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32054A -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054A
KR20120132054A KR1020110050631A KR20110050631A KR20120132054A KR 20120132054 A KR20120132054 A KR 20120132054A KR 1020110050631 A KR1020110050631 A KR 1020110050631A KR 20110050631 A KR20110050631 A KR 20110050631A KR 20120132054 A KR20120132054 A KR 20120132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data
video data
channe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165B1 (ko
Inventor
최고운
김창균
석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165B1/ko
Priority to EP11008232.8A priority patent/EP2528339B1/en
Priority to EP19211575.6A priority patent/EP3634001A1/en
Priority to US13/288,522 priority patent/US9015758B2/en
Priority to CN201110397441.6A priority patent/CN102802087B/zh
Priority to CN201510259264.3A priority patent/CN104883601B/zh
Publication of KR2012013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054A/ko
Priority to US14/663,259 priority patent/US97629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165B1/ko
Priority to US15/692,283 priority patent/US10085065B2/en
Priority to US16/120,811 priority patent/US10484744B2/en
Priority to US16/664,018 priority patent/US11388479B2/en
Priority to US17/752,174 priority patent/US11902627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이전에 실행되었던 기록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OSD 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는 믹서와, 그리고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는, 예컨대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디바이스이다. 또한, 최근에 있어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최근 들어, 영상표시기기의 기능 및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 TV(Smart TV)가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된 히스토리를, 유저가 용이하게 확인 또는 액세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메모리 등의 성능 개선으로 더 많은 기능들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전술한 문제점은 더 심각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path)를 통해 수신된 컨텐트(예를 들어, 채널 또는 아이템 등)들의 사용 히스토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컨텐트 그룹을 각각 2개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최근(recent) 사용하였던 컨텐트 그룹에 보다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설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전에 사용되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리스팅 하는 제1리스트와 이전에 튜닝되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리스팅 하는 제2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리스트 및 제2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제2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리스트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특정 아이템을 실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3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리스트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중에서 특정 채널로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이전에 실행되었던 기록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OSD 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는 믹서와, 그리고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path)를 통해 수신된 컨텐트(예를 들어, 채널 또는 아이템 등)들의 사용 히스토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컨텐트 그룹을 각각 2개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최근(recent) 사용하였던 컨텐트 그룹에 보다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이 실행된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1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2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3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4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5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6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110), 디모듈레이터(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컨트롤러(160), 유저 인터페이스(170), 디스플레이 모듈(180), 그리고 스피커(190) 등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모듈들은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 튜너(110)는,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디모듈레이터(120)는, 상기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디모듈레이터(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TS(Transport Stream)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TS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상기 디모듈레이터(120)에서 출력한 TS 신호는 상기 컨트롤러(160)로 입력된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80)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피커(190)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는, 예를 들어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BD(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한다. 나아가,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160) 또는 상기 메모리(150)로 전달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컨트롤러(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한다. 나아가,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튜너(11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그리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외부에 위치한 리모트 컨트롤러(195)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된 로컬 키 버튼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95)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튜너(110), 상기 디모듈레이터(12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그리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160)의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상기 컨트롤러(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예를 들어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스피커(190)는, 상기 컨트롤러(16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모듈에 해당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내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내 컨트롤러는, 디멀티플렉서(161), 영상 처리부(163), OSD 제너레이터(162), 믹서(167),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168), 포맷터(169), 그리고 오디오 프로세서(166) 등을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실시예이며,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디멀티플렉서(161)는, 입력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TS)를 역다중화 하고, 영상 처리부(163)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부(163)는, 디코더(164) 및 스케일러(16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디코더(164)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16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166)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한다.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믹서(167)는,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163)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한다. 따라서, 방송 데이터 및 각종 OSD 그래픽이 동시에 오버레이된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Frame Rate Conveter; FRC)(168)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 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맷터(169)는,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168)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모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개의 컨텐트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너(110)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디멀티플렉서(120)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한다.
