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9377A -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377A
KR20120129377A KR1020110047602A KR20110047602A KR20120129377A KR 20120129377 A KR20120129377 A KR 20120129377A KR 1020110047602 A KR1020110047602 A KR 1020110047602A KR 20110047602 A KR20110047602 A KR 20110047602A KR 20120129377 A KR20120129377 A KR 20120129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ctobacillus
antibiotic
fermen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662B1 (ko
Inventor
소광섭
김병만
이구억
소재욱
Original Assignee
소광섭
세상생명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광섭, 세상생명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소광섭
Priority to KR102011004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6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6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귤박, 바나나, 파인애플, 대두박 등의 혼합물(이하, 과즙이라 칭한다.)에 당류를 첨가 시킨 후, 공지균 아스퍼질루스 나이가(Aspergillus nicer) NRRL 2322(ATCC 10577)을 접종하여 32~35℃에서 5~10일간 1차 배양하여 발효숙성되어 안정화된 과즙 배양액에서부터 구연산을 비롯한 발효 유기산이 생성되고, 생성한 뒤 스코리아(Scoria/제주산 화산석/일명 : 송이)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종균을 접종하여 28~35℃에서 5~7일간 순차적으로 2차 발효시켜 1차 발효하여 생성된 발효 유기산에 의해 내산성이 뛰어나고, 유해 세균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L-5와 락토바실러스 속의 L-6 유산균을 발육 시키고, 유기산에 의해 용해된 송이의 이온미네랄과 대두박으로 부터 발효 분리된 아미노산과 결합하여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 미네랄이 생성되어 안정되고 숙성된 일정한 규격의 품질을 갖는 유기산에 의한 유산균 발효 조성물과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 미네랄을 제조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일 등 혼합물의 발효물은 다양한 발효 유기산과 유산균과 당류를 함유하고,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 미네랄을 생성하게 되어 항균 활성 및 생균제에 의한 프로바이오 효과 및 항균제, 항생제 대체 식품 및 면역증강제 사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동물이나 사람에게 안전성이 있으며, 내산성이 우수하고, 유해 세균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서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을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SUBSTITUTES OF IMMUNITY REINFORCEMENT AGENT AND ANTIBIOTIC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귤박, 바나나, 파인애플, 대두박 등의 혼합물(이하, 과즙이라 칭한다.)에 당류를 첨가 후, 공지균 아스퍼질루스 나이가(Aspergillus nicer) NRRL 2322(ATCC 10577)을 접종하여 32~35℃에서 5~10일간 1차 배양하여 발효숙성되어 안정화된 과즙 배양액에서부터 구연산을 비롯한 발효 유기산이 생성되고, 생성한 뒤 스코리아(Scoria/제주산 화산석/일명 : 송이)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종균을 접종하여 28~35℃에서 5~7일간 순차적으로 2차 발효시켜 1차 발효하여 생성된 발효 유기산에 의해 내산성이 뛰어나고, 유해 세균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니움 L-5와 락토바실러스 속의 L-6 유산균을 발육 시키고, 유기산에 의해 용해된 송이의 이온미네랄과 대두박으로 부터 발효 분리된 아미노산과 결합하여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 미네랄이 생성되어 안정되고 숙성된 일정한 규격의 품질을 갖는 유기산에 의한 유산균 발효 조성물과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 미네랄을 제조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의 발효 유기산을 생성하는 기술로는 종래에도 귤박을 발효기질로 사용여 유기산을 제조하는 방안들이 제시된바 있는데, 예를 들면 사카모토 등은 귤박착즙액을 피드 이스트(feed yeast), 식초, 부틸렌글리콜, 구연산, 젖산 등의 발효생산을 위한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바 있고(Sakamoto R., I.Shooro and M.Arai : 발효공학회지(일본). 60.327[1982]), 구마가이 등은 아스퍼질루스 나이가에 의한 구연산의 생산을 보고한 바 있다. [Kumagai.K.,S.Usami and S.Hattori : 발효공학회지(일본). 59(5) . 461~464(1981)
유산균은 호모발효(Homofermentative)균과 헤테로발효(Heterofermentative)균으로 구분되며, 호모발효균은 6탄당을 이용하여 젖산을 주로 생산하며, 헤테로 발효균은 젖산과 함께 초산, 이산화탄소, 에탄올 등 다른 물질들을 함께 생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의 유익한 작용으로 병원성 세균 억제, 항돌연변이원성, 항암항종양 활성, 면역증강,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Sanders, M. E. 2000.Considerations for use of probiotic bacteria to modulate human health. J. Nutr. 130:384S~390S.)
유산균은 젖산을 생산하며 인돌, 페놀, 아민, 암모니아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생산하지 않는 유익한 미생물이다. 유산균을 이용한 제품은 유산균이 생산하는 다양한 대사물질과 미생물 자체의 기능으로 생균제, 발효제, 조미 탈취제, 유기산 음료, 건강식품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건강증진 목적으로 그 기술 개발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유산균이 생산하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요소로 낮은 pH, 유기산들, 박테리오신, 에탄올, 디아세틸, 낮은 환원전위 등에 의하여 항균능력을 나타낸다.
사료나 식품 중에는 많은 유해한 세균이 존재하며, 때로는 가축이나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살모넬라는 식품 매개 병원성 미생물들 중 식중독 균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병원성균인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을 오염된 식품 특히 닭고기, 달걀 등으로부터 감염되며, 위장염,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와 때로는 발열 증세가 나타난다.(Salyers, A. A and D. D. Whitt. 2002. Salmonella species, PP. 381~397. Bacterial pathogensis : A Molecular Approach. ASM press. Washington, D.C).
대장균은 대부분 해롭지 않으나 O, H, K 등 3종류 혈청중에서 주로 O형, H형 혈청형을 나타내는 대장균은 설사를 일으킨다.(Lior, H. 1994. Classification of Escherichia coli, pp31~72, In C. Gyles(ed.), Escherichia coli in Domestic Animal and Human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nited Kingdom).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피부감염, 독소가 매개된 식중독을 일으킨다.
