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801A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3801A KR20120133801A KR1020110052652A KR20110052652A KR20120133801A KR 20120133801 A KR20120133801 A KR 20120133801A KR 1020110052652 A KR1020110052652 A KR 1020110052652A KR 20110052652 A KR20110052652 A KR 20110052652A KR 20120133801 A KR20120133801 A KR 201201338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elevator car
- elevator
- door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66B13/285—Toe guards or apr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1열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감지센서 모듈의 설치 위치와 감지센서가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1,2,3,…n : 제2열 감지센서 20 : 승강장
30 : 엘리베이터 카(또는 카) 30a : 엘리베이터 카 실(또는 카 실)
31 : 엘리베이터 카 실의 하부 측벽(또는 에이프런)
32 : 엘리베이터 카 도어(또는 카 도어)
33 : 승강장 도어
Claims (14)
-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1열 감지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개방되면 ON되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힐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근접한 감지센서부터 순차적으로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엘리베이터 카 폭의 1/4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 측벽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로 연장 설치된 에이프런(apron)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제1열 감지센서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2열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을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며,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한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되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엘리베이터 카 폭의 1/4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제2열 감지센서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열 감지센서 또는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 제어부에서의 도어열림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열리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에 구비되며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1열 감지센서가 ON되는 단계;
상기 제1열 감지센서에서 승객 또는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열 감지센서에서 승객 또는 물체가 검출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1열 감지센서 중에서 도어에 근접한 감지센서부터 순차적으로 OFF되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 중에서 ON 상태인 감지센서에서 승객이나 물체가 검출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완전히 닫거나 다시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제1열 감지센서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2열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열 감지센서에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을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로 검출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2열 감지센서에서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을 때 비정상위치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652A KR101324093B1 (ko) | 2011-06-01 | 2011-06-01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652A KR101324093B1 (ko) | 2011-06-01 | 2011-06-01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3801A true KR20120133801A (ko) | 2012-12-11 |
KR101324093B1 KR101324093B1 (ko) | 2013-10-31 |
Family
ID=4751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26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4093B1 (ko) | 2011-06-01 | 2011-06-01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40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26899A (zh) * | 2019-09-05 | 2019-12-31 |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 带框玻璃电梯轿厢门出入口监测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95529B (zh) | 2015-07-27 | 2020-01-31 | 奥的斯电梯公司 | 监测系统、具有监测系统的电梯门系统和方法 |
US11148908B2 (en) | 2018-10-25 | 2021-10-1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door with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open do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28459A (ja) * | 1994-02-14 | 1995-08-29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昇降機の敷居段差報知装置および戸閉まり報知装置 |
JPH11335043A (ja) * | 1998-05-21 | 1999-12-07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
JP5297895B2 (ja) * | 2009-05-27 | 2013-09-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JP5577636B2 (ja) * | 2009-07-06 | 2014-08-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
-
2011
- 2011-06-01 KR KR1020110052652A patent/KR10132409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26899A (zh) * | 2019-09-05 | 2019-12-31 |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 带框玻璃电梯轿厢门出入口监测系统 |
CN110626899B (zh) * | 2019-09-05 | 2023-07-28 |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 带框玻璃电梯轿厢门出入口监测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4093B1 (ko) | 2013-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77258B2 (ja) | 昇降路アクセス検知システム | |
JP7151032B2 (ja) | エレベータ | |
CN109923056B (zh) | 电梯安全装置和电梯 | |
JP5001170B2 (ja) | 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 | |
WO2011111096A1 (ja) | 安全位置センサ付きエレベータ | |
US9751727B1 (en) | Elevator entry and exit system and method with exterior sensors | |
KR102099668B1 (ko) |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 | |
KR20130030687A (ko) | 스크린도어 안전장치 | |
CN1986372A (zh) | 电梯设备 | |
JP2014097874A (ja) | エレベータの乗車検知システム | |
JP5297895B2 (ja)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
JP2011230920A (ja) |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 |
JP594495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1324093B1 (ko)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 |
JP2018095457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KR101331125B1 (ko) |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US20190389695A1 (en) | Elevator system | |
JPWO2007066375A1 (ja) |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 |
KR20220103868A (ko) | 방화셔터용 비상사태 제어장치 | |
JP2012162342A (ja) | エレベータ安全装置、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 |
JP543668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20045240A (ja) |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
JP2007254037A (ja) |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 |
JP2022000399A (ja) | 乗客コンベア | |
KR102530062B1 (ko) |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