상기 메모리(150)는, 이전에 실행되었던 기록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컨텐트는, 예를 들어 채널 또는 다른 아이템에 해당한다. 상기 메모리(15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한다. 상기 커맨드는,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그룹의 컨텐트들에 대한 리스팅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이다.
상기 컨트롤러(160)내 OSD 제너레이터(162)는,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가 상기 컨트롤러(160)와 별도의 모듈로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컨트롤러(160)내 믹서(167)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한다. 물론, 상기 믹서(167)가 상기 컨트롤러(160)와 별도의 모듈로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8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채널 리스트 및 아이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영역을 선택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에 포함된 아이템 또는 채널의 숫자가 기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가이드를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아이템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센트" 기능을 새롭게 정의한다. 상기 리센트 기능은, 예를 들어 제1그룹(채널)과 제2그룹(나머지 아이템들)에 속하는 각각의 컨텐트 중 최근에 사용된 히스토리가 있는 채널 및 아이템을 신속하게 리스팅 해 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전술한 리센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2가지 팩터(factor)가 필요하다.
우선, 최근에 사용된 히스토리가 있는 채널 또는 아이템을 판단하기 위한 추출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 사용된 히스토리가 있는 채널 또는 아이템으로 결정된 경우, 어떤 정보를 리스트에 표시할지 여부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임의의 제1채널에서 특정 시간 이상(예를 들어, 10초 이상) 튜닝된 상태가 유지된 경우, 최근 접속한 히스토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기 제1채널을 리센트 기능과 관련된 제1리스트에 저장한다.
또한, 임의의 채널을 상기 제1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경우, 상기 임의의 채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채널 번호, 또는 채널명 등을 함께 맵핑하여 상기 제1리스트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제1리스트에 포함된 채널의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하는 솔루션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이 아닌 나머지 아이템들의 추출 기준은, 각 아이템이 실행된 히스토리가 있는지 여부로 주로 판단한다. 최근 실행된 아이템들을, 리센트 기능과 관련된 제2리스트에 저장한다. 상기 아이템들은, 예를 들어 동영상, 사진, 음악, 어플리케이션, 웹, 셋팅, 인풋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최근 튜닝된 히스토리가 있는 채널들의 리스트와 최근 사용된 히스토리가 있는 아이템들의 리스트를 각각 별도로 관리하도록 설계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튜닝된 채널들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에 저장된다. 이 때, 각 채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리스트에 함께 저장하도록 설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가지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포맷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우선순위는 일실시예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우선순위만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채널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상 튜닝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대표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CP(Content Provider)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채널을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상 튜닝된 경우, 채널 로고 또는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리스트에 저장하도록 설계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근 액세스된 채널 리스트 및 최근 액세스된 아이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는 메모리의 제1어드레스에 저장하도록 설계하고, 아이템 리스트는 상기 메모리의 제2어드레스에 저장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어드레스를 설계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최근 접속한 채널들의 리스트와 다른 아이템들의 리스트를 각각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의 경우, 채널 7, 채널 5, 채널 4, 채널 11,.....채널 9의 순서로 최근 튜닝된 히스토리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다른 아이템 리스트(채널을 배제)의 경우, 에이스북, 웹사이트, 사진(파일명 : KIM), 취침예약,....사진(파일명 : YS)의 순서로 최근 튜닝된 히스토리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나아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채널 8번의 방송을 시청하고, 무비라는 타이틀의 동영상을 이용한 것으로 가정하면, 도 5에 도시된 메모리 어드레스의 리스트는 도 6에 도시된 메모리 어드레스의 리스트로 변경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제1어드레스의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 8번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 제2어드레스의 아이템 리스트에서는 무비라는 타이틀의 동영상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이 실행된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이 실행된 그래픽 데이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리센트 기능이 실행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2가지 영역에 각각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1영역(710)에는 일반 방송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반면, 제2영역(720)에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들 각각에 저장된 채널 리스트(730) 및 아이템 리스트(740)가 출력된다.
상기 채널 리스트(730) 내에서, SBC, KBC1, KBC2, MBS 의 순서로 해당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순서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액세스 한 채널부터 차순으로 액세스한 채널들의 순서이다.