김치 발효나 과즙, 채소즙 발효는 단일한 균에 의한 단독 발효가 아닌 바실러스, 효모, 유산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공존하면서 발효가 진행되는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배양 시기, 조건, 발효상태에 따라서 우점하는 미생물이 달라지며, 그에 따른 발효물의 성상이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과채즙을 이용한 발효물은 자연물을 이용한 발효로 대한민국 공개 특허(2001-0037013;공개번호) 과채즙 발효액 제조방법, 그 추출물, 추출물을 조미용으로 이용하는 방법 및 추출물을 탈취제로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에 있어서, 과즙을 이용한 발효에 있어 특정 미생물을 선발하고 일정기간 배양하여 유효한 유기산 성분들과 유해세균을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과일의 종류, 채소의 종류나 조성물의 변화로 초기에 어떤 미생물이 우점하느냐에 따라 최종발효 조성물의 성분은 크게 다를 수 있으며, 효능 효과의 차이가 달라지는 등 품질이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종적인 과즙 발효물에서 유해한 병원성 세균을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을 선발하여 종균으로 사용함으로서 일정한 규격의 제품을 제조하고 그 조성물의 효능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미네랄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원소 중 탄소, 수소, 산소등 3원소를 제외한 생물체의 무기적 구성요소로 광물질(鑛物質)이라고도 하는데 단백질지방탄수화물비타민과 함께 5대 영양소 중의 하나를 말하는 것으로, 근래들어 미네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미네랄 추출에 대한 개발 및 그 미네랄을 이용한 각종 제품등이 출시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미네랄은 그 성분이 칼슘(Ca), 인(P),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아연(Zn), 간(Mn), 철(Fe), 구리(Cu), 코발트(Co) 등 다수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중 특히 인간에게는 결핍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나 동물에게 필요불가결한 구리(Cu), 코발트(Co), 망간(Mn), 아연(Zn)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다.
즉, 동물에게 필요한 영양소 중 구리(Cu), 코발트(Co)가 결핍되면 헤모글로빈의 생성이 쇠퇴되어 빈혈을 발생시키게 되고, 또 코발트(Co)는 비타민 B12 의 구성원소로서 최근 중요시되고 있고, 망간(Mn) 결핍현상으로 동물은 생식능력을 상실하며, 아연(Zn) 결핍시에는 성장이 불량해지는 등 동물에게 있어서는 상당히 중요한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로는 흡수율이 뛰어나며 확실한 완충능을 가진 킬레이트 미네랄은 아직까지 단종 아미노산-미네랄킬레이트 제품으로서 국내외에서 개시되어진 것이 없으며,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 킬레이트라 주장하는 제품도 확실한 결합 구조와 단종-아미노산 킬레이트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체내 흡수 이용율이 높은 유기태 미네랄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즉, 현재까지 시판되고 있는 단종 아미노산 킬레이트 미네랄 제품은 증발 농축 건조를 수행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보면 정확한 결합을 유도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귤박, 바나나, 파인애플, 대두박, 당밀 등의 혼합물에 일정한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 유기산을 생성시키고, 그 유기산과 천연 광물질의 분위기하에서 내산성이 뛰어나고, 유해균 억제능이 우수하며, 최종 발효 조성물의 품질을 일정하게 하여 효능효과가 개선된 신규한 미생물 균주로서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유산균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상기 발효 대두박과 유기산과 천연 광물질의 분위기하에서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이온미네랄 을 이용하여 최종 발효 조성물의 품질을 일정하게 하여 효능효과가 개선된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유산균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과즙 발효액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상기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과즙 발효액을 이용하여 축사의 소독제 대체 및 악취 발생 억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 또는 분말상의 사료첨가제로 제조하여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유산균의 제조방법은 물 35~45 중량부, 귤박 파쇄시럽 15~25 중량부, 바나나 파쇄시럽 3~8 중량부, 파인애플 파쇄시럽 3~8 중량부, 대두박 15~25 중량부, 당밀 5~15중량부를 혼합시킨 혼합물 A를 제조하는 S1 단계;
상기 혼합물 A 100 중량부에 공지균 아스퍼질루스 나이가(Aspergillus nicer) NRRL 2322(ATCC 10577)을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32~35℃에서 5~10일간 발효시켜 1차 발효물인 유기산을 제조하는 S2 단계;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스코리아 5~10 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이온 미네랄을 포함하는 교반물을 제조하는 S3 단계;
상기 교반물에 공지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tobacillus plantarum)유산균 종균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28~35℃에서 5~7 일간 발효시켜 2차 발효물인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미네랄을 제조하는 S4 단계;
상기 2차 발효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액상의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이하, S-5라 표기한다)로 제품화하는 S5 단계;
상기 액상제품 20~30 중량부를 스코리아 70~80 중량부에 혼합하여 건조, 파쇄하여 분말상의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이하, S-6라 표기한다)로 제품화하는 S6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귤박, 바나나, 파인애플, 대두박, 당밀 등의 혼합물(이하, 과즙이라 칭한다.)에 당류를 첨가하고, 일정한 종균을 접종하여 구연산을 비롯한 발효 유기산이 생성시키고, 그 유기산과 천연광물질의 분위기하에서 내산성이 뛰어나고, 유해 세균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신규한 유산균을 발육 시키고,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 미네랄이 생성되어 안정되고 숙성된 일정한 규격의 품질을 갖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항균 활성 및 생균제에 의한 프로바이오 효과 및 항균제, 항생제 대체 식품 및 면역증강제 사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동물이나 사람에게 안전성이 있으며, 내산성이 우수하고, 유해 세균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며, 음료로 이용할 경우 병원균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가 있고,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과즙 발효액을 이용하여 축사의 소독제 대체 및 악취 발생 억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 또는 분말상의 사료첨가물로 제조함으로써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후술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및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유산균과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미네랄의 제조방법은 물 35~45 중량부, 귤박 파쇄시럽 15~25 중량부, 바나나 파쇄시럽 3~8 중량부, 파인애플 파쇄시럽 3~8 중량부, 대두박 15~25 중량부, 당밀 5~1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 A를 제조하는 S1 단계;
