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8541A -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541A
KR20120128541A KR1020120015270A KR20120015270A KR20120128541A KR 20120128541 A KR20120128541 A KR 20120128541A KR 1020120015270 A KR1020120015270 A KR 1020120015270A KR 20120015270 A KR20120015270 A KR 20120015270A KR 20120128541 A KR20120128541 A KR 2012012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mposition
alkylphenol
mass
rubber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1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541A/ko
Publication of KR2012012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54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25Compositions of the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L61/1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with polyhydric phen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타이어를 제공한다.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알킬페놀 수지를 0.5 내지 20 질량부, 메틸렌 공여체를 0.04 내지 10 질량부 포함하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이 3 질량% 이하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RUBBER COMPOSITION FOR TIRE AND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에는, 경도(E*)가 높을 것, 30 내지 70℃의 tanδ가 낮을 것, 파단시 연신율이 뛰어날 것 등의 성능이 요구된다.
고경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황, 가류 촉진제, 레조르신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배합하는 것, 카본 블랙이나 실리카 등의 충전제의 배합량을 많게 하는 것 등의 수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수법으로는 고경도(E*)와 양호한 파단시 연신율(EB)을 모두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고경도라도 해도, 파단시 연신율이 100% 미만에서는 내구성이 요구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 예컨대, 실온(25℃)에서 측정되는 파단시 연신율이 비드 에이펙스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에서는 최저 100% 이상, 브레이커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에서는 최저 200% 이상, 트레드(캡 트레드, 베이스 트레드)나 사이드월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에서는 최저 350%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페놀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고경도(E*)와 파단시 연신율(EB) 100% 이상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tanδ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고경도(E*), 저tanδ(양호한 저연비성), 양호한 파단시 연신율을 밸런스 좋게 얻기는 어려웠다. 그 때문에, 페놀 수지를 배합한 고무 조성물은 비드 에이펙스나 브레이커 이외의 타이어 부재에는 그다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이다.
특허 문헌 1, 2에서는, 알킬페놀 수지로서 크레졸 수지를 배합한 고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2에서 사용되고 있는 크레졸 수지는 알킬페놀 성분(모노머 성분)으로서 3-알킬페놀인 m-크레졸만이 사용되어 얻어진 수지로서, 3-알킬페놀 이외의 모노머 성분(2-알킬페놀, 4-알킬페놀)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사용이나 알킬페놀 수지에 포함되는(잔류하는) 유리(遊離)의 모노머 성분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검토된 바 없어,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고경도(양호한 조종 안정성), 저tanδ(양호한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는 점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8-3142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10-5272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가설을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알킬페놀 수지는 고무의 혼련 중에 카본 블랙과 연화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연화제와도 서로 작용을 하여 복합 구체를 형성한다. 이 복합 구체의 분포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고무가 변형되었을 때에 필러와의 사이에서 큰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저연비성이 악화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합 구체를, 가류 후의 복합 구체의 경도가 높게, 균일한 크기로, 그리고 고무 중에 분산성 좋게 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잔류하는) 불순물, 특히 미반응의(유리의) 알킬페놀 성분(모노머 성분)은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가소제로서 기능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수지 중에 잔류하는 미반응 모노머 성분을 적게 하는 것이 복합 구체의 경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모노머 성분으로서 수산기와 알킬기의 위치 관계가 다른 알킬페놀(예컨대, 2-알킬페놀과 3-알킬페놀)을 조합하여 얻어진 알킬페놀 수지를 고무 조성물에 배합하면, 상기 복합 구체를 보다 균일한 크기로, 그리고 고무 중에 분산성 좋게 분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알킬페놀 수지를 0.5 내지 20 질량부, 메틸렌 공여체를 0.04 내지 10 질량부 포함하며,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이 3질량% 이하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2-알킬페놀, 상기 3-알킬페놀, 상기 4-알킬페놀이 각각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과, 3-알킬페놀과, 4-알킬페놀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이 115 내지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이 96 내지 10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렌 공여체가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펜타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및/또는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1 내지 5 질량부, 상기 메틸렌 공여체로서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및/또는 헥사메틸올멜라민펜타메틸에테르를 1 내지 7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및/또는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0.5 내지 5 질량부, 상기 메틸렌 공여체로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0.04 내지 5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5 내지 20 질량부, 상기 메틸렌 공여체로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0.4 내지 5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25 내지 50 m2/g인 카본 블랙을 40 내지 80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타이어 부재를 갖는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타이어 부재는 비드 에이펙스, 캡 트레드, 베이스 트레드, 사이드월, 타이검, 브레이커, 스트립 에이펙스, 비드 와이어 토핑, 클린치 에이펙스,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 및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량의 알킬페놀 수지, 메틸렌 공여체를 포함하며,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미반응이기 때문에 수지 중에 잔류해 있음)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이 특정량 이하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이므로,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특정량의 알킬페놀 수지, 메틸렌 공여체를 포함하며,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이 특정량 이하이다. 