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6346A -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346A
KR20120126346A KR1020110044065A KR20110044065A KR20120126346A KR 20120126346 A KR20120126346 A KR 20120126346A KR 1020110044065 A KR1020110044065 A KR 1020110044065A KR 20110044065 A KR20110044065 A KR 20110044065A KR 20120126346 A KR20120126346 A KR 2012012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seat back
fixed
back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848B1 (ko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1004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시트레일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베이스; 상기 리클라이너 베이스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부를 가지고,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링크 브래킷으로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 및 상기 시트백 프레임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힌지 고정되어, 시트의 착석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유동시켜 탄력 지지하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백 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이 종래와 같이, L자형 연결부재로 직접 연결되어 고정되지 않고, 시트백 프레임과 연결부재 사이에 별도의 유동부가 연결됨으로써, 착좌시 유동부에 의해 시트백이 일정각도에서 유동됨에 따라 승객이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SEAT FRAME OF VEHICLES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 프레임에 고정되는 엘자형 연결부재와 시트백 프레임의 사이에 유동부를 구성하여, 착좌모드시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시트백이 일정각도에서 전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차량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물건을 실을 때, 장비가 길고 큰 경우에 화물적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리어시트나 조수석 시트의 시트백을 접어 테이블 형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에는 시트백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시트 폴딩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 폴딩 구조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이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10)은 전방 측면부가 링크 브래킷(11)으로 시트레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2)에 힌지 고정되어, 링크 브래킷(11)에 의해 필요에 따라 전후 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2)의 후방에는 리클라이너 장치가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베이스(13)가 구비되며, 이 리클라이너 베이스(13)의 상단에는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14)의 하단이 힌지 고정되어 시트백 프레임(14)이 전방으로 접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시트백 프레임(14)은 "L"자 형 연결부재(2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14)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쿠션 프레임(10)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 폴딩 구조는 시트백 프레임(14)과 쿠션 프레임(10)이 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시트백 프레임(14)을 전방으로 접게 되면, 시트백 프레임(14)에 연결부재(20)에 의해 고정되는 쿠션프레임(10)은 메인프레임(12)의 전방에 고정되는 링크브래킷(1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아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폴딩 구조에서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14)과 시트쿠션이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10)이 연결부재(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이 움직이면 시트쿠션도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시트쿠션에 탑승한 승객은 하중에 따라 시트백을 움직이는데 제한이 있고, 시트백이 이동되면 복원되지 않아 손으로 잡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트백 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을 L자형 연결부재로 직접 고정하지 않고, 연결부재와 시트백 프레임 사이에 유동부를 구성하여, 착좌시 유동부에 의해 시트백이 일정각도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하중에 의해 시트백이 유동 되더라도 시트 쿠션의 유동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레일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베이스; 상기 리클라이너 베이스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부를 가지고,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링크 브래킷으로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 및 상기 시트백 프레임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힌지 고정되어, 시트의 착석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유동시켜 탄력 지지하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는 상기 시트백의 폴딩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유동부를 가압하여 밀기 위한 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힌지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는 연결부재에 힌지 고정되는 다이브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형성되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이브 브래킷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다이브 브래킷의 일단을 가압하여 회동될 때 가압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백 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이 종래와 같이, L자형 연결부재로 직접 연결되어 고정되지 않고, 시트백 프레임과 연결부재 사이에 별도의 유동부가 연결됨으로써, 착좌시 유동부에 의해 시트백이 일정각도에서 유동됨에 따라 승객이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백의 폴딩시 승객이 착석한 상태에서 시트백을 앞으로 회동시킬 때 시트백이 유동됨으로써, 시트쿠션이 이동되지 