector 29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mating connector 29 is the drawing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Displace along As a result, the mating connector 29 is detach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these connectors 9 and 29 are released.

다음으로, 전기커넥터(9)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기커넥터(9)가 실장면(2a)에 실장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전기커넥터(9)는 다극(多極)(본 실시형태에서는, 2 × 10 = 20극)의 커넥터이다. 전기커넥터(9)는 하우징(10)과, 복수의 제1 컨택트(11)와, 복수의 제2 컨택트(12)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복수의 제1 컨택트(11) 및 복수의 제2 컨택트(12)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하우징(10)은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플러그(39)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공간(13)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electrical connector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below, the electrical connector 9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stat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The electrical connector 9 is a multipole connector (2 × 10 = 20 poles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cludes a housing 1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The housing 10 is provided as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Moreover, the housing 10 is comprised so that the fitting space 13 to which the plug 39 mentioned later of the mating connector 29 can be fitted may be formed.

하우징(10)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실장면(2a)상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인발방향(D2)을 향해서 개방된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X1), 깊이방향(Y1) 및 높이방향(Z1)으로 연장해 있다. 또한, 깊이방향(Y1)은 끼워맞춤방향(D1) 및 인발방향(D2)과 평행한 방향이다. 높이방향(Z1)은 깊이방향(Y1)에 직교하고 또한 실장면(2a)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폭방향(X1)은 깊이방향(Y1) 및 높이방향(Z1)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하우징(10)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깊이방향(Y1)의 길이 및 높이방향(Z1)의 길이와 비교해서 폭방향(X1)의 길이가 크다.The housing 1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nd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The housing 10 is formed in the box shape opened toward the drawing direction D2,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In addition, the depth direction Y1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drawing direction D2. The height direction Z1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epth direction Y1 and orthogonal to the mounting surface 2a. The width direction X1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X1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length of the height direction Z1.

도 2의 (a)는 전기커넥터(9)의 평면도이며, 도 2의 (b)는 전기커넥터(9)의 저면도이다. 또, 도 3은 전기커넥터(9)를 끼워맞춤방향(D1)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및 회로기판(2)의 단면도이다.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하벽(下壁)(14)과, 상벽(上壁)(15)과, 좌우 한 쌍의 측벽(側壁)(16, 17)과, 오벽(奧壁)(18)과, 중벽(中壁)(19)을 포함하고 있다.2A is a plan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FIG. 2B is a bottom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3 is a front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2 with the electric connector 9 viewed from an up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s shown in FIGS. 2B and 3, the housing 10 includes a lower wall 14, an upper wall 15,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walls 16, 17), a five wall 18, and a middle wall 19 are included.

하벽(14)은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고, 또한 깊이방향(Y1)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장면(2a)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벽(15)은, 도 2의 (a)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고, 또한 깊이방향(Y1)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벽(15)은 하벽(14)과는 높이방향(Z1)으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6, 17)은 높이방향(Z1)으로 연장해 있으며, 폭방향(X1)에서의 상벽(15) 및 하벽(14)의 단부끼리를 접속하고 있다.The lower wall 1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ich extends thin an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extends in the depth direction Y1, and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As shown in FIGS. 2A and 3, the upper wall 15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extends thin an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extends in the depth direction Y1. The upper wall 15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wall 14 in the height direction Z1 in parallel. The pair of side walls 16 and 17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1 and connect the ends of the upper wall 15 and the lower wall 14 in the width direction X1.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전기커넥터(9)의 단면도 및 상대 측 커넥터(29)의 일부 측면도 및 회로기판(2)의 단면도이며, 전기커넥터(9)를 폭방향(X1)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벽(18)은 폭방향(X1) 및 높이방향(Z1)으로 연장해 있다. 이 오벽(18)은 하벽(14), 상벽(15) 및 측벽(16,17)의 각각과, 깊이방향(Y1)의 일단(끼워맞춤방향(D1) 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벽(18)은 하우징(10) 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의 끼워맞춤공간(13)을 깊이방향(Y1)의 일단 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오벽(18)의 외측면 가운데, 높이방향(Z1)의 중간부는 인발방향(D2) 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and a partial side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29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2,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state seen from the figure is shown.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five walls 18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This five wall 18 is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wall 14, the upper wall 15, and the side walls 16 and 17, and one end (edge part of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of the depth direction Y1. As a result, the five walls 18 cover the fitting space 13 as a space formed in the housing 10 from one end side in the depth direction Y1. The middle part of the height direction Z1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ve walls 18 is concave toward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상기의 구성에 의해, 하우징(10)은 하벽(14), 상벽(15), 측벽(16, 17) 및 오벽(18)에 의해 둘러싸인 끼워맞춤공간(13)을 형성하고 있다. 끼워맞춤공간(13)은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긴 블록 모양의 공간이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변위되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플러그(39)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공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 가운데, 오벽(18)이 마련되어 있는 것과 반대 측의 단부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공간(13) 내에 배치된 중벽(19)이 드러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using 10 forms a fitting space 13 surrounded by the lower wall 14, the upper wall 15, the side walls 16 and 17, and the wrong wall 18. The fitting space 13 is an elongated block-shaped space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is a fitting space for fitting with the plug 39 of the mating connector 29 displac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Consists of. In the housing 10, an opening 10a opened toward the mating connector 29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ousing 10 opposite to the recess wall 18, and the middle wall 19 disposed in the fitting space 13 is provided. ) Is revealed.

중벽(19)은 끼워맞춤공간(13)으로 향한, 상대 측 커넥터(29)의 플러그(39)의 삽입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중벽(19)은 하벽(14) 및 상벽(15)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판상 부분이며,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해 있다. 폭방향(X1)에서의 중벽(19)의 양단은 측벽(16, 17)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높이방향(Z1)에서 중벽(19)은 끼워맞춤공간(13)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The middle wall 19 is provided a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lug 39 of the mating connector 29 toward the fitting space 13. The middle wall 19 is a plate-like part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wer wall 14 and the upper wall 15, and extends thin an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X1. Both ends of the middle wall 19 in the width direction X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s 16 and 17. In add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1, the middle wall 19 is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in the center of the fitting space 13.

또, 도 2의 (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는 한 쌍의 보호벽(20, 2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보호벽(20, 21)은, 제1 컨택트(11) 가운데,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보호벽(20, 21)은 한 쌍의 측벽(16, 17)으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 측으로 향하여 돌출해 있으며, 높이방향(Z1)의 길이가 측벽(16, 17)과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B and FIG. 4,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otective walls 20 and 21. The pair of protective walls 20 and 21 are provided in order to protect th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housing 10 among the 1st contacts 11. The pair of protective walls 20 and 21 protrude from the pair of side walls 16 and 17 toward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height of the height direction Z1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side walls 16 and 17. It is shaped like a plate.

제1 컨택트(11)는 회로기판(2)의 도전부(2b)에 도통 가능하게 실장(고정)되며, 또한,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접촉 가능한 도전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컨택트(11)는 끼워맞춤방향(D1) 측(깊이방향(Y1)의 일단 측)으로부터 하우징(10)을 회로기판(2)에 실장하기 위한 제1 실장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컨택트(11)는 실장면(2a)과 평행한 폭방향(X1)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 10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제1 컨택트(11)는 각각 하우징(10)에 유지되어 있다.The first contact 11 is mounted (fixed) to the conductive portion 2b of the circuit board 2 so that the first contact 11 can be contacted with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described later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29. It is provided as a conductive member. The first contact 11 is provided as a first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housing 10 on the circuit board 2 from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one end side in the depth direction Y1). The 1st contact 11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10 in this embodimen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2a. Each first contact 11 is held in a housing 10, respectively.