이에 따라,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조종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수지의 배합에 의해 저하하는 파단시 연신율의 저하폭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생산성 좋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고무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천연 고무(NR), 이소프렌 고무(I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고무(SIBR), 이소프렌 고무(I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클로로프렌 고무(C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등을 들 수 있다. 고무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가공성(압출 가공성), 파단시 연신율, 저연비성이 뛰어나다는 이유에서, NR, IR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균열 성장성, 내마모성이 뛰어나다는 이유에서 BR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립 성능, 리버전(reversion)성이 뛰어나다는 이유에서 SBR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NR과 함께 BR, SBR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NR과 함께 BR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R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SIR20, RSS#3, TSR20 등 타이어 공업에 있어서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BR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니혼 제온(주) 제조의 BR1220, 우베코산(주) 제조의 BR150B 등의 고시스(cis) 함유량의 BR, 우베코산(주) 제조의 VCR412, VCR617 등의 1,2-신디오택틱 폴리부타디엔 결정(SPB)을 포함하는 BR(SPB 함유 BR), 희토류 원소계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된 부타디엔 고무(희토류계 BR) 등 타이어 공업에 있어서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BR로는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도(E*)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 SPB 함유 BR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단시 연신율, 내마모성, 저연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 희토류계 BR이 바람직하다.
SPB 함유 BR에 있어서, 1,2-신디오택틱 폴리부타디엔 결정(SPB)은 단순히 SPB 함유 BR 중에 결정을 분산시킨 것이 아니라, SPB 함유 BR과 화학 결합한 후에 무배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이 고무 성분과 화학 결합한 후에 분산됨으로써 크랙의 발생 및 전파(傳播)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SPB의 융점은 180℃ 이상이 바람직하고, 1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SPB의 융점이 180℃ 미만에서는 프레스에 의한 타이어의 가류 중에 결정이 용융되어 경도(조종 안정성)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SPB의 융점은 220℃ 이하가 바람직하고, 2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SPB의 융점이 220℃를 초과하면 SPB 함유 BR의 분자량이 커지기 때문에, 고무 조성물 중에 있어서 분산성이 악화되어 압출 가공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SPB 함유 BR 중의 비등 n-헥산 불용물의 함유율은 2.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등 n-헥산 불용물의 함유율이 2.5 질량% 미만에서는 고무 조성물의 충분한 경도(조종 안정성)를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등 n-헥산 불용물의 함유율은 22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8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등 n-헥산 불용물의 함유율이 22 질량%를 초과하면 SPB 함유 BR 자체의 점도가 높아, 고무 조성물 중에서의 SPB 함유 BR 및 필러의 분산성이 악화되어 압출 가공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비등 n-헥산 불용물이란 SPB 함유 BR 중에서의 SPB를 나타낸다.
상기 희토류 원소계 촉매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란탄계 희토류 원소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알루미녹산, 할로겐 함유 화합물, 필요에 따라 루이스 염기를 포함하는 촉매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란탄계 희토류 원소 화합물로서 네오듐(Nd) 함유 화합물을 이용한 Nd계 촉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란탄계 희토류 원소 화합물로는 원자 번호 57 내지 71의 희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카르복실산염, 알콜레이트, 티오알콜레이트,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Nd계 촉매의 사용이 고시스 함량, 저비닐 함량의 BR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는 AlRaRbRc(식 중, Ra, Rb, Rc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며, 수소 또는 탄소 수 1 내지 8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녹산으로는 쇄형 알루미녹산, 환형 알루미녹산을 들 수 있다. 할로겐 함유 화합물로는 AlXkRd 3 -k(식 중, X는 할로겐, Rd는 탄소 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 k는 1, 1.5, 2 또는 3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알루미늄; Me3SrCl, Me2SrCl2, MeSrHCl2, MeSrCl3 등의 스트론튬할라이드; 사염화 규소, 사염화 주석, 사염화 티타늄 등의 금속 할로겐화물을 들 수 있다. 루이스 염기는 란탄계 희토류 원소 화합물을 착체화하는 데 사용되며, 아세틸아세톤, 케톤, 알콜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희토류 원소계 촉매는 부타디엔의 중합시에 유기 용매(n-헥산, 시클로헥산, n-헵탄, 톨루엔, 크실렌, 벤젠 등)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실리카, 마그네시아, 염화 마그네슘 등의 적당한 담체 상에 담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 조건으로는 용액 중합 또는 괴상 중합의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바람직한 중합 온도는 -30 내지 150℃이고, 중합 압력은 다른 조건에 의존하여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희토류계 BR은 무니 점도 ML1 +4(100℃)가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35 미만이면 미가류 고무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압출 가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무니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55를 초과하면 미가류 고무 조성물이 과도하게 딱딱해져 스무드한 엣지로 압출하기가 어려워질(압출 가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무니 점도는 ISO289, JIS K6300에 준하여 측정된다.
