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507A - A cleaner for bathroom - Google Patents
A cleaner for bath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1507A KR20120121507A KR1020110039366A KR20110039366A KR20120121507A KR 20120121507 A KR20120121507 A KR 20120121507A KR 1020110039366 A KR1020110039366 A KR 1020110039366A KR 20110039366 A KR20110039366 A KR 20110039366A KR 20120121507 A KR20120121507 A KR 201201215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water
- cleaning
- head
- handle b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280244 Luffa acutangu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814 Luffa aegypt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청소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변기의 청소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 청소용 기구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손잡이봉(10)과; 상기 손잡이봉(10)의 선단에 연결되며 변형이 용이한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부(20)와; 상기 탄성연결부(20)의 선단에 연결 구성되어진 헤드부(30)와; 상기 헤드부(30)의 외측에 돌출 구비되어진 고무재질의 탄성 안내돌기(31)와; 상기 손잡이봉(10)과 탄성연결부(20) 그리고 헤드부(30) 내부를 통해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어진 내부유로(S)와; 외부로 부터 상기 내부유로(S)를 통해 물 공급을 위한 호스(4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봉(10)의 후단에 형성된 호스 연결부(11)와; 상기 내부유로(S)를 통해 공급된 물을 고압으로 배출하도록 헤드부(30) 선단에 형성된 노즐공(33)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leaning apparatus, and to clean the toilet bowl to be made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Toilet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and the handle bar 10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An elastic connection part 20 connected to the tip of the handle bar 10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A head portion 30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20; An elastic guide protrusion 31 made of rubber material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30; An internal flow path (S) communicating with the handle bar 10, the elastic connection part 20, and the head part 30 to allow the movement of water; A hose connection portion 1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10 to enable the connection of the hose 40 for water suppl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flow passage 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 nozzle hole 33 formed at the tip of the head portion 30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S) at a high press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실 청소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가 오염되거나 막혔을 경우 변기를 청소하거나 뚫을 수 있어 편리하고, 욕실 바닥 등 욕조 내부도 청소가 가능하여 다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toilet is installed in the toilet is dirty or clogged, it is convenient to clean or pierce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clean the inside of the bathtub, such as bathroom floor can be useful for multipurpose A toilet cleaning appliance structure.
일반적으로 변기가 더러워지면 솔이나 수세미 등의 도구와 물을 사용하여 청소를 하는데 솔로 문지르면 물이 튀는 경우가 있다. 솔을 사용하지 않고 수세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갑을 끼고 손을 직접 변기 속에 깊이 넣어야 하므로 불결한 느낌이 들뿐더러 장갑을 끼고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general, if the toilet is dirty, use a brush or scrubber and other tools to clean it. If you rub it with a brush, the water may splash. If you use a loofah without using a brush, you have to wear gloves and put your hands deeply into the toilet, which makes you feel dirty and uncomfortable.
또한, 솔이나 수세미, 장갑 등을 변기 옆에 보관해야 하므로 위생상 및 미관상 좋지 않다. 뿐만 아니라, 변기의 윗부분을 청소할 때에는 바가지와 같은 용기로 세면기에서 물을 떠다 붓거나, 멀리 있는 샤워기로부터 물을 분사시켜 청소해야 하므로 물이 사방으로 튀고, 많은 물을 소비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not good for hygiene and aesthetics because the brush, loofah, gloves, etc. should be stored next to the toilet. In addition, when cleaning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wl is a gourd-like container to pour water from the washbasin, or to pour water from a shower in the distant shower, so the water splashes in all directions, it consumes a lot of water.
또한, 변기가 막혔을 때에는 압력을 이용하여 막힌 배수구를 뚫을 수 있는 플런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oilet is clogge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separate plunger that can penetrate the clogged drain using pressure is used.
또한, 욕조에는 변기를 청소하는 기구, 욕조를 청소하는 기구, 변기를 뚫는 기구 등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기구들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여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thtub has to be provided with various apparatuses, such as a mechanism for cleaning the toilet, a mechanism for cleaning the bathtub, a mechanism for drilling the toilet, has a cumbersome and inconvenient disadvantag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변기를 청소함에 있어서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변기의 청소는 물론 변기가 막혔을 때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수구를 뚫을 수 있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를 제공함으로서 변기의 관리가 청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in clean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oilet, by providing a toilet for cleaning the toilet as well as the toilet cleaning device that can quickly and easily pierce the drain when the toilet is clogged. The purpose is to be clean.
