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583A - Dust removing apparatus of brush for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removing apparatus of brush fo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3583A KR20120133583A KR1020110052302A KR20110052302A KR20120133583A KR 20120133583 A KR20120133583 A KR 20120133583A KR 1020110052302 A KR1020110052302 A KR 1020110052302A KR 20110052302 A KR20110052302 A KR 20110052302A KR 20120133583 A KR20120133583 A KR 201201335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main body
- roll
- dust
- clea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70 germ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52—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 브러쉬를 살균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청소기 흡입판(1)의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1)이 안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40)와,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6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brush dust removal device for clean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ush brush dus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brush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brush. In the brush brush vibration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rush (10) of the (10), the main body 20 on which the suction plate (1) is sea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disassembl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brush roll 40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rush 10 while being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45, and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brush 10 by being installed under the brush roll 40. It consists of a dust collecting part 60 to coll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 브러쉬를 살균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brush dust remo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ush brush dust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brush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brush.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이물질을 수집, 저장하는 먼지통과 먼지통 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팬부가 구비된 본체와 연결관을 매개로 먼지통과 연통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흡입파이프와 이 흡입파이프의 자유단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닥면에 맞닿아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팬부의 흡기력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어지는 흡입판과, 상기 흡입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composed of a hand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ntainer for collecting and storing foreign matter and the suction fan portion for forcibly sucking the air inside the dust container to discharge to the outside, the handle is predetermined A suction pipe having a length of and a suction plate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suction pipe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allow air to be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an par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part. It consists of a control means.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판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파이프 끝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분이다. The suction plate of the vacuum cleane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ction pipe of the vacuum cleaner and is used to directly contact the surface of the cleaning object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그리고, 통상의 흡입판에는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솔 형태의 브러쉬가 설치되는데, 그 브러쉬에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세균 등이 번식되어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brush in the form of a brush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ntional suction plate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hal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hair are attached to the brush, which causes bacteria to grow and contaminate indoor air. have.
또한, 종래에는 청소대상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위해 흡입판의 바닥면에 살균램프를 설치하는 기술들은 다수 게재되었으나, 정작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살균하는 기술은 게재된 바가 없어 이에 대해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In addition, in the past, a number of techniques for installing a sterilization lamp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for sterilizing effect on a cleaning object have been published. Need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함으로써 세균 등의 번식을 억제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leaner brush vibration suppression apparatus which suppresses the growth of bacteria and the like by removing and steriliz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leaner brush.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호스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자체 청소가 불가능한 먼지통 또는 먼지통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ush dust removal device for a cleaner to remove the dust around the dust container or the dust can not be cleaned by the vacuum cleaner using the suction h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청소기 흡입판(1)의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1)이 안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40)와,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60)로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brush brush vibration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여기서, 상기 브러쉬롤(40)는 롤(41)과 모재(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42)는 상기 롤(41)의 둘레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식재된다.Here, the
또한, 상기 브러쉬롤(4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브러쉬롤(40) 및 상기 브러쉬(10)를 살균하는 살균램프(50)가 더 설치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본체(20)에는 그 본체(20)의 내측면 상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판(1)에 의해 눌려지는 안전스위치(30)가 설치되고, 그 안전스위치(30)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작동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커버(21)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60)의 전방 본체(20)의 벽에는 공기흡입구(7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70)에는 상기 집진부(6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8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흡입호스(80)는 상기 공기흡입구(70)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7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75)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Her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살균하고, 자체 청소가 불가능한 청소기 내부 먼지통이나 먼지통 주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균 등의 번식을 막아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brush for the cleaner and sterilization, an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dust container or dust container surrounding the cleaner that can not be cleaned by itself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etc. to contaminate the indoor ai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의 개폐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흡입판에 의해 