상기 희토류계 BR은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과의 비(Mw/Mn)가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1.2 미만이면 압출 가공성의 악화가 현저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Mw/Mn은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5를 초과하면 내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희토류계 BR의 Mw는 바람직하게는 30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만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150만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만 이하이다. 나아가, 상기 희토류계 BR의 Mn은 바람직하게는 10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만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100만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만 이하이다. Mw나 Mn이 하한 미만이면 내마모성이 저하되거나 저연비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상한을 초과하면 압출 가공의 악화가 우려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Mw, Mn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GPC)를 이용하여 표준 폴리스티렌으로부터 환산한 값이다.
상기 희토류계 BR의 시스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90 질량% 미만이면 내마모성이 저하하여 내마모성 및 저연비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희토류계 BR의 비닐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8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하이다. 1.8 질량%를 초과하면 내마모성이 저하되어 내마모성 및 저연비성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희토류계 BR의 비닐 함량(1,2-결합 부타디엔 단위량) 및 시스 함량(시스-1,4-결합 부타디엔 단위량)은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SBR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화 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E-SBR), 용액 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SBR)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양호한 가공성(압출 가공성), 고경도(E*)를 얻을 수 있고 저렴하다는 이유에서 E-SBR이 바람직하다.
브레이커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무 성분 100 질량% 중의 N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며, 100 질량%일 수도 있다. 60 질량% 미만이면 양호한 파단시 연신율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무 성분 100 질량% 중의 N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다. 30 질량% 미만에서는 점착, 에이펙스 직립성, 선단 스무드성 등의 압출 가공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N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이다. 90 질량%를 초과하면 리버전되기 쉽고, 고경도(E*)를 얻기가 어려운 경향이 있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무 성분 100 질량% 중의 SB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다. 5 질량% 미만에서는 경도(E*), 리버전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SB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40 질량%를 초과하면 양호한 파단시 연신율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무 성분 100 질량% 중의 N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 40 질량% 미만에서는 양호한 가공성(압출 가공성), 파단시 연신율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N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80 질량%를 초과하면 양호한 내균열 성장성, 내마모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무 성분 100 질량% 중의 B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다. 20 질량% 미만에서는 양호한 내균열 성장성, 내마모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BR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다. 60 질량%를 초과하면 양호한 가공성(압출 가공성), 파단시 연신율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알킬페놀 수지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킬페놀 수지는,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며,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즉,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이 3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킬페놀 수지는,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미반응 알킬페놀 성분(모노머 성분)이 특정량 이하이기 때문에, 전술한 복합 구체의 경도를 높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킬페놀 수지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수산기와 알킬기의 위치 관계가 다른 알킬페놀(예컨대, 2-알킬페놀과 3-알킬페놀)을 복수 개 조합하여 사용하여 얻어지는 알킬페놀 수지이기 때문에,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고무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전술한 복합 구체를 보다 균일한 크기로, 그리고 고무 중에 분산성 좋게 분포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수산기와 알킬기의 위치 관계가 다른 알킬페놀을 조합시킴으로써 알킬기의 배향성이 랜덤해져 가교하기 쉬운 구조로 되기 때문에, 가교 밀도가 높아져서, 전술한 복합 구체의 경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술한 복합 구체를 보다 균일한 크기로, 그리고 고무 중에 분산성 좋게 분포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 상기 특정한 알킬페놀 수지를 고무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서 전술한 복합 구체를 가류 후의 복합 구체의 경도가 높게, 그리고 균일한 크기로, 그리고 고무 중에 분산성 좋게 분포시킬 수 있고,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조종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지의 배합에 의해 저하되는 파단시 연신율의 저하 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는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알킬페놀 수지는 산 촉매를 이용하여,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지(노볼락형 페놀 수지)이다.
모노머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알킬페놀은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인데, 본 발명의 효과를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의 3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페놀이 갖는 알킬기의 탄소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3이 더욱 바람직하고, 1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페놀로는 알킬기의 탄소 수가 다른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모노머 성분으로는, 상기 2-알킬페놀, 상기 3-알킬페놀, 상기 4-알킬페놀이 각각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인 경우이다. 즉,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크레졸 수지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산 촉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삼불화 붕소?에테르 착체, 삼불화 붕소?페놀 착체, 삼불화 붕소?물 착체, 삼불화 붕소?알콜 착체, 삼불화 붕소?아민 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삼불화 붕소, 삼불화 붕소?페놀 착체, 삼불화 붕소?에테르 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알킬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적당한 용매에 산 촉매, 알킬페놀, 포름알데히드를 용해시키고, 10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 시간 반응시키면 된다.