상기 혼합물 A 100 중량부에 공지균 아스퍼질루스 나이가(Aspergillus nicer) NRRL 2322(ATCC 10577)을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32~35℃에서 5~10일간 발효시켜 1차 발효물인 유기산을 제조하는 S2 단계;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스코리아 5~10 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이온 미네랄을 포함하는 교반물을 제조하는 S3 단계;
상기 교반물에 공지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tobacillus plantarum)유산균 종균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28~35℃에서 5~7 일간 발효시켜 2차 발효물인 신규한 유산균과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미네랄을 제조하는 S4 단계;
상기 2차 발효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액상의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로 제품화하는 S5 단계;
상기 액상제품 20~30 중량부를 스코리아 70~80 중량부에 혼합하여 건조, 파쇄하여 분말상의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로 제품화하는 S6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물 35~45 중량부, 귤박 파쇄시럽 15~25 중량부, 바나나 파쇄시럽 3~8 중량부, 파인애플 파쇄시럽 3~8 중량부, 대두박 15~25 중량부, 당밀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멸균 처리한 혼합물 A 100 중량부에 공지균 아스퍼질루스 나이가(Aspergillus nicer) NRRL 2322(ATCC 10577)을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32~35℃에서 5~10일간 발효시켜 1차 배양하여 발효 숙성되어 안정화된 1차발효물에는 구연산을 비롯한 발효유기산이 생성되며,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스코리아 5~10 중량부와 공지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tobacillus plantarum)유산균 종균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28~35℃에서 5~7 일간 발효시킨 2차 발효물로부터 발효 유기산에 의해 pH 2.5~3.5의 산성하에서도 내산성이 강력한 미생물로서 유산균 A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물은 천연광물인 스코리아에 함유된 산화금속 상태의 미네랄을 발효 유기산에 의해 용해되어 이온화하여 이온 미네랄을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이온 미네랄은 대두박에 의해 발효하여 분해 생성된 아미노산과 키일레이트 이온 미네랄을 생성하게 되어 항균 활성 및 생균제에 의한 프로바이오 효과 및 항균제, 항생제 대체 식품 및 면역증강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물에서 유산균 A를 분리하고 16s rRNA(ribosomal R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으며, 신규의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5 및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L-6를 획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유산균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획득한 상기 신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니움 L-5과 락토바실러스 속 L-6은 2006년 11월 KACC(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에 기탁하였으며, 기탁 번호는 각각 (KACC-91284P)와 (KACC-91285P) 이다.
더 나아가 락토바실러스 속의 L-6는 16s rRNA 염기서열분석과 분류를 통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츄멘시스(Lactobacillus satsumensis)와 97% 유사성을 갖고 있어 신규성이 더욱 강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규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5 및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L-6을 포함한 상기 유산균 A는 동물이나 사람에게 안전성이 있으며, 내산성이 우수하고, 유해 세균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신규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L-5 및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L-6을 이용하여 발효한 상기 과즙 발효액은 다양한 유해 세균으로부터 위협받고 있는 가축들에게 사료첨가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규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L-5 및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L-6을 이용하여 발효한 상기 과즙 발효액에 설탕, 스코리아를 혼합하여 정치 배양하여 액상의 사료첨가제로 제조하여 음수용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유해 세균에 감염된 가축들에게 더욱 유용한 첨가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스코리아 등을 이용하여 흡착 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첨가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즙 발효액은 축산 농가의 악취를 저감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농가의 악취를 40~90% 수준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과즙 발효액을 여과하여 사람의 건강증진 목적으로 음료 조성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귤박, 바나나, 파인애플, 대두박, 당밀,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는 S1 단계 및 1차 발효물인 유기산을 제조하는 S2 단계
귤박 50중량부, 바나나 10중량부, 파인에플 10중량부, 대두박 10중량부, 당밀 20중량부, 물 100중량부로 구성된 배지를 준비한 뒤 공지균 아스퍼질루스 나이가(Aspergillus nicer) NRRL 2322(ATCC 10577)을 접종하여 밀봉된 용기에 넣어 35℃에서 8일간 발효를 하였다.
이온 미네랄을 포함하는 교반물을 제조하는 S3 단계 및 2차 발효물인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미네랄을 제조하는 S4 단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차 발효물 90 중량부에 스코리아(Scoria/제주산 화산석/일명 : 송이) 15~30 중량부와 유산균 종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3 중량부를 접종하여 밀봉된 용기에 넣어 35℃에서 6일간 발효를 한 뒤, 여과하여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이온 미네랄이 함유된 액상 발효물(이하, S-5로 표기한다)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발효 유기산의 분석
1차 유기산 발효와 2차 유산균 발효에서 생성되어 여과한 S-5를 분석한 결과에서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물 중의 유기산 함량은 7.8% 였고, 그 중의 거의 대부분인 약 80%가 구연산이었으며, 기타 젖산 등 나머지 유기산이 약 20%가 생성되었다. 여기서 이들의 생성 구성비는 거의 대부분 1차 유기산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산 종류