각 제1 컨택트(11)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1 컨택트(11) 중 하나의 제1 컨택트(11)에 대해서 설명하며, 다른 제1 컨택트(11)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hape of each 1st contact 11 is comprised similarly. For this reas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1st contact 11 of the 1st contact 11 comprised similarly is demonstrated,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structure of the other 1st contact 11 is abbreviate | omitt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컨택트(11)는 하우징(10)의 오벽(18)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으로 변위됨으로써,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컨택트(11)는 하우징(10)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으로부터 상류 측을 향하여 변위됨으로써,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ntact 11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by being displaced in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with respect to the wrong wall 18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1st contact 11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by being displaced toward the upstream side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제1 컨택트(11)는 선상 또는 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컨택트(11)는 금속재료 등으로 구성된, 단면이 일정한 형상의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컨택트(11)는, 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소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컨택트(11)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도금 또는 금도금 등의 도금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또, 상기의 선재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환형상, 직사각형 형상 등의 다각형 형상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컨택트(11)의 재료에는 굽힘가공이 시행되어 있으며, 제1 컨택트(11)는 일부가 굴곡(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first contact 11 is formed linearly or axially. More specifically, the 1st contact 11 is formed using what isolate | separated a part of wire rod of the shape with constant cross section which consists of metal materials. The 1st contact 11 is comprised, for example with copper alloy as a raw material. The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11 is subjected to plating treatment such as tin plating or gold plating, for example. Moreov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said wire rod is polygonal shape, such as an annular shape and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nd is formed in rectangular shape in this embodiment. Further, bending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tact 11 is performed, and the first contact 11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contact 11 is bent (curved).

제1 컨택트(11)는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매끄럽게 굴곡한 크랭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컨택트(11)는 끼워맞춤방향(D1)의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끼워맞춤방향(D1)으로 곧게 연장하는 부분, 높이방향(Z1)의 위치가 변화하는 부분 및 끼워맞춤방향(D1)으로 곧게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1 컨택트(11)는 일단부(11a)와, 제1 접속부(11b)와,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와, 제1 중간부(11d)와,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와, 타단부(11f)를 포함하고 있다.The 1st contact 11 is formed in the crank shape which bent smoothly, when seen from the width direction X1.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act 11 is a portion extending straight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 portion where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1 changes, and the fitting It has a part extending straight in the custom direction D1. The first contact 11 has one end portion 11a, a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a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and a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 And the other end 11f.

제1 컨택트(11)의 일단부(11a)는 제1 컨택트(11)를 하우징(10)의 오벽(18)에 삽입할 때의 삽입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일단부(11a)는 인발방향(D2)을 따라서 진행됨에 따라 끝이 가늘게 된 선예(先銳) 부분이다. 일단부(11a)는 끼워맞춤공간(13)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개구부(10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One end portion 11a of the first contact 11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peration when the first contact 11 is inserted into the wrong wall 18 of the housing 10. The one end 11a is a sharp part whose taper becomes thin as it progresses along the drawing direction D2. The one end 11a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fitting space 13,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part 10a of the housing | casing 10. As shown in FIG.

제1 접속부(11b)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접촉 가능하게(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11b)는 일단부(11a)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다. 이 제1 접속부(11b)는 끼워맞춤공간(13) 내에서, 일단부(11a)와 함께, 하우징(10)의 중벽(19)과 상벽(1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11b)는 가늘고 길게 연장해 있으며,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휘어짐 변위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 1st connection part 11b is comprised so that a contact (electrically connectable) is possible with the 1st counterpart contact 31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29. As shown in FIG. The 1st connection part 11b extends linearly from the one end part 11a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is disposed between the middle wall 19 and the upper wall 15 of the housing 10 together with the one end 11a in the fitting space 13. The 1st connection part 11b is elongate and elongate, and it is easy to bend and displace by making the 1st housing side fixing part 11c into a point.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는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는 제1 접속부(11b)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다. 이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는 오벽(18)을 끼워맞춤방향(D1)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통 모양의 제1 고정부(18a)에 압입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컨택트(11)는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부(18a)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의 가장자리에는 모따기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고정부(18a)로의 제1 컨택트(11)의 삽입(일단부(11a)의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is provided 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10.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extends linearly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is press-fitted to the cylindrical first fixing portion 18a formed by penetrating the five walls 18 in the fitting direction D1.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contact 11 is fixed to the housing 10. A chamfer is provided in the edg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among the 1st fixing parts 18a. This makes it easy to insert the first contact 11 into the first fixing portion 18a (insertion of the one end 11a).

제1 중간부(11d)는 높이방향(Z1)의 위치가 다른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제1 접속부(11b))와,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중간부(11d)는 제1 접속부(11b)와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중간부(11d)의 일단부(11g)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1 기판 측 실장부(11e) 측을 향하여 굴곡(만곡)하고 있다. 제1 중간부(11d)의 도중부(11h)는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고,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아,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또, 제1 중간부(11d)의 타단부(11j)는 도중부(11h)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서 굴곡(만곡)하고 있다.The 1st intermediate | middle part 11d is provided in order to connect the 1st housing side fixing part 11c (1st connection part 11b) from which the position of the height direction Z1 differs, and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1e. have.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and the first substrate-side mounting portion 11e and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10. One end portion 11g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and is bent (curved) towar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side. The middle portion 11h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extends in a straight line and is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as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X1. The other end 11j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bent (curved) from the middle portion 11h toward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중간부(11d)는 일부가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제1 접속부(11b) 측으로부터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향하여 높이방향(Z1)의 위치가 변화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중간부(11d)는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방향에 관한 적어도 일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부(11g) 및 도중부(11h))의 위치가 하우징(10)의 보호벽(20, 21)의 위치와 겹쳐져 있다(도 4에서는, 보호벽(21)은 도시하지 않음). 즉, 끼워맞춤방향(D1)과 직교하는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아, 제1 중간부(11d)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부(11g) 및 도중부(11h))의 위치가 하우징(10)의 보호벽(20, 21)의 위치와 겹쳐져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has a shape in which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bent, and in the height direction Z1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b side towar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hanges its posi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part (in this embodiment, one end 11g and middle part 11h) regardi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is 1st intermediate part 11d of the housing 10, It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the protective walls 20 and 21 (in FIG. 4, the protective wall 21 is not shown). That is, from the width direction X1 orthogona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part (11 g of one end part and 11 h of middle parts in this embodiment) of the 1st intermediate part 11d is It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the protective walls 20 and 21 of the housing 10.

제1 중간부(11d)의 일단부(11g)는 하우징(10)에 고정된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의 바로 근방에서 또한 굴곡한 형상이며, 끼워맞춤공간(1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단부(11g)는 이물과 접촉했을 때에 높은 응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이물과의 접촉에 의해서 높은 응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제1 중간부(11d)의 일단부(11g)를 보호벽(20, 21)으로 보호함으로써, 제1 컨택트(11)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One end portion 11g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also curved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fixed to the housing 10 and disposed outside the fitting space 13. It is. For this reason,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high stress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when one end part 11g contacts a foreign material. In this manner, the first contacts 11 can be reliably protected by protecting the one end portion 11g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which may have high stress due to contact with foreign matter, by the protective walls 20 and 21. Can be.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회로기판(2)에 실장되는 실장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제1 중간부(11d)의 타단부(11j)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으며, 제1 접속부(11b)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 측(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회로기판(2)의 도전부(2b)에 납땜(도시생략)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컨택트(11)는 회로기판(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컨택트(11)의 타단부(11f)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진행됨에 따라 끝이 가늘게 된 선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is provided as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1e extends linearly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from the other end part 11j of the 1st intermediate | middle part 11d, and is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1st connection part 11b (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D1) side (downstream of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substrate mounting portion 11e is fixed to the conductive portion 2b of the circuit board 2 by soldering (not shown) or the like.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contact 11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2. The other end portion 11f of the first contact 11 is formed in a sharp shape with a tapered end as it progresse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 컨택트(12)는 회로기판(2)의 도전부(2c)에 도통 가능하게 실장(고정)되며, 또한,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에 접촉 가능한 도전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3 and 4, the second contact 12 is mounted (fixed) to the conductive portion 2c of the circuit board 2 so as to be conductively connected, and the second connector described later of the mating connector 29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ovided as a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which can contact the partner contact 32. As shown in FIG.

또, 제2 컨택트(12)는 끼워맞춤방향(D1)과 반대 측(깊이방향(Y1)의 타단 측)으로부터 하우징(10)을 회로기판(2)에 실장하기 위한 제2 실장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실장면(2a)과 평행한 폭방향(X1)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 10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제2 컨택트(12)는 각각 하우징(10)에 유지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2 컨택트(12)는 복수의 제1 컨택트(11)가 늘어서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contact 12 is provided as a second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housing 10 on the circuit board 2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other end side of the depth direction Y1). . The 2nd contact 12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10 in this embodimen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2a. Each second contact 12 is held in the housing 10, respectively. That is,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are arranged in a line.

이들 복수의 제2 컨택트(12)는, 각각, 복수의 제1 컨택트(11)와는 폭방향(X1)에 관한 위치가 가지런히 되어 있다. 또한, 폭방향(X1)에 관해서 제1 컨택트(11)와 제2 컨택트(12)가 교호로 배치됨으로써, 폭방향(X1)에 관한 제1 컨택트(11)의 위치와 제2 컨택트(12)의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are align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in the width direction X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X1, so that the position and the second contact 12 of the first contact 11 in the width direction X1 are alternated. The position of may be shifted.

