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7457A -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 Google Patents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457A
KR20120127457A KR1020127021459A KR20127021459A KR20120127457A KR 20120127457 A KR20120127457 A KR 20120127457A KR 1020127021459 A KR1020127021459 A KR 1020127021459A KR 20127021459 A KR20127021459 A KR 20127021459A KR 20120127457 A KR20120127457 A KR 2012012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hannel
service
fluid
orif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707B1 (ko
Inventor
마틴 발티
파비안 요더
Original Assignee
메델라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델라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메델라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12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7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allowing gas passage, but preventing liquid passage, e.g. liquophobic, hydrophobic, water-repellent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1)에 있어서, 환자측 배수 부착부(11), 배수 튜브(2)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배수 오리피스(16), 상기 배수 부착부(11)와 상기 배수 오리피스(16)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배수 채널(12), 서비스 튜브(4)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제1 서비스 오리피스(17),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서 종료된 제2 서비스 오리피스(17'), 상기 제1 서비스 오리피스(17)와 상기 제2 서비스 오리피스(17')를 연결하고 있는 서비스 채널(15), 및 상기 서비스 채널(15)을 상기 배수 채널(12)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는 디바이스(4, 4')를 포함하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 채널(15)로부터 상기 배수 채널(12)로의 유체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배수 채널(12)로부터 상기 서비스 채널(15)로의 입자 및 액체의 공급을 막는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4, 4')를 통하지 않고 상기 배수 채널(12)을 통해 상기 배수 부착부(11)로부터 상기 배수 오리피스(16)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1) 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COUPLING PART OF A DRAINAGE TUBE UNIT}
본 발명은,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1)에 있어서, 환자측 배수 부착부(11), 배수 튜브(2)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배수 오리피스(16), 상기 배수 부착부(11)와 상기 배수 오리피스(16)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배수 채널(12), 서비스 튜브(4)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제1 서비스 오리피스(17),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서 종료된 제2 서비스 오리피스(17'), 상기 제1 서비스 오리피스(17)와 상기 제2 서비스 오리피스(17')를 연결하고 있는 서비스 채널(15), 및 상기 서비스 채널(15)을 상기 배수 채널(12)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는 디바이스(4, 4')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 채널(15)로부터 상기 배수 채널(12)로의 유체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배수 채널(12)로부터 상기 서비스 채널(15)로의 입자 및 액체의 공급을 막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환자측 부착부에 관한 것이다.
배수 펌프 시스템은 예를 들면 수술 중재 후에 의료 분야에서 신체의 액체 및 유체를 흡인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한 상처 배수, 흉곽 배수 또는 지방 흡수에 사용된다. 이들 배수 펌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흡입 펌프, 하나 이상의 유체 수집 용기, 및 환자와 유체 수집 용기 사이의 배수 튜브 연결부를 가진다. 유체 수집 용기는 배수 펌프의 하우징에 릴리스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거나, 진공 튜브를 통해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 펌프 또는 진공 펌프에 의해 유체 수집 용기 내에 발생되는 저압에 의해, 환자의 공동으로부터의 유체 또는 분비물은 배수 튜브를 통해 수집 용기 내로 흡인되고 수집 용기 내에 수집될 수 있다. 수집 용기의 펌프측 출구에 배치되는 필터는 흡입 펌프를 흡인된 유체에 의한 가능한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배수 라인에 더하여, 예를 들면 유량 차이 및 압력 차이를 판정하거나 공동을 플러싱하기 위해 공기 또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측정 라인으로서 서비스 라인을 펌프로부터 환자에게 연결하는 것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것을 위한 예는 US 5 738 656 및 US 5 134 996이며, 그것들은 이중 루멘 또는 다중 루멘 튜브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한 압력 변화의 측정은 의사 및 간호 인력에 대해 중요한 도움이 된다. 흡인 동안의 압력의 변화는, 예를 들면 흡입 펌프의 기능, 튜브 연결의 밀폐성, 및 치료 프로세스에 대한 상태 표시를 제공한다.
또한, WO 2008/141470은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튜브 유닛은, 펌프측 부착부, 환자측 부착부, 배수 튜브,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 튜브를 포함한다. 서비스 튜브는 상술한 작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튜브는 제1 단부는 환자측 부착부에 있고 제2 단부는 펌프측 부착부에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환자측 부착부 내의 튜브의 단부는 각각의 부착부 내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연결 채널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 튜브 유닛은 값싸게 생산될 수 있고 사용하기 쉬우며 신뢰할 수 있다.
또한, 흡입 펌프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 소수성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US 4 731 260은, 원통형 필터 삽입체를 가진 유체 용기를 기술하고 있다. US 4 636 313은, 통합된 세균 필터를 가진 배수 튜브의 결합부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기체 투과 및 액체 투과 필터를 사용하는 액체로부터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액체가 이들 필터를 통해 흐를 때, 필터는 액체를 소정 정도로 취하고, 그 후에는 나머지 액체를 통과할 수 없게 한다. 이들의 예는 WO 2005/035033, US 3 631 654, 및 US 4 031 89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인된 분비물에 의해 서비스 라인이 막히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배수 튜브 유닛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진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에 의해 달성된다.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는, 환자측 배수 부착부, 배수 튜브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배수 오리피스, 상기 배수 부착부와 상기 배수 오리피스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배수 채널, 서비스 튜브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제1 서비스 오리피스,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서 종료된 제2 서비스 오리피스, 상기 제1 서비스 오리피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오리피스를 연결하고 있는 서비스 채널, 및 상기 서비스 채널을 상기 배수 채널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 채널로부터 상기 배수 채널로의 유체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배수 채널로부터 상기 서비스 채널로의 입자 및 액체의 공급을 막는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를 통하지 않고 상기 배수 채널을 통해 상기 배수 부착부로부터 상기 배수 오리피스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통과한다"는 것은, 유체가 상기 디바이스의 분리 매체 또는 분리 기구를 통해 흐르지 않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디바이스가, 분리 기능을 가지지 않는 영역을 가지면, 유체는 이러한 영역에서 이러한 디바이스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3 및 제4 실시예에 존재하는 바와 같이 연속 중공 공간일 수 있다.