상기 아이템 리스트(740) 내에서, 에이스북, 웹사이트(BAUM), 사진(파일명 : KIM), T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로 해당 아이콘 또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순서는,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액세스 한 아이템부터 차순으로 액세스한 아이템들의 순서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삭제 모드(750)는, 전술한 채널 리스트(730) 및 아이템 리스트(74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유저가 원하지 않는 컨텐트를 신속하게 삭제할 수 있는 옵션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여러가지 옵션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795)를 이용하여 선택 가능하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95)의 입력 신호에 따른 피드백 그래픽 데이터(796)가 스크린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95)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피드백 그래픽 데이터(796)가 엑시트 옵셥(760)에 위치한 경우, 이전 화면으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제2영역(720)에 디스플레이된 리스트들이 모두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데이터와 채널 및 아이템을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한 경우, 사용자는 현재 수신 중인 방송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복수개의 컨텐트 그룹에 대한 이전 사용 히스토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795)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리모트 컨트롤러(895)에 대응하는 포인터(896)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모듈들로 설계되어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895)를 상하, 좌우(도 8의 (b)), 앞뒤(도 8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표시된 포인터(896)는 리모트 컨트롤러(895)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895)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896)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모션 리모콘 또는 공간 리모컨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8의 (b)는 리모트 컨트롤러(895)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표시된 포인터(896)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895)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895)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800)로 전송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리모트 컨트롤러(895)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896)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896)를 표시한다. 상기 포인터(896)의 그래픽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화살표 모양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또는 십자가 모양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도 8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895)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895)를 디스플레이 장치(80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896)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80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895)를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896)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800)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995)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925), 사용자 입력부(935), 센서부(940), 출력부(950), 전원공급부(960), 저장부(970), 제어부(98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9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995)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9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9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995)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9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923)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RF 신호 및 IR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995)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900)를 제어하기 위해 RF 신호만 처리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IR 신호만 처리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RF 신호 및 IR 신호를 모두 처리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이하 설명하도록 하겠다.
리모트 컨트롤러(995)는, 디스플레이 장치(900)로 리모트 컨트롤러(995)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9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995)는, 디스플레이 장치(9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921)을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995)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9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9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9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935)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9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940)는 자이로 센서(941) 또는 가속도 센서(943)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자이로 센서(941)는 리모트 컨트롤러(995)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941)는 리모트 컨트롤러(995)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843)는 리모트 컨트롤러(995)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9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950)는 사용자 입력부(9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9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9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9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9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950)는 사용자 입력부(9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9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9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9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9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9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957)을 더 구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전원공급부(960)는 리모트 컨트롤러(995)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960)는 리모트 컨트롤러(995)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960)는 리모트 컨트롤러(995)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970)는 리모트 컨트롤러(995)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980)는 리모트 컨트롤러(995)의 제어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움직여서, 리센트 리스트에 표시된 옵션들을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리센트 리스트에 표시된 옵션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1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1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10은 사용자가 최근 액세스하였던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는 방송 화면이 출력되고, 제2영역에는 2개 그룹에 대한 최근 사용된 컨텐트 리스트가 출력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2영역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겹치는 부분은, 방송 화면을 불투명한 그래픽으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2개 그룹은, 예를 들어 채널에 대한 그룹 및 아이템에 대한 그룹에 해당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095)를 이용하여 최근 튜닝된 채널 리스트에서 특정 SBC 채널(1097)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95)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인디케이터(1096)가 상기 특정 SBC 채널(1097)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문 경우, 상기 특정 SBC 채널이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1096)가 상기 특정 SBC 채널(1097)에 위치한 후 다른 특정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특정 SBC 채널이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a)에서 튜닝되었던 채널 대신, SBC 채널로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채널 및 아이템 리스트도 동시에 사라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2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2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11은 사용자가 최근 액세스하였던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는 방송 화면이 출력되고, 제2영역에는 2개 그룹에 대한 최근 사용된 컨텐트 리스트가 출력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2영역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겹치는 부분은, 방송 화면을 불투명한 그래픽으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2개 그룹은, 예를 들어 채널에 대한 그룹 및 아이템에 대한 그룹에 해당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195)를 이용하여 최근 실행되었던 아이템 리스트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1197)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95)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인디케이터(1196)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1197)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문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1196)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1197)에 위치한 후 다른 특정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a)에서 튜닝되었던 채널 대신, 전술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설계한다. 또한, 도 10은 방송 모드가 계속 유지되는 실시예인 반면, 도 11은 방송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드로 변경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3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3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전 도 10 및 도 11에서는, 채널 및 아이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트를 오직 하나만 선택하는 경우로 제한되었다. 반면, 도 12에서는 채널 및 아이템 리스트에서 각각 특정 채널 및 특정 아이템을 모두 선택하는 솔루션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12의 (a)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1295)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인디케이터(1296)를 특정 방송 채널(1297)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295)의 확인 버튼을 2번 누른 경우 상기 특정 방송 채널(1297)로 바로 튜닝된다.