각 제2 컨택트(12)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2 컨택트(12) 중 하나의 제2 컨택트(12)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2 컨택트(1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hape of each 2nd contact 12 is comprised similarly. For this reas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2nd contact 12 of one of the 2nd contacts 12 comprised similarly is demonstrated,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structure of the other 2nd contact 12 is abbreviate | omitted.

제2 컨택트(12)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소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컨택트(1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도금 또는 금도금 등의 도금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판두께)는 대략 일정하다.The 2nd contact 12 is formed by press-processing a metal material, and is comprised, for example with copper alloy as a raw material.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12 is, for example, plated with tin plating or gold plating. The 2nd contact 12 is formed in plate shape, and thickness (plate thickness) is substantially constant.

제2 컨택트(12)는 하우징(10)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변위됨으로써,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컨택트(12)는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컨택트(11)와 회로기판(2)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끼워맞춤방향(D1)의 도중부가 제2 컨택트(12)의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높이방향(Z1)으로 높게 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제2 컨택트(12)는 회로기판(2)의 실장면(2a)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한 자세로 하우징(10)에 유지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배치된 제1 부분(12a)과, 제2 부분(12b)과,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를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 contact 12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by being displac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The second contact 12 is disposed so as to be surrounded by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circuit board 2 when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X1. The second contact 12 has a shap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of the fitting direction D1 is higher in the height direction Z1 than in the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contact 12. In addition, the second contact 12 is held in the housing 10 in an attitude standing uprigh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2a of the circuit board 2. The second contact 12 includes a first portion 12a, a second portion 12b, and a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dispos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제2 컨택트(12)의 제1 부분(12a)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는, 높이방향(Z1)의 높이가 대략 일정한 부재이다. 또, 이 제1 부분(12a)은 회로기판(2)에 실장되는 실장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부분(12a)은 일부가 하우징(10)의 개구부(10a)로부터 인발방향(D2)으로 돌출해 있으며, 나머지의 일부는 하우징(10)의 하벽(14)에 형성된 슬릿(14a)에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삽입되어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portion 12a of the second contact 12 is a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Z1, which extend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portion 12a is provided as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A part of the first portion 12a protrudes in the drawing direction D2 from the opening 10a of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part is fitted into the slit 14a formed on the lower wall 14 of the housing 10. It is inserted and arranged along the alignment direction D1.

슬릿(14a)은 하벽(14)의 내측면을 끼워맞춤방향(D1)에 따라서 노치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14a) 가운데, 개구부(10a)의 주변 부분은 하벽(14)을 높이방향(Z1)으로 관통하고 있다. 하벽(14)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과는 반대 측의 단부로서의 개구부(10a)에 슬릿(14a)이 개방되어 있다. 제1 부분(12a) 가운데, 회로기판(2)의 실장면(2a)에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를 구성하고 있다.The slit 14a is formed by notch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wall 14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peripheral part of the opening 10a among the slits 14a has the lower wall 14 in the height direction ( Penetrates through Z1). The slit 14a is opened in the opening part 10a as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among the lower walls 14. The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2a that faces the mounting surface 2a of the circuit board 2 is formed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constitutes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have.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후술하는 제2 접속부(12g)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과 반대 측(인발방향(D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도시하지 않은 납땜 등을 이용하여 실장면(2a)의 도전부(2c)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제1 컨택트(11)의 일단부(11a)와 높이방향(Z1)으로 늘어서 있다. 또, 제1 부분(12a)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 측의 하류 측의 단부에는 계지부(係止部)(12e)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12e)는 제2 컨택트(12)가 하우징(10)에 대해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계지부(12e)는 하벽(14)의 외측면에 대향하고 있으며, 이 외측면에 맞물려 있다.The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2d is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2nd connection part 12g mentioned lat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drawing direction D2 side). The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2d is being fixed to the electroconductive part 2c of the mounting surface 2a using solder etc. which are not shown in figure. The second substrate-side mounting portion 12d is arranged in one end portion 11a of the first contact 11 and in the height direction Z1. Moreover, the locking part 12e is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among the 1st parts 12a. The locking portion 12e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cond contact 12 from floating on the housing 10. The locking portion 12e opposes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ower wall 14 and meshes with this outer side surface.

제2 부분(12b)은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14a)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12f)와, 제2 접속부(12g)를 포함하고 있다. 끼워맞춤부(12f)는 슬릿(14a)에 끼워맞춤함으로써, 하벽(14)에 폭방향(X1)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끼워맞춤부(12f) 가운데, 개구부(10a) 측의 일단부는 제1 부분(12a)에 연속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2 컨택트(12) 가운데, 제1 부분(12a)의 일부와, 제2 부분(12b)의 끼워맞춤부(12f)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슬릿(14a)에 삽입하여 통과되어 있다. 제2 부분(12b)과 오벽(18)과의 사이에는 미소한 틈새(C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부분(12b)과 오벽(18)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제2 컨택트(12)의 위치 차이(정규의 위치로부터의 차이)가 억제되고 있다.The 2nd part 12b is formed in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een from the width direction X1, and includes the fitting part 12f which fits into the slit 14a, and the 2nd connection part 12g. The fitting portion 12f is fitted to the lower wall 14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X1 by fitting the slit 14a. One end of the fitting portion 12f on th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10a is continuous to the first portion 12a. By the above structure, a part of the 1st part 12a and the fitting part 12f of the 2nd part 12b among the 2nd contact 12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re the slit 14a. Inserted into and passed through. A small gap C1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ortion 12b and the five wall 18. Thereby, the positional difference (difference from a normal position) of the 2nd contact 12 resulting from the contact of the 2nd part 12b and the uneven wall 18 is suppressed.

제2 접속부(12g)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접속부(12g)는 끼워맞춤부(12f)로부터 중벽(19) 측을 향하여 높이방향(Z1)으로 돌출해 있으며, 끼워맞춤방g향(D1)으로 연장해 있다. 제2 접속부(12g) 가운데, 개구부(10a) 측의 일단부는 인발방향(D2)을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접속부(12g) 가운데, 개구부(10a) 측의 일단부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를 제2 접속부(12g)에 끼워맞춤할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높이방향(Z1)에 관해서, 제2 접속부(12g)는 제1 컨택트(11)의 제1 접속부(11b)에 대해서 회로기판(2)의 실장면(2a)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부(12g)는 제1 접속부(11b)와 높이방향(Z1)으로 늘어서 있다.The 2nd connection part 12g is provided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2nd counterpart contact 32 mentioned later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29. As shown in FI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protrudes from the fitting portion 12f toward the middle wall 19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Z1 and extends in the fitting direction g1. The one end part of the opening part 10a side among the 2nd connection parts 12g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becomes an end tapering along the drawing direction D2. Thereby, one end part of the opening part 10a side among the 2nd connection parts 12g has a function as a guide at the time of fitting the 2nd partner side contact 32 to the 2nd connection part 12g.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Z1,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side of the circuit board 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of the first contact 11.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is arranged 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and the height direction Z1.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제2 부분(12b)의 끼워맞춤부(12f)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대략 곧게 연장해 있으며,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오벽(18)을 끼워맞춤방향(D1)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통 모양의 제2 고정부(제2 컨택트용 고정부)(18b)에 압입되어 있다.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의 일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제2 고정부(18b)의 내주면에 강고하게 결합하고 있다.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is provided 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10.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extends substantially straight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from the fitting portion 12f of the second portion 12b,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X1. have.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is press-fitted into a cylindrical second fixing portion (second contact fixing portion) 18b formed by penetrating the five walls 18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protrusion formed in a part of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is firmly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8b.

제2 고정부(18b)는 슬릿(14a)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2 컨택트(12)는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높이방향(Z1)에 관해서,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와 실장면(2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와 늘어서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18b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slit 14a. By the above structure, the second contact 12 is fixed to the housing 10.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Z1,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and the mounting surface 2a, and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And are lined up.

다음으로, 상대 측 커넥터(29)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대 측 커넥터(29)에 대해서는 전기커넥터(9)에 접속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폭방향(X1), 깊이방향(Y1) 및 높이방향(Z1)은, 각각, 상대 측 커넥터(29)의 깊이방향, 높이방향 및 폭방향이기도 하다.Next, the mating connector 29 will be described. Note that the mating connector 2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tate when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refore, the width direction X1,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are also the depth directio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ting connector 29, respectively.