결합부 내에서의 이러한 디바이스는 공기 교환이 서비스 채널과 배수 채널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디바이스는 신체 유체와 흡인된 조직 파편이 서비스 라인 내로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압력 측정 및 공기 또는 가스에 의한 플러싱 절차는 서비스 채널에 의해 임의의 시간에 방해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는 바람직하게 배수 튜브 유닛의 환자측 부착부 또는 환자측 단부 플러그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일방향 밸브, 특히 체크 밸브, 필터, 또는 체크 밸브와 필터의 조합일 수 있다. 필터는 공기에 대해 투과성이지만 액체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이다. 필터는 바람직하게 소수성일 뿐만 아니라 소유성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그러나 필수적은 아니게 멤브레인으로서 디자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멤브레인은, 공기에 대해 투과성이지만 액체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인 재료로부터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력 측정은, 흡인된 액체 또는 흡인된 입자는 배수 채널로부터 서비스 채널 내로 통과할 수 없는 상태에서, 서비스 라인을 통해 가능하다. 멤브레인은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멤브레인은 또한, 예를 들면 덕빌이 배수 채널의 방향으로 향한 덕빌 밸브로서 디자인됨으로써, 체크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재료에 더하여, 멤브레인이 이러한 밸브를 가지면, 액체는 또한 서비스 라인을 통해 배수 채널 내로 운반될 수 있으면서도, 액체가 서비스 채널 내로 반대 방향으로 플러싱되는 것을 피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가스 및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재료로 이루어진 체크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도, 체크 밸브는, 멤브레인의 형태로, 특히 바람직하게 중앙에 배치된 덕빌 밸브를 가진 상술한 플레이트형 주 몸체의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멤브레인은 둥근,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기본적 형상을 가진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 일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서, 멤브레인은 일체식 플레이트형 주 몸체를 가진다. 체크 밸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체크 밸브는 바람직하게 이러한 주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체크 밸브는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의 중앙에 배치된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 그 주변 영역에, 하나 이상의 원주형 폐쇄된 밀봉 립을 가진다. 밀봉 립은 멤브레인 시트에 대해 밀봉을 제공하며 밸브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멤브레인 표면을 형성한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상기 디바이스가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제2 서비스 오리피스를 배수 채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채널을 가지며, 상기 디바이스는 이러한 연결 채널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것은 특히, 서비스 채널과 배수 채널이 서로에 대해 대략 또는 정확히 평행일 때 이점을 가진다.
서비스 채널의 단면 및 존재하는 경우에는 연결 채널의 단면은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의 단면보다 작다.
결합부가, 멤브레인 또는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가진 주 몸체를 가지거나, 주 몸체를 시트의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누수 밀폐식으로 폐쇄되게 하는 뚜껑을 가지면, 멤브레인 또는 다르게 디자인된 디바이스는 장착하기 용이하다. 서비스 채널이 뚜껑 내에 배치되면 생산이 간단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부의 외면을 배수 채널에 연결하는 주입 및/또는 배출 개구, 바람직하게는 채널이 추가로 존재한다. 유체는 이러한 개구를 통해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결합부는 정확히 1개의 배수 채널 및 정확히 1개의 서비스 채널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배수 채널 및 단일의 서비스 채널이 존재하며, 서비스 채널은 2개의 배수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2개의 배수 채널을 서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일 멤브레인을 가진다.
대략적으로 평평하거나 플레이트형 멤브레인 대신에,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에 대해 동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종류의 관형 디바이스는 지지 몸체, 및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부재를 가지며, 필터 부재는 지지 몸체상에 및/또는 지지 몸체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관형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 내에 배치되어, 역시 연결 채널을 보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채널은, 배수 채널 내로 개방되는 제1 단부를 가지며, 필터는 이러한 제1 단부를 폐쇄시킨다.
압력 측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자유 공간이 필터의 외주와 배수 채널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자유 공간은 단면이 환형일 수 있다. 그러나, 자유 공간은 바람직하게 챔버로서 형성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 삽입 부재로서 디자인되며, 바람직하게 흡입 펌프를 향해 배수 채널의 단부에 의해, 결합부의 내부에서의 사용을 위해 준비되는 위치로 밀릴 수 있다. 필터는 바람직하게 그 위치에서 압축되어, 필터와 결합부의 내벽 사이의 이러한 압축 패킹은, 분비물이 서비스 채널 내로 통과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필터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고 소수성이며 바람직하게 또한 소유성인 필터 재료를 가진다. 필터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이러한 필터 재료로 완전히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필터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및/또는 자체 지지되도록 디자인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터는 지지 몸체, 및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부재를 가진다. 그러면 필터 부재는 지지 몸체상에 및/또는 지지 몸체 내에 배치된다. 필터 부재는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으로서 디자인된다. 지지 몸체는 바람직하게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단부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플랜지를 가진다. 필터 부재는 바람직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 또는 보강 리브를 가진다. 이러한 지지 몸체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부터 용이하게 정밀한 사이즈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는 지지 몸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 부재는 지지 몸체 내에 배치될 수 있거나, 지지 몸체 둘레에 감긴다. 필터 부재는 또한 지지 몸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부재가 지지 몸체의 내면에 적용되면, 이러한 필터 부재의 강성도는 증가된다.