상기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킬페놀 수지의 정제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용제에 용해시킨 후,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증류 등의 정제 조작을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이 특정량 이하가 될 때까지 행함으로써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증류 방법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11-7420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은 3 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3 질량%를 초과하면 가류 후의 복합 구체의 경도가 저하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은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96 내지 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100 질량%이다.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이 96 질량% 미만이면 가류 후의 복합 구체의 경도가 저하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전술한 복합 구체를 보다 균일한 크기로, 그리고 고무 중에 보다 분산성 좋게 분포시키기 위해서는, 고무의 혼련 중에 알킬페놀 수지 자체가 충분히 분산되고, 그 후에 알킬페놀 수지가 액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점이 너무 낮으면 혼련 중에 필러가 어느 정도 분산되기 전에 알킬페놀 수지가 액화되어 알킬페놀 수지의 양호한 분산을 달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연화점이 너무 높으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폴리머가 연화되기 때문에, 알킬페놀 수지의 덩어리를 부술 토크(torque)가 충분하지 않아 알킬페놀 수지의 분산이 악화되거나 그 액화가 불충분해져 전술한 복합 구체의 형성이 불충분해지게 될 우려가 있다.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을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전술한 복합 구체를 보다 균일한 크기로, 그리고 고무 중에 보다 분산성 좋게 분포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이다. 또한, 상기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이다.
또한,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은 JIS K 6220-1:2001에 규정되는 연화점을 환구식 연화점 측정 장치로 측정하며, 구가 강하된 온도이다.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은 모노머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의 조합이나 그 비율을 조정하고, 적당한 이방성, 결정성을 부여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의 융점은 각각 30℃, 12℃, 35.5℃이므로 당업자라면 융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들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을 원하는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도 연화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양을 조정함으로써도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다. Mw는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0 이하이다. Mw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GPC)를 이용하여 표준 폴리스티렌으로부터 환산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GPC는 하기의 조건 (1) 내지 (8)로 측정을 행하였다.
(1) 장치: 도소사 제조 HLC-8020
(2) 분리 칼럼: 도소사 제조 GMH-XL(2개 직렬)
(3) 측정 온도: 40℃
(4) 캐리어: 테트라히드로푸란
(5) 유량: 0.6 mL/분
(6) 주입량: 5 μL
(7) 검출기: 시차 굴절
(8) 분자량 표준: 표준 폴리스티렌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0.5 내지 20 질량부이다. 0.5 질량부 미만이면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조종 응답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20 질량부를 초과하면 파단시 연신율, 저연비성이 악화된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1 내지 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 내지 4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고무 조성물에서는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에 비해 요구되는 경도(E*)가 낮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이들 고무 조성물에 요구되는 경도(E*)를 확보하면서 양호한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을 얻을 수 있어,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다.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0.5 내지 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 내지 4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고무 조성물에서는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에 비해 요구되는 경도(E*)가 낮고, 치핑성(파단시 연신율) 등도 중요하며,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이들 고무 조성물에 요구되는 경도(E*)를 확보하면서 양호한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을 얻을 수 있어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7 내지 16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고무 조성물에서는 높은 경도(E*)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은 다른 부재에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많다.
본 발명에서는 메틸렌 공여체가 사용된다. 알킬페놀 수지와 함께 메틸렌 공여체를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다.
메틸렌 공여체로는 예컨대, 헥사메틸렌테트라민(HMT),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HMMM)이나 헥사메틸올멜라민펜타메틸에테르(HMMPME), 스미카놀 507A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HMT, HMMM, HMMPME가 바람직하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HMMM, HMMPME가 바람직하다. 이는 HMT가 가류 시에 메틸렌 이외에도 코드와의 접착에 악영향을 미치는 암모니아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단, HMT를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유기산 코발트를 증량함으로써 코드와의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HMT가 바람직하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HMT가 바람직하다.