도 5는 전기커넥터(9)와 상대 측 커넥터(29)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대 측 커넥터(29)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상대 측 커넥터(29)를 인발방향(D2)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저면도이며, 높이방향(Z1)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측 커넥터(29)는 상대 측 하우징(30)과, 복수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와, 복수의 제2 상대 측 컨택트(32)와, 로크판(33)을 포함하고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the mating connector 29 are coupled. FIG. 6: (a) is a front view which abbreviate | omits a part of the mating connector 29, and has shown the state which looked at the mating connector 29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D2. FIG. 6B is a bottom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29 and shows a state seen from the height direction Z1. As shown to Fig.5 and FIG.6 (a), the mating side connector 29 has the mating side housing 30, the some 1st mating side contact 31, and the some 2nd mating side contact 32. As shown to FIG. ) And a lock plate 33 are included.

상대 측 하우징(30)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대 측 하우징(30)은 제1 수용체(34)와, 제2 수용체(35)와, 제1 수용체(34) 및 제2 수용체(35) 사이에 배치된 끼워맞춤 오목부(36)를 포함하고 있다. 높이방향(Z1)을 따라서, 제1 수용체(34), 끼워맞춤 오목부(36) 및 제2 수용체(35)의 순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The mating housing 3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he mating housing 30 includes a first container 34, a second container 35, and a fitting recess 36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34 and the second container 35, and have. Along the height direction Z1, it arrange | positions in order of the 1st container 34, the fitting recessed part 36, and the 2nd container 35. FIG.

제1 수용체(34)는 복수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용체(34)는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편평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체(34)에는 복수의 제1 수용실(3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실(37)은 전기커넥터(9)의 제1 컨택트(11)의 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용실(37)은 폭방향(X1)을 따라서 제1 컨택트(11)의 배치피치와 동일한 배치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수용실(37)은, 각각, 제1 수용체(34)를 깊이방향(Y1)으로 관통하고 있다.The first receptor 34 is provided as a receiving member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irst counterpart side contacts 31. The 1st container 34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flat plate which elongates and elongates in the width direction X1. A plurality of first storage chambers 37 are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34. The first storage chamber 37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first contacts 1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1st accommodating chamber 3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me arrangement pitch as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1st contact 11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Each 1st accommodating chamber 37 has penetrated the 1st container 34 in the depth direction Y1, respectively.

각 제1 수용실(37)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1 수용실(37) 중 하나의 제1 수용실(37)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1 수용실(37)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1 수용실(37)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 중 하나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대해서 설명하며, 다른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hape of each 1st storage chamber 37 is comprised similarly. For this reas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1st storage chamber 37 of the 1st storage chamber 37 comprised similarly is demonstrated,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structure of the other 1st storage chamber 37 is abbreviate | omitted. . Moreover, the shape of the 1st counterpart side contact 31 accommodated in the 1st storage chamber 37 is comprised similarly. For this reaso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monstrates the 1st counterpart side contact 31 of the 1st counterpart side contact 31 comprised similarly, and demonstrates the structure of the other 1st counterpart contact 31. FIG. Omit.

제1 수용실(37)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는 통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용실(37) 내에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가 수용되어 있다. 또, 제1 수용실(37)에는 제1 컨택트용 삽통(揷通)구멍(37a), 제1 돌출용 구멍(37b) 및 제1 빠짐방지부(37c)가 형성되어 있다.The 1st storage chamber 37 is provided as a cylindrical part extend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mating contact 3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37. Moreover, the 1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the 1st protrusion hole 37b, and the 1st fall prevention part 37c are formed in the 1st storage chamber 37. As shown in FIG.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은 전기커넥터(9)의 제1 컨택트(11)를 제1 수용실(37) 내에 도입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은 제1 수용실(37) 중 끼워맞춤방향(D1) 측의 단부(선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수용실(37)의 내부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고 있다.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 측의 주연부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컨택트(11)를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에 도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 insertion hole 37a for 1st contact is provided in order to introduce the 1st contact 1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to the 1st storage chamber 37. As shown in FIG. The insertion hole 37a for the first contact is formed at an end (tip)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37 on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and is form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37. Communicating. A chamfer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1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at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and it is easy to introduce the 1st contact 11 into the 1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제1 돌출용 구멍(37b)은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후술하는 제1 빠짐방지 돌기(31d)를 제1 수용실(37)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돌출용 구멍(37b)은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높이방향(Z1)의 한쪽(도 5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The 1st protrusion hole 37b is provided in order to protrude the 1st fall prevention protrusion 31d mentioned later of the 1st counterpart contact 31 from the 1st storage chamber 37. As shown in FIG. The first protruding hole 37b is spaced apart from the drawing contact hole 37a in the drawing direction D2 and is opened in one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Z1 (downward in FIG. 5). have.

제1 빠짐방지부(37c)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가 제1 수용실(37)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편(小片) 부분이며, 제1 돌출용 구멍(37b)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빠짐방지부(37c)는 끼워맞춤 오목부(36)에 배치되어 있다.The 1st fall prevention part 37c is a small piece part for preventing the 1st counterpart contact 31 from coming off from the 1st storage chamber 37, and is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the 1st protrusion hole 37b. It is. In this embodiment, the 1st fall prevention part 37c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fitting recessed part 36. As shown in FIG.

끼워맞춤 오목부(36)는 제1 수용체(34)와 제2 수용체(35)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6)는 전기커넥터(9)의 중벽(19)과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6)는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결합시킬 때, 끼워맞춤 오목부(36)와 중벽(19)이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 오목부(36)는 상대 측 하우징(30)을 전기커넥터(9)의 하우징(10)에 끼워맞춤할 때의 안내부로서 기능한다.The fitting recess 3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34 and the second container 35. The fitting recess 36 is configured to fit with the middle wall 19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forms a space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X1.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fitting recess 36 and the middle wall 19 are configured to fit. Thereby, the fitting recessed part 36 functions as a guide part at the time of fitting the mating side housing 30 to the housing 10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s shown in FIG.

제2 수용체(35)는 복수의 제2 상대 측 컨택트(3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체(35)는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편평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용체(35)에는 복수의 제2 수용실(3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용실(38)은 전기커넥터(9)의 제2 컨택트(12)의 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실(38)은 폭방향(X1)을 따라서 제2 컨택트(12)의 배치 피치와 동일한 배치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2 수용실(38)은, 각각, 제2 수용체(35)를 깊이방향(Y1)으로 관통하고 있다.The second container 35 is provided as an accommodating member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second counterpart side contacts 32. The second container 35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at extends thin an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plurality of second storage chambers 38 are formed in the second container 35. The 2nd accommodating chamber 38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2nd contacts 12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s shown in FIG. The 2nd accommodating chamber 38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ame arrangement pitch as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2nd contact 12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Each 2nd accommodating chamber 38 has penetrated the 2nd container 35 in the depth direction Y1, respectively.

각 제2 수용실(38)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2 수용실(38) 중 하나의 제2 수용실(38)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2 수용실(38)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2 수용실(38)에 수용되어 있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 중 하나의 제2 상대 측 컨택트(32)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hape of each 2nd accommodating chamber 38 is comprised similarly. For this reas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2nd accommodating chamber 38 of the 2nd accommodating chamber 38 comprised similarly is demonstrated,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structure of another 2nd accommodating chamber 38 is abbreviate | omitted. . Moreover, the shape of the 2nd counter side contact 32 accommodated in the 2nd storage chamber 38 is comprised similarly. For this reas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2nd counterpart contact 32 of the 2nd counterpart contact 32 comprised similarly is demonstrated,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structure of the other 2nd counterpart contact 32 is described. Omit.