본 발명의 변경예에서, 배수 채널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직선이다. 배수 채널은 바람직하게, 필터를 위해 맞대기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계단부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단일 배수 채널만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변경예 및 다른 변경예에서, 필터는 관통 채널을 가지며, 신체의 유체가 흡인 동안에 관통 채널을 통해 흐르도록, 결합부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변경예에서, 필터는 결합부 내에서, 신체의 유체가 흡인 동안에 흐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특히, 2개 이상의 환자측 배수 부착부를 가져 배수 라인의 분리를 위해 작용하는 결합부를 위해 적합하다.
필터는 반드시 배수 채널 내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대신에, 배수 채널을 서비스 채널로부터 분리시키는 한, 즉 배수 채널로부터의 유체가 필터를 통해 흐르지 않고 서비스 채널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다른 적절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부는 바람직하게, WO 2008/141470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술한 디바이스를 가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환자측 부착부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필터를 가진 다르게 구성된 결합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도면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 된다.
도 1은, 서비스 튜브와 배수 튜브가 부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하면을 볼 수 있는, 도 1에 따른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결합부의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결합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을 따른 결합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C 선을 따른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서비스 튜브와 배수 튜브가 부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하면을 볼 수 있는, 도 7에 따른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결합부의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A 선을 따른 결합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선을 따른 결합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튜브가 내부에 배치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지지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필터 부재가 지지 몸체에 배치된 도 13에 따른 지지 몸체의 길이 방향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결합부의 길이 방향 사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따른 결합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은, 튜브(2, 3)가 내부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결합부는 주 몸체(10), 및 주 몸체(10)에 배치되는 환자측 배수 부착부(11)를 가진다. 결합부(1)는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 몸체(10) 및 배수 부착부(11)는 일체로 함께 형성된다.
주 몸체(10)는, 환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 단부에서, 배수 튜브(2)의 환자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오리피스(16)를 가진다. 이러한 제1 오리피스(16) 위에, 부분적으로 튜브의 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부(160)가 있다.
주 몸체(10)는 폐쇄 뚜껑(13)으로 폐쇄된다. 폐쇄 뚜껑 역시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뚜껑(13)은 바람직하게 스냅-핏트(snap-fit) 폐쇄에 의해 주 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이 일단 확립되면 파괴되지 않고서는 해제될 수 없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주 몸체(10)는 윈도우(100)를 가지며, 윈도우(100)는 원주 주위에 분포되고, 윈도우(100) 내에 뚜껑(13)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러그가 결합된다.
폐쇄 뚜껑(13) 내에, 서비스 튜브(3)의 환자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오리피스(17)가 있다. 제2 오리피스(17)는 관형이고, 주 몸체(10)의 부분적으로 관형인 수용부(160) 내로 형상 맞춤식으로 결합(click)될 수 있다.
제1 오리피스(16) 및 제2 오리피스(17)는 바람직하게, 2개의 튜브(2, 3)가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가지고 평행하게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서비스 튜브(3)는 바람직하게 배수 부착부(11)의 영역의 압력을 측정하는 작용을 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서비스 튜브(3)는 또한 기상 유체 또는 액상 유체, 특히 공기로 플러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튜브의 직경은 바람직하게 배수 튜브(2)의 직경보다 작다. 두 가지 튜브(2, 3)는 바람직하게 1개의 루멘으로 디자인되며, 적어도 결합부(1)의 영역에서는 서로로부터 별개로 연장된다. 튜브는 바람직하게 실리콘 또는 PVC로 이루어진다. 튜브(2, 3)는 오리피스(16, 17) 내로 플러깅되어 그 안에 유지된다. 튜브는 바람직하게 결합부에 접착식으로 본딩되거나 용접된다. 다른 밀봉 형태의 고정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는 또한 오리피스(16, 17)에 플러깅될 수 있다.
반대쪽 단부에서, 주 몸체(10)는 환자측 배수 부착부(11)에 병합된다. 환자측 배수 부착부는 바람직하게 원추형이고 계단식이며, 자유 개방 단부를 향해 좁아진다. 따라서, 단면도에서, 배수 부착부는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을 가진다. 이 예에서의 배수 부착부(11)는 배수 튜브(2)를 위한 펌프측 오리피스(16)와 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여기에서 전체 길이를 따라 직선(rectilinear)으로서 도시된 배수 채널(12)은 상기 오리피스(16)와 배수 부착부(11)의 환자측 자유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서비스 튜브(3)를 위한 펌프측 오리피스(17)의 직경은 배수 튜브(2)를 위한 펌프측 오리피스(16)의 직경보다 작다. 제2 오리피스(17)는 주 몸체 내에서 제1 오리피스(16)에 대해 어긋나며(offset), 직선적으로 배수 채널(1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서비스 채널(15) 내로 연결된다(leads). 주 몸체(10) 내부의 서비스 채널(15)은 바람직하게 좁아져 계단부(150)를 형성한다. 이러한 계단부(150)는 서비스 튜브(3)의 환자측 단부를 위한 맞대기부로서 작용한다. 배수 채널(12)과 서비스 채널(15)은 예를 들면 도 5에서 볼 수 있다.