함량(%)
천연 구연산(Citric acid) 78.4
천연 초산(Acetic acid) 7.4
천연 젖산(Lactic acid) 6.7
천연 사과산(Malic acid) 4.6
천연 호박산(Succinic acid) 2.9
[시험예 2] 미네랄 함량 분석
스코리아(송이 분말)과 실시예 2의 2차 발효물의 미네랄 성분 분석하였다. 본 분석결과에서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2의 2차 발효물의 수치가 원석보다 높은 것은 원료로 사용된 과일류에 함유된 미네랄과의 혼합된 수치로 예상되며, 오히려 원석보다 수치가 낮은 것은 산화상태의 미네랄이 유기산에 용해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스코리아(송이 분말)
(PPM)
실시예2의 2차 발효물
(PPM)
Al(알미늄) 231 9.5
Ca(칼슘) 247.4 10
Fe(산화철) 241.6 8
K(칼륨) 33.32 1.5
Mg(마그네슘) 317 9.3
Na(나트륨) 64.04 3.3
S(유황) 10.824 0.3
Ba(바륨) 2.186 0.04
Cd(카드뮴) 불검출 불검출
Co(코발트) 0.7419 0.001
Cr(2가크롬) 1.089 0.03
Cu(구리) 불검출 0.0003
Mn(망간) 21.14 0.2
Mo(몰리브덴) 불검출 불검출
Ni(니켈) 2.959 0.033
Pb(납) 불검출 불검출
Sr(스트론튬) 1.095 0.09
Ti(티타늄) 2.604 1.5
V(바나듐) 3.308 0.024
Zn(아연) 3.025 0.028
미생물(유산균 A)의 분리
실시예 2의 2차 발효물(S-5)에서 유산균 A을 분리하였다. 우선 유산균 분리 배지로는 실시예 2의 S-5 10중량%를 넣은 Mann Rogosa Sharpe(MRS : BD,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rance) 한천 배지를 사용하였고, 37℃에서 3일간 혐기 배양조에서 혐기 배양한 다음 코로니 형태, 색깔로 판단하여 유산균을 분리하는 무작위 선발법을 사용하여 L-1, L-2, L-3, L-4, L-5, L-6의 6종류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시험예 3] 항 유해세균능력 검증
분리된 10종의 유산균 A를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능력을 시험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유해세균은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이다.
유해세균을 TSB배지[트립톤(Tryptone) 1.7%, 소이톤(Soytone) 0.3%, 소금 0.5%]에서 1일간 액체배양 한 뒤 배양액 100와 1.5% 한천이 함유된 Tryptic Soy agar(TSA : Tryptone 1.7%, Soytone 0.3%, NaCl 0.5%)배양배지 100ml를 혼합하고 20ml씩 분주되어진 한천평판 배지상에 Penicylinder(Fisher Scientific, Cat. No. 07-907-5, USA, 용량 300, ID 6mm, OD 8mm, H 10mm)를 화염 살균하여 일정 간격으로 놓은 후 각 분리 유산균의 배양액을 100용량을 떨어뜨리고, 약 20여분간 실온에 방치한 다음 배양기로 옮겨 37℃에서 3일간 배양한 뒤 나타나는 저해환의 지름 크기를 비교하는 한천 확산법을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된 유산균 B는 유해한 세균에 대한 억제 능력이 우수하였다.