그러나, 상기 인디케이터(1296)를 특정 방송 채널(1297)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295)의 확인 버튼을 1번만 누른 경우 상기 특정 방송 채널(1297)로 바로 튜닝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이외 같이 설계하는 경우, 채널이 아닌 아이템 리스트에서 특정 아이템을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방송 채널(1297)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상기 인디케이터(1296)를 특정 어플리케이션(1298)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295)의 확인 버튼을 2번 누른 경우, 도 12의 (b)에 도시된 더블 모드(double mode)로 전환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왼쪽 영역에는 선택된 특정 채널(1297)로부터의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하고, 화면의 오른쪽 영역에는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1298)이 실행되도록 설계한다. 물론, 각 영역의 위치 및 모양을 조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4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4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 도 1 내지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센트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그룹에 대한 리스트와 아이템 그룹에 대한 리스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다만, 경우에 따라 각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컨텐트가 존재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삭제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한 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센트 기능이 실행된 경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튜닝된 채널들의 리스트 및 최근 실행된 아이템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보충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395)의 인디케이터(1396)가 삭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1397)에 위치한 경우,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컨텐트의 그래픽 데이터가 변경된다. 또한, 도 13a와 도 13b를 비교하여 볼 때, 삭제 모드 영역(1397)은 삭제 버튼(1350)으로 변경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1301)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395)의 인디케이터(1396)를 특정 채널(1380)에 위치시킨 것으로 가정하겠다. 물론, 도 13b에서는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채널 및 복수개의 아이템을 리스트에서 동시에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채널(1380)의 체크 박스(1301)에 V 모양의 그래픽이 추가되었다. 이는, 선택 여부를 고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다른 모양 및 색상으로 설계 가능하다. 또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395)의 인디케이터(1396)를 삭제 버튼(1350)에 위치시킨 다음, 확인 버튼을 누른 경우, 도 13d의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된다.
즉,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특정 채널이 리센트(recent) 리스트에서 삭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1310)가 디스플레이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에서 해당 특정 채널을 삭제하고,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에서 나머지 채널들의 위치가 앞으로 이동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 버튼은 삭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1397)으로 다시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삭제하고자 하는 채널을 보다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에 대하여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리스트(도 13a에 도시된 채널 리스트), 제2리스트(도 13a에 도시된 기타(other) 리스트) 및 삭제 모드를 위한 인디케이터(도 13a의 1397)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도 13a에 도시된 1397)가 선택된 경우, 상기 리스트들 각각에 나열된 아이템 또는 채널을 표시하는 제1그래픽 데이터를 제2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도 13a와 도 13b를 비교하여 볼 때, 상기 제1그래픽 데이터는 체크 박스를 포함하지 않는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한다(도 13a). 반면, 상기 제2그래픽 데이터는,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한다(도 13b).
또한, 상기 제2그래픽 데이터(도 13b의 1301, 1380)를 참조하여,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채널을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해당 리스트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한다(도 13의 d 참조).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5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5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센트 기능이 실행된 경우, 도 14a에 도시된 그래픽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때, 도 14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총 4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가 있다.