환자 근처의 단부와 환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 단부 사이에서,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주 몸체(10)는 평평한 둥근 영역을 가진다. 뚜껑(13)은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둥글다. 이것은 도 3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둥근 영역과 뚜껑(13)은 공통 챔버(140)를 형성하며, 그것은 도 4 및 도 5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다. 챔버(140)는 서비스 채널(15)을 배수 채널(12)에 연결한다. 이것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뚜껑(13) 내의 서비스 채널(15)은 챔버(140) 내에서 종료되고, 챔버(140)는 연결 채널(14)에 병합된다. 서비스 채널(15)의 이러한 제2 오리피스는 도면에서 도면부호 17'로 표시되어 있다. 연결 채널(14)은 바람직하게 서비스 채널(15)에 대해 직각이고 배수 채널(12) 내에서 개방된다. 연결 채널은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개방된다. 연결 채널은 바람직하게 직선이다. 그러나, 연결 채널은 또한 서비스 채널(15) 및/또는 배수 채널(12)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일 수 있고 및/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주 몸체측의 챔버(140)의 부분은 멤브레인 시트(19)로서 디자인된다. 멤브레인 시트(19)는 주 몸체(10)의 주변 영역에서 원형 상승된 에지를 가진다. 이것의 뒤에,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서, 경신된 상승된 리브를 가진 원형 오목부가 뒤따른다. 이러한 리브는 마찬가지로 원형이다. 연결 채널(14)은 이러한 오목부의 중심(M)에서 시작되며, 중심(M)은 또한 바람직하게 주 몸체(10)의 둥근 영역의 중심(M)에 대응한다. 연결 채널(14)은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연결 채널(14)의 다른 제2 단부는 배수 채널(12)을 향해 개방된다. 연결 채널(14)의 제1 단부는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뚜껑(13)의 내면은 또한 대응하여 구부러진다. 뚜껑의 내면은 특히, 멤브레인 시트를 향해 돌출하는 원주 방향 폐쇄 리브(133), 및 리브(133)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부 평면 원주면을 가진다.
멤브레인(4')은 챔버(140) 내에 배치된다. 멤브레인(4')은 바람직하게 공기 투과성이지만 액체 불투과성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멤브레인은 또한, 공기 및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재료의 예는 탄성중합체, 특히 실리콘 또는 TPE(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이다.
이러한 멤브레인(4')은 둥근 주 윤곽을 가지며, 멤브레인(4')에, 멤브레인 시트(19)와 매칭하도록, 원주 방향의 완전히 폐쇄된 링(47, 48)이 구비된다. 멤브레인(4')은 그 주변 영역에 하나 이상의 밀봉 립 이 경우에 2개의 동심 밀봉 립(46)을 가진다. 밀봉 립 중 하나 이상은 비교적 예리한 에지를 가진다. 이들 밀봉 립(46)은 멤브레인 시트(19)의 평평한 주변 영역에 지지되고, 뚜껑(13)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연속하는 립(133)과 함께 밀폐 연결부를 형성한다. 상부를 향해, 뚜껑(13)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뾰족한 밀봉 립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이러한 영역에 존재한다.
멤브레인의 중심에서, 멤브레인(4')은 바람직하게 덕빌 밸브(45)를 가진다. 덕빌 밸브(45)는 바람직하게 멤브레인(4')의 나머지와 일체로 생산된다. 덕빌 밸브(45)는 연결 채널(14)로 향해 돌출하여, 서비스 채널(15)로부터 배수 채널(12)로의 입구를 개방하지만, 반대 방향은 폐쇄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개구(18)는 주 몸체(10)에서 뚜껑(13)에 대해 반대쪽에 존재한다. 이러한 개구(18)는 주입 및/또는 배출 개구로서 작용하며, 액체 또는 가스가 배수 채널(12) 내로 주입되고 및/또는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사용되지 않을 때에, 이러한 주입 및/또는 배출 개구(18) 또는 이러한 채널은 바람직하게 스토퍼(6)에 의해 밀폐식으로 폐쇄된다. 이것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1)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주 몸체(10) 및 주 몸체(10)의 플레이트 모양의 영역을 폐쇄하는 뚜껑(13)이 존재한다. 뚜껑(13) 및 주 몸체(10)는 여기에서도, 내부에 멤브레인(4')이 배치되는 챔버(140)를 형성한다. 챔버(140), 특히 멤브레인 시트(19) 및 멤브레인(4') 자체는 바람직하게,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바람직하게, 스토퍼(6)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주입 및/또는 배출 개구(18)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 몸체(10)는 그 연결부가 Y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3개의 단부를 가진다. 여기에서도, 제1 펌프측 단부는, 배수 튜브(2)와 서비스 튜브(3)을 위한 2개의 상호 이격되는 오리피스(16, 17)를 가진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바람직하게 동일하게 디자인되는 2개의 환자측 단부가 있다. 각각의 단부에, 환자측 배수 부착부(11, 11')가 있다. 환자측 배수 부착부는 바람직하게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환자측 배수 부착부의 단면은 배수 채널(12)의 단면보다 작거나 같다. 펌프측 단일 루멘 채널(12)은 따라서 주 몸체(10) 내에서 2개의 바람직하게 동일한 배수 채널 브랜치(12', 12")로 분할된다. 배수 채널 브랜치는 바람직하게, 흡인 방향에서, 서비스 채널(14)의 오리피스(17')의 상류를 배수 채널(12)로 분할한다. 즉, 주 몸체(10) 내에서의 배수 채널(12)은, 배수 채널 브랜치(12', 12")의 분기점을 넘어 연속하는 브랜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의 환자측 직선 연장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장부는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45)가 이러한 연장부의 영역 내에 완전히 위치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에 충분히 길다.