또한, 헤드부와 변기 청소솔 그리고 바닥 청소솔의 용도에 따른 교체가 가능하여 하나의 기구를 다용도로 활용 할 수 있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oilet cleaning device that can be used for a multi-purpose device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ead, toilet bowl cleaning brush and floor cleaning brush.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 청소용 기구는, 일정 길이를 이루며 구비되는 손잡이봉과; 상기 손잡이봉의 선단에 연결되며 변형이 용이한 플랙시블 재질로 구비된 탄성연결부와; 상기 탄성연결부의 선단에 연결 구성되어진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외측에 돌출 구비되어진 고무재질의 탄성 안내돌기와; 상기 손잡이봉과 탄성연결부 그리고 헤드부 내부를 통해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어진 내부유로와; 외부로 부터 상기 내부유로를 통해 물 공급을 위한 호스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봉의 후단에 형성되어진 호스 연결부와; 상기 내부유로를 통해 공급된 물을 고압으로 배출하도록 헤드부 선단에 형성된 노즐공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ilet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andle bar provided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An elastic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tip of the handle bar and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able; A head porti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An elastic guide protrusion of rubber material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head; An inner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handle rod, 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and the head to enable movement of water; A hose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a rear end of the handle bar to enable the connection of a hose for water suppl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flow passag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the tip of the head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at a high pressure.
또한, 상기 탄성 안내돌기는 원판형상을 다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guide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k shape.
또한, 상기 손잡이봉 후단에 형성된 호스 연결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se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 is formed.
또한, 상기 호스 연결부에는 막음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se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cap is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헤드부 선단에 형성된 노즐공에는 개폐를 위한 개폐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zzle hole formed in the head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is detachably coupled.
또한, 헤드부 외에 브러쉬를 구비하고 있는 변기 청소용솔 또는 바닥 청소용솔이 착탈 가능하도록 별도로 준비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교체장착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ilet bowl cleaning brush having a brush in addition to the head portion or the floor cleaning brus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replacing and mounting as needed in a separate state prepared separately.
또한, 본 발명에서 탄성연결부 선단에는 헤드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탈구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착탈구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와 대응되는 헤드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나사결합방식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착탈구에는 외표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구비되고, 착탈구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청소용솔이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청소용솔에는 다수의 물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opening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head portion at the tip of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the male thread portion is formed in the detachable opening, the female thread portion is formed in the hea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portion is screwed in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detachable open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on the outer surface, the cleaning brush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opening, the cleaning brush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outlet.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실 청소용 기구는, 헤드부가 변기의 배수구 내부까지 진입이 가능한 구조를 이룸으로서 변기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toilet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can be made easier by cleaning the toilet head to the structure that can enter the inside of the toilet drain.
특히, 헤드부 선단에 형성된 노즐공을 통해 고압의 물이 분사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변기 청소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막힌 변기를 수압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뚫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In particular, the high-pressure water can b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hole form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head to be able to clean the toilet more effectively, as well as the effect that can quickly pierce the clogged toilet using water pressure.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봉에 연결되는 탄성연결부에 의해 헤드부 및 헤드부에 형성된 안내돌기에 의해 변기 배수구 내부까지 진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enter the inside of the toilet drain by the head portion and the guide protrusion formed by the elastic portion connected to the handle bar.
또한, 손잡이봉과 탄성연결부 및 헤드부 내부에는 내부를 통해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어진 내부유로(S)가 포함되어, 헤드부의 진입뿐만 아니라, 물의 분사에 의해서도 2중으로 깨끗하게 변기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andle bar and 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head portion includes an internal flow path (S) communicated to allow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inside, a mechanism that can clean the inside of the toilet cleanly not only by entering the head portion, but also by the injection of water. Will be provided.