제1영역(1410) 및 제4영역(1440)은,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지만 리센트 기능과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이다. 반면, 제2영역(1420) 및 제3영역(1430)은,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리센트 기능과 관련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이다. 다만, 상기 제2영역(1420) 및 상기 제3영역(1430)에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는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위에 오버레이된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도 14a에 도시된 제1영역(1410) 또는 제4영역(1440)에 리모트 컨트롤러의 인디케이터(1496)가 일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 또는 위치한 다음 특정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이 선택된 경우, 도 14b로 전환된다.
즉,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이전 제2영역(1420) 및 제3영역(1430)에서의 리스트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만 전체 영역에서 출력되도록 설계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제6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전술하여 제1프로세스 내지 제6프로세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현이다. 따라서, 전술한 각 프로세스의 순서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따라 권리범위가 결정되어야 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튜닝된 채널에 대한 리스트를 제1영역(1510)에 표시하고, 최근 실행된 아이템에 대한 리스트를 제2영역(1520)에 표시한다. 그러나, 전술한 영역들(1510, 1520)은 모두 제한된 공간만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의 모든 컨텐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의 모든 컨텐트를 한 화면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어, 리스트에 기록된 채널 또는 아이템의 숫자가 5개를 초과하는 경우),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page로 이동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터(1500)가 출력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595)의 인디케이터(1596)를 상기 그래픽 데이터(1500)에 위치시켜서, 좌 또는 우의 방향으로 페이지를 넘길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1596)가 상기 그래픽 데이터(1500)의 오른쪽 화살표를 선택한 경우, 도 15b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5a에서는 제1영역(1510)에 채널 1, 채널 2, 채널 3, 채널 4, 채널 5를 리스팅 하고, 제2영역(1520)에 아이템 1, 아이템 2, 아이템 3, 아이템 4, 아이템 5를 리스팅 하고 있었으나, 도 15b에서는 제1영역(1530)에 채널 6, 채널 7, 채널 8, 채널 9, 채널 10을 리스팅 하고, 제2영역(1540)에 아이템 6, 아이템 7, 아이템 8, 아이템 9, 아이템 10을 리스팅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5a 및 도 15b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리스트에 나열된 컨텐트들을 그룹 단위 또는 페이지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그룹에 대한 리센트(recent) 기능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 16을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S1601). 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한다(S1602).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한다(S1603).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커맨드를 수신한다(S1604).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전술하여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에 사용되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리스팅 하는 제1리스트와 이전에 튜닝되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리스팅 하는 제2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 한다(S1605).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리스트 및 제2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1606). 이전 도 7을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제2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리스트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특정 아이템을 실행한다(S1607). 이전 도 11을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제3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리스트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중에서 특정 채널로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제어한다(S1608). 이전 도 10을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1605 단계는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에 실행된 기록이 있는 아이템부터, 상기 메모리의 제1어드레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에 튜닝된 기록이 있는 채널부터, 상기 메모리의 제2어드레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의 제1어드레스 및 제2어드레스에 각각 액세스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1606 단계는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리스트 및 상기 제2리스트를 제2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역이 아닌 상기 제1영역을 선택하는 제4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리스트 및 상기 제2리스트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1606 단계는, 상기 제1리스트에 리스팅된 아이템 또는 상기 제2리스트에 리스팅된 채널의 숫자가 기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가이드를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아이템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제3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1606 단계는, 상기 제1리스트, 상기 제2리스트 및 삭제 모드를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리스트들 각각에 나열된 아이템 또는 채널을 표시하는 제1그래픽 데이터를 제2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2그래픽 데이터를 참조하여,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된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채널을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해당 리스트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95 :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10)

  1.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단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되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리스팅 하는 제1리스트와 이전에 튜닝되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리스팅 하는 제2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리스트 및 제2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제2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리스트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특정 아이템을 실행하는 단계; 그리고
    제3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리스트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중에서 특정 채널로 튜닝이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하는 단계는,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에 실행된 기록이 있는 아이템부터, 상기 메모리의 제1어드레스에 저장하는 단계;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에 튜닝된 기록이 있는 채널부터, 상기 메모리의 제2어드레스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모리의 제1어드레스 및 제2어드레스에 각각 액세스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리스트 및 상기 제2리스트를 제2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되어 있음-