도 12는, 튜브(2, 3)가 내부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1)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동일한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며, 여기에서 상세하게 반복하지 않는다. 결합부는 주 몸체(10), 및 주 몸체에 배치되는 환자측 배수 부착부(11)를 가진다. 주 몸체(10) 및 배수 부착부(11)는 여기에서도 바람직하게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배수 튜브(2)와 서비스 튜브(3)의 환자측 단부를 위한 2개의 오리피스는 주 몸체(10)에 형성된다. 서비스 튜브(3)의 직경은 여기에서도 바람직하게 배수 튜브(2)의 직경보다 작다. 2개의 튜브(2, 3)는 모두 바람직하게 단일 루멘으로 디자인되고, 적어도 결합부(1)의 영역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연장된다.
반대쪽 단부에서, 주 몸체(10)는 환자측 배수 부착부(11)로 병합된다. 환자측 배수 부착부는 여기에서도 바람직하게 원추형이고 계단부를 가진다. 배수 부착부(11)는 배수 튜브(2)를 위한 펌프측 오리피스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 전체 길이를 따라 직선인 배수 채널(12)은 이러한 오리피스와 배수 부착부(11)의 환자측 자유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서비스 튜브(3)를 위한 펌프측 오리피스의 직경은 배수 튜브(2)를 위한 펌프측 오리피스의 직경보다 작다. 이러한 제2 오리피스는 주 몸체(10) 내에서 제1 오리피스에 대해 축방향으로 어긋나며, 배수 채널(1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 서비스 채널(15) 내로 연결된다. 주 몸체(10) 내부의 서비스 채널(15)은 바람직하게 좁아져 계단부(150)를 형성한다. 이러한 계단부(150)는 서비스 튜브(3)의 환자측 단부를 위한 맞대기부로서 작용한다.
서비스 채널(15)은 주 몸체(10) 내에서 종료되고, 주 몸체(10) 내에서, 바람직하게 서비스 채널(15)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결 채널(14)을 향해 개방된다. 연결 채널(14)은 서비스 채널(15)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가진다. 연결 채널은 한편으로는 배수 채널(12) 내에서 종료되며,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수 채널(12)을 향해 개방된다. 연결 채널의 다른 단부는 외부로의 개구를 형성하고, 그러한 개구는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과 서비스 채널(15)의 펌프측 오리피스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결 채널이 각도를 가지며, 구부러진 형상으로 디자인되고 및/또는 배수 채널(12) 또는 서비스 채널(15)을 향해 다른 각도로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 채널(14)의 외향 개구는 폐쇄 뚜껑(13)에 의해 폐쇄된다. 폐쇄 뚜껑은 도 12에서 폐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폐쇄 뚜껑은 바람직하게 결합부(1)의 나머지와 일체로 생산된다. 폐쇄 뚜껑은, 주 몸체(10) 상에서 제1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폐쇄 밴드(130)를 가진다. 제2 단부에서, 스토퍼(131)는 폐쇄 밴드(130)에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 채널(14)의 외향 개구를 향해 플러깅될 수 있어, 연결 채널(14)을 기체 밀폐 및 액체 밀폐 방식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이제, 멤브레인 대신에, 공기 투과성이지만 액체 밀폐인, 즉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필터(4)가 결합부(1) 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필터(4)는 서비스 채널(15)을 배수 채널(12)로부터 분리시킨다. 배수 튜브(2)에 연결되는 흡입 펌프에 의해 환자 내의 공동으로부터 흡인되는 유체는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배수 채널(12)을 통해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흐른다. 그러나, 동일한 유체가 서비스 채널(15) 내로 직접 도달할 수 없고, 대신에 이 경우에 필터를 통해 흘러야 한다. 이것은 흡인된 액체, 조직 입자 또는 다른 고체가 서비스 채널(15) 및 서비스 튜브(3) 내로 통과하여 서비스 채널 및 서비스 튜브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4)는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 내에 배치되고, 배수 채널(12) 내에서, 필터(4)는 배수 채널(12) 내로의 연결 채널(14)의 오리피스를 폐쇄시키거나 이러한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필터(4)와 오리피스 사이에 거리가 있다. 결과적인 자유 공간(5)은 바람직하게 환형이고, 배수 채널(12)의 전체 길이 방향 중심축(L) 주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거리는 배수 채널(12) 내에서의 압력 측정을 용이하게 하며, 압력은 이러한 영역에서 측정된다.
필터(4)는 바람직하게, 주 몸체(10) 또는 배수 부착부(11) 내에 고정될 수 있는 삽입 부재로서 디자인된다. 그것은 바람직하게 중공 원통형 형상 또는 관형 형상을 가지며, 조립된 상태에서는 배수 채널(12)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된다. 필터(4)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재료를 가지는데, 이 경우에는, 중공 원통형 형상의 재킷을 따라 연장되는 필터 부재(44)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 내의 공동으로부터 흡인되는 유체는 필터 부재(44)를 통과하지 않고 배수 채널(12)을 통해 흐른다. 그러나, 서비스 채널(15)에 연결되는 환형 자유 공간(5)은 필터 부재(44)의 다른 쪽에 위치된다.