특히, 손잡이봉의 후단에는 호스 연결부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내부유로(S)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의 연결이 가능하며, 헤드부 선단에는 노즐공이 형성되어 내부유로(S)를 통해 공급된 물을 고압으로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is formed with a hose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hose for supplying water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S) from the outside, the nozzle portion is formed at the head end is supplied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S) It is possible to discharge water at high pressure.
또한, 막음캡 및 개폐마개에 의해 청소 기구 내부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이 인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mechanism by the blocking cap and opening and closing stopp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entering.
또한, 헤드부의 노즐공은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노즐공을 통해 일정 수압으로 물이 분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nozzle hole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in the tapered su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water is ejected at a certain water pressure through the nozzle hole.
또한, 착탈구에는 청소용솔들이 나사결합하게 결합되고, 청소용솔에는 물배출구가 다수 구비되어, 사용자는 헤드부와 변기 청소용솔 그리고 바닥 청소용솔을 세가지 모두 구비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탄성연결부 선단에 변기 청소용솔을 나사결합하여 변기 청소작업에 사용하다가 변기가 막히거나 막힐것 같은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변기 청소용솔을 분리하여 헤드부로 교체한 후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leaning brush is screw-coupled to the removable outlet, the cleaning brus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the user is provided with all three of the head portion, toilet bowl cleaning brush and floor cleaning brush, usually at the end of the elastic connection When the toilet cleaning brush is screwed together and used in the toilet cleaning work, if the toilet becomes clogged or clogged, the precursor may be clogged or removed.The toilet cleaning brush can be removed and replaced with a hea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호스연결부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헤드부 단면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 나사결합상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용 솔 나사결합상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청소용 솔 나사결합상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청소용 기구 개략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 기구의 사용 상태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bathroom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se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ilet cleaning appliance.
Figure 3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toilet cleaning appliance.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ilet cleaning appliance.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head screw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brush structure for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brushed floor cleaning bru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bathroom clean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use state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일정 길이를 이루는 손잡이봉(10)이 헤드부(30)와 연결되어져 있으며, 손잡이봉(10)과 헤드부(30) 연결부위에는 변형이 용이한 플랙시블 재질의 탄성연결부(20)가 구성되어져 있다.First,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oile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ures 1 to 3, the
특히, 손잡이봉(10)과 탄성연결부(20) 그리고 헤드부(30) 내부를 통해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유로(S)가 연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손잡이봉(10) 후단에는 외부로 부터 내부유로(S)를 통해 물 공급을 위한 호스(4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호스 연결부(11)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러한 호스(40)는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일반 호스 뿐만 아니라 샤워호스를 포함함을 밝혀둔다.In particular, the inner flow passage (S)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한편, 헤드부(30)의 외측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원판형상의 탄성 안내돌기(31)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되었으며, 헤드부(30) 선단에는 내부유로(S)를 통해 공급된 물을 고압으로 배출하도록 노즐공(33)이 형성되었고, 이러한 노즐공(33)은 개폐마개(34)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개폐마개(34)는 사용 중 외부로 부터 물이 기구내로 유입되는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또한, 헤드부(30) 내부의 내부유로(S)는 노즐공(33)이 형성된 선단측으로 갈수록 내경(d)이 점차 감소되는 테이퍼면(32)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노즐공(33)을 통해 일정 수압으로 물이 분출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internal flow path S inside the
그리고, 손잡이봉(10) 후단에 형성된 호스 연결부(1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호스(40) 또는 막음캡(12)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를 이룸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read is formed in the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 effect of using the toilet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손잡이봉(10) 후단에는 막음캡(12)이 결합되고 헤드부(30)의 노즐공(33)에는 개폐마개(34)가 끼워진 상태에서, 변기(1)가 막혔을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봉(10)을 잡고 헤드부(30)를 변기(1)의 배수구측에 밀어넣게 되면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부(20)가 휘어지면서 헤드부(30)가 배수구 내측으로 진입되어질 수 있게 된다.First, when the
따라서, 손잡이봉(10)를 밀었다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헤드부(30)가 탄성 안내돌기(31)에 의해 안내되는 가운데 막힌 부분을 강제로 밀어주게 됨으로서 막힌부분이 뚫려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와 같이 막힌 부분이 뚫려진 후에는 배관에 남아있을 수 있는 잔재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물을 분사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After this blockage is drilled, high pressure water is sprayed to remove any residue that may remain in the pipe.