메틸렌 공여체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0.04 내지 10 질량부이다. 0.04 질량부 미만이면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조종 응답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10 질량부를 초과하면 파단시 연신율, 저연비성이 악화된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메틸렌 공여체(바람직하게는 HMMM 및/또는 HMMPME)의 함유량은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서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1 내지 7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 내지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메틸렌 공여체(바람직하게는 HMT)의 함유량은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서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0.04 내지 5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메틸렌 공여체(바람직하게는 HMT)의 함유량은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함유량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서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0.4 내지 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3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로마 오일, C5계 석유 수지, C9계 석유 수지, 아로마/알리파틱 혼합 레진, TDAE 오일 등의 연화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본 블랙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호한 보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카본 블랙으로는 GPF, FEF, HAF, ISAF, SAF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카본 블랙은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N2SA)은 50 내지 110 m2/g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90 m2/g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카본 블랙의 N2SA는 20 내지 70 m2/g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50 m2/g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카본 블랙의 N2SA는 20 내지 90 m2/g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50 m2/g이 보다 바람직하다.
N2SA가 하한 미만에서는 충분한 보강성을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 한편, N2SA가 상한을 초과하면 미가류시의 점도가 매우 높아져 압출 가공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저연비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카본 블랙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은 JIS K6217-2:2001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이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경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상이다. 30 질량부 미만인 경우 카본 블랙을 배합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부 이하이다. 80 질량부를 초과하면 압출 가공성, 저연비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기산 코발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산 코발트는 스틸 코드와 고무를 가교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기산 코발트를 함유함으로써 스틸 코드와 고무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산 코발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스테아린산 코발트, 나프텐산 코발트, 네오데칸산 코발트, 붕소3네오데칸산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테아린산 코발트가 바람직하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기산 코발트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코발트로 환산하여 0.0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8 질량부 이상이다. 0.05 질량부 미만이면 접착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된다.
상기 함유량은 코발트로 환산하여 0.3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질량부 이하이다. 0.30 질량부를 초과하면 파단시 연신율, 접착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된다.
상기 메틸렌 공여체 이외에도 가교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는 황, 알킬페놀?염화 황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경도의 고무 조성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알킬페놀?염화 황 축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페놀?염화 황 축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다오카 화학 공업(주) 제조의 태키롤(TACKIROL) V20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류 촉진제도 함유할 수 있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황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이다. 또한, 황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이다. 황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오일을 함유하는 황을 사용하는 경우, 황의 함유량은 황분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알킬페놀?염화 황 축합물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다. 또한, 알킬페놀?염화 황 축합물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하이다. 알킬페놀?염화 황 축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고무 조성물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제, 예컨대, 실리카 등의 보강용 충전제, 실란 커플링제, 스테아린산, 산화 아연, 각종 노화 방지제, 왁스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산화 아연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상이다. 또한, 산화 아연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하이다. 산화 아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산화 아연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부 이상이다. 또한, 산화 아연의 함유량은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하이다. 산화 아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각 성분을 오픈 롤, 벤버리 믹서 등의 고무 혼련 장치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그 후 가류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은 각 타이어 부재에 사용할 수 있다. 타이어 부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드 에이펙스, 캡 트레드, 베이스 트레드, 사이드월, 타이검, 브레이커(타이어 코드를 상기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로 피복하여 얻어지는 부재), 스트립 에이펙스, 비드 와이어 토핑, 클린치 에이펙스,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 및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브레이커,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 비드 에이펙스, 사이드월, 베이스 트레드, 타이검이 보다 바람직하고, 브레이커, 비드 에이펙스, 사이드월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드 에이펙스란 비드 코어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뻗도록 타이어 클린치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08-38140호 공보의 도 1 내지 3 등에 도시되는 부재이다.
캡 트레드란 다층 구조를 갖는 트레드의 표층부이다. 베이스 트레드란 다층 구조를 갖는 트레드의 내층부이다. 2층 구조의 트레드의 경우에는, 표면층(캡 트레드) 및 내면층(베이스 트레드)으로 구성된다.
사이드월이란 트레드부로부터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의 외측에 배치된 부재이다.
타이검이란 케이스 코드의 내측에서 이너 라이너의 외측에 배열 설치되는 부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10-095705호 공보의 도 1 등에 도시되는 부재이다.
브레이커란 트레드의 내부에서, 그리고 카커스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03-94918호 공보의 도 3 등에 도시되는 부재이다.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란 브레이커의 단부나 브레이커의 타이어 반경 방향의 내측(브레이커 및 플라이 사이)이나 외측(브레이커 및 트레드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09-046576호 공보의 도 1 등에 도시되는 부재이다.
스트립 에이펙스란 사이드월부의 보강 내층 고무이며,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10-149677호의 도 1, 일본 특허 공개 2008-038140호의 도 5 등에 도시되는 부재이다.
비드 와이어 토핑이란 비드 와이어를 피복하는 고무이다.