주 몸체(10)로부터 환자측 배수 부착부(11)로의 전이부에서, 배수 채널(12)은 계단부(120)를 가진다. 따라서, 배수 부착부(11) 내의 배수 채널(12)은, 주 몸체(10) 내의 배수 채널(12)의 단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계단부(120)는 필터(4)를 위한 맞대기부로서 작용한다. 배수 채널(12)의 나머지 부분, 즉 펌프측 부분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필터(4)의 외경과 동일한 사이즈의 내경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4)는 펌프측 오리피스로부터 배수 채널(12)을 통해 맞대기부(120)까지 용이하게 밀리거나 눌려질 수 있다. 그러면, 필터(4)의 펌프측 단부는 바람직하게 배수 튜브(2)를 위한 맞대기부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분비물 액체가 서비스 채널(15) 내로 통과될 수 있어, 압력 측정이 이러한 채널 내에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필터(4)와 결합부(1)의 나머지의 내벽 사이에 압축 패킹이 있다.
필터(4)는 완전히, 자체 지지되도록 디자인되는 필터 부재(4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4)는 바람직하게, 필터 부재(44)가 배치되는 크기가 안정된 지지 몸체(40)를 가진다. 지지 몸체(4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몸체는 아령 형상이며, 직경이 확대된 2개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 플랜지(41)를 가진다. 이들 2개의 단부 플랜지(41)는 길이 방향 웨브(42)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연속적 윈도우(43)는 길이 방향 웨브(42)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들 윈도우(43)를 통해, 공기는 연결 채널(14)과 서비스 채널(15) 내로 통과될 수 있다. 지지 몸체(40)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몸체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디자인된다.
도 14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부재(44)의 장치의 가능한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필터 부재(44)는 윈도우(43)를 폐쇄하도록, 길이 방향 웨브(42) 둘레에서 2개의 단부 플랜지(41)들 사이에 감긴다. 따라서, 필터 부재는 단부 플랜지(41)와 함께 필터 삽입체(4)의 외부 주변부를 형성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필터 부재(44)는 바람직하게, 지지 몸체(40)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풀린 상태에서, 필터 부재는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기본적 형상을 가진다.
필터 부재(44)는 바람직하게 소수성 및 또한 특히 소유성인 재료로 이루어진다. 재료는 바람직하게 비교적 가요성이어서, 필터 부재는 지지 몸체(40) 둘레에 용이하게 감길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필터 부재(44)는 또한 지지 몸체(4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부재는 안정성이 증가된다.
필터 부재(44)는 지지 몸체(40)에 주입되고, 접착식으로 본딩되며, 용접되거나 다르게 연결될 수 있다.
웨브 및 윈도우 대신에, 많은 수의 슬릿 또는 다른 형상의 개구가 지지 몸체의 원래 폐쇄된 주 몸체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이들 슬릿 또는 개구는 필터 부재에 의해 덮인다.
필터, 즉 지지 몸체(40) 및/또는 자체 지지 필터 부재(44)는 또한, 둥근 단면과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특히 사각형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동일한 필터 삽입체(4)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1)의 다른 실시예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응하여, 동일한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된다. 여기에서 주 몸체(10)도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주 몸체(10)는 3개의 단부를 가져 Y자 형상이다. 제1 펌프측 단부는 여기에서도 배수 튜브(2)와 서비스 튜브(3)를 위한 2개의 상호 이격된 오리피스를 가진다(도 16 및 도 17 참조). 그러나, 여기에서는, 바람직하게 동일하게 디자인되는 2개의 환자측 단부가 있다. 각각의 단부에, 환자측 배수 부착부(11, 11')가 있다. 2개의 환자측 배수 부착부(11, 11')는 모두 바람직하게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배수 채널(12', 12")과 동일한 단면으로 디자인된다. 따라서, 펌프측 단일 루멘 배수 채널(12)은 주 몸체(10) 내에서 2개의 바람직하게 동일한 배수 채널 브랜치(12', 12")로 분기된다. 흡인의 방향에서, 분기는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로의 서비스 채널(14)의 오리피스의 상류에서 발생한다. 즉, 주 몸체(10) 내의 배수 채널(12)은, 배수 채널 브랜치(12', 12")의 분기점을 지나 연속되며 바람직하게 배수 채널(12)의 사각형 환자측 연속부를 형성하는 브랜치를 가진다. 이러한 연속부는 바람직하게, 필터(4)가 배수 채널 브랜치(12', 12")로의 분기의 영역으로 돌출하지 않는 상태에서, 필터(4)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길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인된 유체는 필터(4)를 통해 흐르지 않는다. 이러한 배열은 필터 재료의 조기 포화(premature saturation)를 피한다.
여기에서도, 필터(4)는 배수 채널(12)의 펌프측 오리피스를 통해 사용 위치로 밀리거나 눌려질 수 있다. 그러나, 필터는 또한, 2개의 배수 부착부(11, 11')들 사이에 놓이는 주 몸체의 환자측 단부로부터 주 몸체(10) 내로 밀릴 수 있다(이러한 변경예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다).