균 주

저해환의 지름 (mm)
S. typhimurium S. gallinarium S. aureus E. coli
대조군l(MRS) 0 0 0 0
L-1 25 23 25 26
L-2 23 23 23 25
L-3 24 20 22 20
L-4 27 26 26 27
L-5 28 28 29 29
L-6 29 29 27 28
[시험예 4] 내염성 시험
MRS 한천배지에 소금농도를 각각 0중량%, 2중량%, 4중량%, 6중량%로 조절하여 제조한 평판배지상에 분리된 유산균 7종을 접종한 다음 37℃에서 7일간 배양하면서 성장여부를 시험하여 염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L-1, L-2, L-4 균주는 4 중량%의 염농도에서도 성장하였으나 L-3는 2 중량%, L-5, L-6은 6 중량% 까지도 성장하여 높은 염수에서도 우수한 성장을 보였다.

균 주

소금(NaCl) 농도
0% 2% 4% 6%
대조군 + - - -
L-1 + + + -
L-2 + + + -
L-3 + + - -
L-4 + + + -
L-5 + + + +
L-6 + + + +
[시험예 5] 내산성 시험
MRS 액상배지는 pH 2.5, 3.0, 3.5, 및 무조정의 6개 군으로 나누어 제조한 뒤 분리된 위의 6종의 유산균을 각각 접종하여 37℃에서 5일간 배양하면서 성장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L-1, L-2는 pH 3.5까지, L-3, L-4 L-5, L-6은 pH 2.5까지 성장하였다. 따라서 L-5와 L-6균은 낮은 pH에서 성장이 가능한 유산균으로 판단하였다.