제2 수용실(38)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는 통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실(38) 내에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가 수용되어 있다. 또, 제2 수용실(38)에는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 및 제2 빠짐방지부(38b)가 형성되어 있다.The 2nd storage chamber 38 is provided as a cylindrical part extend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38. Moreover, the 2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and the 2nd fall prevention part 38b are formed in the 2nd storage chamber 38. As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은 전기커넥터(9)의 제2 컨택트(12)를 제2 수용실(38) 내에 도입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은 제2 수용실(38) 중 끼워맞춤방향(D1)의 선단으로부터 기단 측을 향하여(인발방향(D2)을 따라서) 연장해 있다.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은 제2 수용실(38)을 높이방향(Z1)의 한쪽(도 5에서 하측)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제2 수용실(38)의 내부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고 있다.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의 위치에 제2 빠짐방지부(38b)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to FIG. 5 and FIG. 6B, the 2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is provided in order to introduce the 2nd contact 12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to the 2nd storage chamber 38. As shown to FIG. .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the fitting direction D1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38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along the drawing direction D2).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opens the second storage chamber 38 in one side (lower side in FIG. 5) in the height direction Z1, an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38. Is communicating. The 2nd fall prevention part 38b is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2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at the position of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제2 빠짐방지부(38b)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가 제2 수용실(3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된 소편 부분이며,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The 2nd fall prevention part 38b is a small piece part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the 2nd partner side contact 32 from falling out from the 2nd storage chamber 38, and is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the 2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have.

도 5 및 도 6의 (a)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수용실(37)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피복전선(3)의 전선과 제1 컨택트(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피복전선(3)은 동선(銅線) 등의 전선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피복으로 덮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피복의 일단으로부터 전선이 노출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컨택트(11)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도전부재이다.Referring to FIGS. 5 and 6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is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37.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is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e of the first covered wire 3 and the first contact 11 to each other. The first covering wire 3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 wire such as a copper wire is covered with a cover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wire is exposed from one end of the covering.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is a conductive member forme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ntact 11.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와, 제1 압접부(31b)와, 제2 압접부(31c)와, 제1 빠짐방지 돌기(31d)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는 제1 컨택트(11)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제1 컨택트(1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The 1st counterpart side contact 31 contains the 1st counterpart side connection part 31a, the 1st contact part 31b, the 2nd contact part 31c, and the 1st fall prevention protrusion 31d. The 1st partner side connection part 31a is provided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said 1st contact 11 by contacting the 1st contact 11. As shown in FIG.

제1 상대 측 접속부(31a)는 제1 수용실(37)에서 끼워맞춤방향(D1) 측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고, 또한 폭방향(X1)을 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한 쌍의 탄성편부 중 한쪽의 탄성편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의 한 쌍의 탄성편부는 이들 한 쌍의 탄성편부 사이에 삽입된 제1 컨택트(11)를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의 기단부(인발방향(D2) 측의 단부)는 제1 압접부(31b)에 지지되어 있다.The 1st partner side connection part 31a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1st storage chamber 37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The 1st mating side connection part 31a extend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has a pair of elastic piece part which faces the width direction X1. 5, only one elastic piece part of a pair of elastic piece parts is shown. The pair of elastic pieces of the first mating side connection portion 31a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contact) the first contact 11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s. The base end (end part of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of the 1st mating side connection part 31a is supported by the 1st contact part 31b.

제1 압접부(31b)는 제1 피복전선(3)의 전선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압접부(31b)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1 피복전선(3)의 전선을 끼우고 있어, 제1 압접부(31b)에 의한 전선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 제1 압접부(31b)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에 제2 압접부(31c)가 배치되어 있다.The 1st press contact part 31b is provided in order to couple to the one end part of the electric wire of the 1st covering wire 3. The 1st press-contact part 31b has a pair of single piece lined up in the width direction X1 (FIG. 5 shows only one single part of a pair of piece part), and these pair of single piece parts are bend | folded. As a result, the pair of single portions sandwiches the electric wire of the first covered wire 3, and the fixing of the electric wire by the first press-contacting portion 31b is achieved. The 2nd press contact part 31c is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1st press contact part 31b in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제2 압접부(31c)는 제1 피복전선(3)의 피복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압접부(31c)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1 피복전선(3)의 피복을 끼우고 있어, 제2 압접부(31c)에 의한 제1 피복전선(3)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The 2nd press contact part 31c is provided in order to couple to the one end part of the coating | cover of the 1st covering wire 3. As shown in FIG. The 2nd press-contact part 31c has a pair of single piece lined up in the width direction X1 (FIG. 5 shows only one single part of a pair of piece part), and these pair of single piece parts are bend | folded. As a result, a pair of single portions sandwich the covering of the first covering wire 3, and the fixing of the first covering wire 3 by the second press-contacting portion 31c is achieved.

제1 빠짐방지 돌기(31d)는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와 제1 압접부(31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빠짐방지 돌기(31d)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제1 빠짐방지 돌기(31d)는 제1 수용실(37)의 제1 돌출용 구멍(37b)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며, 제1 빠짐방지부(37c)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해서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인발방향(D2)을 향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제1 빠짐방지 돌기(31d)가 제1 빠짐방지부(37c)에 받게 되어,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변위가 규제된다.31 d of 1st fall prevention protrusions ar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1st counterpart side connection part 31a and the 1st contact part 31b. 31 d of 1st fall prevention protrusions have a pair of piece parts lined up in the width direction X1 (FIG. 5 shows only one piece part of a pair of piece parts), and these pair of pieces are bent-processed. . 31 d of 1st fall prevention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1st protrusion hole 37b of the 1st storage chamber 37, and are engaged with the 1st fall prevention part 37c. For this reason, when a force in the drawing direction D2 acts on the first mating side contact 31 with respect to the mating side housing 30, the first anti-separation protrusion 31d causes the first anti-separation part 37c. Is received,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is regul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2 수용실(3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같은 부품을 제1 상대 측 컨택트(31) 또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로서 이용할 수 있어, 상기 부품의 범용성의 향상을 통해서 전기적 접속장치(1)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unterpart contact 32 is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38. The second counterpart contact 32 is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Thereby, the same component can be used as the 1st counterpart contact 31 or the 2nd counterpart contact 32,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 can be reduced by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the said part. have.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와, 제3 압접부(32b)와, 제4 압접부(32c)와, 제2 빠짐방지 돌기(32d)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는 제2 컨택트(12)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제2 컨택트(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는 제2 수용실(38)에서 끼워맞춤방향(D1) 측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고, 또한 폭방향(X1)을 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한 쌍의 탄성편부 중 한쪽의 탄성편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의 한 쌍의 탄성편부 사이는 이들 한 쌍의 탄성편부 사이에 삽입된 제2 컨택트(12)를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의 기단부(인발방향(D2) 측의 단부)는 제3 압접부(32b)에 지지되어 있다.The second mating-side contact 32 includes a second mating-side connecting portion 32a, a third press-contacting portion 32b, a fourth press-contacting portion 32c, and a second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32d. The second counterpart connection portion 32a is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second contact 12 by contacting the second contact 12. The second mating-side connecting portion 32a is disposed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38. The second mating-side connecting portion 32a extend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has a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facing the width direction X1. 5, only one elastic piece part of a pair of elastic piece parts is shown.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s of the second mating-side connecting portion 32a, the second contact 12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s is elastically pressed (contacted). The base end (end part of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of the 2nd partner side connection part 32a is supported by the 3rd press contact part 32b.

제3 압접부(32b)는 제2 피복전선(4)의 전선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피복전선(4)은 동선 등의 전선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피복으로 덮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피복의 일단으로부터 전선이 노출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3 압접부(32b)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2 피복전선(4)의 전선을 끼우고 있어, 제3 압접부(32b)에 의한 전선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 제3 압접부(32b)에 대하여 인발방향(D2) 측에 제4 압접부(32c)가 배치되어 있다.The 3rd press contact part 32b is provided in order to couple to the one end part of the electric wire of the 2nd covering wire 4. The second covering wire 4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 wire such as a copper wire is covered with a cover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wire is exposed from one end of the covering. The 3rd press-contact part 32b has a pair of single piece lined up in the width direction X1 (FIG. 5 shows only one single part of a pair of piece part), and these pair of single piece parts are bend | folded. Thereby, a pair of single part pinched the electric wire of the 2nd covering wire 4, and the fixing of the electric wire by the 3rd press contact part 32b is achieved. The fourth press contact portion 32c is disposed on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with respect to the third press contact portion 32b.

제4 압접부(32c)는 제2 피복전선(4)의 피복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4 압접부(32c)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2 피복전선(4)의 피복을 끼우고 있어, 제4 압접부(32c)에 의한 제2 피복전선(4)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The 4th press contact part 32c is provided in order to couple to the one end part of the coating | cover of the 2nd covering wire 4. The 4th press-contact part 32c has a pair of single piece lined up in the width direction X1 (FIG. 5 shows only one piece part of a pair of piece part), and these pair of single piece parts are bend | folded. As a result, the pair of pieces sandwiches the second covering wire 4, and the fixing of the second covering wire 4 by the fourth press-contacting portion 32c is achieved.