상술한 필터 삽입체 대신에, 다른 필터도,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두 가지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다른 형태의 멤브레인 또는 다른 형태의 체크 밸브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필터 및 상술한 멤브레인은 다른 실시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는, 서비스 채널을 배수 채널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압력의 신뢰성 있는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1: 결합부 10: 주 몸체
100: 윈도우 11, 11': 환자측 배수 부착부
12: 배수 채널 12', 12": 배수 채널 브랜치
120: 계단부 13: 폐쇄 뚜껑
130: 폐쇄 밴드 131: 스토퍼
133: 리브 14: 연결 채널
140: 챔버 15: 서비스 채널
150: 계단부 16: 배수 채널의 오리피스
160: 부분 튜브로서 형성되는 수용기
17: 서비스 채널의 제1 오리피스 17': 서비스 채널의 제2 오리피스
18: 주입 및/또는 배출 개구 19: 멤브레인 시트
2: 배수 튜브 3: 서비스 튜브
4: 필터 4': 멤브레인
40: 지지 몸체 41: 단부 플랜지
42: 길이 방향 웨브 43: 윈도우
44: 필터 부재 45: 덕빌 밸브
46: 밀봉 립 47: 링
48: 링 5: 자유 공간
6: 스토퍼 L: 길이 방향 중심축
M: 중심

Claims (15)

  1.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1)에 있어서,
    환자측 배수 부착부(11),
    배수 튜브(2)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배수 오리피스(16),
    상기 배수 부착부(11)와 상기 배수 오리피스(16)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배수 채널(12),
    서비스 튜브(4)에 연결하기 위한 펌프측 제1 서비스 오리피스(17),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서 종료된 제2 서비스 오리피스(17'),
    상기 제1 서비스 오리피스(17)와 상기 제2 서비스 오리피스(17')를 연결하고 있는 서비스 채널(15), 및
    상기 서비스 채널(15)을 상기 배수 채널(12)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는 디바이스(4, 4')
    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 채널(15)로부터 상기 배수 채널(12)로의 유체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배수 채널(12)로부터 상기 서비스 채널(15)로의 입자 및 액체의 공급을 막으며,
    상기 디바이스(4, 4')는, 상기 디바이스(4, 4')를 통하지 않고 상기 배수 채널(12)을 통해 상기 배수 부착부(11)로부터 상기 배수 오리피스(16)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1) 내에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비스 오리피스(17')를 상기 배수 채널(1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채널(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4, 4')는 상기 연결 채널(14)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채널(15)과 상기 배수 채널(12)은 서로에 대해 대략 또는 정확하게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4, 4')는, 공기에 대해 투과성이고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필터를 가지고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4')는 일방향 밸브(45), 특히 덕빌 밸브를 가지고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4')는 멤브레인이고,
    상기 멤브레인은 필터 및/또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하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둥글고, 그 주변 영역에, 하나 이상의 원주 방향 폐쇄된 밀봉 립(46)을 가지고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4')을 수용하기 위한 멤브레인 시트(19)를 가진 주 몸체(10),및
    상기 멤브레인 시트(19)의 영역에서 상기 주 몸체(10)를 외부로부터 밀폐식으로 폐쇄시키는 뚜껑(13)
    을 더 포함하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채널(15)은 상기 뚜껑(13) 내에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4')은, 상기 배수 채널(12)의 길이 방향 축(L)에 대해 대략 평행한 멤브레인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4')은 상기 배수 채널(12)의 길이 방향 중앙 축(L)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의 외면을 상기 배수 채널(12)에 연결하고 있는 주입 및/또는 배출 개구(18)를 더 포함하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배출 채널(12, 12') 및 단일 서비스 채널(15)이 있으며,
    상기 서비스 채널(15)은 2개의 상기 배수 채널(12, 1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4, 4')는, 2개의 상기 배수 채널(12, 12')을 상기 서비스 라인(15)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일 멤브레인 또는 단일 필터를 가지고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4)는 관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배수 채널(12)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4)는 지지 몸체(40), 및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부재(4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필터 부재(44)는 상기 지지 몸체(40) 상에 및/또는 상기 지지 몸체(40) 내에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에 의해 신체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KR1020127021459A 2010-02-16 2010-11-11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Active KR101787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91/10 2010-02-16
CH00191/10A CH702752A1 (de) 2010-02-16 2010-02-16 Kopplungsteil einer Drainageschlaucheinheit.