균 주

MRS

pH3.5

pH3.0

pH2.5
대조군 +++ - - -
L-1 +++ + - -
L-2 +++ ++ - -
L-3 +++ + + +
L-4 +++ ++ ++ ++
L-5 +++ ++ ++ ++
L-6 +++ +++ ++ ++
[시험예 6] 유산균 A의 동정
상기 16S rDNA의 염기서열을 통한 동정 결과, 과일 발효유에 함유된 유산균의 종류는 하기와 같았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L-1,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L-2,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Lactobacillus hilgardii)/L-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L-4,
그리고, 신규의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L-5, 및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L-6
상기 신규의 유산균으로서 L-5 및 L-6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균주동정을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위해 선발된 L-5, L-6 균주를 MRS 한천평판배지상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단일 코로니(Colony)를 취하여 AccuPrep Genomic DNA Extraction Kit(BIONEER CO., Ltd, Korea)를 사용하여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Genomic DNA를 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한 후, PCR(GeneAmp PCR System 2700, USA)을 Denaturation 95/30sec, Annealing 55/1min, Extension 72/1min의 조건으로 Primer 27F (5AGAGTTTGATCMTGGCTCAG>)와 1492R (5 TACGGYTACCTTGTTACGACTT>)을 사용하여 총 35 Cycle 수행한 후 전기영동을 통하여 약 1500 bp 크기의 16S rRNA를 확인하고, 증폭된 16S rRNA를 AccuPrep PCR Purification kit를 사용하여 이 PCR Product를 정제하였다. Automated DNA Sequencer (ABI 3100, Applied Biosystem Inc., US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primer를 위와 같은 27F, 1492R 외에 530F (5 GTGCCAGCMGCCGCGG>)와 1100R (5 GGGTTGCGCTCGTTG>)의 4가지를 사용하였다.
이 후 Clustal X software를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조합하여 NCBI(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http://www.ncbi.nlm.nih)에서 제공하는 Advanced Blast search (Altschul et al., 1997)를 이용하여 GenBank의 염기서열과 비교한 후 neighbor-joining analysis에 의해 최종적으로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신규의 유산균 L-5 및 L-6의 16S rDNA 염기서열은 각각 아래에 기재한 바와 같으며, L-5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과 99% 유사성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L-5라 할 수 있었으며, L-6의 경우는 락토바실러스 사츄멘시스(Lactobacillus satsumensis)와 유사성 97%, 락토바실러스 나겔리(L. nagelii)와 유사한 균으로 확인되었으나 유의성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락토바실러스 속의 균이라 할 수 있었다.
<L-5의 16S rDNA 염기서열>
ATGAAGTTGA GTGCTTGCAT TTAACTGATT TGACATTAAG ACGAGTGGCG 50
AACTGGTGAG TAACACGTGG GTAACTTGCC CCGAAGCGGG GGATAACATT
TGGAAACAGG TGCTAATACC GCATAACAAC AAAAACCACA TGGTTTTTGT
TTAAAAGATG GTTTCGGCTA TCACTTTGGG ATGGACCCGC GGCGTATTAG
CTAGTTGGTG AGGTAATGGC TCACCAAGGC AATGATACGT AGCCGACCTG
AGAGGGTAAT CGGCCACATT GGGACTGAGA CACGGCCCAA ACTCCTACGG
GAGGCAGCAG TAGGGAATCT TCCACAATGG ACGAAAGTCT GATGGAGCAA
CGCCGCGTGA GTGATGAAGG GTTTCGGCTC GTAAAACTCT GTTGTTGGAG
AAGAACGGGT GTCAGAGTAA CTGTTGACAT CGTGACGGTA TCCAACCAGA
AAGCCACGGC TAACTACGTG CCAGCAGCCG CGGTAATACG TAGGTGGCAA 500
GCGTTGTCCG GATTTATTGG GCGTAAAGCG AGCGCAGGCG GTTTTTTAGG
TCTGATGTGA AAGCCTTCGG CTTAACCGGA GAAGTGCATC GGAAACCGGG
AGACTTGAGT GCAGAAGAGG ACAGTGGAAC TCCATGTGTA GCGGTGAAAT
GCGTAGATAT ATGGAAGAAC ACCAGTGGCG AAGGCGGCTG TCTGGTCTGC
AACTGACGCT GAGGCTCGAA AGCATGGGTA GCGAACAGGA TTAGATACCC
TGGTAGTCCA TGCCGTAAAC GATGAGTGCT AAGTGTTGGA GGGTTTCCGC
CCTTCAGTGC TGCAGCTAAC GCATTAAGCA CTCCGCCTGG GGAGTACGAC
CGCAAGGTTG AAACTCAAAG GAATTGACGG GGGCCCGCAC AAGCGGTGGA
GCATGTGGTT TAATTCGATG CTACGCGAAG AACCTTACCA GGTCTTGACA
TCTTCTGCTA ACCTAAGAGA TTAGGCGTTC CCTTCGGGGA CGGAATGACA 1000
GGTGGTGCAT GGTTGTCGTC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CGCAACCCTT ATTGTCAGTT GCCAGCATTT AGTTGGGCAC
