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17559A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559A
KR20120117559A KR1020110035373A KR20110035373A KR20120117559A KR 20120117559 A KR20120117559 A KR 20120117559A KR 1020110035373 A KR1020110035373 A KR 1020110035373A KR 20110035373 A KR20110035373 A KR 20110035373A KR 20120117559 A KR20120117559 A KR 20120117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or
key hole
locking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엽
Original Assignee
김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엽 filed Critical 김동엽
Priority to KR102011003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559A/ko
Publication of KR2012011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55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열쇠를 열쇠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작동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본체: 상기 작동부의 작동으로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 시키는 잠금쇠;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열쇠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열쇠구멍; 상기 열쇠구멍에 열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열쇠구멍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열쇠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가이드부는 열쇠구멍으로 근접되면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부는 열쇠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쇠를 열쇠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등에는 도어의 단속을 위하여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이 있다.
통상적인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 외부에서는 열쇠에 의하여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도어 내부에서는 노브에 의하여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내부에 작동부를 구비한 잠금장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작동부의 작동으로 홈이나 빗장에 걸려 도어를 잠그는 잠금쇠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열쇠구멍이 형성되어 열쇠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본체 내부에 설치된 작동부가 회전하면서 잠금쇠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잠금쇠의 작동으로 잠금쇠가 상대부품인 빗장 또는 홈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또는 잠금 해제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열쇠를 좁은 틈새 사이로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기가 어렵다.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기가 더욱 어려우며, 경우에 따라서는 열쇠를 열쇠구멍에 삽입하려다 열쇠를 떨어뜨릴 수가 있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장치의 열쇠구멍 외측으로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열쇠를 열쇠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작동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본체: 상기 작동부의 작동으로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 시키는 잠금쇠;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열쇠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열쇠구멍; 상기 열쇠구멍에 열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열쇠구멍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열쇠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가이드부는 열쇠구멍으로 근접되면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부는 열쇠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잠금장치는 열쇠를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시키면 열쇠를 열쇠구멍으로 안내하여 열쇠를 열쇠구멍에 쉽고 빠르게 꽂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급장치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주요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주요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작동부(2)를 구비한 잠금장치 본체(4)와, 상기 본체(4)의 외측에 설치되어 작동부(2)의 작동으로 홈이나 빗장과 같은 고정부에 걸려 도어를 잠그는 잠금쇠(6)를 포함한다.
상기 잠급장치 본체(4)의 전면부(8)에는 열쇠(100)를 꽂을 수 있도록 열쇠구멍(10)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2)는 본체(4)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작동부(2)는 해당되는 열쇠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부(2)의 작동으로 잠금쇠(6)가 작동되면서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 시킨다.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종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잠금장치에는 열쇠(100)를 열쇠구멍(10)에 용이하게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쇠구멍(10)이 형성된 전면부(8)에는 열쇠(100)를 열쇠구멍(10)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2)는 열쇠구멍(1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면부(8)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부(12)는 걸림턱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부(12)는 열쇠구멍(10)으로 근접되면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열쇠(100)를 열쇠구멍(10)에 꽂을 때 열쇠(100)를 가이드부(12)를 따라서 이동시키면 열쇠구멍(10)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준다.
그리고 가이드부(12)의 끝단부는 열쇠(100)가 걸리도록 걸림턱(14)으로 형성되어 열쇠(100)가 이 걸림턱(14)에 걸리면 열쇠(100)가 열쇠구멍(10)에 일치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열기 위하여 열쇠구멍(10)에 열쇠(100)를 삽입하고 돌리면 열쇠구멍(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2) 및 전면부(8)의 일정부분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절개부(16)로 형성된다.
이렇게 열쇠구멍(10)이 회전하면서 작동부(2)도 같이 회전하여 잠금쇠(6)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점금장치는 도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 시키려면, 열쇠(100)를 잡고 열쇠구멍(10)의 상부 쪽에서 하부 쪽으로 이동시키면 열쇠(100)가 가이드부(12) 사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열쇠구멍(10) 쪽으로 유도해 주며, 열쇠(100)를 계속 이동시키면 가이드부(12)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에 걸려 이동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열쇠(100)를 밀면 열쇠(100)가 열쇠구멍(10)을 따라서 삽입되며, 이때 열쇠(100)를 회전시키면 도 3에서와 같이 절개부(16)를 따라서 열쇠구멍(10)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열쇠(100)와 같이 열쇠구멍(10)이 회전하면서 본체(4)의 작동부(2)도 같이 회전하여 잠금쇠(6)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잠금쇠(6)의 작동으로 잠금쇠(6)가 상대부품인 빗장 또는 홈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시킨다. 그리고 열쇠(100)를 상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킨 후 열쇠구멍(10)에서 빼내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작동부 4: 잠금장치 본체
6: 잠금쇠 8: 전면부
10: 열쇠구멍 12: 가이드부
14: 걸림턱 16: 절개부
100: 열쇠

Claims (5)

  1.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작동부가 구비된 잠금장치 본체:
    상기 작동부의 작동으로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 시키는 잠금쇠;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열쇠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열쇠구멍;
    상기 열쇠구멍에 열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열쇠구멍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열쇠구멍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열쇠구멍으로 근접되면서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부는 열쇠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쇠구멍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열쇠구멍을 중심으로 본체의 전면부와 가이드부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110035373A 2011-04-15 2011-04-15 도어 잠금장치 Ceased KR20120117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73A KR20120117559A (ko) 2011-04-15 2011-04-15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73A KR20120117559A (ko) 2011-04-15 2011-04-15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59A true KR20120117559A (ko) 2012-10-24

Family

ID=4728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73A Ceased KR20120117559A (ko) 2011-04-15 2011-04-15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7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821B1 (ko) * 2024-03-13 2024-04-17 장대원 가구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821B1 (ko) * 2024-03-13 2024-04-17 장대원 가구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65B1 (ko)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JP5173222B2 (ja) 引戸用クローザ装置
KR101922932B1 (ko) 오토락 문고리 래치
KR1010918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120117559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831246B1 (ko) 도어 록킹장치
JP2015172270A (ja) ロック防止装置
KR20140104167A (ko) 회전형 후크가 구비된 도어락
KR101263281B1 (ko)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KR20020023614A (ko) 도어 잠금장치
KR20110011961U (ko) 배전반용 도어 잠금장치
KR101398143B1 (ko) 도어의 일부 개방형 도어 잠금구
KR101119924B1 (ko) 볼 조인트를 이용한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347408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4987160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2007319446A5 (ko)
KR10138362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JP5039173B2 (ja) 引き戸式自動ドア装置のロック装置
KR101195925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JP4441346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JP2010156104A (ja) 安全柵
JP2012154089A (ja) プッシュプル錠用ドアハンドル
KR101251077B1 (ko) 사물함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