제2 빠짐방지 돌기(32d)는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와 제3 압접부(32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빠짐방지 돌기(32d)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제2 빠짐방지 돌기(32d)는 제2 수용실(38)의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며, 제2 빠짐방지부(38b)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제2 상대 측 컨택트(32)에,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하여 인발방향(D2)을 향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제2 빠짐방지 돌기(32d)가 제2 빠짐방지부(38b)에 받게 되어,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변위가 규제된다.The 2nd fall prevention protrusion 32d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2nd partner side connection part 32a and the 3rd contact part 32b. The 2nd fall prevention protrusion 32d has a pair of piece parts lined up in the width direction X1 (FIG. 5 shows only one piece part of a pair of piece parts), and these pair of pieces are bend-processed. . The 2nd fall prevention protrusion 32d protrudes from the 2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of the 2nd storage chamber 38, and is engaged with the 2nd fall prevention part 38b. For this reason, when a force in the drawing direction D2 is applied to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against the mating housing 30, the second anti-separation protrusion 32d causes the second anti-separation part 38b to work. ),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counterpart contact 32 is regulated.

상대 측 커넥터(29)는 플러그(39)를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39)는 제1 수용실(37) 중 끼워맞춤방향(D1) 가까이의 일부와,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와, 끼워맞춤 오목부(36) 중 끼워맞춤방향(D1) 가까이의 일부와, 제2 수용실(38) 중 끼워맞춤방향(D1) 가까이의 일부와,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를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39)는 상대 측 커넥터(29) 가운데, 전기커넥터(9)의 끼워맞춤공간(13)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요소로서 마련되어 있다.The mating connector 29 includes a plug 39. The plug 39 is a part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37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mating side connecting portion 31a of the first mating side contact 31, and the fitting recess 36. And a part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a part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38, and a second mating side connecting portion 32a of the second mating side contact 32. Doing. The plug 39 is provided as a fitting element to be fitted to the fitting space 13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mong the mating connectors 29.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기적 접속장치(1)는 로크기구(40)를 포함하고 있다. 로크기구(40)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로크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로크기구(40)는 상대 측 하우징(30)에 마련된 로크판(33)과, 하우징(10)에 마련된 로크용 돌기(22)를 포함하고 있다.1 and 5,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 includes a lock mechanism 40. The lock mechanism 40 is provided in order to lock the mating connector 29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so as to be detachable. The lock mechanism 40 includes a lock plate 33 provided in the mating side housing 30, and a locking protrusion 22 provided in the housing 10.

로크판(33)은 상대 측 하우징(30)에 일체 성형되며, 또한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해서 요동 변위 가능한 가동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로크판(33)은 상대 측 하우징(30)의 제1 수용체(34)의 일측면에 배치된 지주(支柱)(41)에 접속되어 있다. 로크판(33)은 폭방향(X1)으로 폭 넓게 연장하고, 또한 지주(41)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판(33)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 측의 선단에는 로크 클로(claw)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클로부(42)는 로크판(33)으로부터 높이방향(Z1)을 따라서 하우징(10) 측으로 돌출하는 소편부이다.The lock plate 3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ting housing 30 and is provided as a movable member capable of swinging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mating housing 30. The lock plate 33 is connected to a strut 4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34 of the mating housing 30. The lock plate 33 extends wide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extending from the support column 41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lock claw part 42 is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board 33 at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The lock claw part 42 is a small piec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lock plate 33 to the housing 10 si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Z1.

로크용 돌기(22)는 로크 클로부(42)와 맞물림함으로써, 인발방향(D2) 측으로의 상대 측 하우징(30)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크용 돌기(22)는 하우징(10) 상벽(15)의 외측면에서, 인발방향(D2) 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용 돌기(22)는 1 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마련되어 있으며, 폭방향(X1)을 따라서 연장해 있다. 로크용 돌기(22)의 표면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진행됨에 따라 상벽(15)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가지고 있다. 로크 클로부(42)는 이 면을 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locking projection 22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displacement of the mating housing 30 toward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by engaging the lock claw portion 42. The locking projection 22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housing 10 upper wall 15 on the outer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D2. One or two (4 in this embodiment) lock protrusions 22 are provided, and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The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22 has an inclined portion away from the upper wall 15 as it travel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lock claw part 42 is comprised so that it may exceed this surface.

또, 전기적 접속장치(1)는 하우징(10)에 대한 상대 측 하우징(30)의 변위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대 측 하우징(30) 가운데, 제1 수용체(34)의 일측면에 한 쌍의 안내 볼록부(43, 44)가 마련되며, 또한, 하우징(10) 상벽(15)의 내측면에 한 쌍의 안내 오목부(23, 24)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 볼록부(43, 44)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볼록 조(條) 부분이며, 로크판(33)을 폭방향(X1)으로 끼우도록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23, 24)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 모양으로 연장하는 오목 모양 부분이며, 대응하는 안내 볼록부(43, 44)에 끼워맞춤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 further includes a mechanism for guiding the displacement operation of the housing 30 on the mating sid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Specifically, a pair of guide protrusions 43 and 44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34 among the opposing side housing 3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ll 15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A pair of guide recesses 23 and 24 are provided in the chamber. The guide convex parts 43 and 44 are convex jaw parts extended linearly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are provided in pair so that the lock plate 33 may be fitted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guide concave portions 23 and 24 are concave portions extending linearly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can be fitted to the corresponding guide convex portions 43 and 44.

다음으로, 전기적 접속장치(1)에서의 전기커넥터(9)와 상대 측 커넥터(29)와의 사이의 착탈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2)에 실장된 전기커넥터(9)에 상대 측 커넥터(29)를 결합할 때는, 우선,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와 서로 마주 보게 한다. 다음으로, 상대 측 커넥터(29)를,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전기커넥터(9) 측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대 측 하우징(30)의 한 쌍의 안내 볼록부(43, 44)는 한 쌍의 안내 오목부(23, 24)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측 하우징(30)의 플러그(39)의 끼워맞춤 오목부(36)는 하우징(10)의 중벽(19)과 끼워맞춤한다. 또한, 플러그(39)의 제1 수용체(34) 및 제2 수용체(35)는 끼워맞춤공간(13)에 끼워맞춰진다.Next,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the mating connector 29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first, the mating connector 29 faces the electrical connector 9. do. Next, the mating connector 29 is displac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side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reby, the pair of guide convex parts 43 and 44 of the mating side housing 30 are fitted to the pair of guide concave parts 23 and 24, and as shown in FIG. The fitting recess 36 of the plug 39 of the housing 30 fits with the middle wall 19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the first receptor 34 and the second receptor 35 of the plug 39 are fitted in the fitting space 13.

이것에 의해, 제1 컨택트(11)의 제1 접속부(11b)는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을 통과하여 제1 수용실(37)에 들어가고,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에 끼워지면서 접촉한다. 또, 제2 컨택트(12)의 제2 접속부(12g)는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을 통과하여 제2 수용실(38)에 들어가며,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에 끼워지면서 접촉한다.Thereby, the 1st connection part 11b of the 1st contact 11 enters the 1st storage chamber 37 through the 1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and the 1st contact side 31 of the 1st contact side 31 is made into, 1 It contacts while fitting in the partner side connection part 31a. Moreover, the 2nd connection part 12g of the 2nd contact 12 passes through the 2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and enters the 2nd storage chamber 38, and the 2nd partner of the 2nd counterpart side contact 32 is carried out. It contacts while fitting in the side connection part 32a.

이 때, 로크판(33)은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해서 지주(41)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로크 클로부(42)는 로크용 돌기(22)를 타고 넘는다. 그 후, 로크 클로부(42)는 로크용 돌기(22)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 측에서 로크용 돌기(22)에 맞물려, 상대 측 하우징(30)의 빠짐방지가 달성된다.At this time, the lock plate 33 swing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housing 41 as a point, and the lock claw portion 42 rides over the lock projection 22. Thereafter, the lock claw portion 4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2 on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rotrusion 22, thereby preventing the other side housing 30 from being pulled out.

한편, 전기커넥터(9)로부터 상대 측 커넥터(29)를 떼어낼 때는, 로크판(33)을 손가락 등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로크판(33)은 지주(41)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여, 로크 클로부(42)가 들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로크 클로부(42)와 로크용 돌기(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대 측 하우징(30)을 하우징(10)에 대해서 인발방향(D2)으로 당긴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39)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인발방향(D2) 측으로 인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moving the mating connector 29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lock plate 33 is pressed with a finger or the like. As a result, the lock plate 33 is swung with the support 41 as a point, and the lock claw portion 42 is lifted up. As a result,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 claw portion 42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mating side housing 30 is pulled in the drawing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Thereby, the plug 39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10 to the drawing direction D2 side.