TCTGGCGAGA CTGCCGGTGA CAAACCGGAG GAAGGTGGGG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GCTAC AATGGACGGT
ACAACGAGTC GCGAAACCGC GAGGTCAAGC TAATCTCTTA AAGCCGTTCT
CAGTTCGGAT TGTAGGCTGC AACTCGCCTA CATGAAGTTG GAATCGCTAG
TAATCGTGGA TCAGCATGCC ACGGTGAATA CGTTCCCGGG CCTTGTACAC
ACCGCCCGTC ACACCATGAG AGTTTCAACA CCCAAAGCCG GTGAGGTAAC
CTTCGGGGGC CAGCCGTC 1418
<L-6의 16S rDNA 염기서열>
GATGCTTGCA TCTTTTAAAA AGTTGAGTGG CGAACGGGTG AGTAACACGT 50
GGGTAACCTG CCTTAAAGTG GGGGATAACA CTTGGAAACA GGTGCTAATA
CCGCATAACC ATCAAAACCG CCTGGTTTTG ATGTTAAAGA TGGTTCTGCT
ATCGCTTTAA GATGGACCCG CGGCGTATTA GCTAGTTGGT GAGGTAACGG
CTTACCAAGG CAATGATACG TAGCCGAACT GAGAGGTTGA TCGGCCACAT
TGGGACTGAG ACACGGCCCA AACNCCTACG GGAGGCAGCA GTAGGGAATC
TTCCACAATG GACGAAAGTC TGATGGAGCA ACGCCGCGTG AGTGAAGAAG
GTTTTCGGAT CGTAAAACTC TGTTGTCAGA GAAGAACGTG TGTGAGAGTA
ACTGTTCACG CAGTGACGGT ATCTGACCAG AAAGTCACGG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GTAGGTGGCA AGCGTTGTCC GGATTTATTG 500
GGCGTAAAGG GAACGCAGGC GGTCTTTTAA GTCTGATGTG AAAGCCTTCG
GCTTAACCGA AGTCGGGCAT TGGAAACTGG GAGACTTGAG TGCAGAAGAG
GAGAGTGGAA CTCCATGTGT AGCGGTGAAA TGCGTAGATA TATGGAAGAA
CACCAGTGGC GAAAGCGGCT CTCTGGTCTG TAACTGACGC TGAGGTTCGA
AAGCGTGGGT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ACGCCGTAAA
CGATGAATGC TAAGTGTTGG AGGGTTTCCG CCCTTCAGTG CCGCAGCTAA
CGCATTAAGC ATTCCGCCTG GGGAGTACGA TCGCAAGATT GAAACTCAAA
GGAATTGACG GGGGCCCGCA CAAGCGGTGG AGCATGTGGT TTAATTCGAA
GCAACGCGAA GAACCTTACC AGGTCTTGAC ATCTTTTGCT AACCTGAGAG
ATCAGGTGTT CCCTTCGGGG ACAAAATGAC AGGTGGTGCA TGGTTGTCGT 1000
CAGCTCGTGT CGTGAGATGT TGGGTTAAGT CCCGCAACGA GCGCAACCCT
TATTGTTAGT TGCCAGCATT TAGTTGGGCA CTCTAACGAG ACTGCCGGTG
ACAAACCGGA GGAAGGTGGG GATGACGTCA AATCATCATG CCCCTTATGA
CCTGGGCTAC ACACGTGCTA CAATGGACGG TACAACGAGT CGCAAGACCG
CGAGGTCAAG CTAATCTCTG AAAACCGTTC TCAGTTCGGA TTGCAGGCTG
CAACTCGCCT GCATGAAGTC GGAATCGCTA GTAATCGCGG ATCAGCATGC
CGCGGTGAAT A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T CACACCATGA
GAGTTTGTAA CACCCAAAGC C 1371
[시험예 7] 유기산 산도 및 pH시험
실시예 1의 유기산을 제조하는 S-2 단계에서 2일 단위로 일정량 시료를 취하여 유기산 산도 및 p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배양기간에 따라 유기산이 꾸준히 생산하는 특징이 있었으며, 배양초기보다 배양후기에 유기산 생산이 우수한 특징을 보였다.
균 주 0 일 2일 4일 6일 8일
S-2 pH 6.87 5.39 4.11 3.30 2.35
유기산 산도 0.02% 1.10% 2.86% 4.89% 7.83%
S-5를 이용한 액상 및 분말상 사료첨가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이온 미네랄이 함유된 액상 발효물인 S-5 100중량부에 5배의 물로 희석한 다음 설탕을 5 중량부 농도로 첨가하고, 2 중량부의 스코리아 분말을 1차로 혼합하여 1개월간 정치 배양하여 음수용인 액상의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액상의 사료첨가제 25 중량%에 스코리아 분말 75 중량%를 2차로 추가 혼합한 뒤 42℃에서 2일간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상의 사료첨가제 S-6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8] 자돈 생산성 향상 효과
실시예 4의 분말상의 사료첨가제 S-6를 자돈 배합사료 1톤에 2Kg을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그 결과 총증체량은 대조구 13.87Kg에서 15.25Kg으로 약 10%의 증체량을 보였고, 설사지수는 대조구 61.3%에서 8.6%로 약 86%가 감소하였고, 폐사율도 대조구 9.13%에서 3.08%로 약 66%가 감소하였다.
[시험예 9] 육계 생산성 향상 효과
실시예 4의 분말상의 사료첨가제 S-6를 육계 배합사료 1톤에 2Kg을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그 결과 육성율은 대조구 95.8%에서 99.7%으로 3.9%의 향상을 보였고, 평균체중은 대조구 1.69Kg에서 1.93%로 약 14%가 증가하였다.
[시험예 10] 육계 장내 미생물 영향
실시예 4의 분말상의 사료첨가제 S-6를 육계 배합사료 1톤에 2Kg을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그 결과 장내 유해 미생물은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장 및 맹장에서의 대장균 및 살모렐라의 수가 대조구에 대비하여 보다 더 감소하여 항균제 대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위 : log10 cfu)