안전스위치가 눌려지는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ush brush dust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ush brush dust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ush brush dust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brush vibration damper for clean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showing a brush brush vibration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safety switch is pressed by the suction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brush dust removal device for a clean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청소기 흡입판(1)의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1)이 안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40)와,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60)로 이루어진다. The brush brush vibration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ush brush dust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살균하여 세균 등의 번식을 막아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및 하기에서 설명되는 살균램프(50) 등은 별도의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당연히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leaner brush vibration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indoor air by removing germs and sterilization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brush for cleaning, and thus, the driving means 45 and the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본체(20)와, 브러쉬롤(40)와, 집진부(60)로 이루어진다.The brush brush vibration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제진 대상물인 브러쉬(10)가 설치된 청소기의 흡입판(1)이 안착된다.First, the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롤(4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o Figure 3, the
즉, 상기 브러쉬롤(40)의 교체 또는 세척을 위해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구동수단(45)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하게 된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45)은 일 실시예로 모터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브러쉬(10)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해 벨트로 연결되거나 감속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쉬롤(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채택 가능하다.Here, the driving means 45 is preferably a motor in one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the belt or use a reducer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롤(40)는 롤(41)과 모재(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42)는 상기 롤(41)의 둘레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식재되어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모두 제거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2 the
이때, 상기 브러쉬롤(40)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안전스위치(30)의 누름동작에 의해 동작되지만 별도의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집진부(60)는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을 포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집진부(60)는 진공흡입장치(61)와, 그 진공흡입장치(61)의 전방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필터(62)와, 그 제1필터(62)를 통과하여 흡입되어진 이물질을 다시 한번 걸러주는 제2필터(63)로 이루어진다.The
즉, 상기 브러쉬롤(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하측으로 떨어지고, 그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진공흡입장치(61)에 의해 흡입되면서 상기 제1필터(62)에 의해 1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상기 제1필터(62)를 통과한 미세 이물질을 상기 제2필터(63)에서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여기서, 상기 브러쉬롤(40)와 집진부(60)의 사이에는 상기 브러쉬롤(40)에 의해 제거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을 상기 제1필터(62)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판(90)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between the
한편, 상기 브러쉬롤(4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브러쉬롤(40) 및 상기 브러쉬(10)를 살균하는 살균램프(50)가 더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말해,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상기 브러쉬롤(40)와 이격된 채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 또는 상기 브러쉬롤(40) 및 브러쉬(10)를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ner side of the
상기 살균램프(5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또는 상기 브러쉬롤(40) 및 브러쉬(10)를 살균할 수 있는 UV, 오존, 광촉매를 이용한 램프이면 모두 채택 가능하다.The
이때, 상기 살균램프(50)는 상기 브러쉬롤(40)와 마찬가지로 하기에서 설명되는 안전스위치(30)의 누름동작에 의해 동작되지만 별도의 램프스위치(미도시)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고, 공지된 기술의 타이머(미도시)를 이용하여 동작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에는 그 본체(20)의 내측면 상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판(1)에 의해 눌려지는 안전스위치(30)가 설치되고, 그 안전스위치(30)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작동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다시 말해, 상기 흡입판(1)을 본체(20)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그 본체(20)의 상단부로 돌출된 상기 안전스위치(30)를 누르게 되고, 눌려진 안전스위치(30)의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여기서, 상기 안전스위치(30)는 푸쉬풀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즉, 상기 브러쉬(10)가 상기 흡입판(1)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에 작동되고, 상기 브러쉬(10)의 제진 및 살균작업이 끝나 상기 흡입판(1)의 안착을 해제하여 상기 안전스위치(30)가 돌출되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의 작동이 동시에 멈추게 되어, 각 구성 별로 각각의 스위치를 ON/OFF 해야하는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비용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ile the
또한, 상기 안전스위치(30)를 상기 본체의 양측에 설치하고, 양측에 설치된 안전스위치(30)가 동시에 눌려져야만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로 일측의 안전스위치(30)가 눌려 불필요한 작동을 한다거나 상기 살균램프(50)의 빛에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커버(21)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60)의 전방 본체(20)의 벽에는 공기흡입구(7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70)에는 상기 집진부(6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8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다시 말해, 상기 집진부(60)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호스(80)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내부 먼지통과 먼지통 주변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by operating the
이때,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상기 집진부(60)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커버(21)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0)의 상측을 폐쇄하되, 상기 커버(21)는 상기 안전스위치(30)와 브러쉬롤(4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기 흡입호스(80)는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상기 공기흡입구(70)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호스(80)를 분해결합할 경우 상기 공기흡입구(70)를 여닫을 수 있는 개폐수단(75)이 더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75)은 일 실시예로 상기 집진부(60)의 전방 본체(20)의 벽 내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70)의 상/하측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가이드레일(76)과, 그 가이드레일(76)을 따라 공기흡입구(70)를 개폐하는 개폐캡(77)과, 그 개폐캡(77)의 일측면에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78)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흡입구(70)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캡(77)이 개구될 경우 상기 손잡이(78)를 안내하는 안내홈(79)이 형성된다.Here, the opening and