이 때,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으로부터 인발되며,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으로부터 인발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상대 측 컨택트(31) 및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각각,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또, 이 때, 상대 측 하우징의 끼워맞춤 오목부(36)와 중벽(19)과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대 측 커넥터(29)가 전기커넥터(9)로부터 인발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커넥터(9, 29)의 결합이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is drawn out from the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and the second counterpart contact 32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As a result, the first counterpart contact 31 and the second counterpart contact 32 are released from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tting between the fitting recess 36 and the middle wall 19 of the mating housing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drawn out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as shown in FIG. 1, the engagement of these connectors 9 and 29 is released.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결합할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로부터 전기커넥터(9)에 끼워맞춤방향(D1)에 따른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전기커넥터(9)의 복수의 제1 컨택트(11)에 전해져, 이들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에서 받게 된다.Referring again to FIG. 5,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a force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is applied from the mating connector 29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is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is received by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of these first contacts 11.

한편,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로부터 인발될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로부터 전기커넥터(9)에 인발방향(D2)에 따른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제2 컨택트(12)에 전해져, 이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에서 받게 된다. 즉, 전기커넥터(9)에 끼워맞춤방향(D1)의 힘이 작용했을 때와 인발방향(D2)의 힘이 작용했을 때의 어느 경우도, 하우징(10)에 유지된 컨택트(11, 12)에 의해서 하우징(10)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drawn out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a force along the drawing direction D2 is applied from the mating connector 29 to the electric connector 9. This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act 12 and is received by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of the second contact 12. In other words, the contacts 11 and 12 held in the housing 10 are both applied when the force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cts on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when the force in the drawing direction D2 acts. The housing 10 can be reliably supported by thi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커넥터(9)에 의하면, 끼워맞춤공간(13) 내에서, 회로기판(2)으로부터의 제1 컨택트(11)의 거리는 회로기판(2)으로부터의 제2 컨택트(12)의 거리보다도 길다. 또, 제1 컨택트(11)는 끼워맞춤공간(13) 내에서 상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컨택트(11)는 선상 또는 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과, 휘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11)는 플러그(39)와의 접촉시에, 플러그(39)와의 접촉에 의해서 휘어져 플러그(39)에 대해서 위치맞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11)를 플러그(39)의 제1 컨택트(11)에 대해서 확실히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9)의 제조시에, 제1 컨택트(11)를 하우징(10)에 조립할 때에, 제1 컨택트(11)를 하우징(10)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맞춤하는 작업이 필요없다. 따라서, 하우징(10)으로의 제1 컨택트(11)의 장착작업의 속도(효율)를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시간당의 전기커넥터(9)의 조립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itting space 13, the distance of the first contact 11 from the circuit board 2 is the second from the circuit board 2. It is longer than the distance of the contact 12. Moreover, the 1st contact 1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end side in the fitting space 13. As the first contact 11 is formed in a linear or axial form, it is likely to bend. For this reason, the 1st contact 11 can be bent by the contact with the plug 39 at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plug 39, and can b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plug 39. FIG. For this reason, the 1st contact 11 can be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1st contact 11 of the plug 39,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s a resul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when assembling the first contact 11 to the housing 10, there is no need to strictly position the first contact 1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 Therefore, the speed (efficiency) of the mounting | working of the 1st contact 11 to the housing 10 can be made high. Thereby, the assembly number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reduced.

또, 선상의 제1 컨택트(11)는 고가의 프레스 성형이 아니라도 선재 등에 의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또,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와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를 끼워맞춤공간(13)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의 상류 측과 하류 측의 양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2)은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를 통하여 하우징(10)을 끼워맞춤방향(D1)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와 회로기판(2)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힘이 하우징(10)을 회로기판(2)에 대해서 넘어뜨리는 힘으로 하여 하우징(10)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하우징(10)이 회로기판(2) 위에서 넘어지는 것을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의 협동에 의해서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ar first contact 11 can be produced at low cost by a wire rod or the like even without expensive press molding.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further. Moreover, the fitting direction D1 of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1e of the 1st contact 11, and the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2d of the 2nd contact 12 with respect to the fitting space 13 is carried out.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both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As a result, the circuit board 2 can support the housing 10 from both sides of the fitting direction D1 via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Therefor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the circuit board 2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a force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may act on the housing 10 as a force that causes the housing 10 to fall against the circuit board 2.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suppress the housing 10 from falling down on the circuit board 2 by the cooperation of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게다가, 하우징(10)의 상기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보강금구 등)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저감을 통해서 전기커넥터(9)의 제조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9)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member (a reinforcing bracket or the like)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housing 10.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further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10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to provide the electrical connector 9 with low manufacturing cost.

또, 전기커넥터(9)에서, 제1 컨택트(11)는 선재를 기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 선재로 하면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방향에 관해서, 제1 컨택트(11)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컨택트(11)와 하우징(10)이 전체적으로 끼워맞춤방향(D1)에 차지하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9, since the first contact 11 is formed based on the wire ro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wire can be made thin, the first contact 11 can be made short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Thereby, the length which the 1st contact 11 and the housing 10 occupy for the whole fitting direction D1 can be shortened. Thus,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achieved.

또한, 전기커넥터(9)에서,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와,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끼워맞춤방향(D1)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의 배치에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하우징(10)의 보다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간부(11d)도 하우징(10)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근방에 제1 중간부(11d) 및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기판 측 실장부(11e, 12d)의 협동에 의한 전기커넥터(9)의 넘어짐 방지 효과를 높이면서, 끼워맞춤방향(D1)에 관해서 전기커넥터(9)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다른 효과를 상승하여 발휘할 수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of the second contact 12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of the first contact 11 are fitted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the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2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1e. Therefore, the 1st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1e can be arrange | positioned closer to the housing 10. FIG. Therefore, 11 d of 1st intermediate | middle parts can also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housing | casing 10. FIG. By arranging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in the vicinity of the housing 10, the electrical connector 9 by co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s 11e and 12d. The other effect that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miniaturized with respect to the fitting direction D1 can be raised while exhibiting the fall prevention effect of ().

또, 전기커넥터(9)에서, 제2 컨택트(12)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제2 컨택트(12)는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컨택트(11)와 비교해서 강성이 높고, 회로기판(2)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2 컨택트(12)는 회로기판(2)으로부터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소형이다. 이 때문에,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컨택트(12)의 위치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나 있어도, 하우징(10)으로의 플러그(39)의 삽입을 제2 컨택트(12)가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의 조립시에, 제2 컨택트(12)를 하우징(10)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결정하는 수고(시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제2 컨택트(12)를 고속으로 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9)의 제조효율을 높여 전기커넥터(9)의 제조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second contact 12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contact 12 formed by the press working can increase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the second contact 12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e first contact 11 and a high bond strength with the circuit board 2. Can be. Further, the second contact 12 is small because the height from the circuit board 2 is low. 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12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is slightly shifted from the normal position, the second contact 12 prevents the insertion of the plug 39 into the housing 10. can do. Therefore,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trouble (time) of precisely positioning the second contact 12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is unnecessary. Therefore, the second contact 12 can be assembled to the housing at high spe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further reduced 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또, 전기커넥터(9)에 의하면, 하우징(10)의 슬릿(14a)에 제2 컨택트(12)를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삽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제2 컨택트(12)를 하우징(10)의 제2 고정부(18b)를 향해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컨택트(12)의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하우징(10)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작업을 생략하면서, 하우징(10)에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 결과, 선상의 제1 컨택트(11)와 비교해서 하우징(10)으로의 고정속도를 높이기 어려운 판상의 제2 컨택트(12)에 대해서도 고속으로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second contact 12 is inserted into the slit 14a of the housing 10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passed therethrough, thereby allowing the second contact 12 to pass through the housing 10. Can be guided toward the second fixing portion 18b. As a result,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of the second contact 12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to the housing 10 while omitting the correct position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linear 1st contact 11, the plate-shaped 2nd contact 12 which is hard to raise the fixed speed to the housing 10 can also be fastened to a housing at high speed.