    상기 제2영역이 아닌 상기 제1영역을 선택하는 제4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리스트 및 상기 제2리스트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1리스트에 리스팅된 아이템 또는 상기 제2리스트에 리스팅된 채널의 숫자가 기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가이드를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아이템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제3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1리스트, 상기 제2리스트 및 삭제 모드를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리스트들 각각에 나열된 아이템 또는 채널을 표시하는 제1그래픽 데이터를 제2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2그래픽 데이터를 참조하여,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특정 아이템 또는 특정 채널을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해당 리스트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디멀티플렉서;
    이전에 실행되었던 기록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OSD 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는 믹서; 그리고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에 실행된 기록이 있는 아이템부터, 제1어드레스에 저장하고, 그리고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최근에 튜닝된 기록이 있는 채널부터, 제2어드레스에 저장하고 있는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제2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이 아닌 상기 제1영역을 선택하는 커맨드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가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스팅 하는 그래픽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에 포함된 아이템 또는 채널의 숫자가 기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가이드를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아이템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50631A 2011-05-26 2011-05-27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155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631A KR101556165B1 (ko) 2011-05-27 2011-05-27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1008232.8A EP2528339B1 (en) 2011-05-26 2011-10-12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9211575.6A EP3634001A1 (en) 2011-05-26 2011-10-12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288,522 US9015758B2 (en) 2011-05-26 2011-11-03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110397441.6A CN102802087B (zh) 2011-05-26 2011-12-02 处理多个应用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201510259264.3A CN104883601B (zh) 2011-05-26 2011-12-02 处理多个应用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4/663,259 US9762969B2 (en) 2011-05-26 2015-03-19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692,283 US10085065B2 (en) 2011-05-26 2017-08-31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120,811 US10484744B2 (en) 2011-05-26 2018-09-04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664,018 US11388479B2 (en) 2011-05-26 2019-10-25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752,174 US11902627B2 (en) 2011-05-26 2022-05-24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631A KR101556165B1 (ko) 2011-05-27 2011-05-27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054A true KR20120132054A (ko) 2012-12-05
KR101556165B1 KR101556165B1 (ko) 2015-09-30

Family

ID=4751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631A Active KR101556165B1 (ko) 2011-05-26 2011-05-27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1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760A (ko) * 2012-12-13 201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검색 기능이 탑재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46933A1 (en) * 2013-09-27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10087872A (ko) * 2020-01-0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5037655A1 (ko) * 2023-08-16 2025-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363B1 (ko) 2011-12-14 2017-07-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68200A (ko) * 2021-11-10 202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6248B1 (en) * 1997-04-14 2004-09-0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ystem for automatically forming a program guide from information derived from multiple sources
KR100864412B1 (ko) * 2007-02-20 2008-10-22 (주)지에스강남방송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의 방송 채널 히스토리 목록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760A (ko) * 2012-12-13 201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검색 기능이 탑재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46933A1 (en) * 2013-09-27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877080B2 (en) 2013-09-27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10087872A (ko) * 2020-01-0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51643B2 (en) 2020-01-03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WO2025037655A1 (ko) * 2023-08-16 2025-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165B1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4207B (zh) 图像显示设备
EP2528339B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11240B2 (en)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5454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93323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KR10199218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56165B1 (ko)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1249B1 (ko)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
KR101661973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70119572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7297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87745B1 (ko)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21200B1 (ko)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11645A1 (ja) 映像コンテンツ選択装置及び映像コンテンツ選択方法
US1218492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205160B1 (ko)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US1223173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871709B1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US20230247260A1 (en) Mobile terminal
KR102281839B1 (ko) 영상제공장치
KR1017204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4091A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KR20110134088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917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