구분

대장균

살모넬라
대조구 시험구 대조구 시험구
소장 6.36 6.21 5.77 4.94
맹장 7.40 7.31 5.07 4.71
[시험예 11] 산란계 산란율 향상 효과
실시예 4의 분말상의 사료첨가제 S-6를 갈색 산란계 배합사료 1톤에 2Kg을 첨가하여 산란계 36주령부터 급여를 시작하여 42주령까지 급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산란율은 대조구 93.0%에서 92.2%로 초기에 잠깐 감소하였으나 37주령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42주령에서는 90.0%에서 94.8%로 5.3%의 향상을 보였다.
주 령 36 37 38 39 40 41 42
산란율(%) 대조구 93.0 92.0 92.0 91.0 91.0 91.0 90.0
S-6 92.2 93.2 93.9 93.2 93.5 94.2 94.8
증가율(%) -0.9 +1.3 +2.1 +2.4 +2.7 +3.5 +5.3
[시험예 12] 광어 폐사율 감소 효과
실시예 11의 액상의 사료첨가제를 산소 공급장치가 가동되는 수족관에 해수 4톤에 대하여 4Kg을 투입하여 무게 약 1Kg의 광어 100마리를 사료 급여 없이 30일간 양식하여 폐사율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의 광어는 3일후에 67%(마리)가 폐사하였고, 5일후에는 100%(100마리)가 폐사하였다. 반면에 음수용 사료 첨가제 투여구에서는 30일간 양식 후에도 98%(98마리)가 생존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물 35~45 중량부, 귤박 파쇄시럽 15~25 중량부, 바나나 파쇄시럽 3~8 중량부, 파인애플 파쇄시럽 3~8 중량부, 대두박 15~25 중량부, 당밀 5~15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 A를 제조하는 S1 단계;
    상기 혼합물 A 100 중량부에 공지균 아스퍼질루스 나이가(Aspergillus nicer) NRRL 2322(ATCC 10577)을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32~35℃에서 5~10일간 발효시켜 1차 발효물인 유기산을 제조하는 S2 단계;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스코리아 5~10 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이온 미네랄을 포함하는 교반물을 제조하는 S3 단계;
    상기 교반물에 공지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tobacillus platarum)유산균 종균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28~35℃에서 5~7 일간 발효시켜 2차 발효물인 신규한 유산균과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미네랄을 제조하는 S4 단계;
    상기 2차 발효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액상의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로 제품화하는 S5 단계;
    상기 액상제품 20~30 중량부를 스코리아, 미강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70~80 중량부에 혼합하여 건조, 파쇄하여 분말상의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로 제품화하는 S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
  2. 청구항 1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유산균.
  3. 청구항 1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용 아미노산 킬레이티드 복합 이온미네랄.
  4. 청구항 2에서 분리, 동정한 유산균 A 중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 L-5(KACC-91284P) 및 락토바실러스 속 L-6(KACC-91285P) 3~7중량부를 과즙에 각각 또는 혼합 접종하고 28~35℃에서 5~7 일간 발효시켜 과즙 발효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
  5. 청구항 4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액상의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사료 첨가제 20~30 중량부에 스코리아 70~80 중량부를 혼합하여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분말상의 사료첨가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
  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5(기탁번호/KACC-91284P) 및 락토바실러스 속 L-6(기탁번호/KACC-91285P)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0047602A 2011-05-20 2011-05-20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0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02A KR101306662B1 (ko) 2011-05-20 2011-05-20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02A KR101306662B1 (ko) 2011-05-20 2011-05-20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377A true KR20120129377A (ko) 2012-11-28
KR101306662B1 KR101306662B1 (ko) 2013-09-10

Family

ID=4751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6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6662B1 (ko) 2011-05-20 2011-05-20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6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881B1 (ko) * 2018-07-16 2019-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애플박 및 페퍼민트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의 위궤양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135464B1 (ko) * 2020-01-23 2020-07-17 주식회사 하이테크글로벌 활성 액상 미네랄의 제조방법
KR20210081508A (ko) * 2019-12-23 2021-07-02 (주) 나우코스 오트밀과 알로에의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463B1 (ko) 2020-01-23 2020-07-17 주식회사 하이테크글로벌 활성 천연 미네랄을 포함하는 항생제 대체물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01B1 (ko) 2007-12-28 2010-01-18 운석식품(주) 초산성 생장 혼합 미생물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124660B1 (ko) * 2008-06-30 2012-03-19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과채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881B1 (ko) * 2018-07-16 2019-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애플박 및 페퍼민트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의 위궤양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210081508A (ko) * 2019-12-23 2021-07-02 (주) 나우코스 오트밀과 알로에의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KR102135464B1 (ko) * 2020-01-23 2020-07-17 주식회사 하이테크글로벌 활성 액상 미네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662B1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672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그 용도
Teo et al. Effect of Bacillus subtilis PB6 (CloSTAT) on broilers infected with a pathogenic strain of Escherichia coli
KR101216669B1 (ko) 흑운모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생육촉진용 가축사료 첨가제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845709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7143782B (zh) 一种唾液链球菌嗜热亚种vb331及其应用
KR101939556B1 (ko) 발효 패각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5182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의 용도
KR102000475B1 (ko)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저해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ny12-2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KR101465233B1 (ko) 감태와 바실러스 속 is-2 균주를 포함하고 있는 어류용 사료 첨가제
KR101306662B1 (ko) 면역증강제 및 항생제 대체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N105132321A (zh) 一种屎肠球菌及其高密度固态发酵的培养基及方法
PH12014502245B1 (en) Novel separated bacillus licheniformis and probiotics using same
CN114437975B (zh) 一株产乳酸凝结芽孢杆菌及其应用
KR100925173B1 (ko)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5245299A (ja) 新規な乳酸菌
EP2166083B1 (en) 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SG96, a bacteriosta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20200107384A (ko) 카드뮴을 제거하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fb145 균주 및 상기 균주의 응용
CN113973997A (zh) 一种乳酸菌组合物以及犊牛开食料
CN106617095B (zh) 一种阿胶益生菌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101658655B1 (ko) 뱀장어에서 분리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플란타륨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KR101073791B1 (ko) 장내효소활성,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pl-11 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KR20190047756A (ko)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첨가제
KR20150056208A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sj8256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6064324B (zh) 一株鼠李糖乳杆菌及其培养方法和在防治腹泻和肠炎方面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