상기 개폐수단(75)은 상술한 일 실시예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흡입구(7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채택 가능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75 may be adopted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또한, 상기 집진부(60)만을 작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상기 본체(20)의 외측에 설치하여 청소기의 먼지통이나 먼지통 주변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eparate switch (not shown) capable of operating only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커버(21)를 열고 상기 흡입판(1)을 본체(20)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그 흡입판(1)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30)가 눌려지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안전스위치(30)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브러쉬롤(40)가 제거하게 되고, 제거된 이물질은 하부로 떨어지면서 상기 집진부(60)에 의해 포집되며, 상기 살균램프(50)에 의해 상기 브러쉬(10), 브러쉬롤(40), 본체(20)의 내부 등이 살균되어 세균 등의 번식을 막아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커버(21)를 닫고 상기 공기흡입구(70)를 열어 흡입호스(80)를 연결한 뒤, 상기 집진부(60)를 작동시켜 청소기의 자체 청소가 불가능한 먼지통이나 먼지통 주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brush dust removal apparatus for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intended to describe in detail as much as possible, which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1: 흡입판 10: 브러쉬
20: 본체 21: 커버
30: 안전스위치 40: 브러쉬롤
41: 롤샤프트 42: 모재
45: 구동수단 50: 살균램프
60: 집진부 61: 진공흡입장치
62: 제1필터 63: 제2필터
70: 공기흡입구 75: 개폐수단
76: 가이드레일 77: 개폐캡
78: 손잡이 79: 안내홈
80: 흡입호스 90: 유도판
100: 제어부1: suction plate 10: brush
20: main body 21: cover
30: safety switch 40: brush roll
41: roll shaft 42: base material
45: drive means 50: sterilization lamp
60: dust collector 61: vacuum suction device
62: first filter 63: second filter
70: air intake 75: opening and closing means
76: guide rail 77: opening and closing cap
78: handle 79: guide groove
80: suction hose 90: guide plate
100: control unit
Claims (6)
상기 흡입판(1)이 안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40)와,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In the brush brush vibration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rush 10 of the vacuum cleaner suction plate (1),
A main body 20 on which the suction plate 1 is seated;
A brush roll 40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decomposed and coupled therein, thereby remov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rush 10 while being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45;
Cleaner brush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ust collector (6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ush roll 40 to collect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brush (1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ush roll 40 is composed of a roll 41 and the base material 42, the base material 4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ting in a spir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ll 41 Brush brush dust removal device.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ush roll 40 is spaced apart from the brush roll 40 for sterilizing the brush roll 40 and the brush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er brush dust removal device is further installed. .
4. The safety switch (30)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safety switch (30) projecting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pressed by the suction plate (1). The brush dust removing device for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means 45, the dust collecting unit 60, the sterilization lamp 50 is operated simultaneously by the pr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2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the air inlet 70 is formed in the wall of the front body 20 of the dust collector 60, the air intake 70 ) Is a suction brush cleaner for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hose (80) is installed to suck the outside air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or (60).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ction hose 80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70 so as to be disassembled and coupl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7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70). Brush vibration damper for clean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302A KR101300755B1 (en) | 2011-05-31 | 2011-05-31 | Dust removing apparatus of brush fo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302A KR101300755B1 (en) | 2011-05-31 | 2011-05-31 | Dust removing apparatus of brush fo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3583A true KR20120133583A (en) | 2012-12-11 |
KR101300755B1 KR101300755B1 (en) | 2013-08-29 |
Family
ID=4751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23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0755B1 (en) | 2011-05-31 | 2011-05-31 | Dust removing apparatus of brush fo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75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997697A (en) * | 2022-12-28 | 2023-04-25 | 宿州市三军牧业设备有限公司 | A chicken coop cleaning and sterilization integrated equipment and its use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64869U (en) * | 1984-10-02 | 1986-05-02 | ||
JPS6330938U (en) * | 1986-08-19 | 1988-02-29 | ||
KR100444717B1 (en) * | 2003-03-19 | 2004-08-25 | 주태숙 | Brush type cleaner having ultraviolet rays sterilizing action |
-
2011
- 2011-05-31 KR KR1020110052302A patent/KR10130075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997697A (en) * | 2022-12-28 | 2023-04-25 | 宿州市三军牧业设备有限公司 | A chicken coop cleaning and sterilization integrated equipment and its us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0755B1 (en) | 2013-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8130B1 (en) | air cleaner | |
KR101356519B1 (en) | Vacuum cleaner | |
KR100332982B1 (en)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 |
KR102076931B1 (en) | Air cleaner automaticly cleaning filter | |
KR101524170B1 (en)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 |
KR20160115497A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TWI753493B (en) | Vacuum cleaner | |
EP1921970A1 (en) |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 |
JP2016540546A (en) | Dust container | |
KR20110035636A (en) | Filter unit of air purifier | |
WO2013100131A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2683649B1 (en) | Cleaning apparatus with automatic electric charging and dust discharging | |
KR100902921B1 (en) | Air purifier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 |
KR101742738B1 (en) |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 |
KR100842098B1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air filter for air purification | |
KR101300755B1 (en) | Dust removing apparatus of brush for cleaner | |
KR101408571B1 (en) | Cartridge type movable dust collector | |
KR20170046345A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0437374B1 (en) | Cyclone dust-collec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 |
KR102485200B1 (en) | Hand type vacuum cleaner with ionizer | |
US20060278088A1 (en) | Vacuum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violet radiation for sanitization | |
KR102716829B1 (en) | Air cleaner | |
KR20180002308A (en) | Clean apparatus | |
KR20220133647A (en) | apparatus to collect dirt of vacuum cleaner dirt casing | |
KR20130022264A (en) | Case assembly of humidifying air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