즉, 이때에는 손잡이봉(10) 후단측에 형성된 호스연결부(11)에서 막음캡(12)을 분리시킨 후 샤워기 호스(40)를 연결하고, 선단측 노즐공(33)을 막고 있는 개폐마개(34)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호스(40)를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물은 내부유로(S)를 통해 안내된 후 헤드부(30)의 선단에 형성된 노즐공(33)을 통해 분사되어지게 된다.That is, in this case, after removing the blocking
이때, 헤드부(30) 내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경(d)이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면(32)을 지나면서 수압이 증가되어지게 됨으로서 강한 수압의 물이 분출되어지게 되며, 헤드부(30) 외측에 구비된 탄성 안내돌기(31)가 변기 배관 내벽면과 밀착되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분출되어지는 수압은 효과적으로 잔재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ied in the
즉, 탄성 안내돌기(31)의 배수관 내벽 밀착효과에 의해 분출되는 물이 작업자에게 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청소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water sprayed by the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실 청소용 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변기(1)의 막힘이 신속하게 해결되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수압을 이용한 잔재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toilet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logging of the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30)와 변기 청소솔(50) 그리고 바닥 청소솔(60)의 용도에 따른 교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5 to 7 shows a removable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연결부(20) 선단에는 헤드부(30)의 교체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탈구(21)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착탈구(21)에는 숫나사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부(22)와 대응되는 헤드부(30)에는 암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나사결합방식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러한 헤드부(30)는 신축성의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안내돌기(31)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내부에는 경성재질의 PVC부(35)가 구성되었다.That is, as shown in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착탈구(21)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외표면에 다수의 브러쉬(51)가 구비되고, 착탈구(2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암나사부(50a)가 형성된 청소용솔(50)이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특히, 브러쉬(51)는 측벽에 구비되는 일반 청소용 브러쉬 외에 모서리측에 추가로 브러쉬를 구비함으로서 변기 코너부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청소용솔(50) 내부에는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물배출구(52)가 다수개 형성됨으로 샤워기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분사되어짐과 함께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이와 함께, 착탈구(21)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다수의 브러쉬(61)가 구비되고, 착탈구(2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암나사부(60a)가 형성된 바닥 청소용솔(60)이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바닥 청소용솔(60)에는 다수의 물배출구(62)가 구비되었다.Along with this, the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부(30)와 변기 청소용솔(50) 그리고 바닥 청소용솔(60)을 세가지 모두 구비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탄성연결부(20) 선단에 청소용솔(50)을 나사결합하여 변기 청소작업에 사용하다가 변기가 막히거나 막힐것 같은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청소용솔(50)을 분리하여 헤드부(30)로 교체한 후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user has all three of the
또한, 화장실 바닥 청소용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탈구(21)에 바닥 청소용솔(60)을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바닥면에 구비된 다수의 브러쉬(61)를 이용하여 바닥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샤워호스기를 연결함으로서 물배출구(62)를 통해 물을 배출시키는 가운데 브러쉬(61)에 의한 청소작업이 수행되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use for cleaning the floor of the bathroom floor cleaning can be easily made by using a plurality of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청소용솔(60)을 별도로 탄성연결부(20)로 부터 분리하여 손잡이(63)를 잡고 욕실 바닥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o this, if necessary, the cleaning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구조 및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변형이 용이한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와이어(20) 일측에는 링형상을 이루는 손잡이부(1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헤드부(30')가 연결되었으며, 상기 헤드부(30') 외측에는 둘레를 따라 브러쉬(31')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s 8 and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use state of the toile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화장실 청소용 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헤드부(30')를 변기(1)에 넣은 후 물을 내려주게 되면 헤드부(30')가 물과 함께 배수구를 따라 내려가게 된다.In using the toile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head portion 30 'is first put into the