또, 전기커넥터(9)에 의하면,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는 하우징(10)에 대해서 깊이방향(Y1)의 양측(인발방향(D2) 측 및 끼워맞춤방향(D1) 측)으로부터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작은 형상(예를 들면, 폭방향(X1)의 길이가 20㎜ 정도)의 하우징(10)에 대해서, 제1 컨택트(11)를 조립하는 장치 및 제2 컨택트(12)를 조립하는 장치를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깊이방향(Y1)의 양측에서 하우징(10)에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를 동시에 조립할 수 있어, 그 결과, 전기커넥터(9)의 조립속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1st contact 11 and the 2nd contact 12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re both sides (drawing direction D2) side and the fitting direction D1 of the depth direction Y1. Side)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For this reas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of generally small shape (for example, the width direction X1 length is about 20 mm), the apparatus which assembles the 1st contact 11 and the 2nd contact 12 are The assembling apparatus can be arrang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can be simultaneously assembled to the housing 10 on both sides of the depth direction Y1, and as a result, the assembly spee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is made higher. can do.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한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해 실시해도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as long as it described in a claim. For example, you may change and implement as follows.

(1)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를 각각 복수 마련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는 각각 1개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1)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demonstrated the structure which provides two or more 1st contact and 2nd contact, respectively, It is not limited to this. Only one 1st contact and 2nd contact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2) 또,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하우징의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하우징의 위치와 겹쳐 있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컨택트의 제1 하우징 측 고정부로부터 직선 모양으로 연장한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하우징의 제1 중간부의 위치가 하우징의 위치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하류 측이라도 된다.(2) Moreover,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form in which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part of the 1st intermediate part of a 1st housing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a housing was demonstrated from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tting direction,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By providing a portion extending linearly from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the posi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may be a down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s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

(3)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컨택트가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컨택트는 제1 컨택트와 마찬가지로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3)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form in which the 2nd contact is formed by press-processing a metal material was demonstrated to the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2nd contact may be formed using what isolate | separated a part of wire rod similarly to a 1st contact.

(4)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택트의 제1 중간부는 하우징의 오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우징의 후벽의 외측면에 하우징의 제1 고정부에 연속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제1 중간부의 일부를 수용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의 오벽에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커넥터가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차지하는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4)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1st intermediate part of the 1st contact demonstrated the form arrange |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miswall of a housing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groove continuous to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and a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Thereby, since at least one part of a 1st intermediate part can be accommodated in the erroneous wall of a housing, the length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occupie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a fitting direction can be shortened.

(5)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가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는, 표면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 타입의 전기커넥터의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가 회로기판의 쓰루홀(through hole)에 끼워 넣어지는 DIP(Dual Inline Package) 커넥터 등의 삽입실장 타입의 전기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orm of the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type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Do no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insertion-mount type electrical connector such as a dual inline package (DIP) connector in which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a circuit board.

(6)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속장치가 회로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보드·투·와이어 타입의 접속장치인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보드·투·보드 타입의 전기적 접속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6)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is a board-to-wire type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ic wir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board-to-board typ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ircuit boards.

(7)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컨택트가 높이방향으로 2단으로 배열된 전기커넥터의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컨택트가 높이방향으로 3단 이상으로 배열된 전기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가장 아래의 단의 컨택트는 본 발명의 제2 컨택트로서 구성되며, 하우징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상류 측에서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또한, 가장 위의 단의 컨택트는 본 발명의 제1 컨택트로서 구성되며, 하우징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하류 측에서 회로기판에 실장된다.(7)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form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the contact was arrange | positioned in two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was demonstrated to the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the contacts are arranged in three or more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is case, at least the bottommost contact is constituted as the second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upstream of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Further, the topmost contact is configured as the first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8) 하우징, 제1 컨택트, 제2 컨택트 및 플러그의 각각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의 실시형태로 예시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해 실시해도 된다.(8) The shapes of the housing, the first contact, the second contact, and the plug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variously changed.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고, 실장면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로서 넓게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as an electrical connector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to which a plug of a mating connector is fitted along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2 회로기판 2a 실장면
9 전기커넥터 10 하우징
11 제1 컨택트 11b 제1 접속부
11c 제1 하우징 측 고정부 11d 제1 중간부
11e 제1 기판 측 실장부 12 제2 컨택트
12c 제2 하우징 측 고정부 12d 제2 기판 측 실장부
12g 제2 접속부 13 끼워맞춤공간
14a 슬릿 18b 제2 고정부(제2 컨택트용 고정부)
29 상대 측 커넥터 39 플러그
D1 끼워맞춤방향 Z1 높이방향
2 circuit board 2a mounting surface
9 Electrical Connectors 10 Housings
11 First contact 11b First connection
11c first housing side fixing part 11d first intermediate part
11e 1st board side mounting part 12 2nd contact
12c 2nd housing side fixing part 12d 2nd board | substrate side mounting part
12g 2nd connection 13 Fitting space
14a slit 18b Second fixing part (fixing part for second contact)
29 mating connector 39 plug
D1 Fitting direction Z1 Height direction

Claims (5)

회로기판의 실장면(實裝面)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장면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선상(線狀) 또는 축상(軸狀)의 제1 컨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2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끼워맞춤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당해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실장면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실장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반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2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to which a plug of a mating connector is fitted along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 housing defining a fitting space into which the plug is fitted;
A linear or axial first contact held in the housing;
A second contact held in the housing,
The first contact includes a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disposed in the fitt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fitting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he second contact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surf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And a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which is connectable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which is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is mountable on the circuit 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단면이 일정한 형상의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contact is formed using a part of the wire rod having a uniform cross section.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중간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중간부는 일부가 굴곡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부 측으로부터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 측을 향하여 상기 높이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당해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의 위치와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contact has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ben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side towar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side, and the width of the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Viewed from the direction,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part of the said 1st intermediate part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the said housing, The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said second contact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워맞춤방향과는 반대 측의 단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2 컨택트의 일부가 상기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삽입하여 통과되는 슬릿과, 당해 슬릿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측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 컨택트용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ousing is opened at an end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is inserted through the fitting direction and passed through the housing, and is disposed at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t. 2)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or a second contact for fixing the housing side fixing portion.
KR1020120049654A 2011-05-31 2012-05-10 Electric connector Active KR1018779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2134A JP5694057B2 (en) 2011-05-31 2011-05-31 Electrical connector
JPJP-P-2011-122134 201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005A true KR20120134005A (en) 2012-12-11
KR101877990B1 KR101877990B1 (en) 2018-07-12

Family

ID=4752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654A Active KR101877990B1 (en) 2011-05-31 2012-05-10 Electric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94057B2 (en)
KR (1) KR101877990B1 (en)
TW (1) TWI575818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411A (en) * 2018-10-22 2020-05-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9608B2 (en) * 2020-03-26 2024-02-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Card edge connectors and circuit boar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945Y2 (en) * 1988-04-27 1993-04-05
JPH0511664Y2 (en) * 1989-07-19 1993-03-23
JPH04174979A (en) * 1990-11-07 1992-06-23 Canon Inc Printed wiring board
JPH08250167A (en) * 1995-03-08 1996-09-27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pc card
TW539306U (en) * 2002-06-20 2003-06-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20050075008A1 (en) * 2003-10-01 2005-04-07 Spink William E. Power connector having latch devices on opposite sides and an anti-mismating structure
JP4973907B2 (en) * 2005-11-15 2012-07-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Dip connector
JP2009117218A (en) * 2007-11-07 2009-05-28 Jst Mfg Co Ltd Elastic body split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411A (en) * 2018-10-22 2020-05-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990B1 (en) 2018-07-12
TW201310791A (en) 2013-03-01
TWI575818B (en) 2017-03-21
JP5694057B2 (en) 2015-04-01
JP2012252780A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251B2 (en) connector
US1074195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397423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025532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12619B1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onductors
EP2019456B1 (en) Electric connector
EP1914841B1 (en) Electrical connector
JP5859938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683284B2 (en) Board connection terminal
CN103367978B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and plug connector
JP2009283357A (en) Connector structure for inter-board connection structure
JP5762187B2 (en) Connector mis-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CN115377719A (en) Terminal, wire connector and wire-to-board connector
JP2017111931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board connection
KR101625691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JP5787081B2 (en) Connector device
KR101877990B1 (en) Electric connector
CN110661113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08171627A (en) Female terminal fitting
JP6287977B2 (en) connector
JP2014035946A (en) On-board shield connector
KR101007791B1 (en)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board
WO2018221094A1 (en) Connector
JP556788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394013B2 (en) Shield case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hield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