않으므로 시트백의 폴딩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프레임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시트 프레임에서 시트가 폴딩되는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프레임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프레임 구조에서 시트가 폴딩되는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프레임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시트 프레임 구조는, 쿠션프레임(140)의 후방이 시트백 프레임(130)에 연결부재(170)와 유동부(160)에 의해 고정되고, 쿠션프레임(140)의 전방은 링크 브래킷(150)에 의해 시트레일(100)에 고정되므로, 시트백(미도시)을 폴딩하게 되면 쿠션프레임(140)은 연결부재(170)와 유동부(160)의 작용 및 링크브라캣(150)의 회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의 바닥 패널(미도시)에는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레일(100)이 구비되고, 시트레일(100)의 상측에 메인프레임(110)이 고정되고, 메인프레임(110)의 후방에 리클라이너 장치가 설치되는 리클라이너 베이스(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리클라이너 베이스(120)의 상부에는 시트백 프레임(130)의 하단에 구비되는 힌지부(131)가 고정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시트쿠션이 고정되는 쿠션프레임(140)이 구비되되, 상기 쿠션프레임(140)의 측면 일단부 즉, 시트의 전방부는 별도의 링크 브래킷(15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링크 브래킷(150)은 상단이 쿠션프레임(140)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이 메인프레임(110)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쿠션프레임(140)은 시트백 프레임(130)이 폴딩될 때, 상기 링크브래킷(150)이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프레임(140)의 측면 타단부는 'L'자 형 연결부재(170)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L'자형 연결부재(170)의 타단부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유동부(160)의 상부가 힌지 고정되되, 상기 유동부(160)의 하부는 시트백 프레임(130)에 힌지 고정된다.
즉, 상기 'L'자 형 연결부재(170)는 일단부가 쿠션프레임(140)의 측면 후방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시트백 프레임(130)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는 유동부(160)에 힌지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부(160)는 일단부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130)의 힌지부(131)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는 연결부재(170)에 힌지 고정되는 다이브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브 브래킷은 하단부가 시트백 프레임(130)에 힌지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L'자 형 연결부재(170)에 힌지 고정되며, 상단부가 시트백의 폴딩시 후술하게 되는 가압부(180)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180)는 리클라이너 베이스(120)에 힌지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130)의 하단부에서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고, 시트백 프레임(130)의 후방에 구비되는 가압돌기로 구성된다.
가압부(180)는 시트백의 폴딩시 시트백 프레임(130)이 하단부를 힌지로 회동될 때, 가압부(180)가 'L'자 형 연결부재(170)의 상단부와 힌지 고정되는 다이브 브래킷의 상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다이브 브래킷과 연결부재(170)가 힌지 고정되는 다이브 브래킷의 상부 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이브 브래킷의 상부에는 시트백의 폴딩시 시트백 프레임(130)이 회동되어 폴딩될 때, 상기 가압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홈(161)이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130)이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될 때, 시트백 프레임(130)에 구비된 가압돌기가 다이브 브래킷의 상부를 가압함에 따라 다이브 브래킷도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가압돌기는 다이브 브래킷의 가이드홈(161)의 일측부를 밀착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된 후에, 시트백 프레임(130)이 시트 전방으로 완전히 폴딩되면 가이드홈(161)의 끝부분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130)이 폴딩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 시트백 프레임(130)을 들어올려 시트 후방으로 회동시켜면, 가이드홈(161)의 끝부분에 위치된 가압돌기가 가이드홈(161)의 타측부를 밀착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홈(161)에서 이탈되고, 시트백 프레임(130)이 완전히 원상태로 복귀되면 다이브 브래킷을 가압하고 있던 가압돌기는 다이브 브래킷과 일정거리 이격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의 시트백 플레임의 폴딩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구조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탑승자가 차량의 시트에 착석하게 되면, 시트프레임에서 쿠션 프레임(140)은 도 6과 같이, 'L'자형 연결부재(170)와 링크 브래킷(150)에 의해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상부에 위치되고, 시트백 프레임(130)은 리클라이너 베어스(120)의 상부에 힌지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야간 경사진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시트백 프레임(130)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한 상태 즉, 수직으로 세워지되 후방으로 약간 경사진 상태에서 연결부재(170)와 시트백 프레임(130)에 각각 상부와 하부가 힌지 고정되는 다이브 브래킷에 의해 시트의 전방으로 유동되어 탄력을 받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백을 폴딩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트백을 잡고 시트의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시트백 프레임(130)은 리클라이너 베이스(120)의 상부에 힌지 고정되는 하단부를 중심으로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시트백 프레임(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압돌기는 시트백 프레임(130)의 회동에 의해 도 7과 같이, 다이브 브래킷의 상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다이브 브래킷의 상부를 가압하여 시트의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브 브래킷은 시트백 프레임(130)에 힌지 고정되는 하단부를 중심으로 시트의 전방으로 향하여 회동하게 되고, 가압돌기는 도 8과 같이, 상기 다이브 브래킷의 가이드홈(161)에 끼워진 후에 슬라이드되어 이동된다. 이후, 가압돌기는 가이드홈(161)을 따라 이동되어 도 9와 같이, 가이드홈(161)의 끝부분에 위치되면, 상기 시트백 프레임(130)의 폴딩 작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30)이 전방으로 회동되어 가압돌기가 다이브 브래킷의 상부를 가압하여 밀게 되면, 쿠션 프레임(140)의 전방과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링크 브래킷(150)은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 링크 브래킷(150)의 상부에 힌지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140)은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110)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폴딩된 시트백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려면, 상기에서 설명한 시트백을 폴딩하기 위한 작동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시트레일 110 : 메인프레임