그리고, 헤드부(30')가 일정 위치로 내려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0')를 서서히 당겨주면 연결와이어(20)에 의해 연결된 헤드부(30')가 배수구를 따라 이동되어지면서 브러쉬(31')에 의해 배수구 내부의 이물질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n, when the user gradually pulls the handle portion 10 'while the head portion 30'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ead portion 30 'connected by the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주기적으로 2~3회 반복 실시하게 되면 변기(1)의 보다 청결한 관리가 이루어짐은 물론, 변기 배수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if the operation is repeated two or three times periodically, the toilet (1) is made more clean management, as well a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toilet drain in advance.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화장실 청소용 기구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structure of the toilet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2가지 종류의 화장실 청소용 기구가 실시 예를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기구의 전체적인 길이나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질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lthough two types of toilet cleaning apparatuses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overall length or size of the apparatus may be variously manufactured as necessary.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손잡이봉 11 : 호스연결부
12 : 막음캡 20 : 탄성연결부
30 : 헤드부 31 : 탄성 안내돌기
32 : 테이퍼면 33 : 노즐공
34 : 개폐마개 40 : 호스
50 : 청소용 솔 50a,60a: 암나사부
51,61 : 브러쉬 52,62 : 물배출구
60 : 바닥 청소용 솔 63 : 손잡이
S : 내부유로10: handle bar 11: hose connection
12: blocking cap 20: elastic connection
30: head portion 31: elastic guide protrusion
32: tapered surface 33: nozzle hole
34: opening and closing plug 40: hose
50: cleaning
51,61:
60: floor cleaning brush 63: handle
S: Internal Euro
Claims (10)
상기 손잡이봉(10)의 선단에 연결되며 변형이 용이한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부(20)와;
상기 탄성연결부(20)의 선단에 연결 구성되어진 헤드부(30)와;
상기 헤드부(30)의 외측에 돌출 구비되어진 안내돌기(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Handle bar 10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 elastic connection part 20 connected to the tip of the handle bar 10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A head portion 30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20;
Toilet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guide protrusion (31) protruding on the outside of the head portion (30).
상기 내부유로(S)를 통해 공급된 물을 고압으로 배출하도록 헤드부(30) 선단에는 노즐공(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According to claim 2, Hose connecting portion 11 is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10 to enable the connection of the hose 40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flow path (S),
A nozzle hole (33)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ead portion (30)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S) at a high pressure.
상기 안내돌기(31)는 원판형상을 이루어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봉(10) 후단에 형성된 호스 연결부(11)에는 호스(40)와의 연결이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protrusion 31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shape of a disc,
The hose connecting portion (1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10), the toilet clean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hose 40 can be made by the screw coupling method.
상기 호스 연결부(11)에는 막음캡(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30) 선단에 형성된 노즐공(33)에는 외부로 부터 물이 헤드부(3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마개(3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se cap 11 is coupled to the blocking cap 12 detachably,
The nozzle hole 33 formed at the tip of the head portion 30 is a toilet clean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ug 34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head portion 30 from the outside is detachably coupled. .
상기 헤드부(30) 내부의 내부유로(S)는 노즐공(33)을 통해 일정 수압으로 물이 분출되어질 수 있도록 노즐공(33)이 형성된 선단측으로 갈수록 내경(d)이 점차 감소되는 테이퍼면(3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ternal flow path S inside the head part 30 is tapered surface whose inner diameter 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ip side where the nozzle hole 33 is formed so that water can be ejected at a predetermined water pressure through the nozzle hole 33. Toilet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32).
상기 탄성연결부(20) 선단에는 헤드부(3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탈구(21)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착탈구(21)와 상기 헤드부(30)에는 각각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나사결합방식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detachable port 2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connection part 20 so that the head part 3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a corresponding thread part is formed at the detachable port 21 and the head part 30, respectively. Cleaning mechanism for th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screwing method.
상기 착탈구(21)에는 외표면에 다수의 브러쉬(51)가 구비되고, 착탈구(2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청소용솔(50)이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청소용솔(50)에는 다수의 물배출구(5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achable opening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51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cleaning brush 50 having a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opening 21 so as to be screwable, the cleaning brush ( 50) The toilet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water outlet 52 is provided.