클린치 에이펙스란 사이드월의 내측 끝에 배치되는 고무부이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8-75066호 공보의 도 1, 일본 특허 공개 2004-106796호 공보의 도 1 등에 도시되는 부재이다.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란 통상의 비드 에이펙스보다 부드러운 비드 에이펙스이며, 구체적으로는, 사이드월 보강층(인서트)이 배치된 런 플랫 타이어에 사용되는 통상의 비드 에이펙스보다 부드러운 비드 에이펙스나, 트럭?버스용 타이어에 사용되는 2층 구조의 비드 에이펙스(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에 딱딱한 고무층,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에 부드러운 고무층)의 부드러운 고무층이다.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상기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배합한 고무 조성물을 미가류의 단계에서 각 부재의 형상(브레이커의 경우에는 미가류의 단계에서 타이어 코드에 피복하여 브레이커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다른 타이어 부재와 함께 접착하여 미가류 타이어를 형성한 후, 가류기 중에서 가열 가압하여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 코드로는 유기 섬유 코드, 스틸 코드, 유기 섬유와 스틸의 하이브리드 코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용 스틸 코드, 2+2/0.23(선 직경 0.23 mm의 2개와 2개의 코드를 합쳐서 꼰 타이어 코드), 황동 도금을 한 고장력 코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승용차, 트럭/버스, 라이트 트럭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고경도(E*), 양호한 파단시 연신율을 갖기 때문에,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내구성),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고경도(E*), 양호한 파단시 연신율을 갖기 때문에, 경량화한 경우라 하더라도 양호한 조종 안정성, 조종 응답성, 내외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랫 스팟(타이어의 트레드의 변형)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종 약품에 대해 정리하여 설명한다.
NR: TSR20
카본 블랙(1): 캐봇 재팬(주) 제조의 N326(N2SA: 81 m2/g)
노화 방지제: FLEXSYS(주) 제조의 노화 방지제 6C(SANTOFLEX, 6PPD)
산화 아연: 미쓰이 금속 광업(주) 제조의 산화 아연(평균 입자 직경: 290 nm)
스테아린산 코발트: 다이니혼 잉크 화학 공업(주) 제조의 cost-F(코발트 함유량: 9.5 질량%)
황: FLEXSYS(주) 제조의 크리스텍스 HSOT20(황 80 질량% 및 오일분 20 질량% 포함하는 불용성 황)
가류 촉진제 DCBS: 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주) 제조의 녹셀러 DZ-G(N,N-디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릴술펜아미드)
HMT: 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주) 제조의 녹셀러 H(헥사메틸렌테트라민)
HMMPME: 다오카 화학 공업(주) 제조의 스미카놀 507AP(헥사메틸올멜라민펜타메틸에테르)
C5계 석유 수지: 미쓰이 화학(주) 제조의 하이레츠 G-100
크레졸 수지(PR-X11061):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주) 제조의 PR-X11061(알킬페놀 성분(모노머 성분)으로서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을 사용,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 0.6 질량%,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 99.4 질량%, 연화점: 128℃, Mw: 1800)
크레졸 수지(시험 제작 A): PR-X11061의 제조에 있어서 정제 방법을 변경하고,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을 바꾼 수지(알킬페놀 성분은 PR-X11061과 동일하게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 1.5 질량%,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 98.5 질량%, 연화점: 124℃, Mw: 1880)
크레졸 수지(시험 제작 B): PR-X11061의 제조에 있어서 정제 방법을 변경하고,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을 바꾼 수지(알킬페놀 성분은 PR-X11061과 동일하게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 5 질량%,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 95 질량%, 연화점: 110℃, Mw: 2090)
스미카놀 610 로트 A: 스미토모 화학 공업(주) 제조의 스미카놀 610(메타크레졸 수지(알킬페놀 성분(모노머 성분)으로서 m-크레졸만 사용(수지의 제조에 사용한 알킬페놀 성분 100 질량% 중의 m-크레졸의 양은 100 질량%),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 8 질량%,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 92 질량%, 연화점: 100℃, Mw: 2000)