PCT/CH2010/000283 WO2011100851A1 (de) 2010-02-16 2010-11-11 Kopplungsteil einer drainageschlauch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457A true KR20120127457A (ko) 2012-11-21
KR101787707B1 KR101787707B1 (ko) 2017-10-18

Family

ID=4230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459A Active KR101787707B1 (ko) 2010-02-16 2010-11-11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536448B1 (ko)
JP (1) JP5625072B2 (ko)
KR (1) KR101787707B1 (ko)
CN (1) CN102753220B (ko)
BR (1) BR112012020583A2 (ko)
CH (1) CH702752A1 (ko)
DK (1) DK2536448T3 (ko)
PL (1) PL2536448T3 (ko)
WO (1) WO2011100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8453B2 (en) 2003-10-28 2022-04-12 Smith & Nephew Plc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cleansing with actives
GB0508531D0 (en) 2005-04-27 2005-06-01 Smith & Nephew Sai with ultrasound
GB0723872D0 (en) 2007-12-06 2008-01-16 Smith & Nephew Apparatus for topical negative pressure therapy
US8298200B2 (en) 2009-06-01 2012-10-30 Tyco Healthcare Group Lp System for providing continual drainage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A2731427C (en) 2008-08-08 2020-01-28 Tyco Healthcare Group Lp Wound dressing of continuous fibers
US20100324516A1 (en) 2009-06-18 2010-12-23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for Vacuum Bridging and/or Exudate Collection
ES2731200T3 (es) 2009-12-22 2019-11-14 Smith & Nephew Inc Aparatos para terapia de herida por presión negativa
USRE48117E1 (en) 2010-05-07 2020-07-28 Smith & Nephew,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U2011345328B2 (en) 2010-12-22 2016-03-10 Smith & Nephew,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K2852418T3 (en) 2012-05-23 2018-07-16 Smith & Nephew Apparatus for wound care with negative pressure
JP6307505B2 (ja) 2012-08-01 2018-04-04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創傷被覆材および治療方法
ES2625709T3 (es) 2012-08-01 2017-07-20 Smith & Nephew Plc. Apósito de herida
US10010658B2 (en) 2013-05-10 2018-07-03 Smith & Nephew Plc Fluidic connector for irrigation and aspiration of wounds
CN103285495A (zh) * 2013-05-22 2013-09-11 苏州爱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医用负压封闭引流装置
DE102013106582A1 (de) * 2013-06-24 2014-12-24 Ulrich Gmbh & Co. Kg Druckmesszelle zur Verwendung in einem Infusions- oder Injektionssystem
US9878144B2 (en) * 2014-10-14 2018-01-30 Wilmarc Holdings, Llc Connector system
US10076594B2 (en) 2015-05-18 2018-09-18 Smith & Nephew Plc Fluidic connector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EP3117868B1 (de) 2015-07-16 2023-11-01 Lohmann & Rauscher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die wundversorgung und wundversorgungskit
GB201718014D0 (en) 2017-11-01 2017-12-13 Smith & Nephew Dressing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with filter
WO2021048635A1 (de) * 2019-09-10 2021-03-18 Advanced Medical Balloons Gmbh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ableitung von gas durch eine natürliche oder künstliche öffnung des körpers eines patienten
CN113827787B (zh) * 2021-08-03 2024-09-13 山东颐诺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防返流冲洗引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1654A (en) * 1968-10-03 1972-01-04 Pall Corp Gas purge device
US4031891A (en) * 1975-11-03 1977-06-2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Air eliminating filter
US4636313A (en) * 1984-02-03 1987-01-13 Vaillancourt Vincent L Flexible filter disposed within flexible conductor
US4731260A (en) 1984-12-18 1988-03-1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Hydrophobic filter material and method
US5797907A (en) * 1989-11-06 1998-08-25 Mectra Labs, Inc. Electrocautery cutter
US5134996A (en) 1991-01-09 1992-08-04 Smiths Industries Medical Systems, Inc. Inspiration and expiration indicator for a suction catheter
JP2567345Y2 (ja) * 1991-02-28 1998-04-02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吸引コネクター
US5250038A (en) * 1992-10-09 1993-10-05 Cook Incorporated Multiple lumen vascular access introducer sheath
DE4306478A1 (de) 1993-03-02 1994-09-08 Wolfgang Dr Wagner Drainagevorrichtung, insbesondere Pleuradrainagevorrichtung, und Drainageverfahren
JP2003502594A (ja) * 1999-06-15 2003-01-21 アイピー.ワン 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逆止め弁
US7097690B2 (en) * 2003-10-10 2006-08-29 Scimed Lif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gasses from a liquid
WO2005061025A1 (en) * 2003-12-22 2005-07-07 Medela Holding Ag Drainage apparatus and method
EP1753481A4 (en) * 2004-04-12 2009-06-03 Medrad Inc FLUID FEEDING SYSTEMS, PRESSURE INSULATION MECHANISMS, INJECTION MOLDING CHARACTERISTICS AND USE METHOD THEREFOR
DE102006018989B4 (de) * 2006-04-12 2017-02-02 j. söllner AG Dreiwege-Rückschlagventil
BRPI0717978A2 (pt) * 2006-10-18 2013-11-12 Terumo Corp Aparelhos médicos
GB0623535D0 (en) * 2006-11-25 2007-01-03 Smiths Group Plc Suction apparatus and connectors
BRPI0810321A2 (pt) * 2007-05-22 2014-10-21 Medela Holding Ag "unidade de bomba de drenagem para aspiração de fluidos corpora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3220A (zh) 2012-10-24
DK2536448T3 (da) 2014-03-31
EP2536448B1 (de) 2014-01-08
PL2536448T3 (pl) 2014-07-31
BR112012020583A2 (pt) 2016-07-19
CH702752A1 (de) 2011-08-31
CN102753220B (zh) 2015-01-21
WO2011100851A1 (de) 2011-08-25
JP2013519458A (ja) 2013-05-30
KR101787707B1 (ko) 2017-10-18
EP2536448A1 (de) 2012-12-26
JP5625072B2 (ja)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707B1 (ko)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US8801684B2 (en) Coupling part of a drainage tube unit
US8535284B2 (en) Drainage pump unit
CN109689150B (zh) 用于医疗废液容器的端口连接器和使用方法
US8425489B2 (en) Drainage tube device and coupling unit
JP2022122880A (ja) 流体収集システム
US20100258129A1 (en) Water trap for a breathing tube
US20250009954A1 (en) Fluid collection systems
JP5473075B2 (ja) 人間または動物の患者に複数の医療用液体を輸送する装置
KR101556087B1 (ko) 배액 용기
KR200493159Y1 (ko) 의료용 흡인 용기
AU8231798A (en) Drainage apparatus a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