상기 착탈구(21)에는 바닥면에 다수의 브러쉬(61)가 구비되고, 착탈구(2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암나사부(60a)가 형성된 바닥 청소용솔(60)이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바닥 청소용솔(60)에는 다수의 물배출구(6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손잡이(6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화장실 청소용 기구.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achable opening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61 on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cleaning brush 60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ed portion (60a) 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movable port 21 is provided with a screw. , The floor cleaning brush (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outlet (62),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toilet clean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63 is configured.
상기 손잡이부(10')에 연결되며 변형이 용이한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와이어(20')와;
상기 연결와이어(20') 선단에 연결 구성되고, 변기 배수구로 진입이 가능한 헤드부(30')와;
변기 배수구 청소를 위해 상기 헤드부(30')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어진 청소용 브러쉬(31');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청소용 기구.A handle portion 10 'forming a ring shape;
A connection wire 20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0'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A head portion 30 'connected to a distal end of the connection wire 20' and capable of entering the toilet drain;
A cleaning brush 31 ′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d part 30 ′ for cleaning the toilet drain;
Toilet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 ro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9366A KR20120121507A (en) | 2011-04-27 | 2011-04-27 | A cleaner for bath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9366A KR20120121507A (en) | 2011-04-27 | 2011-04-27 | A cleaner for bathro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1507A true KR20120121507A (en) | 2012-11-06 |
Family
ID=4750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9366A KR20120121507A (en) | 2011-04-27 | 2011-04-27 | A cleaner for bath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21507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206Y1 (en) * | 2018-06-29 | 2018-12-28 | 이승준 | A pipe conduit clogged disposal device |
KR102352513B1 (en) | 2020-09-04 | 2022-02-07 | 이정숙 | Toilet clogging relief device |
JP7145540B1 (en) * | 2021-06-24 | 2022-10-03 | 延幸 星野 | toilet cleaning tools |
KR102676598B1 (en) * | 2024-02-23 | 2024-06-20 | (주) 대건케이블 | Flexible toilet clogging remover |
-
2011
- 2011-04-27 KR KR1020110039366A patent/KR2012012150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206Y1 (en) * | 2018-06-29 | 2018-12-28 | 이승준 | A pipe conduit clogged disposal device |
KR102352513B1 (en) | 2020-09-04 | 2022-02-07 | 이정숙 | Toilet clogging relief device |
JP7145540B1 (en) * | 2021-06-24 | 2022-10-03 | 延幸 星野 | toilet cleaning tools |
KR102676598B1 (en) * | 2024-02-23 | 2024-06-20 | (주) 대건케이블 | Flexible toilet clogging remov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26655B2 (en) | Multi-function cleaning apparatus | |
KR102179943B1 (en) | Water Outlet With Filter Attached To The Sink Faucet | |
CN203170625U (en) | Handheld washing equipment | |
JP2000514148A (en) | Hot and cold water combined anal irrigator with integrated female irrigator and mouth shower | |
KR20120121507A (en) | A cleaner for bathroom | |
KR102342459B1 (en) | Multipurpose shower head | |
KR100625267B1 (en) | Mouthwash | |
US20210071398A1 (en) | Countertop basin faucet with oral cleaner | |
KR100964839B1 (en) | Mouthwash | |
TW201605394A (en) | Dual-functional shower head structure | |
KR200476995Y1 (en) | Connection device for water toothpick | |
US20230191463A1 (en) | Drain Cleaning Device Used With A Chemical Cleaning Fluid | |
US20160278601A1 (en) | Cleaning Tool | |
KR101609824B1 (en) | Head change type wash gun | |
CN203762994U (en) | Novel toilet bowl brush | |
WO2008020466A1 (en) | Nasal cavity cleaner | |
CN213850575U (en) | Multifunctional pot brushing device | |
KR200468385Y1 (en) | Connection device for water toothpick | |
CN220069576U (en) | Multifunctional shower | |
JP3209969U (en) | In the bathroom, a water hose with a water nozzle that cleans the teeth and the oral cavity using the water installed in the bathroom | |
JP3120687U (en) | Bath tub cleaning tool | |
CN216933985U (en) | Watering can | |
JP2009153624A (en) | Washing water discharge device | |
KR200468525Y1 (en) | Cleaner of inner mouse | |
CN208121885U (en) | A kind of Kitchen tap with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