스미카놀 610 로트 B: 스미토모 화학 공업(주) 제조의 스미카놀 610(메타크레졸 수지(알킬페놀 성분(모노머 성분)으로서 m-크레졸만 사용(수지의 제조에 사용한 알킬페놀 성분 100 질량% 중의 m-크레졸의 양은 100 질량%),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 12 질량%,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 88 질량%, 연화점: 95℃, Mw: 2000)
캐슈 오일 변성 페놀 수지: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주) 제조의 PR12686(캐슈 오일 변성 페놀 수지, 유리의 페놀량: 0.2 질량%,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 99.8 질량%, 연화점: 94℃, Mw: 5330)
SPB 함유 BR: 우베코산(주) 제조의 VCR617(SPB의 융점: 200℃, 비등 n-헥산 불용물의 함유율: 15 내지 18 질량%, SPB의 함유율: 15 내지 18 중량%)
SBR: 니혼 제온(주) 제조의 Nipol 1502(E-SBR)
카본 블랙(2): 캐봇 재팬(주) 제조의 N550(N2SA: 40 m2/g)
카본 블랙(3): 캐봇 재팬(주) 제조의 N330(N2SA: 78 m2/g)
비반응성 알킬페놀 수지: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주) 제조의 PR-19900(연화점: 90℃)
스테아린산: 니치유(주) 제조의 키리
가류 촉진제 TBBS: 오우치신코 화학 공업(주) 제조의 녹셀러 NS(N-tert-부틸-2-벤조티아졸릴술펜아미드)
V200: 다오카 화학 공업(주) 제조의 태키롤 V200(알킬페놀?염화 황 축합물)
PVI: 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주) 제조의 리타더 CTP
Nd계 BR: 란세스(주) 제조의 CB24(Nd계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한 BR, 시스 함량: 96 질량%, 비닐 함량: 0.7 질량%, ML1 +4(100℃):45, Mw/Mn: 2.69, Mw: 50만, Mn: 18.6만)
실리카: 에보닉 데구사사 제조의 울트라질 VN3(N2SA: 175 m2/g)
왁스: 니혼 세이로(주) 제조의 오조에이스 0355
TDAE: H&R 그룹사 제조의 Vivatec 500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21
표 1 내지 3에 나타낸 배합 처방(표 중의 황량은 황 성분의 양을 나타냄)에 따라 1.7 L 벤버리 믹서를 이용하여 배합 재료 중 가교제 이외의 재료를 150℃가 될 때까지 혼련하여 혼련물을 얻었다. 다음, 얻어진 혼련물에 가교제를 첨가하고, 2축 오픈 롤을 이용하여 105℃가 될 때까지 이겨넣어 미가류 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미가류 고무 조성물을 170℃의 조건 하에서 12분간 프레스 가류함으로써 가류 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는 얻어진 미가류 고무 조성물로 스틸 코드를 피복하고, 브레이커 형상으로 가공하고, 다른 타이어 부재와 함께 접착하여 170℃의 조건 하에서 12분간 가류함으로써 시험용 타이어(타이어 사이즈: 225/40R18 92Y XL)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8 내지 14 및 비교예 8 내지 14에서는 얻어진 미가류 고무 조성물로 비드 와이어와 조립하여 비드 에이펙스 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시험용 타이어(타이어 사이즈: 225/40R18 92Y XL)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5 내지 21 및 비교예 15 내지 21에서는 얻어진 미가류 고무 조성물로 사이드월 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시험용 타이어(타이어 사이즈: 225/40R18 92Y XL)를 얻었다.
또한, 표 1은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의 배합인데,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도 동일한 배합이다. 또한, 표 2는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의 배합인데,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도 동일한 배합이다.
또한, 표 3은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의 배합인데,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도 동일한 배합이다. 단,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로 하는 경우, BR량, 카본 블랙량을 증량하고, 카본 블랙을 N200 또는 N300번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미가류 고무 조성물, 가류 고무 조성물, 시험용 타이어를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내지 3에 나타냈다.
(복소 탄성률(경도)(E*), 저연비성(tanδ))
이와모토 제작소(주) 제조의 점탄성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70℃, 초기 변형율 10%, 동적 변형율 2%, 주파수 10Hz의 조건 하에서 각 가류 고무 조성물의 손실 탄젠트(tanδ) 및 복소 탄성률(E*)을 측정하였다.
tanδ가 작을수록 구름 저항이 낮아 저연비성이 뛰어난 것을 나타낸다. E*가 클수록 조종 안정성이 뛰어난 것을 나타낸다.
(인장 시험)
가황 고무 조성물을 포함하는 3호 덤벨형 시험편을 이용하여 JIS K 6251 "가류 고무 및 열가소성 고무-인장 특성 구하는 방법"에 준하여 실온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파단시 연신율 EB(%)를 측정하였다. EB가 클수록 파단시 연신율이 뛰어난 것을 나타낸다.
(조종 응답성)
시험용 타이어를 SUV차의 모든 바퀴에 장착하여 테스트 코스를 실차 주행하고, 드라이버의 관능 평가에 의해 조종 응답성을 10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평점이 클수록 조종 응답성이 양호하다.