120 : 리클라이너 베이스 130 ; 시트백 프레임
140 : 쿠션프레임 150 : 링크 브래킷
160 : 유동부 170 : 연결부재
180 : 가압부

Claims (5)

  1. 시트레일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베이스;
    상기 리클라이너 베이스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부를 가지고,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링크 브래킷으로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 및
    상기 시트백 프레임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힌지 고정되어, 시트의 착석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유동시켜 탄력 지지하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는 상기 시트백의 폴딩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유동부를 가압하여 밀기 위한 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3. 제1항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힌지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는 연결부재에 힌지 고정되는 다이브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형성되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브 브래킷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다이브 브래킷의 일단을 가압하여 회동될 때 가압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KR1020110044065A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Expired - Fee Related KR10173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65A KR101731848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65A KR101731848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46A true KR20120126346A (ko) 2012-11-21
KR101731848B1 KR101731848B1 (ko) 2017-05-02

Family

ID=4751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0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1848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011A (zh) * 2012-08-31 2014-03-26 金华青年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靠背坐垫联动座椅
CN104972933A (zh) * 2014-04-09 2015-10-1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直立座椅的向后折叠装置
KR20200113316A (ko) * 2019-03-25 202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KR20220080917A (ko) * 2020-12-08 2022-06-15 문용찬 차량용 시트를 분리할 수 있는 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143B1 (ko) 2022-03-14 2024-04-29 우운철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011A (zh) * 2012-08-31 2014-03-26 金华青年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靠背坐垫联动座椅
CN103661011B (zh) * 2012-08-31 2017-12-12 金华青年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靠背坐垫联动座椅
CN104972933A (zh) * 2014-04-09 2015-10-1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直立座椅的向后折叠装置
KR20200113316A (ko) * 2019-03-25 202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KR20220080917A (ko) * 2020-12-08 2022-06-15 문용찬 차량용 시트를 분리할 수 있는 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48B1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99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US7077463B2 (en) Rear fold down cargo seat with tilt down cushion
US20160318422A1 (en) A seat arrangement
US20070252404A1 (en) Adjustable rear seat
KR20090019012A (ko) 차량용 시트 장치
KR20120126346A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KR101884744B1 (ko)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WO2019065773A1 (ja) 乗物用シート
CN107599899A (zh) 折叠和斜倚的后排座椅系统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A2874041C (en) Fold and kneel seat with rearward folding motion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1372960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20120082740A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KR102586461B1 (ko)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US8066325B2 (en) Deployable bolster for a vehicle seat
EP3072732B1 (en) Vehicle seat device
US10266075B2 (en) Stowable vehicle seat with slotted guide linkage
JP2023171578A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1896966B1 (ko) 차량용 시트장치
KR101900071B1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20050041233A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리클라이닝 구조
US9840176B1 (en) Seat with integrated foldable table
KR102037075B1 (ko) 차량용 시트장치
KR101407262B1 (ko) 차량용 시트의 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