(압출 가공성)
미가류 고무 조성물을 콜드 피드 압출기에 투입하고, 두께 0.85 mm×폭 약 0.7 mm의 고무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는 제작한 고무 시트를 스틸 코드의 상하로부터 압착하고, 얻어진 시트 표면의 평탄성, 마감성, 고무 스코칭(rubber scorching), 엣지의 평탄성을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뛰어남
○: 만족스러운 수준
△: 대책이 요구되는 수준(공정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수준)
×: 표준 생산을 할 수 없는 수준
또한, 실시예 8 내지 14 및 비교예 8 내지 14에서는 제작한 고무 시트를 비드 와이어와 조립한 후의 엣지의 평탄성, 직립성, 마감성, 고무 스코칭을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뛰어남
○: 만족할만한 수준
△: 대책이 요구되는 수준(공정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수준)
×: 표준 생산을 할 수 없는 수준
또한, 실시예 15 내지 21 및 비교예 15 내지 21에서는 제작한 고무 시트 표면의 평탄성, 마감성, 고무 스코칭, 엣지의 평탄성을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뛰어남
○: 만족할만한 수준
△: 대책이 요구되는 수준(공정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수준)
×: 표준 생산을 할 수 없는 수준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1 내지 3으로부터, 특정량의 알킬페놀 수지, 메틸렌 공여체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며, 유리의 알킬페놀 총량이 특정량 이하인 실시예는 양호한 압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조종 안정성, 저연비성, 파단시 연신율, 조종 응답성을 밸런스 좋게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3)

  1.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알킬페놀 수지를 0.5 내지 20 질량부,
    메틸렌 공여체를 0.04 내지 10 질량부 포함하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 3-알킬페놀, 4-알킬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이고,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遊離)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이 3 질량% 이하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알킬페놀, 상기 3-알킬페놀, 상기 4-알킬페놀이 각각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페놀 수지가 2-알킬페놀과, 3-알킬페놀과, 4-알킬페놀과,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는 수지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페놀 수지 중에 포함되는 유리의 2-알킬페놀, 3-알킬페놀 및 4-알킬페놀의 합계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페놀 수지의 연화점이 115℃ 내지 140℃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페놀 수지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이 96 내지 100 질량%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 공여체가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펜타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커 토핑용 고무 조성물,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용 고무 조성물 또는 둘다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1 내지 5 질량부,
    상기 메틸렌 공여체로서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펜타메틸에테르 또는 둘다를 1 내지 7 질량부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베이스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타이검(tie gum)용 고무 조성물, 클린치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및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으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0.5 내지 5 질량부,
    상기 메틸렌 공여체로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0.04 내지 5 질량부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및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으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알킬페놀 수지를 5 내지 20 질량부,
    상기 메틸렌 공여체로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0.4 내지 5 질량부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비드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스트립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및 비드 와이어 토핑용 고무 조성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으로서 사용되며,
    고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25 내지 50 m2/g인 카본 블랙을 40 내지 80 질량부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타이어 부재를 갖는 공기 타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부재는 비드 에이펙스, 캡 트레드, 베이스 트레드, 사이드월, 타이검, 브레이커, 스트립 에이펙스, 비드 와이어 토핑, 클린치 에이펙스, 소프트 비드 에이펙스 및 브레이커 엣지/브레이커 토핑 시트의 상하에 위치하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공기 타이어.
KR1020120015270A 2011-05-17 2012-02-15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 Ceased KR20120128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70A KR20120128541A (ko) 2011-05-17 2012-02-15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0558 2011-05-17
KR1020120015270A KR20120128541A (ko) 2011-05-17 2012-02-15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541A true KR20120128541A (ko) 2012-11-27

Family

ID=4751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270A Ceased KR20120128541A (ko) 2011-05-17 2012-02-15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5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6667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US9074076B2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cord coating, breaker edge strip, breaker cushion or cord-adjoining strip, and pneumatic tire
JP5377454B2 (ja) バンドトッピング用ゴム組成物、ブレーカーエッジストリップ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CN105764974B (zh) 冬胎
JP5367009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EP4137331A1 (en) Tire
JP5662977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のサイドウォール補強層用ゴム組成物および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21172213A (ja) タイヤ
JP5346390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8772374B2 (en) Preparation of silica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 and tire with component thereof
JP590150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114427A (ja)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トレッドを有するタイヤ
JP5346357B2 (ja) サイドウォール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482910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US20130281610A1 (en) Rubber composition for tread and pneumatic tire using the same for tread
JP2012046611A (ja) キャンバスチェーファー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WO2014167937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7495200B2 (ja) ベース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2009035674A (ja) ベース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ーストレッドを有するタイヤ
JP2016145340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トラック・バス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スタッドレス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3155308A (ja) キャップトレッド、ベーストレッド、サイドウォール、カーカス、クリンチ又はビードエイペックス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7259522B2 (ja)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7172099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20128541A (ko)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 타이어
JP2006307039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乗用車用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